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969B1 -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969B1
KR101988969B1 KR1020180159048A KR20180159048A KR101988969B1 KR 101988969 B1 KR101988969 B1 KR 101988969B1 KR 1020180159048 A KR1020180159048 A KR 1020180159048A KR 20180159048 A KR20180159048 A KR 20180159048A KR 101988969 B1 KR101988969 B1 KR 101988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rage container
closing member
seat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훈
Original Assignee
손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훈 filed Critical 손영훈
Priority to KR102018015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28Groov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36Production of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보관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는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 가능하고,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보관용기, 상기 보관용기의 개방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일 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식품보관용기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상기 식품보관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웨이밸브 및 상기 원웨이밸브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보관용기와 접촉되면서 결합 가능한 제1결합부,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함입되고 상기 원웨이밸브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1안착홈, 상기 몸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개방부와 상기 제1안착홈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 및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커버와 접촉되면서 결합 가능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원웨이밸브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천공되고 상기 제1연통홀과 연통되는 제2연통홀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동시에 밸브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밸브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CONTAINER HAVING PRESSURE ADJUSTMENT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품보관용기 내부에 커피 원두 등의 식품을 보관하는 경우 발생되는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나 수분이 식품보관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관용기에 수용되는 식품은 신선도를 유지하고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와의 공기 접촉을 차단하여야 한다.
특히, 식품 중 커피는 생두 안에 있는 단백질로 인하여 로스팅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생성하고,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는 원두 안에 존재하게 된다.
로스팅 된 커피는 보관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원두 안에 함유된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게 되는데, 밀폐된 용기 내부에 커피를 보관하는 경우 빠져나온 이산화탄소로 인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용기가 강제로 개방된다. 그러므로 인하여 산소가 유입되어 커피원두 또는 식품 등이 산패 되거나 품질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99033호에서는 원두커피용 포장용기의 일측 면에 원웨이밸브를 장착하여 포장용기의 내부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구조는 포장용기에 원웨이밸브가 고정되어 밸브의 착탈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적층 시 밸브가 결합된 위치가 다른 포장용기에 눌려 원활한 공기 배출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커피 성분의 화학작용에 따라 장기간 포장용기의 사용하거나 재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량의 식품을 하나의 포장용기에 수용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1회에 사용되는 식품을 일일이 저울로 계량하여야 하며, 다량의 식품 중 일부를 포장용기에서 꺼내는 과정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어 식품 보관에 불편한 점이 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99033 (문헌 0002)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1-0106016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사용과 재사용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로서, 밸브의 착탈이 용이한 동시에 밸브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는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 가능하고,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보관용기, 보관용기의 개방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개폐부재, 개폐부재의 일 면에 안착되면서 식품보관용기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식품보관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웨이밸브 및 원웨이밸브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개폐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커버를 포함하고, 개폐부재는, 몸체, 몸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보관용기와 접촉되면서 결합 가능한 제1결합부, 몸체의 내측으로 함입되고 원웨이밸브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1안착홈, 몸체를 관통하면서 개방부와 제1안착홈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 및 몸체의 둘레를 따라 결합커버와 접촉되면서 결합 가능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결합커버는, 원웨이밸브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천공되고 제1연통홀과 연통되는 제2연통홀을 포함한다.
또한, 제1결합부는, 탄성 소재로 형성된 실리콘오링 및 실리콘오링이 삽입 가능하도록 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링고정홈;을 포함하고, 개폐부재는 개방부의 내측과 접촉되도록 실리콘오링이 끼워지면서 개방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원웨이밸브는, 상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날개를 포함하고, 몸체의 상부에 안착날개의 하면이 맞닿으면서 제1안착홈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안착되고, 결합커버의 내면에 안착날개의 상면이 맞닿으면서 고정되될 수 있다.
또한, 결합커버는, 내면에 안착날개의 상면이 삽입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함입된 제2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결합커버는, 내면에 안착날개의 상면이 삽입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함입된 제2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를 제조하는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은 설정된 형상을 갖도록 개폐부재와 결합커버를 가공하는 가공단계 및 가공단계에서 가공된 개폐부재의 몸체 상면에 원웨이밸브를 안착시키고, 개폐부재와 결합커버 및 보관용기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를 포함하고, 결합단계는, 원웨이밸브에 구비된 안착날개의 하면이 개폐부재와 접촉되고 안착날개의 상면이 결합커버와 접촉되도록 결합하며, 개폐부재와 결합커버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안착날개의 상면과 하면이 가압되면서 안착날개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가공단계는, 개폐부재를 가공하는 개폐부재형성공정, 결합커버를 가공하는 결합커버형성공정 및 개폐부재형성단계에서 가공된 개폐부재와 결합커버형성단계에서 가공된 결합커버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시키는 표면처리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형성공정은, 밀링머신(milling machine)을 통하여 개폐부재의 몸체 상면에 제1안착홈을 형성하고, 개폐부재의 몸체 외측 둘레에 제2결합부를 형성하고, 몸체 하부 둘레에 제1결합부를 형성하고, 결합커버형성공정은, 밀링머신(milling machine)을 통하여 결합커버의 내측 둘레에 제2결합부와 체결 가능한 제3결합부를 형성하고, 결합커버의 내측 상면에 제2안착홈을 형성하고, 표면처리공정은, 개폐부재와 결합커버의 표면을 샌딩한 후 표면에 아노다이징(anodizing)을 통해 산화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합단계는, 원웨이밸브의 하단 면이 개폐부재에 구비된 제1안착홈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를 손쉽게 착탈할 수 있어 원웨이밸브의 교체나 관리가 용이하며, 장시간 사용 및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원웨이밸브를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며 밸브의 유동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보관용기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보관용기에 수용되는 식품의 양을 조절하여 1회에 사용되는 식품의 양을 미리 계량하여 보관할 수 있어 식품의 신선도를 보장할 수 있으며, 사용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개폐부재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커버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공기이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10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100)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는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 가능하고, 일측에 개방부(110)를 갖는 보관용기(100), 상기 보관용기(100)의 개방부(110)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개폐부재(200), 상기 개폐부재(200)의 일 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보관용기(100)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상기 보관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웨이밸브(400) 및 상기 원웨이밸브(400)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재(200)에 결합 가능한 결합커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용기(100)는 소재에 제한은 없으나 일정 강도를 가지며 투명성이 보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보관용기(100)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개방부(110)가 구비되며, 상기 개방부(110) 이외에는 폐쇄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관용기(100)는 내부에 수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나,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보관용기(100)는 원통 형상으로 상부에 개방부(110)가 구비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보관용기(100)는 설정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는데, 내부에 로스팅된 커피를 상기 보관용기(100)에 보관하는 경우로 가정하면, 상기 보관용기(100)에는 일정량의 커피가 보관되며 상기 일정량은 커피 한잔을 제조하기 위한 일회 정량일 수 있다. 상기 일정량이 수용되는 보관용기(100)는 지퍼백 등에 다수의 커피원두를 보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커피 한잔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나의 보관용기(100)에 보관된 커피를 사용하므로 커피가 보관될 때부터 사용될 때까지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정량을 미리 계량하여 보관용기(100)에 보관시킬 수 있어 커피 한잔을 제조할 때 비로소 계량하는 종래 기술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인 커피보관용기를 복수 개 병렬로 배치하여두고 사용하는 경우 상기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원웨이밸브(400)는 일방향성을 갖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측 면에 유입구(420)가 구비되고 타측 면에 배출구(430)가 구비되며, 내부에 유동 가능한 차단막(440)과 상기 차단막(440)의 유동 범위를 제어하는 제어구(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구(450)는 차단막(440)의 일 면에 접촉 및 고정되는데, 상기 차단막(440)은 유입구(420)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유동되어 상기 유입구(420)와 배출구(430)를 연통시키며, 배출구(430)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는 유동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위와 같은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므로, 상기 원웨이밸브(400)는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 및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웨이밸브(400)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외측 둘레를 따라 안착날개(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날개(410)는 설정된 두께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개폐부재(200)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폐부재(200)는 상기 보관용기(100)의 개폐부에 결합 가능하며, 상기 개방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개폐부재(200)가 상기 개방부(110)에 결합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개폐부재(200)의 외측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개폐부재(200)와 보관용기(100)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계폐부재는, 몸체(210), 상기 몸체(2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보관용기(100)와 접촉되면서 결합 가능한 제1결합부(220), 상기 몸체(210)의 내측으로 함입되고 상기 원웨이밸브(400)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1안착홈(240), 상기 몸체(210)를 관통하면서 상기 개방부(110)와 상기 제1안착홈(240)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250) 및 상기 몸체(210)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커버(300)와 접촉되면서 결합 가능한 제2결합부(230)를 포함한다.
몸체(210)는 개폐부재(200)의 외골격을 이루며 제1결합부(220), 제1안착홈(240), 제1연통홀(250), 제2결합부(230) 등을 지지한다. 상기 몸체(210)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제1결합부(220)는 상기 몸체(210)에 구비되어 보관용기(100)의 개방부(110)를 폐쇄시키면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결합부(220)는 몸체(210)의 하부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220)가 상기 개방부(110)의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개폐부재(200)와 보관용기(100)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결합부(220)는 상기 몸체(210)의 하부에서 내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220)에 상기 개방부(110) 외측이 끼워지면서 개폐부재(200)와 보관용기(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210)의 하부 단면적은 상기 개방부(110)의 내부 단면적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220)에는 암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개방부(110)에는 상기 암나사산과 체결 가능한 수나사산이 구비되어 제1결합부(220)와 개방부(110)의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체결됨에 따라 개폐부재(200)와 보관용기(10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부(220)는, 탄성 소재로 형성된 실리콘오링(221) 및 상기 실리콘오링(221)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2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링고정홈(2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200)는 상기 개방부(110)의 내측과 접촉되도록 상기 실리콘오링(221)이 끼워지면서 상기 개방부(110)를 밀폐시킨다. 상기 실리콘오링(221)은 실리콘이나 기타 합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관용기(100)에 식품이 보관되는 점을 고려하여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오링(221)은 상기 개방부(110) 둘레에 접촉되면서 상기 개폐부재(200)와 보관용기(100)를 결합시키며,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외부 공기나 수분이 상기 보관용기(100) 내부로 유입되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링고정홈(222)은 상기 실리콘오링(221)이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함입되며, 상기 실리콘오링(2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일정 곡률을 가진다. 상기 실리콘오링(221)과 보관용기(100)의 마찰력 및 실리콘오링(221)의 탄성을 고려하여, 상기 링고정홈(222)은 설정된 함입 깊이를 가질 수 있다.
제2결합부(230)는 몸체(210)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커버(300)와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결합부(230)는 상기 몸체(2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나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2결합부(230)는 상기 결합커버(300)의 내측에 끼워지거나 상기 결합커버(300)의 외측을 감싸는 탄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리콘오링(221)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230)를 통한 개폐부재(200)와 결합커버(300)의 결합력은 상기 제1결합부(220)를 통한 개폐부재(200)와 보관용기(100)의 결합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안착홈(240)은 상기 몸체(210)의 상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함입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안착홈(240)의 내부로 상기 원웨이밸브(400)가 일정 부분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웨이밸브(400)가 몸체(210)의 상면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안착홈(240)의 내부로 상기 원웨이밸브(400)의 하부가 삽입되며, 제1안착홈(240)의 내측 저면으로부터 상기 원웨이밸브(400)가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몸체(210)의 상면에는 상기 제1안착홈(240)과 동심을 갖고 상기 안착날개(410)가 안착되며 상기 제1안착홈(240)보다 함입 깊이가 작은 하부고정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고정홈의 내측 둘레는 상기 안착날개(410)의 외측 둘레와 같거나 약간 크도록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원웨이밸브(400)의 안착날개(410) 저면이 상기 몸체(210)의 상면에 거치되어 원웨이밸브(400)와 제1안착홈(240)의 내측 저면이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고정홈의 함입 깊이는 상기 안착날개(410)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1안착홈(240)과 하부고정홈은 원웨이밸브(400)의 유입구(420) 또는 배출구(430)가 개폐부재(200)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공기의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개폐부재(200)의 몸체(210) 상면에는 상기 안착날개(410)의 하면과 접촉 가능하면서 탄성을 갖는 제1밀착부재(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밀착부재(242)는 고무 등 신축성을 가지는 동시에 탄성을 가져 상기 안착날개(410)의 파손을 방지하고 안착날개(410)가 몸체(210)에 밀착하는 것을 보조한다.
제1밀착부재(242)는 상기 하부안착홈(241)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안착홈(241)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제1연통홀(250)은 상기 보관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원웨이밸브(400)로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2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안착홈(240)의 내측 저면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커버(300)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결합커버(300)는 상기 원웨이밸브(400)의 상부를 덮어 상기 원웨이밸브(400)를 보호하는 한편, 상기 개폐부재(200)와 결합하여 상기 원웨이밸브(400)를 고정시킨다. 상기 결합커버(300)는 저면이 상부로 함입된 제2안착홈(320)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안착홈(320)에 원웨이밸브(400)의 상부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안착홈(320)의 내부 상면과 원웨이밸브(400)의 상단이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2안착홈(320)은 설정된 함입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결합커버(300)에는 제2연통홀(330)이 구비되며, 상기 제2연통홀(330)은 결합커버(300)를 관통하도록 천공되어 제2안착홈(320)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커버(300)에는 제3결합부(310)가 구비되며, 상기 제3결합부(310)는 상기 개폐부재(200)의 제2결합부(23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결합부(230)가 나사산 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제3결합부(310)는 상기 제2결합부(230)와 대응되는 나사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사산 형상을 갖는 제3결합부(310)는 상기 결합커버(300)의 내측 둘레에 구비되거나 외측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결합부(310)는 상기 결합커버(300)와 개폐부재(200)가 밀폐되도록 결합시키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커버(300)의 제2안착홈(320)에는 상기 원웨이밸브(400)의 안착날개(410)와 접촉 가능하며 내측으로 함입된 상부안착홈(3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안착홈(321)은 상기 제2안착홈(320)의 내부 둘레를 따라 아랫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부안착홈(321)의 함입 깊이는 상기 원웨이밸브(400)의 안착날개(410)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커버(300)와 개폐부재(20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부안착홈(321)은 안착날개(410)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2결합부(230)와 제3결합부(310)의 결합 정도에 따라 개폐부재(200)의 하부안착홈(241)과 결합커버(300)의 상부안착홈(321)이 안착날개(410)의 하면과 상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안착날개(4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즉, 제2결합부(230)와 제3결합부(310)가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 형상을 가진 경우 상기 제2결합부(230)와 제3결합부(310)가 맞물린 상태로 잠그는 경우 상기 하부안착홈(241)과 상부안착홈(32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원웨이밸브(400)가 고정되고 다시 푸는 경우 상기 하부안착홈(241)과 상부안착홈(32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원웨이밸브(400)의 고정이 해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커버(300)의 제2안착홈(320) 내측에는 상기 안착날개(410)의 상면과 접촉 가능하면서 탄성을 갖는 제2밀착부재(32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밀착부재(322)는 상기 제1밀착부재(242)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밀착부재(322)는 상기 상부안착홈(321)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안착홈(321)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원웨이밸브(400)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구성의 단순화를 통해 누구나 쉽게 원웨이밸브(400)를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하부안착홈(241)과 상부안착홈(321)을 통해 가압되면서 고정되는 원웨이밸브(400)는 공기의 이동에 관계없이 고정될 수 있어 외부 공기의 차단과 내부 공기의 배출을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밀착부재(242)와 제2밀착부재(322)가 탄성변형되면서 안착날개(410)에 고른 압력을 전달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안착날개(410)가 하부고정홈 또는 상부고정홈에서 미끄러지는 등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의 공기이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부 공기의 이동 경로를 설명하면, 상기 제2결합부(230)와 제3결합부(3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원웨이밸브(400)는 유동이 차단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용기(100)의 내부 공기는 제1연통홀(250)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고 제1안착홈(240)과 원웨이밸브(400)를 거쳐 순차적으로 제2안착홈(320) 및 제2연통홀(3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공기는 제2연통홀(330), 제2안착홈(320) 및 원웨이밸브(40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원웨이밸브(400)는 일방향성을 가지므로 상기 보관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는 원웨이밸브(400)의 교체가 용이하며 원웨이밸브(40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200)와 결합커버(300)의 결합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결합 또는 결합 해제할 수 있어 사용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단계(S100)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은 설정된 형상을 갖도록 개폐부재(200)와 결합커버(300)를 가공하는 가공단계(S100) 및 상기 가공단계(S100)에서 가공된 개폐부재(200)의 몸체(210) 상면에 원웨이밸브(400)를 안착시키고, 상기 개폐부재(200)와 상기 결합커버(300) 및 보관용기(100)를 결합시키는 결합단계(S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인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에서 기재하는 구성의 명칭은 상술한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가공단계(S100)는, 개폐부재(200)를 가공하는 개폐부재형성공정(S110), 상기 결합커버(300)를 가공하는 결합커버형성공정(S120) 및 상기 개폐부재(200)형성단계에서 가공된 개폐부재(200)와 상기 결합커버(300)형성단계에서 가공된 결합커버(300)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시키는 표면처리공정(S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형성공정(S110)은, 밀링머신(milling machine)을 통하여 상기 개폐부재(200)의 몸체(210) 상면에 제1안착홈(240)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부재(200)의 몸체(210) 외측 둘레에 제2결합부(230)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210) 하부 둘레에 링고정홈(222)을 형성하는 공정을 의미하고, 상기 결합커버형성공정(S120)은, 밀링머신(milling machine)을 통하여 상기 결합커버(300)의 내측 둘레에 상기 제2결합부(230)와 체결 가능한 제3결합부(310)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커버(300)의 내측 상면에 제2안착홈(320)을 형성하는 공정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밀링머신을 통한 가공은 회전하는 커터(cutter)를 이용하여 개폐부재(200)와 결합커버(300)가 설정된 구조를 갖도록 절삭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상기 밀링머신은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밀링머신을 통한 가공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치를 제어하는 CNC밀링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형성공정(S110)과 상기 결합커버형성공정(S120)에서 제2결합부(230)와 제3결합부(310)가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 가능하도록 정밀한 수치 제어를 요한다.
또한, 개폐부재형성공정(S110)에서 개폐부재(200)의 제1안착홈(240)의 내부 저면으로부터 원웨이밸브(400)가 일정 높이로 이격되면서 개폐부재(200) 상면에 구비된 하부안착홈(241)에 안착날개(410) 하면이 접촉되고, 안착날개(410)의 상부 일부가 상기 개폐부재(200) 상단에서 일정 높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부안착홈(241)의 함입 깊이를 형성하여야 하며, 결합커버형성공정(S120)에서 결합커버(300)의 제2안착홈(320) 내부 상면에 원웨이밸브(400)가 접촉되지 않도록 제2안착홈(320)의 함입 깊이를 형성하고 결합커버(300)에 구비된 상부안착홈(321)에 안착날개(410)의 상면이 접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표면처리공정(S130)은, 상기 개폐부재(200)와 상기 결합커버(300)의 표면을 샌딩한 후 상기 표면에 아노다이징(anodizing)을 통해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샌딩은 상기 개폐부재(200)와 결합커버(300)의 표면을 사포 등으로 문질러 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작업으로, 수작업으로 진행하여도 무방하며 샌딩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아노다이징은 알루미늄 도장의 일종으로, 상기 개폐부재(200)와 결합커버(300)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여 산화를 방지하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결합단계(S200)는, 보관용기(100), 개폐부재(200), 원웨이밸브(400) 및 개폐커버를 설정된 구조에 맞추어 결합하는 단계로, 상기 원웨이밸브(400)에 구비된 안착날개(410)의 하면이 상기 개폐부재(200)와 접촉되고 상기 안착날개(410)의 상면이 상기 결합커버(300)와 접촉되도록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원웨이밸브(400)의 하단 면이 상기 개폐부재(200)에 구비된 제1안착홈(240)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개폐부재(200)와 결합커버(30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안착날개(410)의 상면과 하면이 가압되면서 상기 안착날개(4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정밀한 가공을 통하여 상기 원웨이밸브(400)의 폐쇄나 유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보관용기(100), 개폐부재(200), 원웨이밸브(400) 및 결합커버(300)의 결합을 누구나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보관용기
110 : 개방부
200 : 개폐부재
210 : 몸체 220 : 제1결합부
221 : 실리콘오링 222 : 링고정홈
230 : 제2결합부 240 : 제1안착홈
241 : 하부안착홈 242 : 제1밀착부재
250 : 제1연통홀
300 : 결합커버
310 : 제3결합부 320 : 제2안착홈
321 : 상부안착홈 322 : 제2밀착부재
330 : 제2연통홀
400 : 원웨이밸브 410 : 안착날개
S100 : 가공단계 S110 : 개폐부재형성공정
S120 : 결합커버형성공정 S130 : 표면처리공정
S200 : 결합단계

Claims (9)

  1. 내부에 수용물을 수용 가능하고,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보관용기;
    상기 보관용기의 개방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일 면에 안착되면서 상기 식품보관용기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외부 공기가 상기 보관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원웨이밸브; 및
    상기 원웨이밸브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결합 가능한 결합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보관용기와 접촉되면서 결합 가능한 제1결합부;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함입되고 상기 원웨이밸브의 일부가 삽입 가능한 제1안착홈;
    상기 몸체를 관통하면서 상기 개방부와 상기 제1안착홈을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 및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커버와 접촉되면서 결합 가능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웨이밸브는,
    상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안착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안착날개의 하면이 맞닿으면서 상기 제1안착홈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안착되고, 상기 결합커버의 내면에 상기 안착날개의 상면이 맞닿으면서 고정되며,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원웨이밸브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천공되고 상기 제1연통홀과 연통되는 제2연통홀; 및
    내면에 상기 안착날개의 상면이 삽입 가능하도록 내측으로 함입된 제2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의 몸체 상면에는 상기 안착날개의 하면과 접촉 가능하면서 탄성을 갖는 제1밀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의 제2안착홈 내측에는 상기 안착날개의 상면과 접촉 가능하면서 탄성을 갖는 제2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탄성 소재로 형성된 실리콘오링; 및
    상기 실리콘오링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링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내측과 접촉되도록 상기 실리콘오링이 끼워지면서 상기 개방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59048A 2018-12-11 2018-12-11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 KR101988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048A KR101988969B1 (ko) 2018-12-11 2018-12-11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048A KR101988969B1 (ko) 2018-12-11 2018-12-11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969B1 true KR101988969B1 (ko) 2019-09-30

Family

ID=68098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048A KR101988969B1 (ko) 2018-12-11 2018-12-11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365A (ko) * 2021-01-13 2022-07-20 최지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033Y1 (ko) 2000-05-20 2000-10-02 이은정 원두커피용 포장용기
JP2002138838A (ja) * 2000-10-31 2002-05-17 Toyo Radiator Co Ltd プレッシャキャップ
KR20120100353A (ko) * 2011-03-04 2012-09-12 김우경 공기밸브장치
KR101392759B1 (ko) * 2013-09-16 2014-05-08 주식회사 지웰코리아 진공용기용 공기밸브장치
KR101395878B1 (ko) * 2013-12-30 2014-05-16 배창국 2중 플라스틱용기 캡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033Y1 (ko) 2000-05-20 2000-10-02 이은정 원두커피용 포장용기
KR20010106016A (ko) 2000-05-20 2001-11-29 이은정 원두커피용 포장용기
JP2002138838A (ja) * 2000-10-31 2002-05-17 Toyo Radiator Co Ltd プレッシャキャップ
KR20120100353A (ko) * 2011-03-04 2012-09-12 김우경 공기밸브장치
KR101392759B1 (ko) * 2013-09-16 2014-05-08 주식회사 지웰코리아 진공용기용 공기밸브장치
KR101395878B1 (ko) * 2013-12-30 2014-05-16 배창국 2중 플라스틱용기 캡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365A (ko) * 2021-01-13 2022-07-20 최지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
KR102457431B1 (ko) 2021-01-13 2022-10-20 최지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463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KR101431423B1 (ko) 퍼프 내장형 화장용 파우더 용기
EP1072532B1 (en) Combination container
US9457934B1 (en) Mug
KR100757511B1 (ko) 파우더 토출용 화장품 케이스
WO2018003300A1 (ja) 吐出容器
US20120074174A1 (en) Container with Elevating Inner Wall
JP6973908B2 (ja) 積層剥離容器
KR101988969B1 (ko)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식품보관용기 및 식품보관용기 제조방법
US11370586B2 (en) Internal vent handle cover arrangement; and methods
EP3423372B1 (en) Resealable container
KR20180126638A (ko) 밀폐용기
EP3294350B1 (en) Pressure-venting container for disinfection and storage of contact lenses
JPH0614081U (ja) エアゾ−ル容器用定量バルブ
CN216059533U (zh) 化妆品容器
KR101896284B1 (ko) 내용물용기의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EP1775232A3 (en) Cap for containers with valve for controlling excess pressure
KR200485155Y1 (ko) 용기
US20120138076A1 (en) Combination Nail Polish Remover and Applicator Bottle
JPH01294453A (ja) 容器の蓋
KR20060007957A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200240733Y1 (ko) 진공 용기
JP2008105738A (ja) 組合せボルトキャップ
CN216003702U (zh) 瓶盖及具有其的饮料瓶
KR200487518Y1 (ko) 기능성 볼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의 뚜껑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