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679B1 -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679B1
KR101987679B1 KR1020170162125A KR20170162125A KR101987679B1 KR 101987679 B1 KR101987679 B1 KR 101987679B1 KR 1020170162125 A KR1020170162125 A KR 1020170162125A KR 20170162125 A KR20170162125 A KR 20170162125A KR 101987679 B1 KR101987679 B1 KR 101987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dy
body part
unit
dried
in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3206A (ko
Inventor
정광화
김중곤
이동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6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6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6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B09B3/00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외부바디부; 외부바디부의 일 방향에 대한 축 회전이 가능하게 외부바디부를 지지하고, 외부바디부를 승강시키는 프레임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바디부 내에 배치되되 양단이 외부바디부의 양단 외부로 노출되고,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바디부; 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내부바디부에 결합되고, 외부바디부 내의 피건조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내부바디부에 결합되고, 외부바디부 내의 피건조물의 위치, 수분량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내부바디부의 양단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부바디부의 양단을 커버하는 커버부; 외부바디부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여 외부바디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습부; 및 감지부와 결합되어 가열부 및 프레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OF ORGANIC SOLID MATERIAL}
본 발명은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는 각종 유기성 폐기물의 경우 이를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발효처리, 건조처리 및 연소처리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 중 발효처리하여 퇴비로 활용하는 방식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고, 발효 건조하는 처리과정에서 유해한 가스나 악취의 발생이 심하여 외부환경의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여러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각종 폐기물을 무산소 내지 저산소 열분해에 의한 탄화처리방식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엔 내부에서 발생되는 건류가스의 경우 그대로 배출시키게 되면 외부의 대기를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별도로 처리하기 위한 비용이 소요되게 되어 비경제적인 문제가 뒤따르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2723호 (2009. 08. 19.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피건조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습기능이 부가된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 외부 바디부, 외부 바디부의 일 방향에 대한 축 회전이 가능하게 외부 바디부를 지지하고 외부 바디부를 승강시키는 프레임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부 바디부 내에 배치되되 양단이 상기 외부 바디부의 양단 외부로 노출되고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 바디부, 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내부 바디부에 결합되고 외부 바디부 내의 피건조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내부 바디부에 결합되고 외부 바디부 내의 피건조물의 위치, 수분량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내부 바디부의 양단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부 바디부의 양단을 커버하는 커버부, 외부 바디부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여 외부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습부, 및 감지부와 결합되어 가열부 및 프레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가열부는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가열기, 적외선을 배출하는 적외선가열기 및 과열증기를 배출하는 증기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바디부는, 피건조물이 내부 바디부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내부 바디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피건조물 투입구, 내부 바디부 내의 피건조물이 외부 바디부로 배출되는 피건조물 배출구, 외부 바디부 내의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이 내부 바디부로 투입되는 건조물 투입구, 및 내부 바디부 내의 건조가 완료된 피건조물이 외부 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내부 바디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건조물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는, 외부 바디부의 타단 측 내면에 형성되고 외부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는, 내부 바디부와 결합하여 내부 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는, 외부 바디부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는, 일단이 내부 바디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외부 바디부의 내면과 접촉하는 이물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는 내부 바디부에 결합되어 내부 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피건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건조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에 의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B-B'선에 의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의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에 의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1000)는 외부바디부(100), 프레임부(150), 내부바디부(200), 가열부(250), 감지부(300), 커버부(350), 제습부(4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고, 회전이송부(500), 상부이송부(550), 단열부(600), 이물제거부(650) 및 파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바디부(1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된다. 즉, 외부바디부(100)는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내부바디부(200), 가열부(250), 감지부(300), 제습부(400), 회전이송부(500), 상부이송부(550), 이물제거부(650) 및 파쇄부(미도시)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한다.
프레임부(150)는 외부바디부(100)의 일 방향에 대한 축 회전이 가능하게 외부바디부(100)를 지지하고, 외부바디부(100)를 승강시킨다.
프레임부(150)는, 바닥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51), 외부바디부(100)이 일 방향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프레임(151)에 결합되어 외부바디부(10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롤러(152), 외부바디부(10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53) 및 지지프레임(151)으로부터 연장되어 후술할 내부바디부(200)를 지지하는 연장프레임(15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50)는, 롤러(152), 승강수단(153) 및 연장프레임(154)에 결합된 서스펜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152)는 외부바디부(100)의 양단 측 외주면에 각각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롤러(152)는 외부바디부(100)의 일단 측 외주면에 한 쌍이 형성되고, 외부바디부(100)의 타단 측 외주면에 한 쌍이 추가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승강수단(153)은 외부바디부(100)의 양단 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외부바디부(100)의 일단 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외부바디부(100)의 타단 측에는 힌지 등이 설치되어 외부바디부(100)의 일단 측 상승에 따라 외부바디부(100)의 타단 측이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바디부(100)의 양단 사이에 경사가 발생할 수 있고, 피건조물이 외부바디부(10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유동될 수 있다. 승강수단(153)은 유압펌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바디부(100)와 프레임부(150)가 형성하는 구조는 통상의 로터리 킬른 구조와 유사하다.
내부바디부(2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부바디부(100) 내에 배치되되 양단이 외부바디부(100)의 양단 외부로 노출되고, 프레임부(150)에 의해 지지된다.
내부바디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연장프레임(154)에 의해 지지된다. 내부바디부(200)는 외부바디부(10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후술할 가열부(250), 감지부(300), 제습부(400), 상부이송부(550) 및 이물제거부(65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가열부(250), 감지부(300), 제습부(400), 상부이송부(550) 및 이물제거부(650)는 각각 내부바디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가열부(250), 감지부(300), 제습부(400), 상부이송부(550) 및 이물제거부(650) 각각과 내부바디부(200) 사이에는 서스펜션이 설치될 수 있다.
내부바디부(200)는, 피건조물이 내부바디부(200)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내부바디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피건조물투입구, 내부바디부(200) 내의 피건조물이 외부바디부(100)로 배출되는 피건조물배출구, 외부바디부(100) 내의 건조된 피건조물이 내부바디부(200)로 투입되는 건조물투입구 및 내부바디부(200) 내의 건조된 피건조물이 외부바디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내부바디부(200)의 타단에 형성되는 건조물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피건조물의 이송 및 건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가열부(250)는 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내부바디부(200)에 결합되고, 외부바디부(100) 내의 피건조물을 가열한다. 즉, 복수로 형성된 가열부(250)는 내부바디부(20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외부바디부(100)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피건조물을 가열한다.
가열부(250)는,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가열기, 적외선을 배출하는 적외선가열기 및 과열증기를 배출하는 증기가열기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열부(250)는, 하나 이상의 열풍가열기, 하나 이상의 적외선가열기 및 하나 이상의 증기가열기를 포함하고,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열부(250)는, 임의의 조합으로 내부바디부(2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써, 일 방향을 따라 외부바디부(100)의 내부공간을 삼분하고, 제1 내부공간에는 열풍가열기만 배치되고, 제2 내부공간에는 적외선가열기만 배치되고, 제3 내부공간에는 증기가열기만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열풍가열기는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를 외부바디부(100)의 저면을 향해 배출함으로써, 외부바디부(100) 내의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적외선가열기는, 적외선발생기에서 발생한 적외선을 외부바디부(100)의 저면을 향해 배출함으로써, 외부바디부(100) 내의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증기가열기는 과열된 증기를 이용해 외부바디부(100) 내의 피건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내부바디부(200)에 결합되고, 외부바디부(100) 내의 피건조물의 위치, 수분량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한다.
감지부(300)는 외부바디부(100) 내의 저면에 위치하는 피건조물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외부바디부(100) 내의 저면에 위치하는 피건조물의 수분량을 감지하도록 수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외부바디부(100) 내의 저면에 위치하는 피건조물의 크기 또는 직경을 감지하도록 크기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센싱면이 외부바디부(100)의 저면을 향하도록 내부바디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감지부(300)는, 임의의 조합으로 내부바디부(2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써, 일 방향을 따라 외부바디부(100)의 내부공간을 삼분하고, 제1 내부공간에는 위치센서만 배치되고, 제2 내부공간에는 수분센서만 배치되고, 제3 내부공간에는 크기감지센서만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부(350)는 내부바디부(200)의 양단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외부바디부(100)의 양단을 커버한다. 즉, 커버부(350)는 외부바디부(100)의 양단 중 내부바디부(200)의 양단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커버한다. 따라서, 커버부(350)는 외부바디부(200) 내부공간으로 공기가 유출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350)는 외부바디부(200)의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제습부(400)는 외부바디부(100) 내부공간의 습기를 제거하여 외부바디부(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즉, 제습부(400)는, 외부바디부(100)와 커버부(350)에 의해 밀폐된 외부바디부(100) 내부공간의 습기를 외부바디부(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제습부(400)는, 예로써, 두 개의 회전봉과 수분 배출용 물받이 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회전봉은, 흡습 기능이 있는 내열성 섬유가 피복된 제1 회전봉과, 표면에 연속적인 나선 홈이 새겨진 비흡습성 재질로 구성된 제2 회전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봉과 제2 회전봉은 서로 밀착되어 상호 압착 상태로 회전하면서 제1 회전봉에 존재하는 물을 압출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제1 회전봉으로부터 압출된 물이 제2 회전봉의 나선 홈을 타고 스크루 펌프방식으로 이송되어 외부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부(300)와 결합되어 가열부(350) 및 프레임부(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부(300)로부터 피건조물의 위치, 피건조물의 습도 및 피건조물의 크기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신호를 변수로 하는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복수의 가열부(350)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롤러(15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승강수단(153)의 승강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외부바디부(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나, 외부바디부(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프레임부(150)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감지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이송부(500)는 외부바디부(100)의 타단 측 내면에 형성되고, 외부바디부(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즉, 회전이송부(500)는 외부바디부(100)의 타단 측 내면에 형성되므로, 외부바디부(100)의 저면을 따라 외부바디부(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유동된 피건조물을 내부바디부(200)의 상부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외부바디부(100)는 프레임부(150)에 의해 회전되는 바 회전이송부(500)에 안착된 피건조물은 외부바디부(100)의 회전에 따라 외부바디부(100)의 타단 측에서 내부바디부(200)의 하부에서 내부바디부(200)의 상부로 이송될 수 있다. 피건조물은 회전이송부(500)에 의해 내부바디부(200)의 하부에서 후술할 상부이송부(550)로 이송될 수 있다.
회전이송부(500)는 링 타입의 이송용 핀일 수 있다. 이송용 핀은 외부바디부(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용 핀의 크기와 각도는 설계 상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로써, 피건조물의 직경이 20 mm 이하일 경우, 이송용 핀의 가로는 피건조물 직경의 5 내지 15 배일 수 있고, 이송용 핀의 세로는 피건조물 직경의 15 내지 20 배일 수 있다. 복수의 이송용 핀 간의 거리는 피건조물 직경의 10 배 내외로 할 수 있다. 이송용 핀은 중간부분에서 내측으로 굽은 반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송용 핀은 외부바디부(100)의 타단 측 내면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바디부(100)의 내면에 결합된 이송용 핀의 수는 설계상의 필요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부이송부(550)는 내부바디부(200)와 결합하여 내부바디부(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부이송부(55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상부이송부(550)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건조된 피건조물을 이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상부이송부(550)는 건조되어 회전이송부(500)에 의해 이송된 피건조물을 외부바디부(100)의 타단에서 외부바디부(100)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부와, 제1 이송부를 거친 피건조물을 외부바디부(100)의 일단에서 외부바디부(100)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1000)의 피건조물 이송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피건조물은 외부바디부(100)의 일단 외측에 배치된 피건조물투입구를 통해 내부바디부(200)의 내부로 투입된다. 내부바디부(200)의 내부로 투입된 피건조물은 피건조물배출구를 통해 외부바디부(100)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된다. 외부바디부(100)의 내부공간으로 배출된 피건조물은 외부바디부(100)의 저면을 따라 외부바디부(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유동하면서 가열부(250)에 의해 1차 건조된다. 1차 건조된 피건조물은 회전이송부(500)에서 의해 외부바디부(100)의 타단 측에서 내부바디부(200)의 하부로부터 내부바디부(200)의 상부로 이송된다. 회전이송부(500)에 의해 내부바디부(200)의 상부로 이송된 1차 건조된 피건조물은 상부이송부(550)로 이송된다. 상부이송부(550)의 제1 이송부는 1차 건조된 피건조물을 외부바디부(100)의 타단에서 외부바디부(100)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한다. 제1 이송부의 일단으로 이송된 1차 건조된 피건조물은 제2 이송부로 이송되고 제2 이송부에 의해 외부바디부(100)의 일단에서 외부바디부(100)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된다. 1차 건조된 피건조물은 상부이송부(550)의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따라 이송되면서 외부이송부(100) 내부공간의 열기로 인해 2차 건조된다. 2차 건조된 피건조물은 내부바디부(200)의 타단 측에 인접하여 형성된 건조물투입구를 통해 내부바디부(200)로 투입된다. 내부바디부(200)로 투입된 2차 건조된 피건조물은 내부바디부(200)의 타단에 형성된 건조물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단열부(600)는 외부바디부(100)의 외주면을 피복한다. 단열부(600)는 외부바디부(100)의 열손실을 감소시킨다.
이물제거부(650)는, 일단이 내부바디부(200)와 결합하고 타단이 외부바디부(100)의 내면과 접촉한다. 이물제거부(650)는 외부바디부(100)의 내면에 부착된 피건조물의 잔여물을 외부바디부(100)의 내면으로부터 제거한다. 이물제거부(650)는 내부바디부(200)와 결합하여 회전하지 않지만, 외부바디부(100)가 회전됨으로 인해 외부바디부(100)의 내면에 부착된 피건조물의 잔여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제거부(650)는 일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왕복될 수 있다. 이물제거부(650)의 왕복 주기 및 왕복 변위는 설계 상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미도시)는 이물제거부(650)의 왕복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파쇄부(미도시)는 내부바디부(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피건조물을 파쇄할 수 있다.
파쇄부(미도시)는 외부바디부(10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피건조물의 성상이 과도하게 연할 경우, 상술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작동에 따라 외부바디부(10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다.
파쇄부(미도시)는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회전될 수 있으므로, 외부바디부(100)의 저면으로 유동하는 피건조물이 과도하게 연할 경우 피건조물을 파쇄할 수 있다. 파쇄부(미도시)의 회전은 외부바디부의 회전에 의한 수동적 회전일 수도 있고, 능동적 회전일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1000)는 피건조물의 외부바디부(100)의 저면에서의 유동을 보조하도록 보조이동부와 상술한 각 구성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이동부는 외부바디부(100)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보조이동부는 외부바디부(100)의 회전과 무관하게 피건조물을 외부바디부(10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송시킬수도 있다.
동력전달부는 내부바디부(200)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열부(250), 감지부(300), 제습부(400) 및 상부이송부(55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또는 삭제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외부바디부
150: 프레임부
151: 지지프레임
152: 롤러
153: 승강수단
154: 연장프레임
200: 내부바디부
250: 가열부
300: 감지부
350: 커버부
400: 제습부
500: 회전이송부
550: 상부이송부
600: 단열부
650: 이물제거부

Claims (8)

  1.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피건조물을 수용하는 외부바디부;
    상기 외부바디부의 상기 일 방향에 대한 축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외부바디부를 지지하고, 상기 외부바디부를 승강시키는 프레임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바디부 내에 배치되되 양단이 상기 외부바디부의 양단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는 내부바디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바디부 내의 상기 피건조물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내부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바디부 내의 상기 피건조물의 위치, 수분량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내부바디부의 양단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바디부의 양단을 커버하는 커버부;
    상기 외부바디부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여 상기 외부바디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습부;
    상기 감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열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내부바디부와 결합하여 상기 내부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상부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상부이송부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상기 피건조물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 및 제2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건조물은,
    상기 외부바디부의 저면을 따라 상기 외부바디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유동하여, 1차 건조되고,
    상기 제1 이송부를 통해 상기 외부바디부의 타단에서 일단으로 유동한 후, 상기 제2 이송부를 통해 상기 외부바디부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유동하여, 2차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가열기, 적외선을 배출하는 적외선가열기 및 과열증기를 배출하는 증기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바디부는,
    상기 피건조물이 상기 내부바디부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상기 내부바디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피건조물투입구,
    상기 내부바디부 내의 상기 피건조물이 상기 외부바디부로 배출되는 피건조물배출구,
    상기 외부바디부 내의 건조된 상기 피건조물이 상기 내부바디부로 투입되는 건조물투입구, 및
    상기 내부바디부 내의 건조된 상기 피건조물이 상기 외부바디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바디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건조물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바디부의 타단 측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1차 건조된 상기 피건조물을 상기 내부바디부의 상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회전이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바디부의 외주면을 피복하는 단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내부바디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외부바디부의 내면과 접촉하는 이물제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바디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건조물을 파쇄하는 파쇄부;
    를 더 포함하는,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KR1020170162125A 2017-11-29 2017-11-29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KR101987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25A KR101987679B1 (ko) 2017-11-29 2017-11-29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25A KR101987679B1 (ko) 2017-11-29 2017-11-29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06A KR20190063206A (ko) 2019-06-07
KR101987679B1 true KR101987679B1 (ko) 2019-06-11

Family

ID=6684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25A KR101987679B1 (ko) 2017-11-29 2017-11-29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4332A (zh) * 2020-06-10 2020-10-30 湖北心海工业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立式循环干燥方法
CN111854388A (zh) * 2020-06-10 2020-10-30 湖北心海工业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立式循环干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263B1 (ko) * 2005-07-12 2006-11-30 임용빈 수분센서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052B1 (ko) * 2005-01-24 2007-03-08 임경수 쓰레기 건조 처리장치
KR100715526B1 (ko) * 2005-04-28 2007-05-07 임경수 생활 쓰레기 건조기
KR100912723B1 (ko) 2008-12-01 2009-08-19 (주)동보플랜트 축산 분뇨 및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263B1 (ko) * 2005-07-12 2006-11-30 임용빈 수분센서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54332A (zh) * 2020-06-10 2020-10-30 湖北心海工业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立式循环干燥方法
CN111854388A (zh) * 2020-06-10 2020-10-30 湖北心海工业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立式循环干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206A (ko) 2019-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6073B1 (ja) 乾燥処理装置
KR101987679B1 (ko) 유기성 고형물 건조장치
WO2020054963A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건조장치
CH671094A5 (ko)
CN105658767A (zh) 外热式碳化炉
CN107445438A (zh) 一种污泥除湿干化装置
WO1998017957A1 (en) Drying apparatus with rotatable housing
JP2001272169A (ja) 連続式回転乾燥機
CN109731898A (zh) 一种带非规则转筒的有机污染土壤间接热脱附装置
KR19990014849A (ko) 통기식 회전 건조기
KR20180047707A (ko) 슬러지 건조 시스템 및 슬러지 건조 방법
CN206447822U (zh) 一种处理油泥的炉体
KR20210015352A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CA2386610C (en) Batch sludge dehydrator
US2666633A (en) Rotary drier, kiln, and the like
JP5591030B2 (ja) 横型連続伝導伝熱式乾燥機
JP2019126788A (ja) 間接加熱型汚泥乾燥装置
JP7503805B2 (ja) 熱風・伝導伝熱乾燥機
JP2012251699A (ja) 回転式乾燥機
JPH07239184A (ja) スクリュ式乾燥機
KR100318687B1 (ko) 회전가능한하우징을갖춘건조장치
JP2021196124A (ja) 熱風・伝導伝熱乾燥機
CN2829384Y (zh) 一种熟化机
RU2143827C1 (ru) Агрегат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для резаного табака
SU924476A1 (ru) Барабанна сушил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