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531B1 -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531B1
KR101987531B1 KR1020170046559A KR20170046559A KR101987531B1 KR 101987531 B1 KR101987531 B1 KR 101987531B1 KR 1020170046559 A KR1020170046559 A KR 1020170046559A KR 20170046559 A KR20170046559 A KR 20170046559A KR 101987531 B1 KR101987531 B1 KR 101987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ubber bushing
pressing
air supply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641A (ko
Inventor
강태희
Original Assignee
대명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53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 G01M3/0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력을 부여하는 밀페러버(Rubber)가 파이프의 내부에 완전 진입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하되, 러버부싱의 중앙측에서의 체결력을 통한 러버부싱의 팽창으로 파이프 내주면에 동일한 밀폐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장착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면서도 밀폐력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며, 또한, 에어 공급수단을 설치함에 있어, 에어공급 파이프에 직접 설치 및 에어의 공급 또는 차단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Pipe sealing device for air leak inspection}
본 발명은 파이프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파이프에 대하여 용접부의 에어리크(air leak)를 검사함에 있어, 파이프 내부의 편리한 밀폐 및 밀폐력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다종 다양한 기기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기들은 서로 관련성을 갖으면서 선박 전체가 유기적인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용도에 맞는 여러 금속으로 제작된 파이프(배관)을 이용하여 연결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파이프를 제작함에 있어 길이가 한정되는 것인바, 대형 선박에 사용시 서로간에 연결을 통해 그 길이의 연장 사용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연장 방법으로는 통상 파이프 단부간의 용접을 통한 연결방법이 적용되는 것으로, 파이프의 연결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파이프의 용접부에 대해서는 사용중 누수가 발생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사용함에 앞서 별도의 에어리크(air leak) 검사를 통해 수밀 상태를 확인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검사 과정에서 용접부를 중심으로 파이프의 개방된 단부는 밀폐시킨 상태에서 고압의 에어를 공급 및 수밀 상태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이 수밀 상태를 검사하기에 앞서 파이프 내부의 밀폐가 가능하게 하는 밀폐기구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 이러한 밀폐기구는 먼저, 일부가 파이프의 단부에 진입되는 원추형 러버와, 그 러버의 외측에 밀착되는 가압부재와, 파이프의 둘레를 감싸 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가압부재와 고정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볼트형 체결부재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에, 체결부재에 너트 체결력을 부여하게 되면 고정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가압부재가 고정부재 측으로 소정 이동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러버에 가압력이 부여 및 파이프의 단부에 압착 밀폐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밀폐기구는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체결을 부여하여야 하는 것인바, 그 장착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체결부재에 동일한 체결력이 부여되지 않게 되면, 어느 한 측으로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 것인바, 완전한 수밀상태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이프의 내부에 공기압을 부여하기 위한 검사장치 결합부가 단순한 관통공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그 검사장치의 에어호스 등의 결합 사용이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206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밀폐력을 부여하는 밀페러버(Rubber)가 파이프의 내부에 완전 진입된 상태를 이루게 구성하되, 러버부싱의 중앙측에의 체결력을 통한 러버부싱의 팽창으로 파이프 내주면에 동일한 밀폐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장착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하면서도 밀폐력의 증대를 가져오게 하기 위한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에어 공급수단을 설치함에 있어, 에어공급 파이프에 직접 설치 및 에어의 공급 또는 차단이 가능하게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파이프 둘레를 결착하게 구성하되, 각각은 반원관 형태를 이루며 단부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 가능한 양측 한 쌍의 결착부재로 된 클램프와, 내부에 공간부를 이루도록 일측은 개방된 개구단부를 이루고 타측은 마감부를 이루되, 마감부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러버부싱와, 러버부의 개구단부에 밀착되어 공간부을 마감하며, 중앙에는 관통공에 형성된 내측 가압판과, 러버부싱의 마감부의 단부면에 밀착되며,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외측 가압과, 내부가 관통된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외측 가압판과 러버부싱과 내측 가압판의 관통공을 관통하되, 선단에는 내측 가압판을 가압하는 가압너트가 체결되는 내측 나사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외측 가압판을 가압하는 가압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외측 나사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관통된 내부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밸브가 형성된 에어공급 파이프를 포함하여 된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클램프에는 각각의 결착부재 일측 내주면에는 서로 대항되는 걸림홈을 각각 더 형성하고,
러버부싱은 마감부 둘레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조(232)를 더 형성하며,
외측 가압판은 걸림돌조와 동일한 외경을 이루게 구성하여, 결착부재를 이용한 파이프 결착시 러버부싱의 걸림돌조 및 외측 가압판의 외둘레가 결착부재의 걸림홈에 걸림 지지되게 구성하며,
가압 체결부재는,
에어공급 파이프가 관통되며, 외측 가압판에 밀착되는 밀착부재;
에어공급 파이프가 관통되며, 둘레에서 가압력을 부여시 에어공급 파이프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밀착부재를 가압 및 에어공급 파이프를 외측으로 당기는 가압부재; 및
중앙이 관통되어 가압부재 수용홈이 형성되고, 가압부재 수용홈의 내주면에는 양측에서 가압부재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쐐기부재가 내입되며, 양측에는 각각의 쐐기부재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볼트가 나삽 관통된 가압 조절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가압부재는,
대항되는 양측 한 쌍의 유동부재로 구성하고,
일측의 유동부재는 밀착부재에 밀착 및 에어공급 파이프가 관통되고, 타측의 유동부재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에어공급 파이프의 외측 나사부와 나삽되게 구성하며,
양측 유동부재의 둘레는 대항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게 벌어지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을 이루게 구성하고, 대항면에는 스프링 내입홈이 각각 형성되어 인장 스프링의 양측이 각각 내입 고정되며,
각각의 쐐기부재는,
서로 대항되는 반원링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고,
각각의 내주면 양측에는 유동부재의 사이에서 양측 경사면과 대응되는 가압 경사면을 이루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는, 러버부싱의 중앙에 관통형 에어공급 파이프가 관통 형성되며, 그 에어공급 파이프에는 러버부싱의 양측에서 가압력을 부여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게 구성된 것인바, 러버부싱의 중앙측에서의 체결력을 통한 러버부싱의 반경 방향 팽창으로 파이프 내주면에 동일한 밀폐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되는 등 밀폐장치의 장착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파이프 내주면에 균일한 밀착력의 부여에 따른 밀폐력이 한 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에어공급 파이프의 외측단에 에어공급 파이프의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형성된 것인바, 에어 공급수단의 설치상의 편리함과 필요시 에어의 공급 또는 차단 등 개폐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러버부싱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러버부싱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가압 체결부재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가압 체결부재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파이프 밀폐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파이프 밀폐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러버부싱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러버부싱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4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를 이용한 에어 공급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1)는, 클램프(100)와, 러버부싱(200)과, 내측 가압판(300)과, 외측 가압판(400)과, 에어공급 파이프(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100)는 검사하고자 하는 파이프(도면중 미도시함)의 둘레를 결착 고정하게 구성된다.
이때, 클램프(100)는 양측 한 쌍을 이루는 결착부재(110)(110')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결착부재(110)(110')는 반원관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양단에는 플랜지부(120)(120')가 형성되어 서로 볼트(B) 및 너트(N) 체결되어 파이프의 외둘레를 감싸며 고정된다.
한편, 각각의 결착부재(110)(110')에는 일측 단부와 근접한 내주면에는 서로 대항되는 걸림홈(111)(111')이 구성된다.
즉, 클램프(100)는 각각의 결착부재(110)(110')를 통해 파이프의 단부측 둘레를 감싸 고정하되, 그 감싸는 과정에서 걸림홈(111)(111')의 파이프의 외측으로 소정 벗어난 위치에 구성된다.
상기 러버부싱(200)은, 파이프의 내부에 내입되어 그 팽창력에 의해 파이프 내경을 밀폐하게 구성된 것으로, 원통 형태의 고무재로 구성된다.
이때, 러버부싱(200)은 원형 둘레를 이루고 그 내부에는 공간부(210)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공간부(210)는 일측이 개방된 개구단부(220)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러버부싱(200)의 공간부(210) 타측은 중앙에 관통공(231)이 관통 형성된 마감부(230)를 통해 마감되게 구성된다.
이때, 마감부(230)는 그 둘레가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조(232)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걸림돌조(232)가 클램프(100)의 결착부재(110)(110')에 형성되는 걸림홈(111)(111)에 내입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러버부싱(200)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그 외둘레면과 내주면이 매끈한 평탄면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러버부싱(200)이 팽창시 그 외둘레면 어느 지점이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또한, 러버부싱(200)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그 외둘레면에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돌출되는 다수열의 가압돌조(240)(240')가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러버부싱(200)이 팽창시 그 외둘레에 형성된 각각의 가압돌조(240)(240')가 파이프의 내주면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된다.
또한, 러버부싱(200)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그 내주면에 만곡한 곡률홈 형태를 이루는 다수열의 팽창홈조(250)(250')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러버부싱(200)은 그 팽창홈조(250)(250') 부분이 비교적 얇은 두께를 이루는 것인바, 러버부싱(200)이 팽창시 그 팽창홈조(250)(250') 부분이 팽창되어 그 팽창홈조(250)(250')의 반대 측 외둘레면이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러버부싱(200)의 직경은 검사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내측 가압판(300)은, 금속재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러버부싱(200)의 개구단부(220) 단부에 밀착되어 그 개구단부(220)를 마감하게 구성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공(310)이 구성된다.
즉, 내측 가압판(300)은 러버부싱(200)의 개구단부(220)에 밀착되어 가압력이 부여시 러버부싱(200)의 개구단부(220)를 압축 및 외둘레가 팽창되게 한다.
상기 외측 가압판(400)은, 금속재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러버부싱(200)의 마감부(230)에 밀착되게 구성되며, 그 중앙에는 관통공(410)이 구성된다.
즉, 외측 가압판(400)은 러버부싱(200)의 마감부(230)에 밀착되어 가압력이 부여시 러버부싱(200)의 마감부(23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외측 가압판(400)은, 그 외둘레가 러버부싱(200)의 마감부(230)에 형성되는 걸림돌조(232)와 동일한 외경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결착부재(110)(110')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결착시 러버부싱(200)의 걸림돌조(232)와 함께 결착부재(110)(110')의 걸림홈(111)(111')에 내입되게 구성된다.
상기 에어공급 파이프(500)는, 상기 러버부싱(200)을 통해 파이프 내부가 밀폐된 상태에서 그 파이프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게 구성된 것으로,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외측 가압판(400)과 러버부싱(200)과 내측 가압판(300)과의 관통공(410)(231)(31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구성된다.
이때, 에어공급 파이프(500)는 상기 관통공(410)(231)(310) 들을 관통하는 그 선단측 둘레에는 파이프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측 나사부(501)가 구성되며, 그 내측 나사부(501)에는 내측 가압판(300)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너트(510)가 체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공급 파이프(500)는 그 중간부에는 파이프의 외측에서 체결시 외측 가압판(400)을 가압하는 가압 체결부재(600)가 체결되는 외측 나사부(502)가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공급 파이프(500)는 그 후단에 파이프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함에 있어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밸브(530)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외측 가압판(400)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체결부재(60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너트체(610)로 구성할 수 있다.
즉, 가압 체결부재(600)를 너트체(610)로 구성시에는 그 너트체(610)가 외측 나사부(502)에 체결되어 조임력이 부여시 외측 가압판(400)을 가압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나삽력에 의해 파이프의 외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에어공급 파이프(500)의 선단에 체결된 가압너트(510)가 내측 가압판(300)을 가압 및 러버부싱(200)의 개구단부(220)를 가압하여 러버부싱(200)을 압축 및 외둘레를 팽창시켜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 밀폐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러버부싱(200)이 내측의 개구단부(220) 측에서 압축력이 부여시 그 외측에 위치되는 러버부싱(200)의 마감부(230) 및 외측 가압판(400)은 그 둘레가 클램프(100)의 결착부재(110)(110')의 걸림홈(111)(111')에 걸림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그 지지력이 부여되게 된다.
또한, 가압 체결부재(600)는 다른 실시예로, 도 6 및 도 7의 도시와 같이 먼저,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관통되되, 외측 가압판(400)에 밀착되는 밀착부재(620)가 구성된다.
또한, 가압 체결부재(600)에는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관통되며, 둘레에서 가압력을 부여시 에어공급 파이프(50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밀착부재(620)를 가압 및 에어공급 파이프(500)를 파이프 외측으로 당기는 가압부재(630)가 구성된다.
이때, 가압부재(630)는 대항되는 양측 한 쌍을 이루는 원형링 형태의 유동부재(631)(631')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그 일측의 유동부재(631)는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관통되는 한편 밀착부재(620)에 밀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타측의 밀착부재(620)는 내주면에 암나사부(631a)가 형성되어 에어공급 파이프(500)의 외측 나사부(502)에 나삽 체결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유동부재(631)(631')는 그 둘레가 서로간의 대항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게 확장되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632)(632')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양측 경사면(632)(632')이 결합시 그 둘레에 "><" 형태의 홈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유동부재(631)(631')는 그 대항면에 스프링 내입홈(633)(633')이 각각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스프링 내입홈(633)(633')에는 인장 스프링(634)의 양측이 내입 및 유동부재(631)(631')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즉, 양측 유동부재(631)(631')는 외력이 부여시 서로 양측으로 벌어지게 구성되며 그 외력을 해제시 인장 스프링(634)의 복원 탄성에 의해 서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가압 체결부재(600)는 상기 가압부재(630)와 반응하여 양측 유동부재(631)(631')를 양측으로 벌리는 외력을 부여하는 블록 형태의 가압 조절구(640)가 구성된다.
이때, 가압 조절구(640)는 먼저, 그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가압부재(630)가 수용되는 가압부재 수용홈(641)이 구성된다.
그리고, 가압부재 수용홈(641)의 내측에는 양측에서 가압부재(630)의 각각의 유동부재(631)(631')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양측 한 쌍의 쐐기부재(650)(650')가 구성된다.
그리고, 가압 조절구(640)에는 그 양측에 상기 양측이 쐐기부재(650)(650')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양측 한 쌍의 가압볼트(645)(645')가 나삽 및 그 선단이 가압부재 수용홈(641)으로 관통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쐐기부재(650)(650')는 서로 대항되는 반원링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양측 유동부재(631)(631')의 경사면(632)(632')과 대응되는 가압 경사면(651)(651')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에, 가압 체결부재(600)는 가압볼트(645)(645')에 체결력을 부여시 그 가압볼트(645)(645')가 쐐기부재(650)(650')를 가압 및 유동부재(631)(631') 측으로 밀어내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쐐기부재(650)(650')의 가압 경사면(651)(651')이 유동부재(631)(631')의 양측 경사면(632)(632')과 면접 가압되어 유동부재(631)(631')를 양측으로 벌어지게 한다.
즉, 상기와 같이 유동부재(631)(631')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과정에서 그 일측의 유동부재(631)는 밀착부재(620)를 가압 및 외측 가압판(400)을 가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타측의 유동부재(631')는 에어공급 파이프(500)와 결합된 것인바 그 에어공급 파이프(500)를 파이프의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며, 이에 에어공급 파이프(500)의 선단에 체결된 가압너트(510)가 내측 가압판(300)을 가압 및 러버부싱(200)의 개구단부(220)를 가압하여 러버부싱(200)을 압축 및 외둘레를 팽창시켜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 밀폐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러버부싱(200)이 내측의 개구단부(220) 측에서 압축력이 부여시 그 외측에 위치되는 러버부싱(200)의 마감부(230) 및 외측 가압판(400)은 그 둘레가 클램프(100)의 결착부재(110)(110')의 걸림홈(111)(111')에 걸림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그 지지력이 부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 러버부싱(200)과 대항되는 제2 러버부싱(20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고, 상기 에어공급 파이프(500)는 제2 러버부싱(200')의 길이만큼 연장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러버부싱(200')은, 외둘레는 상기 러버부싱(200)과 동일한 직경을 이루게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제2 공간부(210)를 이루도록 일측은 러버부싱(200)의 개구단부(220) 측으로 개방되는 제2 개구단부(220')를 이루고, 타측은 중앙에 관통공(231')이 형성된 제2 마감부(230')로 마감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러버부싱(200')은 중앙에 관통공(271)이 형성된 격판(27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러버부싱(200)과 대항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격판(270)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러버부싱(200) 및 제2 러버부싱(200')이 개구단부(220) 및 제2 개구단부(220')가 격판(270)에 면접되게 구성되며, 제2 러버부싱(200')의 제2 마감부(230')에는 내측 가압판(300)이 면접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에어공급 파이프(500)는 외측 가압판(400)으로부터 내측 가압판(300) 까지 관통 및 내측 나사부(501)에 가압너트(510)가 체결되어 내측 가압판(300)을 가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러버부싱(200)과 제2 러버부싱(200') 등 밀폐수단을 복수로 구성하게 되면, 가압 체결부재(600)를 체결시 내측 가압판(300)은 제2 러버부싱(200')을 가압 및 격판(270)으로 연결된 러버부싱(200) 까지 가압력이 부여되는 것인바, 러버부싱(200) 및 제2 러버부싱(200')이 압축 및 외둘레가 팽창되어 파이프의 내주면에 이중으로 밀착 밀폐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1)는, 용접 연결된 파이프의 내부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여 용접부에 대하여 수밀 여부의 검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도 9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밀폐장치(1)를 용접부(11)를 중심으로 양측 파이프(10의) 단부측에 각각 장착하되, 그 장착을 위해서는 클램프(100)에 의해 가능하다.
즉, 클램프(100)는 양측의 결착부재(110)(110')를 통해 검사하고자 하는 파이프(10)의 단부측 둘레를 결착 고정하되, 고정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결착부재(110)(110') 내주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11)(111')에 러버부싱(200)의 마감부(230)에 형성된 걸림돌조(232) 및 외측 가압판(400)의 둘레가 내입되게 한 상태에서 체결함으로 그 러버부싱(20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러버부싱(200) 공간부(210) 위치는 파이프(10)의 내부에 수용되게 된다.
이에, 파이프(10)의 내부를 밀폐하되, 밀폐시에는 가압 체결부재(6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그 밀폐는 가압 체결부재(600)를 이용하여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10의 도시와 같이 가압 체결부재(600)를 너트체(610)로 구성시에는 그 너트체(610)를 에어공급 파이프(500)의 외측 나사부(502)에 체결력을 부여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너트체(610)는 조임력에 의해 외측 가압판(400)을 가압하게 되며, 이때 에어공급 파이프(500)는 그 너트체(610)의 나삽력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당겨지는 과정에서 그 선단에 형성된 가압너트(510)가 내측 가압판(300)을 가압하여 러버부싱(200)을 압축시키게 되고, 그 압축에 의해 외둘레가 팽창되어 파이프(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이에 파이프(10) 내부의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압 체결부재(600)를 구성함에 있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도 11의 도시와 같이 밀착부재(620)와 가압부재(630)와 가압 조절구(640)로 구성시에는 가압 조절구(640)의 가압볼트(645)(645')에 체결력을 부여하게 되면 그 가압볼트(645)(645')가 쐐기부재(650)(650')를 가압 및 그 쐐기부재(650)(650')가 가압부재(630)를 이루는 양측 유동부재(631)(631')를 가압하여 벌리게 된다.
즉, 쐐기부재(650)(650')에는 유동부재(631)(631')의 경사면 보다 큰 각도를 이루는 가압 경사면(651)(651')이 구성된 것인바, 그 각각의 가압 경사면(651)(651')이 유동부재(631)(631')의 경사면(632)(632')의 사이로 진입됨과 동시에 가압 경사면(651)(651')을 가압하여 유동부재(631)(631')를 양측으로 벌리게 된다.
이에, 유동부재(631)(631')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과정에서 그 일측의 유동부재(631)는 밀착부재(620)를 가압 및 외측 가압판(400)을 가압하게 되고, 타측의 유동부재(631')는 에어공급 파이프(500)를 파이프의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며, 이에 에어공급 파이프(500)의 선단에 체결된 가압너트(510)가 내측 가압판(300)을 가압하여 러버부싱(200)을 압축시키게 되고, 그 압축에 의해 외둘레가 팽창되어 파이프(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이에 파이프(10) 내부의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파이프(10)의 내부 밀폐를 수행함에 있어 본 발명의 러버부싱(200)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그 외둘레면과 내주면을 평탄면 상태로 구성시에는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그 외둘레의 중앙 부분이 볼록하게 팽창되는 과정에서 파이프(10) 내주면의 밀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도 12의 도시와 같이 외둘레에 다수열의 가압돌조(240)(240')를 구성시에는, 각각의 가압돌조(240)(240') 외둘레가 밀착되어 파이프(10)와의 다수단 밀착에 따른 밀폐력의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도 13의 도시와 같이 내주면에 다수열의 팽창홈조(250)(250')를 구성시에는, 그 각각의 팽창홈조(250)(250')는 다른 부분에 비해 비교적 얇은 두께를 이루는 것인바, 팽창 과정에서 먼저 팽창되어 그 팽창홈조(250)(250')의 반대측 외둘레가 다수열로 부풀면서 밀착되어 파이프(10)와의 다수단 밀착에 따른 밀폐력의 증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러버부싱(200)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관통되는 러버부싱(200)의 관통공(231)에는 소정의 수축력이 부여되는 것인바, 러버부싱(200)의 관통공(231)과의 틈새를 차단하여 파이프(10) 내부의 완전한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도 8을 참조하여 도 14의 도시와 같이 러버부싱(200)과 제2 러버부싱(200') 등 그 밀폐수단을 복수로 구성하게 되면 각각의 러버부싱(200) 및 제2 러버부싱(200')의 팽창 밀폐를 통해 보다 안정된 밀폐력의 부여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후, 용접된 파이프(10)의 내부에 고압의 에어를 부여하되, 이를 위해서는 도 15의 도시와 같이 양단 중 어느 한 측의 에이공급 파이프(10)의 후단에 형성되는 개폐밸브(530)에 에어 공급장치(20)를 연결하면 된다.
이후, 에어 공급장치(20)가 연결된 개폐밸브(530)는 개방하고, 타측의 에어공급 파이프(500)에 형성되는 개폐밸브(530)는 폐쇄한 상태에서 파이프(10) 내부에 에어를 주입함으로 용접부(11)에 대한 에어리크(air leak)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는, 검사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내부를 밀폐함에 있어, 가압 체결부재의 간단한 조작으로 그 밀폐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사용상의 편리함과 긴밀한 밀폐가 가능하게 된다.
100 : 클램프 110,110' : 결착부재
111,111' : 걸림홈 120,120' : 플랜지부
200 : 러버부싱 200' : 제2 러버부싱
210 : 공간부 210' : 제2 공간부
220 : 개구단부 220' : 제2 개구단부
230 : 마감부 230' : 제2 마감부
231 : 관통공 231' : 관통공
232 : 걸림돌조 240,240' : 가압돌조
250,250' : 팽창홈조 270,270' : 격판
271 : 관통공
300 : 내측 가압판 310 : 관통공
400 : 외측 가압판 410 : 관통공
500 : 에어공급 파이프 501 : 내측 나사부
502 : 외측 나사부 510 : 가압너트
530 : 개폐밸브
600 : 가압 체결부재 610 : 너트체
620 : 밀착부재 630 : 가압부재
631,631' : 유동부재 631a : 암나사부
632,632' : 경사면 633,633' : 스프링 내입홈
634 : 인장 스프링 640 : 가압 조절구
641 : 가압부재 수용홈 645,645' : 가압볼트
650,650' : 쐐기부재 651,651' : 가압 경사면

Claims (5)

  1. 파이프 둘레를 결착하게 구성하되, 각각은 반원관 형태를 이루며 단부에는 플랜지부(120)(120')가 형성되어 서로 결합 가능한 양측 한 쌍의 결착부재(110)(110')로 된 클램프(100)와, 내부에 공간부(210)를 이루도록 일측은 개방된 개구단부(220)를 이루고 타측은 마감부(230)를 이루되, 마감부(230)의 중앙에는 관통공(231)이 형성된 러버부싱(200)와, 러버부싱(200)의 개구단부(220)에 밀착되어 공간부(210)을 마감하며, 중앙에는 관통공(310)에 형성된 내측 가압판(300)과, 러버부싱(200)의 마감부(230)의 단부면에 밀착되며, 중앙에는 관통공(410)이 형성된 외측 가압판(400)과, 내부가 관통된 관체 형태로 구성되어 외측 가압판(400)과 러버부싱(200)과 내측 가압판(300)의 관통공(410)(231)(310)을 관통하되, 선단에는 내측 가압판(300)을 가압하는 가압너트(510)가 체결되는 내측 나사부(501)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외측 가압판(400)을 가압하는 가압 체결부재(600)가 체결되는 외측 나사부(502)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관통된 내부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밸브(530)가 형성된 에어공급 파이프(500)를 포함하여 된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에 있어서,
    클램프(100)에는 각각의 결착부재(110)(110') 일측 내주면에는 서로 대항되는 걸림홈(111)(111')을 각각 더 형성하고,
    러버부싱(200)은 마감부(230) 둘레는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조(232)를 더 형성하며,
    외측 가압판(400)은 걸림돌조(232)와 동일한 외경을 이루게 구성하여, 결착부재(110)(110')를 이용한 파이프 결착시 러버부싱(200)의 걸림돌조(232) 및 외측 가압판(400)의 외둘레가 결착부재(110)(110')의 걸림홈(111)(111')에 걸림 지지되게 구성하며,
    가압 체결부재(600)는,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관통되며, 외측 가압판(400)에 밀착되는 밀착부재(620);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관통되며, 둘레에서 가압력을 부여시 에어공급 파이프(50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밀착부재(620)를 가압 및 에어공급 파이프(500)를 외측으로 당기는 가압부재(630); 및
    중앙이 관통되어 가압부재 수용홈(641)이 형성되고, 가압부재 수용홈(641)의 내주면에는 양측에서 가압부재(630)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한 쌍의 쐐기부재(650)(650')가 내입되며, 양측에는 각각의 쐐기부재(650)(650')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볼트(645)(645')가 나삽 관통된 가압 조절구(64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가압부재(630)는,
    대항되는 양측 한 쌍의 유동부재(631)(631')로 구성하고,
    일측의 유동부재(631)는 밀착부재(620)에 밀착 및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관통되고, 타측의 유동부재(631')는 암나사부(631a)가 형성되어 에어공급 파이프(500)의 외측 나사부(502)와 나삽되게 구성하며,
    양측 유동부재(631)(631')의 둘레는 대항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게 벌어지는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632)(632')을 이루게 구성하고, 대항면에는 스프링 내입홈(633)(633')이 각각 형성되어 인장 스프링(634)의 양측이 각각 내입 고정되며,
    각각의 쐐기부재(650)(650')는,
    서로 대항되는 반원링 형태를 이루게 구성하고,
    각각의 내주면 양측에는 유동부재(631)(631')의 사이에서 양측 경사면(632)(632')과 대응되는 가압 경사면(651)(651')을 이루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러버부싱(200)는,
    외둘레와 내주면이 매끈한 평탄면을 이루게 구성하거나,
    외둘레에 만곡한 곡률을 이루며 돌출되는 다수열의 가압돌조(240)(240')를 더 형성하거나,
    공간부(210) 내주면에 만곡한 곡률홈 형태를 이루는 다수열의 팽창홈조(250)(250')를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가압 체결부재(600)는,
    너트체(610)로 구성하되,
    너트체(610)가 외측 나사부(502)에 체결시 외측 가압판(400)에 지지됨과 동시에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나삽력에 의해 파이프의 외측으로 당겨지고, 그 에어공급 파이프(500)에 체결된 가압너트(510)가 내측 가압판(300)을 가압 및 러버부싱(200)를 압축 및 둘레가 팽창되어 파이프의 내주면에 밀착 밀폐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부싱(200)과 대항되는 제2 러버부싱(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에어공급 파이프(500)는 제2 러버부싱(200')의 길이만큼 연장되게 구성하며,
    제2 러버부싱(200')은,
    내부에는 제2 공간부(210)를 이루도록 일측은 러버부싱(200)의 개구단부(220) 측으로 개방되는 제2 개구단부(220')를 이루고, 타측은 중앙에 관통공(231')이 형성된 제2 마감부(230')로 마감되게 구성하며,
    러버부싱(200)의 개구단부(220)와 제2 러버부싱(200')의 제2 개구단부(220')의 사이에는 중앙에 관통공(271)이 형성된 격판(270)이 더 포함되게 구성하되,
    격판(270)을 사이에 두고 러버부싱(200)과 제2 러버부싱(200')이 개구단부(220) 및 제2 개구단부(220')가 면접되고, 제2 마감부(230')에는 내측 가압판(300)이 면접된 상태에서 에어공급 파이프(500)가 내측 가압판(300) 까지 관통 및 에어공급 파이프(500)의 내측 나사부(501)에 체결되는 가압너트(510)가 내측 가압판(300)을 가압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KR1020170046559A 2017-04-11 2017-04-11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KR10198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59A KR101987531B1 (ko) 2017-04-11 2017-04-11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59A KR101987531B1 (ko) 2017-04-11 2017-04-11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641A KR20180114641A (ko) 2018-10-19
KR101987531B1 true KR101987531B1 (ko) 2019-06-12

Family

ID=6410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559A KR101987531B1 (ko) 2017-04-11 2017-04-11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708B1 (ko) * 2018-02-23 2019-09-04 (주) 중원엔지니어링 에어 리크 테스트 장치
CN110307942A (zh) * 2019-06-20 2019-10-08 苏州市长峰激光技术有限公司 一种快换式密封检测工装、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102289636B1 (ko) * 2019-10-28 2021-08-17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내부에 유로 포함 구조체의 밀폐 검사 방법 및 밀폐 검사장치
CN114233940A (zh) * 2021-12-28 2022-03-25 石若金 一种防断裂泄漏的给排水管道
CN115750983B (zh) * 2022-10-25 2023-06-30 广东福斯特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管道压力试验的封堵用具
CN116429337B (zh) * 2023-06-09 2023-09-01 崇州市岷江塑胶有限公司 一种管道密封检测机构及其检测方法
CN117686159B (zh) * 2024-02-01 2024-04-12 武汉光谷蓝焰新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锅炉的密封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314A (ja) 2004-02-19 2005-09-02 Tokai Rubber Ind Ltd 配管の密栓方法
JP2008133910A (ja) 2006-11-29 2008-06-12 Takao Hirano 管路内面補修用加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067B1 (ko) 2002-05-22 200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파이프류 수밀검사용 파이프 단부 밀폐기구
KR20090000884U (ko) * 2007-07-24 2009-01-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압 테스트용 플러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314A (ja) 2004-02-19 2005-09-02 Tokai Rubber Ind Ltd 配管の密栓方法
JP2008133910A (ja) 2006-11-29 2008-06-12 Takao Hirano 管路内面補修用加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641A (ko) 2018-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531B1 (ko) 에어리크 검사용 파이프 밀폐장치
US8955551B2 (en) Pipe sealing tool with external and internal clamp
US10252405B2 (en) Bolt tensioning system
US8714202B2 (en) Pipe repair device
FI80793C (fi) Anordning foer laeckagedetektering.
US3215166A (en) Flanged joint for pipes
KR101455088B1 (ko) 고수압용 파이프 내압시험 장치 및 내압시험 설비
JP6133762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KR20140072571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RU138954U1 (ru) Обжимной фитинг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US7712795B2 (en) Pipe connection
KR101102334B1 (ko)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KR101902873B1 (ko) 유수관 커플러 유닛을 이용한 가압식 이형관 결합방법
JP2003161669A (ja) 管継手部の外水圧試験装置
CN210665275U (zh) 一种管材测试用不锈钢快速夹具
JP2014070950A (ja) 配管接続部の漏洩検査方法、漏洩検査用治具、漏洩検査用装置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JP4948082B2 (ja) 水圧試験装置
SU1739112A1 (ru) Герметичное соединение фланцев
KR101728954B1 (ko) 저압배관의 수밀도 점검용 수압 확인장치
US11686416B2 (en) Temporary trap door cap
JP7336496B2 (ja) 水密テスト機および検査方法
CN220271027U (zh) 一种pe给水管专用试压工装
JP5976408B2 (ja) 下水管用止水プラグおよび接続容器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