KR101989170B1 -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170B1
KR101989170B1 KR1020180013380A KR20180013380A KR101989170B1 KR 101989170 B1 KR101989170 B1 KR 101989170B1 KR 1020180013380 A KR1020180013380 A KR 1020180013380A KR 20180013380 A KR20180013380 A KR 20180013380A KR 101989170 B1 KR101989170 B1 KR 10198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code
area
identification code
outp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아이텍
Priority to KR102018001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42Image or content composition onto a page
    • G06F3/1243Variable data printing, e.g. document forms, templates, labels, coupons, advertisements, logos, watermarks, transactional printing, fixed content versioning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를 사용하는 회사나 조직의 특성상 기밀 문건의 출력자, 출력 단말, 문건 번호, 문건을 작성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호스트, 문건의 출력 시간 등의 문건 식별정보가 인쇄되어 표시될 때 인쇄내용의 훼손을 최소화 하면서도 식별기능은 최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문서유출경로를 용이하게 파악 가능한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는,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의 식별자인 단말식별자,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에 로그인 한 문건인쇄 요청자의 식별자인 구성원식별자, 및 인쇄를 요청한 문건을 식별하기 위한 문건식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중식별자를 연산하여 획득한 정보로부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인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코드삽입영역 인식부; 상기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체영역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기본분할영역으로 분할하는 코드삽입영역 분할부; 상기 기본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코드삽입부; 및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된 문건에 대하여 프린터에 출력 명령을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document}
본 발명은 프린터를 사용하는 회사를 포함하는 조직의 특성상 기밀 문건의 출력자, 출력 단말, 문건 번호, 문건을 작성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호스트, 문건의 출력 시간 등의 문건 식별정보가 인쇄되어 표시될 때 인쇄내용의 훼손을 최소화 하면서도 식별기능은 최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문서 유출경로를 용이하게 파악 가능한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회사의 업무환경이 컴퓨터와 통신 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사용하는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회사의 중요한 문서나 도면 등의 기밀 데이터를 기밀 문건인 사내 문건은 도난, 유출, 분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노력 가운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업무를 진행하고 작성된 사내 문건을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프린터로 출력하는 업무환경에서 최적의 데이터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PC 데이터 보안, 데이터베이스 보안, 네트워크 보안, 출력 문서 보안 등의 다양한 인자를 고려해야 한다.
이중, 기밀 데이터인 출력 문서 보안을 위한 일예로, 워터마킹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워터마킹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등의 데이터에 원 소유주만이 아는 마크(Mark)를 사람의 육안으로는 구별할 수 없게 삽입하는 기술로서, 문서의 일부분의 영역에 백그라운드로 문서의 가독성을 유지할 수 있는 특별한 형태의 그림이나 문자 등을 희미하게 인쇄하는 방법으로 문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워터마킹이 적용되어 출력된 인쇄물은 누구나 쉽게 워터마크의 존재를 알 수가 있다. 또한, 수회의 복사과정을 거치는 동안 그 속에 존재하던 정보가 쉽게 사라져 버려 복사된 인쇄물에 대해 문서번호와 같은 문서식별자(document identifier) 등을 추적할 수 없게 된다. 만약, 복사를 하게 될 경우에도 정보를 보존하기 위하여 워터마킹을 하게 되면 문서의 가독성을 해칠 만큼의 선명한 워터마킹이 되거나, 또는 문서의 내용으로 오버래핑 될 수 있어서 문서에 입력된 정보가 손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것으로,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특허문헌 1 참조)을 통해 상술한 문제점이 해소되었다.
동 특허문헌에 기재된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은 문서를 식별하는 문서식별자를 연산하여 문서식별정보를 얻는 문서식별정보 획득단계와, 문서 데이터에서 일련의 연결된 문자에 대한 정보인 문자열정보를 추출하는 문자열정보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문자열정보에서 미리 설정된 순서에 위치하는 문자를 순차적으로 추출하는 문자 추출단계 및 상기 순차적으로 추출된 문자에 역상 직선 패턴을 가함으로써 상기 문서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순차적으로 삽입하는 문자식별정보 삽입단계를 포함하는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문서의 가독성을 충분히 유지하면서도 문서 내에 문서를 식별할 수 있는 문서식별자를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위에 언급된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을 통해 문서식별자가 삽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식별정보 획득단계를 통해 획득된 문서식별정보는 숫자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문서식별정보인 숫자는 기밀 데이터를 이루는 문자에 숫자에 따라 설정된 각도를 갖는 직선패턴으로 표시되어지며, 일례로 '0'부터 '3'까지의 숫자를 설정된 각도를 갖는 두 선의 패턴으로 문자에 표시하고 있다.
먼저, 문서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정보가 '0'인 경우에는 '가'의 문자 폰트에 두 개의 세로선으로 패턴을 형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문서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정보가 '1'인 경우는 '가'의 문자 폰트에 두 개의 가로선으로 패턴을 형성하여 표시할 수 있고, 문서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정보가 '2'인 경우는 '가'의 문자 폰트에 세로선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45°만큼 각도를 가진 두 개의 사선으로 패턴을 형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문서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정보가 '3'인 경우는 '가'의 문자 폰트에 세로선에서 시계방향으로 45°만큼 각도를 가진 두 개의 사선으로 패턴을 형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설정된 각도를 갖는 두 선의 패턴으로 문자에 표시함으로써, 별도의 워터마킹을 표시하지 않아도 기밀 문건의 작성자 내지는 해당 기밀 문건을 출력한 부서의 어느 단말로 특정함으로써, 기밀 문건의 유출 경로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런데, 회사와 같은 조직 내에서 다루어지는 사내 문건은 대부분 열람용 내지는 상사 보고용으로 작성되어진다. 이 때문에, 사내 문건에 인쇄된 문자가 훼손되면, 열람용 내지 상사 보고용으로서의 가치를 반감시키는 폐단이 있다.
특히, 각 부서에는 사내 문건을 출력하는 프린터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구성원 수가 많으면 많아질수록 이를 식별하기 위한 문서식별정보도 그 수가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이로 인해 사내 문건 자체의 인쇄 내용 중 훼손되는 문자의 빈도 또한 많아진다.
이 때문에, 프린터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회사를 포함하는 조직의 특성상 -물론, 개별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내 문건의 출력자 또는 출력 단말을 식별하는 문서식별정보가 사내 문건에 인쇄되어 표시될 때 인쇄내용의 훼손을 최소화 하면서도 문서식별기능은 유지될 수 있는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KR 100988309 B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린터를 사용하는 회사나 조직의 특성상 기밀 문건의 출력자, 출력 단말, 문건 번호, 문건을 작성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호스트, 문건의 출력 시간 등의 문건 식별정보가 인쇄되어 표시될 때 인쇄내용의 훼손을 최소화 하면서도 식별기능은 최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문서유출경로를 용이하게 파악 가능한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는,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의 식별자인 단말식별자,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에 로그인 한 문건인쇄 요청자의 식별자인 구성원식별자, 및 인쇄를 요청한 문건을 식별하기 위한 문건식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중식별자를 연산하여 획득한 정보로부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인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코드삽입영역 인식부; 상기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체영역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기본분할영역으로 분할하는 코드삽입영역 분할부; 상기 기본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코드삽입부; 및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된 문건에 대하여 프린터에 출력 명령을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는,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중 복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는, 상기 코드삽입영역 분할부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세부분할영역으로 재차 분할하며,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에 대하여 상기 세부분할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는,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의 세부분할영역 중 복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는, 상기 문건식별자는 문건에 부여된 문건 고유번호, 문건을 작성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호스트를 나타내는 식별정보, 및 문건의 출력시간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는,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상기 기본분할영역 또는 상기 세부분할영역 내에서 상기 인쇄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 이동시켜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는,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의 주변을 지워 상기 인쇄영역으로부터 고립시켜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는,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반전시켜 상기 인쇄영역과 대비되도록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인쇄되는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도형이거나 여러 점들이 랜덤하게 집합되는 안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은, 인쇄를 요청한 문건에 식별자를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에 있어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에서,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의 식별자인 단말식별자,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에 로그인 한 문건인쇄 요청자의 식별자인 구성원식별자, 및 인쇄를 요청한 문건을 식별하기 위한 문건식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중식별자를 연산하여 획득한 정보로부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00); 코드삽입영역 인식부에서,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인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0); 코드삽입영역 분할부에서, 상기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체영역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기본분할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S300); 코드삽입부에서, 상기 기본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단계(S400); 및 출력부에서,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된 문건에 대하여 프린터에 출력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은, 상기 단계(S400)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중 복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은, 상기 단계(S300)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세부분할영역으로 재차 분할하며, 상기 단계(S400)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에 대하여 상기 세부분할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은, 상기 단계(S400)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의 세부분할영역 중 복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은, 상기 문건식별자는 문건에 부여된 문건 고유번호, 문건을 작성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호스트를 나타내는 식별정보, 및 문건의 출력시간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은, 상기 단계(S400)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상기 기본분할영역 또는 상기 세부분할영역 내에서 상기 인쇄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 이동시켜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은, 상기 단계(S400)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의 주변을 지워 상기 인쇄영역으로부터 고립시켜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은, 상기 단계(S400)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반전시켜 상기 인쇄영역과 대비되도록 삽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은,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인쇄되는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도형이거나 여러 점들이 랜덤하게 집합되는 안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프린터를 사용하는 회사나 조직의 특성상 기밀 문건의 출력자, 출력 단말, 문건 번호, 문건을 작성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호스트, 문건의 출력 시간 등의 문건 식별정보가 인쇄되어 표시될 때 인쇄내용의 훼손을 최소화 하면서도 식별기능은 최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문서유출경로를 용이하게 파악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분할영역 중 복수의 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거나 기본분할영역을 재분할 한 세부분할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함으로써 문건 식별정보의 수가 크게 증가하여도 그에 대응하여 상당히 많은 수의 서로 다른 문건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을 통해 문서식별자가 삽입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의 사용환경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삽입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토대로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이 표현된 도면,
도 5는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토대로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 및 그 전체영역 내에 개개의 기본분할영역이 형성된 것을 표현한 도면,
도 6은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토대로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 그 전체영역 내에 형성된 개개의 기본분할영역, 및 각 기본분할영역마다 세분화된 세부분할영역이 형성된 것을 표현한 도면,
도 7은 문건에 표현된 기본분할영역 및 세부분할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의 일시예인 '25163047'이 삽입된 것을 표현한 도면,
도 8은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될 때 인쇄영역과의 중첩 위치를 회피하여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위치 이동시켜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될 때 인쇄영역과의 중첩 부분에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의 주변을 지워 인쇄영역으로부터 고립시켜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될 때 인쇄영역과의 중첩 부분에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반전시켜 인쇄영역과 대비되도록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은 프린터를 사용하는 회사나 조직의 특성상 기밀 문건의 출력자, 출력 단말, 문건 번호, 문건을 작성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호스트, 문건의 출력 시간 등의 문건 식별정보가 인쇄되어 표시될 때 인쇄내용의 훼손을 최소화 하면서도 식별기능은 최적으로 유지시켜 문서유출경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문건 식별정보라 함은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의 식별자인 단말식별자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문건 식별정보는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에 로그인 한 문건인쇄 요청자의 식별자인 구성원식별자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문건 식별정보는 인쇄를 요청한 문건을 식별하기 위한 문건식별자일 수 있다. 나아가, 문건 식별정보는 단말식별자, 구성원식별자, 문건식별자가 조합된 다중식별자일 수 있다.
또한, 문건식별자라 함은 문건에 부여된 문건 고유번호, 문건을 작성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호스트를 나타내는 식별정보, 및 문건의 출력시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의 사용환경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업이나 기관 단체 등의 조직에는 여러 대의 구성원단말(100)이 설치될 수 있다. 통상 그러하듯이 여러 대의 구성원단말(100)이 하나의 프린터(200)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구성원단말(100)에 개별적으로 프린터(20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구성원단말(100)이 프린터(200)에 인쇄될 문건 데이터와 인쇄 명령을 전달하는 경우, 프린터(200)는 구성원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문건을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문건 데이터는 텍스트, 이미지 등의 인쇄 데이터이다.
각 구성원단말(100)에는 공통적으로 응용프로그램(400) 및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삽입장치(300)가 구비된다.
응용프로그램(400)은 구성원인 문건출력자가 문서 또는 그래픽 작업을 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서, HWP, MS WORD, 파워포인트, 엑셀 등과 같은 문서작성 프로그램이나, 포토샵, GIMP, PAINT, Pixlr,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Inkscape(inkscape.org), Serif DrawPlus(www.serif.com/free-graphicdesign-software와 같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AutoCA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툴과 같은 도면 제작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삽입장치(300)는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200)에 전송할 때 문건 식별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수단이다. 예를 들어,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삽입장치(300)는 상술한 단말식별자, 구성원식별자, 문건식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식별자들이 조합된 다중식별자를 연산하여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문건 상에서 인쇄 내용이 표시된 영역을 인식하고, 인쇄 내용이 표시된 영역 상에서 기본분할영역(또는 기본분할영역을 세분화 한 세부분할영역)을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 상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고,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된 문건에 대하여 프린터(200)에 출력 명령을 전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문건 상에 포함되어 인쇄될 수 있다. 추후 인쇄물을 스캔하여 판독할 때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인쇄된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해당 문건의 출처가 누구인지, 어디인지, 언제인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삽입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삽입장치는 설정부(301), 입력부(302), 문건출력자용 식별자 생성부(303),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304), 메모리부(305), 코드삽입영역 인식부(306), 코드삽입영역 분할부(307), 코드삽입부(308), 출력부(309), 및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설정부(301)는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단말, 사용자, 문건 정보 등에 대한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수단이다. 설정부(301)는 인쇄를 요청한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인식하거나, 응용프로그램(400)과 연계되어 인쇄 명령을 내린 사용자 또는 인쇄 명령을 요청한 네트워크 접속자, 문건과 관련된 정보 등을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입력부(302)는 응용프로그램(400)으로부터 인쇄명령이 내려지면, 인쇄될 문건 데이터를 후킹하여 입력받는 수단이다.
문건출력자용 식별자 생성부(303)는 설정부(301)의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상술한 단말식별자, 구성원식별자, 문건식별자, 및 다중식별자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304)는 위에서 생성된 식별자를 연산하여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설정부(301), 입력부(302), 문건출력자용 식별자 생성부(303), 및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304)를 각각 별도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구성은 단말식별자, 구성원식별자, 문건식별자, 및 다중식별자를 연산하여 획득한 정보로부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이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304)에서 통합되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는 특정 패턴으로 인쇄물 상에 부가적으로 인쇄되는 형상을 의미하며, 각 형상들이 조합되어 코드를 형성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는 일련의 고유번호(예컨대, '25163047'과 같은 고유번호)를 나타내는 인쇄 패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겠지만, 문건의 단위 페이지 상에서 특정 위치에 점을 찍어 '2'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미리 약속된 위치에 일련의 고유번호를 구성하는 각 숫자에 대응하여 점을 찍거나 특정 형상이 인쇄를 함으로써, 후에 문건을 판독할 때 점의 위치나 특정 형상의 위치를 읽어 단말식별자, 구성원식별자, 문건식별자, 및 다중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인쇄물의 스캔 이미지를 판독함으로써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단말, 사용자, 문건 정보 등에 대하여 특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여기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인쇄되는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도형이거나 여러 점들이 랜덤하게 집합되는 안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부(305)는 입력될 문건 데이터, 각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식별코드의 패턴, 본 발명에 의해 인식된 코드삽입영역,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기 위해 인쇄물 상에서 지정된 영역을 분할한 정보,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의 삽입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메모리부(305)는 반드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삽입장치(300) 내에 있을 필요는 없으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삽입장치(300)의 제어부(310)가 외부에 있는 메모리를 참조하는 방식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310)는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삽입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ROM(Read Only Memory)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입출력 신호 및 제어 신호들을 처리한다. ROM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라이팅(writing) 되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이 동작되어 인쇄 데이터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및 삽입 좌표 등의 정보를 실어 출력한다.
도 4는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토대로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이 표현된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코드삽입영역 인식부(306)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코드삽입영역 인식부(306)는 문건 상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인지하고, 인지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501)인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코드삽입영역 인식부(306)가 인쇄영역, 즉, 문건에 포함된 텍스트나 도형 등의 이미지를 인식하기 위해 텍스트 인식 프로그램이나 이미지 인식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응용프로그램(400)으로부터 인쇄영역을 나타내는 좌표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드 작성 프로그램이나 그래픽 처리 프로그램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글꼴이나 이미지의 인쇄 좌표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워드 작성 프로그램이나 그래픽 처리 프로그램에서 고유하게 사용하는 글꼴이나 이미지의 논리좌표를 수신한 후, 이를 인쇄좌표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 인쇄자표를 연산할 수도 있다.
코드삽입영역 인식부(306)는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예컨대, 문자, 도형, 이미지 등과 같은)을 인지한 후, 인지된 부분들을 포함하는 전체영역(501)을 추출하고, 전체영역(501)을 나타내는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체 문건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전체영역(501)이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영역(501)은 인쇄영역이 모두 포함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체영역(501)이 반드시 장방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텍스트 위주로 구성된 문건에서는 전체영역(501)이 장방형으로 형성되지만, 그래픽이 주를 이루는 문건에서는 전체영역(501)이 원형 또는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서라도, 전체영역(501)은 균등하게 분할 가능한 도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토대로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 및 그 전체영역 내에 개개의 기본분할영역이 형성된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코드삽입영역 분할부(307)가 전체영역(501)을 기본분할영역(502)으로 분할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코드삽입영역 분할부(307)는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전체영역(501)을 인식하고, 전체영역(501)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기본분할영역(502)으로 분할한다.
도 5에서는 전체영역(501)이 2ㅧ4의 매트릭스 형태를 갖는 총 8개의 기본분할영역(502)으로 분할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기본분할영역의 수는 증감될 수 있다.
8개의 기본분할영역(502) 중 하나의 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할 경우, 8개의 서로 다른 정보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영역 '0' 내의 임의의 위치에 식별 가능한 마크를 인쇄하는 것과, 영역 '1' 내의 임의의 위치에 식별 가능한 마크를 인쇄하는 것은, 서로 다른 문건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즉, 8개의 기본분할영역(502) 중 어느 하나의 기본분할영역(502)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이 8명인 소그룹에서 문건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을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예시와 달리, 8개의 기본분할영역(502) 중 두 개의 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할 경우, 등차수열의 공식에 의해 총 28개의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8개의 기본분할영역(502) 중 세 개의 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할 경우, 총56개의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더 많은 서로 구별되는 식별정보를 나타내기 위해서 기본분할영역(502)을 더 많은 수량으로 분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조직 내 구성원이 매우 많은 경우이거나 문건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경우의 수가 매우 많은 경우, 그에 따라 기본분할영역(502)의 수를 늘리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단말식별자, 구성원식별자, 및 문건식별자가 조합된 다중식별자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기본분할영역(502)의 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은 기본분할영역(502) 각각을 세부분할영역(503)으로 재차 분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은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토대로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 그 전체영역 내에 형성된 개개의 기본분할영역, 및 각 기본분할영역마다 세분화된 세부분할영역이 형성된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코드삽입영역 분할부(307)는 기본분할영역(502) 각각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세부분할영역(503)으로 재차 분할한다.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세부분할영역(503)은 각각의 기본분할영역(502) 내에서 4ㅧ2의 매트릭스 형태를 갖는 총 8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기본분할영역(502) 각각에 대하여 세부분할영역(503) 중 어느 하나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할 경우, 8의 8제곱에 해당하는 16,777,216개의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기본분할영역(502) 각각에 대하여 2개의 세부분할영역(503)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할 경우, 28의 8제곱에 해당하는 수량(대략 3천7백8십억 개)의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더욱 많은 수량의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도 7은 문건에 표현된 기본분할영역 및 세부분할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의 일시예인 '25163047'이 삽입된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코드삽입부(308)에 의해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가 삽입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코드삽입부(308)는 기본분할영역(5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삽입할 수 있다. 또는, 코드삽입부(308)는 기본분할영역(502) 중 복수의 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삽입할 수도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분할영역(502)를 재차 분할하는 세부분할영역(503)을 이용할 경우 더욱 많은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세부분할영역(503)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삽입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며, 각각의 기본분할영역(502)에 대하여 세부분할영역(503)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삽입하는 과정, 즉, 8의 8제곱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문건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예시하여 설명하지는 않겠지만 각각의 기본분할영역(502)에 대하여 복수의 세부분할영역(503)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삽입하여 더 많은 수의 서로 다른 식별정보를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303)에서 생성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가 '25163047'이라고 가정해 보자. 이 여덟자리의 식별코드는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덟자리의 일련번호는 구성원이 속한 회사의 명칭, 지점의 위치, 소속 부서, 부서 내 사원 고유번호를 각각 2자리의 숫자로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앞의 네 자리는 구성원 정보를 나타내며, 뒤의 네 자리는 문건 정보를 나타내는 다중식별자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 '25163047'의 첫 번째 자릿수에 대응하여 기본분할영역(502)의 영역 '0'(도 5 참조)을 세분화 한 세부분할영역(503) 중 세 번째 영역 '2'(도 6 참조)에 점을 찍는 것으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의 첫 번째 자릿수 '2'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두 번째 자릿수에 대응하여 기본분할영역(502)의 영역 '1' 내에서 세부분할영역(503) 중 두 번째 영역 '1'에 점을 직는 것으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의 두 번째 자릿수 '1'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309)는 코드삽입부(308)에 의해 삽입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 '25163047'에 대응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세부분할영역(503)의 위치에 점을 찍거나 상술한 바와 같은 도형 또는 안개 형상을 인쇄함으로써, 추후 당해 문건을 스캔하여 인식할 때 지정된 위치의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인식하여 해당 문건의 출처가 누구인지, 어디인지, 언제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코드삽입부(308)가 기본분할영역(502) 또는 세부분할영역(503)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삽입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텍스트의 폭보다 크게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인쇄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은 인쇄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와 인쇄영역이 중첩에 따르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첫 번째 방법은 회피 마킹이며, 두 번째 방법은 고립 마킹이며, 세 번째 방법은 반전 대비 마킹이다. 각각의 방법에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의 위치 이동 범위를 최소화 하거나, 주변을 지우는 범위를 최소화 하거나, 반전 범위를 최소화 함으로써, 그러한 회피, 고립, 반전 마킹이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으면서 이미지 인식으로는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각각의 마킹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될 때 인쇄영역과의 중첩 위치를 회피하여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위치 이동시켜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코드삽입부(308)는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기본분할영역(502) 또는 세부분할영역(503) 내에서 인쇄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 이동시켜 삽입한다. 예를 들어, 세부분할영격(503) 내에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가 인쇄되는 위치가 정중앙에 해당되는데, 해당 위치에 텍스트 '가'의 위치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해당 세부분할영역(503) 내에서 위치 이동시켜 도 8에서와 인쇄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여백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문건의 인쇄물을 스캔하여 인식하고자 할 때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될 때 인쇄영역과의 중첩 부분에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의 주변을 지워 인쇄영역으로부터 고립시켜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코드삽입부(308)는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의 주변을 지워 인쇄영역으로부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고립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가'가 인쇄될 때 인쇄영역 내에서 고립된 섬 형태의 점으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나타냄으로써, 문건의 인쇄물을 스캔하여 인식하고자 할 때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될 때 인쇄영역과의 중첩 부분에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반전시켜 인쇄영역과 대비되도록 삽입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코드삽입부(308)는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반전시켜 인쇄영역과 대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가 반전되는 범위는 인쇄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국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0에서와 같이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가 인쇄됨으로써, 문건의 인쇄물을 스캔하여 인식하고자 할 때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304)에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생성하는 것으로 단계가 시작된다(S100).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의 생성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정부(301)에 의해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단말의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를 인식하거나, 응용프로그램(400)과 연계되어 인쇄 명령을 내린 사용자 또는 인쇄 명령을 요청한 네트워크 접속자, 문건과 관련된 정보 등을 인식하여 식별정보를 설정하고, 입력부(302)에서 인쇄될 문건 데이터를 후킹하여 입력받고, 문건출력자용 식별자 생성부(303)에서 설정부(301)의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단말식별자, 구성원식별자, 문건식별자, 및 다중식별자를 생성하고,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304)에서 위 과정에 의해 생성된 식별자를 연산하여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이후, 코드삽입영역 인식부(306)에서,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501)인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생성(S200)한다.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다.
다음으로, 코드삽입영역 분할부(307)에서,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전체영역(501)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기본분할영역(502)으로 분할한다(S300). 기본분할영역(502)의 분할 과정에 대하여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다. 물론, 코드삽입영역을 분할하는 단계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는 바와 같이 기본분할영역(502)을 세부분할영역(503)으로 재차 분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코드삽입부(308)에서, 기본분할영역(5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또는, 기본분할영역(502) 중 복수의 영역에, 또는, 기본분할영역(502) 각각에 대하여 세부분할영역(5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 또는, 기본분할영역(502) 각각에 대하여 세부분할영역(503) 중 복수의 영역에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삽입한다(S400).
마지막으로, 출력부(309)에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된 문건에 대하여 프린터(200)에 출력 명령을 전달한다(S500).
여기서, 코드삽입부(308)에 의해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삽입하는 과정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가 삽입될 때 인쇄영역과 중첩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410)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중첩된다면,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예시한 바와 같이, 인쇄영역을 회피하여 여백에 마킹하는 방법(S420)과,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의 주변을 지워 인쇄영역으로부터 고립시켜 마킹하는 방법(S430)과,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600)를 반전시켜 인쇄영역과 대비하여 표시하는 마킹 방법(S440)으로 진행될 수 있다. 각 단계에서의 여백 표시에 의한 회피 마킹, 주변 지움에 의한 고립 마킹, 반전 표시에 의한 대비 마킹에 대하여는 도 8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구성원단말 200 : 프린터
300 :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삽입장치
301 : 설정부 302 : 입력부
303 : 문건출력자용 식별자 생성부
304 :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
305 : 메모리부 306 : 코드삽입영역 인식부
307 : 코드삽입영역 분할부 308 : 코드삽입부
309 : 출력부 310 : 제어부
400 : 응용프로그램 501 : 전체영역
502 : 기본분할영역 503 : 세부분할영역
600 :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Claims (18)

  1.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의 식별자인 단말식별자,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에 로그인 한 문건인쇄 요청자의 식별자인 구성원식별자, 및 인쇄를 요청한 문건을 식별하기 위한 문건식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중식별자를 연산하여 획득한 정보로부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인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코드삽입영역 인식부;
    상기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체영역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기본분할영역으로 분할하는 코드삽입영역 분할부;
    상기 기본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코드삽입부; 및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된 문건에 대하여 프린터에 출력 명령을 전달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중 복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삽입영역 분할부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세부분할영역으로 재차 분할하며,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에 대하여 상기 세부분할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의 세부분할영역 중 복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건식별자는 문건에 부여된 문건 고유번호, 문건을 작성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호스트를 나타내는 식별정보, 및 문건의 출력시간 중 어느 하나인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상기 기본분할영역 또는 상기 세부분할영역 내에서 상기 인쇄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 이동시켜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의 주변을 지워 상기 인쇄영역으로부터 고립시켜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삽입부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반전시켜 상기 인쇄영역과 대비되도록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인쇄되는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도형이거나 여러 점들이 랜덤하게 집합되는 안개 형상을 갖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10. 인쇄를 요청한 문건에 식별자를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에 있어서,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 생성부에서,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의 식별자인 단말식별자, 문건의 인쇄를 요청한 구성원단말에 로그인 한 문건인쇄 요청자의 식별자인 구성원식별자, 및 인쇄를 요청한 문건을 식별하기 위한 문건식별자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다중식별자를 연산하여 획득한 정보로부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S100);
    코드삽입영역 인식부에서, 문건에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시된 부분을 인지하고, 그 인지된 부분을 나타내는 전체영역인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00);
    코드삽입영역 분할부에서, 상기 코드삽입영역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전체영역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기본분할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S300);
    코드삽입부에서, 상기 기본분할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단계(S400); 및
    출력부에서,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된 문건에 대하여 프린터에 출력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S500)
    를 포함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00)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중 복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0)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을 지정된 개수의 칸인 세부분할영역으로 재차 분할하며,
    상기 단계(S400)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에 대하여 상기 세부분할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00)는 상기 기본분할영역 각각의 세부분할영역 중 복수의 영역에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건식별자는 문건에 부여된 문건 고유번호, 문건을 작성한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된 호스트를 나타내는 식별정보, 및 문건의 출력시간 중 어느 하나인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00)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상기 기본분할영역 또는 상기 세부분할영역 내에서 상기 인쇄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 이동시켜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00)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의 주변을 지워 상기 인쇄영역으로부터 고립시켜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400)는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삽입되는 위치가 인쇄영역과 중첩되면, 해당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를 반전시켜 상기 인쇄영역과 대비되도록 삽입하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건출력자용 식별코드가 인쇄되는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도형이거나 여러 점들이 랜덤하게 집합되는 안개 형상을 갖는 문건 식별정보 삽입방법.
KR1020180013380A 2018-02-02 2018-02-02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 KR10198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380A KR101989170B1 (ko) 2018-02-02 2018-02-02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380A KR101989170B1 (ko) 2018-02-02 2018-02-02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170B1 true KR101989170B1 (ko) 2019-06-14

Family

ID=6684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380A KR101989170B1 (ko) 2018-02-02 2018-02-02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480B1 (ko) * 2023-01-30 2023-08-02 주식회사 엘아이텍 패턴 기반 은닉부호 삽입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933A (ko) * 2006-09-28 2008-04-0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워터마크 매립 장치 및 검출 장치
KR100988309B1 (ko) 2008-12-11 2010-10-29 주식회사 엘아이텍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 및 그의 해독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933A (ko) * 2006-09-28 2008-04-0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워터마크 매립 장치 및 검출 장치
KR100988309B1 (ko) 2008-12-11 2010-10-29 주식회사 엘아이텍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 및 그의 해독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480B1 (ko) * 2023-01-30 2023-08-02 주식회사 엘아이텍 패턴 기반 은닉부호 삽입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142A (en) Method of editing and circulating an electronic draft document amongst reviewing persons at remote terminals attached to a local area network
US587819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emory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4329750B2 (ja) 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4194462B2 (ja) 電子透かし埋め込み方法、電子透かし埋め込み装置、及びそれら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104966311A (zh) 一种用于手写签批系统的矢量图型存储方法
JP2004246433A (ja) データ入力システム
KR101989170B1 (ko) 문건 식별정보 삽입장치 및 방법
US8238599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identifying a selected one or more embedding methods used for embedding target information
CN103714355A (zh) 图像处理设备及方法
WO2020237881A1 (zh) 加注防伪信息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TW402706B (en) Three-dimensional image creation devices
JP200531820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検証装置
JP5159345B2 (ja) 埋め込み方式のコードを扱う装置、方法、プログラム
US560662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bit-mapped patterns of print characters
KR100988309B1 (ko) 문서식별자의 삽입방법 및 그의 해독방법
KR102562480B1 (ko) 패턴 기반 은닉부호 삽입장치 및 방법
US5878194A (en)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multicolor document
CN110991590A (zh) 一种图像数据处理方法及其所得像素图像与应用系统
JP6634809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H0296276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JP3118310B2 (ja) ページプリンタの印字処理方法
JP2012008799A (ja) 電子文書作成装置、電子文書作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550562B2 (ja) 文字表示装置
JP2007102265A (ja) 身分証認識装置及び身分証認識方法
US20020001103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rranging an electronic doc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