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993B1 - 헤드폰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993B1
KR101988993B1 KR1020180056963A KR20180056963A KR101988993B1 KR 101988993 B1 KR101988993 B1 KR 101988993B1 KR 1020180056963 A KR1020180056963 A KR 1020180056963A KR 20180056963 A KR20180056963 A KR 20180056963A KR 101988993 B1 KR101988993 B1 KR 10198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sound
diffusion
protrusion
diffu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철
Original Assignee
삼본정밀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본정밀전자(주) filed Critical 삼본정밀전자(주)
Priority to KR102018005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Abstract

이어패드를 갖는 헤드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헤드폰 장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 유닛, 귀 또는 귀 주변부에 맞닿아 상기 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내측면으로 형성된 내측공간을 통해 상기 귀로 상기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패드 및 상기 돌출부의 외피에 형성되고, 상기 소리의 반사 또는 확산을 증가시키는 확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외피로 향하는 소리 성분 중 상기 확산 부재에 대응하는 일부의 반사 또는 확산을 보다 증가시키고,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외피와 다른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폰 장치{HEADPHONE DEVICE}
본원은 헤드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래 오디오의 청취에 있어서 좋은 음질의 조건이라 함은 음악감상 환경에 대한 조정이 필수적이다. 그에 따라 오디오 애호가들에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는 룸 튜닝(room tuning)의 방법은 반사와 확산에 있다.
룸 튜닝의 필수 액세서리로 반사판(reflecter)과 확산재(diffuser)가 있으며, 이러한 엑세서리의 사용으로 음질을 최적으로 조정하여 음악 감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헤드폰의 경우, 룸은 이어패드의 내측공간으로부터 외이도까지의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어패드의 내측공간부터 외이도 사이의 공간에서 음 조정을 할 수 있는 반사판 또는 확산재에 대해 마련된 바가 없으므로, 헤드폰을 통해 청취할 수 있는 음질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1657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폰의 스피커에서 발생된 소리 성분이 귀로 전달되도록 반사 및 확산을 증가시키는 헤드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패드를 갖는 헤드폰 장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 유닛, 귀 또는 귀 주변부에 맞닿아 상기 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내측면으로 형성된 내측공간을 통해 상기 귀로 상기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패드 및 상기 돌출부의 외피에 형성되고, 상기 소리의 반사 또는 확산을 증가시키는 확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외피로 향하는 소리 성분 중 상기 확산 부재에 대응하는 일부의 반사 또는 확산을 보다 증가시키고,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외피와 다른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충진 부재 및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외피의 일 영역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산 부재는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산 부재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피는, 상기 확산 부재의 수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홀에 대응하여 상기 외피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확산 부재는, 목재, 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타늄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패드는 귀 또는 귀 주변부에 맞닿아 상기 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내측면으로 형성된 내측공간을 통해 상기 귀로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패드 및 상기 돌출부의 외피에 형성되고, 상기 소리의 반사 또는 확산을 증가시키는 확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헤드폰의 이어패드와 다른 재질로 구비되는 확산 부재를 통해 헤드폰의 스피커에서 발생된 소리 성분이 귀로 전달되도록 반사 및 확산을 증가시키는 헤드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이어패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확산 부재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확산 부재가 구비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 종래의 헤드폰의 중, 고역 주파수 반사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헤드폰 장치(100)는, 스피커 유닛(110), 이어패드(120) 및 확산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10)은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피커 유닛(110)은 헤드폰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귀(10)를 향해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피커 유닛(110)에서 발생된 소리는 스피커 유닛(110)과 귀(10)사이의 공간에서 전방향(omnidirectional)으로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어패드(110)는 귀(10) 또는 귀(10) 주변부에 맞닿아 귀(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도록 하는 돌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와 내측면으로 형성된 내측공간을 통해 귀(10)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이어패드(110)는 귀(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링 형상에 의한 이어패드(110) 내측공간에는 사용자의 귀(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측공간이란, 링 형상의 이어패드(110) 내측 공간 즉, 귀(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위치하는 공간일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과 귀(10) 사이의 공간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이어패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돌출부(121)는 외피(122) 및 충진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충진부재(123)는 헤드폰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귀(10)에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우레탄 폼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피(122)는 충진부재(123)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천연가죽, 인조가죽 등의 가죽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10)에서 발생된 소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향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귀(10)를 향하지 않는 소리는 외피(122)에 도달하여 난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난반사된 소리 중 일부는 귀(10)를 향할 수 있고, 귀(10)를 향하지 않는 방향으로도 반사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귀(10)를 향하지 않는 반사된 소리에 의해 전체 소리 중 일부의 소리가 손실될 수 있다. 확산 부재(130)는 돌출부(121)의 외피(122)에 형성되고 소리의 반사 또는 확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확산 부재(130)는 스피커 유닛(110)에서 발생된 소리를 귀(10)쪽으로 반사 또는 확산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확산 부재(130)는 외피(122)의 일 영역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1)의 단면으로 예를 들면, 확산 부재(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을 참조하면, 확산 부재(130)는 외피(122)로 향하는 소리 성분 중 확산 부재(130)에 대응하는 일부의 소리 반사 또는 확산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스피커 유닛(110)으로부터 전방향으로 발생된 소리 성분 중 일부는 확산 부재(130)에 도달할 수 있다. 확산 부재(130)는 확산 부재(130)에 대응하는 소리의 음향각도가 귀(10)를 향하도록 소리를 반사시킬 수 있다. 즉, 확산 부재(130)는 전방향으로 발생된 소리 중 귀(10)를 향하지 않는 소리를 의도적으로 귀(10)쪽으로 반사 또는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확산 부재(130)가 마련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외피에 의한 난반사에 의해 일부 귀(10)쪽으로 반사된 소리보다 풍부한 소리를 반사 또는 확산 시킬 수 있으며, 귀(10)를 향하지 않는 소리 성분을 귀쪽으로 응집시킴으로써, 소리의 손실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헤드폰 장치(100)는 실제의 소리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음악공연장, 자연상태의 음향성분은 반사, 확산이 크게 나타난다. 이에 도1을 참조하면, 확산 부재(130)는 외피(122)로 향하는 소리 성분 중 확산 부재(130)에 대응하는 일부의 소리 반사 또는 확산을 보다 증가시킴으로써 귀 내부의 음향상태를 실제 공연장의 음향상태를 구현해 낼 수 있다.
확산 부재(130)는 외피(122)와 다른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확산 부재(130)는 링 형상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확산 부재(130)는 목재, 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타늄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외피(122)는 확산 부재(130)의 수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개의 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확산 부재(130)는 홀(124)에 대응하여 외피(122)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외피(122)의 내측면은 충진부재(123)와 접하는 외피(122)의 내면을 의미한다. 상기 홀(124)은 돌출부(121)의 일 영역 중 스피커 유닛(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 부재(130)는 홀(124)의 내측에 배치되어 이어패드(12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확산 부재(130)는 외피(122)에 부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확산 부재(130)가 외피(122)에 부착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외피(122)에 홀(124)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확산 부재(130)가 부착형으로 마련됨에 따라, 종래의 일반적인 헤드폰 장치에도 확산 부재(130)가 적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확산 부재가 구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확산 부재(130)는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확산 부재(130)는 돌출부(121)의 내측 즉, 스피커 유닛(11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내측 전체에 걸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귀(10)가 아닌 돌출부(121)로 향하는 소리 성분의 대부분을 귀(10)를 향해 반사 또는 확산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의 확산 부재가 구비된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확산 부재(130)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확산 부재(130)는 외피(122)가 귀둘레에 접촉되는 부분 및 귀구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돌출부(1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확산 부재(130)는 도 4를 기준으로 9시 방향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3시 방향에도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확산 부재(130)는 도 3 및 도 4의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확산 부재(130)는 외피(122)의 접촉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개인별로 귀(10)에 최적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 장치 종래의 헤드폰의 중, 고역 주파수 반사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종래의 헤드폰의 중, 고역 주파수 반사음을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헤드폰 장치(100)의 중, 고역 주파수 반사음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헤드폰 장치(100)의 누적감쇠가 종래의 헤드폰에 비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헤드폰 장치
110: 스피커 유닛
120: 이어패드
121: 돌출부
122: 외피
123: 충진 부재
124: 홀
130: 확산 부재

Claims (7)

  1. 이어패드를 갖는 헤드폰 장치에 있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 유닛;
    귀 또는 귀 주변부에 맞닿아 상기 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고, 충진 부재 및 외피를 포함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내측면으로 형성된 내측공간을 통해 상기 귀로 상기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패드; 및
    상기 돌출부의 외피의 일 영역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소리의 반사 또는 확산을 증가시키는 확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부재는, 귀를 향하지 않고, 상기 외피로 향하는 소리 성분 중 상기 확산 부재에 대응하는 일부의 반사 또는 확산을 보다 증가시키고,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외피와 다른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확산 부재에 대응하는 소리의 음향각도가 귀를 향하도록 상기 소리를 반사시키며, 상기 외피가 귀둘레에 접촉되는 부분 및 귀구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인, 헤드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부재는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인, 헤드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부재는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인, 헤드폰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부재는,
    목재, 마그네슘 알루미늄, 티타늄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헤드폰 장치.
  7. 이어패드에 있어서,
    귀 또는 귀 주변부에 맞닿아 상기 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고, 충진 부재 및 외피를 포함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내측면으로 형성된 내측공간을 통해 상기 귀로 스피커 유닛에서 발생한 소리를 전달하는 이어패드; 및
    상기 돌출부의 외피의 일 영역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소리의 반사 또는 확산을 증가시키는 확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외피로 향하는 소리 성분 중 상기 확산 부재에 대응하는 일부의 반사 또는 확산을 보다 증가시키고,
    상기 확산 부재는 상기 외피와 다른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확산 부재에 대응하는 소리의 음향각도가 귀를 향하도록 상기 소리를 반사시키며, 상기 외피가 귀둘레에 접촉되는 부분 및 귀구슬에 접촉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인, 이어패드.
KR1020180056963A 2018-05-18 2018-05-18 헤드폰 장치 KR10198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963A KR101988993B1 (ko) 2018-05-18 2018-05-18 헤드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963A KR101988993B1 (ko) 2018-05-18 2018-05-18 헤드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993B1 true KR101988993B1 (ko) 2019-06-13

Family

ID=6684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963A KR101988993B1 (ko) 2018-05-18 2018-05-18 헤드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9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170A (ko) * 2014-09-29 2015-08-20 바쉔(주) 이어폰 전자 기기
JP2017103604A (ja) * 2015-12-01 2017-06-08 勇 小泉 前方定位可能な受話器及び受話器の前方定位支援装着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5170A (ko) * 2014-09-29 2015-08-20 바쉔(주) 이어폰 전자 기기
JP2017103604A (ja) * 2015-12-01 2017-06-08 勇 小泉 前方定位可能な受話器及び受話器の前方定位支援装着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5897B2 (en)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3D audio generation
US9848257B2 (en) In-ear hearing device and broadcast streaming system
US3488457A (en) Earphone housing with offset opening for sound quality variation
JP5363825B2 (ja) 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ホン
WO2016092817A1 (ja) ヘッドフォン
EP2611210A1 (en) Ear speaker
JP7266872B2 (ja) ヘッドホンとイヤーマフ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CN111630874A (zh) 耳塞及使用耳塞的耳机
KR102476464B1 (ko) 헤드폰 음향 변성기
US9913020B2 (en) Noise-cancelling headphone
KR101988993B1 (ko) 헤드폰 장치
JP2013021591A (ja) イヤホン
JP2018137682A (ja) ダミーヘッド及び耳栓
JP2021516900A (ja) インナーイヤースピーカーとオーバーイヤースピーカーとを有するヘッドフォンスピーカーシステム
JP2019165420A (ja) ヘッドホン
JP2008141690A (ja) 電気音響変換器及びイヤースピーカ装置
US10645487B2 (en) Vertically configured parametric transducer headphones
KR101123864B1 (ko) 보빈에 의해 지지되는 압전소자 타입의 골전도 이어폰
US20220159381A1 (en) Over-ear headphones having speaker units equipped with surround sound members
KR100496907B1 (ko) 후방음 감소형 헤드폰
JP3197746U (ja) カナル型イヤホン
KR101123867B1 (ko) 서라운드에 의해 지지되는 압전소자 타입의 골전도 이어폰
TWM632340U (zh) 耳機
JP2020162107A (ja) イヤーピ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イヤ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