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153B1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153B1
KR101987153B1 KR1020130164097A KR20130164097A KR101987153B1 KR 101987153 B1 KR101987153 B1 KR 101987153B1 KR 1020130164097 A KR1020130164097 A KR 1020130164097A KR 20130164097 A KR20130164097 A KR 20130164097A KR 101987153 B1 KR101987153 B1 KR 101987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slider
smartphone
lower crad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785A (ko
Inventor
안재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1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차량 실내의 센터패시아 패널에 형성되며,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도킹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도킹부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전원단자에 대응하여 일단에 전원핀이 구비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마트폰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대응하여 일단부에 충전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단자가 상기 충전커넥터에 삽입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하부 크래들; 상기 하부 크래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 크래들;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기 스마트폰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크래들을 상기 하부 크래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및 상기 도킹부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충돌 시, 상기 지지대를 상기 도킹부로부터 이탈시키는 탈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SMART PHONE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실내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는 동시에, 충돌 발생 시에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고, 다양한 스마트폰 크기에 대응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현대인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전자제품으로써, 차량의 운전 중에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위해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생산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운전자가 운전대를 손으로 잡고 운전을 하는 중에도 용이하게 통화 또는 스마트폰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대시보드와 같은 패널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흡착판을 이용해 전면 유리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종래의 스마트폰 거대치 중, 접착제를 이용하여 차량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하여 접착제 성분의 효과가 떨어진 때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제거하는 때, 접착제 성분이 차량의 패널이 잔류하게 되어 미관상으로 좋지 않으며, 잔류 접착제를 제거하는 동안 차량의 패널도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유리에 탈부착을 하는 경우에는 흡착판의 효력이 감소하는 때 거치대가 전면 유리로부터 떨어지게 됨으로써, 거치대에 고정된 스마트폰이 스마트폰에 충격을 가해 고정을 발생시키거나, 운행 중일 경우에는 운전 방해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거치된 스마트폰의 충전을 위해 별도의 전원 잭을 전력라인에 연결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대형화됨에 따라 네비게이션 및 인터넷 기반 APP의 사용 시에 시인성이 향상되어 그 활용도가 증가됨에 따라, 차량에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차량에 별도의 장착부가 마련되지 않음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흡착판을 이용해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전면 유리에 장착해야만 하는 바, 장착성이 떨어지며, 제조사 별로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에 대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라인을 이용해 전원 잭을 연결하고, 이를 스마트폰과 연결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됨과 동시에, 전원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 실내의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전방 시계 법규에 저촉되는 위치에 설치될 경우, 운전자가 운전 중 시계를 방해받아 사각지대가 발생되어 추돌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 발생 시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고정된 스마트폰 거치대에 부딪혀 상해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센터 페시아 패널에 마련된 도킹부를 통해 직접 장착이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에 대응이 가능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탈거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차량 실내의 센터 페시아 패널에 형성되며,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도킹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도킹부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전원단자에 대응하여 일단에 전원핀이 구비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마트폰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대응하여 일단부에 충전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단자가 상기 충전커넥터에 삽입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하부 크래들; 상기 하부 크래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 크래들;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기 스마트폰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크래들을 상기 하부 크래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및 상기 도킹부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충돌 시, 상기 지지대를 상기 도킹부로부터 이탈시키는 탈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도킹부에 대응하는 일단에 상기 전원핀이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릴리즈 버튼; 및 상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도킹부에 형성되는 후크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일단을 상기 도킹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핀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에 형성되는 상기 충전커넥터와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가이드 로드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크래들과 연결되는 제1, 제2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가이드 로드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 크래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슬라이더는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기 레일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가이더에 의해 상기 레일홈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댐퍼에 대응하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기어열에 대응하여 회전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기어열에 치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노치에 걸려서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커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커는 상기 노치에 대응하는 일측에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를 통해 상기 노치에 삽입된 상태로 로킹되고,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를 누를 경우, 상기 노치로부터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로커는 상기 제1 슬라이더를 향하는 타단이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블록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탄성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탈거유닛은 상기 도킹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격력에 의한 상기 지지대와의 접촉에 의해 두께가 변형되는 충돌패드; 및 상기 후크홈에 대응하여 상기 충돌패드에 후단이 장착되고, 상기 후크홈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돌패드의 두께 변형에 따라 상기 후크홈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후크를 향하여 선단이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후크를 이동시키는 충격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패드는 그 재질이 상기 충격돌기의 재질보다 약한 경도를 갖는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 또는 서모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격돌기는 그 재질이 고경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의하면, 센터 페시아 패널에 마련된 도킹부를 통해 직접 장착이 가능하게 하면서 도킹부에 포함된 전원단자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라인을 제거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길이 방향으로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이동유닛을 통해 스마트폰의 크기에 맞게 상부 크래들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에 대응이 가능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해 센터 페시아 패널의 도킹부로부터 스마트폰 거치대가 자동으로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센터 페시아 패널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된 스마트폰 거치대로 인해 탑승자의 상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 거치대의 상부 높이를 운전자의 시계법규라인으로 준수함으로써, 주행 시, 시야가 분산되거나 사각지대 발생을 방지하고, 주요국가에서 발효중인 전방 시계분산 방지 법규에 저촉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수출 시에 법규 저촉으로 인한 필드 클레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적용되는 이동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대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적용된 차량에서 충돌 발생 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에 적용되는 이동유닛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대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센터 페시아 패널(3)에 마련된 도킹부(5)를 통해 직접 장착이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10)에 대응이 가능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탈거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실내의 센터패시아 패널(3)에 형성되며, 전원단자(7)를 포함하는 도킹부(5)에 장착되는 것으로, 지지대(110), 하부 크래들(120), 상부 크래들(130), 이동유닛(140), 및 탈거유닛(16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지지대(110)는 상기 도킹부(5)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전원단자(7)에 대응하여 일단에 전원핀(111)이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대(110)는 몸체부(113), 릴리즈 버튼(115), 및 고정후크(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113)는 상기 도킹부(5)에 대응하는 일단에 상기 전원핀(111)이 구비된다.
이러한 몸체부(113)의 일측에는 상기 릴리즈 버튼(11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후크(117)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릴리즈 버튼(115)의 작동에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부(113)의 일단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도킹부(5)에 형성되는 후크홈(9)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113)의 일단을 상기 도킹부(5)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후크(117)는 상기 전원핀(11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고, 상기 전원핀(111)을 기준으로 일측에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3)의 일단에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크래들(120)은 상기 지지대(1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마트폰(10)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대응하여 일단부에 충전커넥터(121)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10)의 충전단자가 상기 충전커넥터(121)에 삽입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을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핀(111)은 상기 몸체부(113)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120)에 형성되는 상기 충전커넥터(121)와 전선(12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하부 크래들(120)은 사용자가 지지대(110) 상에서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스마트폰(10)을 세로 또는 가로로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크래들(130)은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10)의 상부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유닛(140)은 상기 하부 크래들(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기 스마트폰(10)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크래들(130)을 상기 하부 크래들(120)로부터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유닛(14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슬라이더(141, 143), 제1 탄성부재(145), 및 댐퍼(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 제2 슬라이더(141, 143)는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레일홈(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가이드 로드(144)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크래들(130)과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제2 슬라이더(141, 143)는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상기 레일홈(142)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가이더(149)에 의해 상기 레일홈(142)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탄성부재(145)는 상기 제1 슬라이더(141)의 가이드 로드(144)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슬라이더(141)와 상기 하부 크래들(120)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141)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재(145)는 상기 제1 슬라이더(141)의 가이드 로드(144)에 삽입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제1 슬라이더(141)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부재(145)는 상기 제1 슬라이더(141)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레일홈(142)을 따라 제1 슬라이더(141)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부 크래들(130)을 통해 연결된 상기 제2 슬라이더(143)도 레일홈(142)을 따라 제1 슬라이더(141)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부 크래들(130)을 하부 크래들(120)로부터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147)는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141)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141)의 이동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라이더(141)는 상기 댐퍼에 대응하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열(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147)는 상기 기어열(151)에 대응하여 회전기어(15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기어(153)가 상기 기어열(151)에 치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슬라이더(141)는 제1 탄성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시, 기어열(151)에 회전기어(153)를 통해 치합된 댐퍼(147)에 의해 레일홈(142) 상에서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슬라이더(143)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노치(155)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155)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노치(155)에 걸려서 상기 제2 슬라이더(143)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커(1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커(157)는 상기 노치(155)에 대응하는 일측에 다수개의 걸림돌기(158)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158)를 통해 상기 노치(155)에 삽입된 상태로 로킹되고,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를 누를 경우, 상기 노치(155)로부터 로킹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로커(157)는 상기 제1 슬라이더(141)를 향하는 타단이 상기 하부 크래들(120)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블록(156)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탄성부재(159)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159)는 지지블록(156)에 일단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로커(157)가 하부 크래들(120)의 외부로 항상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상기 노치(155)에 항상 걸려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유닛(140)은 사용자가 상기 로커(157)를 누르면, 중앙 크래들(120)의 내부에서 제1 탄성부재(145)에 의해 제1, 제2 슬라이더(141, 143)가 상승됨에 따라, 중앙 크래들(120)로부터 상부 크래들(130)이 상승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10)의 상단에 상부 크래들(130)이 접촉되도록 누르면, 상승된 상태의 상부 크래들(130)을 누르면, 상부 크래들(130)이 스마트폰(10)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로커(157)의 걸림돌기(158)가 제2 탄성부재(159)의 탄성력에 의해 노치(155)에 걸린 상태가 됨으로서, 상부 크래들(130)이 고정된다.
이러한 작동을 통해 스마트폰(10)은 상부가 상부 크래들(13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거유닛(160)은 상기 도킹부(5)와 지지대(110)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충돌 시, 상기 지지대(110)를 상기 도킹부(5)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탈거유닛(16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충돌패드(161)와 충격돌기(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충돌패드(163)는 상기 도킹부(5)와 상기 지지대(110) 사이에 개재되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격력에 의한 지지대(110)와의 접촉에 의해 두께가 변형된다.
여기서, 상기 충돌패드(163)는 그 재질이 상기 충격돌기(163)의 재질보다 약한 경도를 갖는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 또는 서모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돌기(163)는 상기 후크홈(9)에 대응하여 상기 충돌패드(163)에 후단이 장착되고, 상기 후크홈(9)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돌패드(161)의 두께 변형 시, 상기 후크홈(9)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후크(117)를 향하여 선단이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후크(117)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충격돌기(163)는 그 재질이 고경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가 적용된 차량에서 충돌 발생 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탈거유닛(160)은 차량의 전방 충돌이 발생되면, 도 3과 같은 초기 장착 상태에서, 충돌패드(161)가 도킹부(5)와 지지대(110) 사이에서 충격력에 의해 지지대(110)와 접촉되면서 그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충격돌기(163)는, 도 4와 같이, 상기 지지대(110)에 의해 고정후크(117)를 향해 이동되면서 후크홈(9)에 고정된 상태의 고정후크(117)를 밀어냄으로써, 고정이 해제되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도 3과 도 4에서는 상기 충격돌기(163)가 삽입되는 상기 고정후크(117)에 형성된 결합홈의 깊이가 깊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충격돌기(163)가 상기 결합홈에 지지되는 구조를 명확히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고정후크(117)에 형성된 결합홈의 깊이는 상기 후크홈(9)에 삽입된 상기 고정후크(117)가 상기 도킹부(5)의 내측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도킹부(5)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기 고정후크(117)에 충격돌기(163)가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후크(117)의 결합홈에 지지된 상기 충격돌기(163)가 상기 고정후크(117)를 향하여 상기 도킹부(5)의 내부로 이동되면, 상기 고정후크(117)는 상기 후크홈(9)의 내부로 일정부분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부(113)의 자중에 의해 상기 도킹부(5)의 내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 때, 상기 충격돌기(163)는 상기 고정후크(117)의 결합홈으로부터 원활하게 이탈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지지대(110)에 연결된 상, 하부 크래들(120, 130)의 자중에 의해 차량의 실내 바닥을 향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도킹부(5)로부터 자동으로 탈거되어 운전자와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설명함에 있어,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크래들(120)로부터 이동유닛(140)을 통해 상부 크래들(130)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유닛(140)의 작동 방향을 좌, 우측으로 변경하고, 이 이동유닛(140)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는 좌, 우 크래들을 통해 스마트폰(10)을 폭 방향으로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적용하면, 센터 페시아 패널(3)에 마련된 도킹부(5)를 통해 직접 장착이 가능하게 하면서 도킹부(5)에 포함된 전원단자(7)와 접촉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전원라인을 제거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0)의 길이 방향으로 높낮이를 가변시키는 이동유닛(140)을 통해 스마트폰(10)의 크기에 맞게 상부 크래들(13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10)에 대응이 가능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충돌 시에 발생되는 충격력을 이용해 센터 페시아 패널(3)의 도킹부(5)로부터 스마트폰 거치대(10)가 자동으로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센터 페시아 패널(3)로부터 돌출되게 장착된 스마트폰 거치대(100)로 인해 탑승자의 상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상부 높이를 운전자의 시계법규라인으로 준수함으로써, 주행 시, 시야가 분산되거나 사각지대 발생을 방지하고, 주요국가에서 발효중인 전방 시계분산 방지 법규에 저촉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수출 시에 법규 저촉으로 인한 필드 클레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3 : 센터 페시아 패널 5 : 도킹부
7 : 전원단자 9 : 후크홈
10 : 스마트폰 100 : 스마트폰 거치대
110 : 지지대 111 : 전원핀
113 : 몸체부 115 : 릴리즈 버튼
117 : 고정후크 120 : 하부 크래들
121 : 충전 커넥터 123 : 전선
130 : 상부 크래들 140 : 이동유닛
141, 143 : 제1, 제2 슬라이더 142 : 레일홈
144 : 가이드 로드 145 : 제1 탄성부재
147 : 댐퍼 149 : 가이더
151 : 기어열 153 : 회전기어
155 : 노치 156 : 지지블록
157 : 로커 158 : 걸림돌기
159 : 제2 탄성부재 160 : 탈거유닛
161 : 충격패드 163 : 충격돌기

Claims (13)

  1. 차량 실내의 센터 페시아 패널에 형성되며, 전원단자를 포함하는 도킹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도킹부에 선택적으로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전원단자에 대응하여 일단에 전원핀이 구비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마트폰의 하부에 형성된 충전단자에 대응하여 일단부에 충전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단자가 상기 충전커넥터에 삽입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하단을 고정시키는 하부 크래들;
    상기 하부 크래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 크래들;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양한 크기를 갖는 상기 스마트폰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크래들을 상기 하부 크래들로부터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및
    상기 도킹부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방 충돌 시, 상기 지지대를 상기 도킹부로부터 이탈시키는 탈거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도킹부에 대응하는 일단에 상기 전원핀이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릴리즈 버튼; 및
    상기 릴리즈 버튼의 작동에 여부에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도킹부에 형성되는 후크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의 일단을 상기 도킹부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후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핀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에 형성되는 상기 충전커넥터와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레일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가이드 로드가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 크래들과 연결되는 제1, 제2 슬라이더;
    상기 제1 슬라이더의 가이드 로드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 슬라이더와 상기 하부 크래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댐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슬라이더는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상기 레일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가이더에 의해 상기 레일홈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댐퍼에 대응하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기어열에 대응하여 회전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회전기어가 상기 기어열에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더는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노치가 형성되며, 상기 노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서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노치에 걸려서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노치에 대응하는 일측에 다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를 통해 상기 노치에 삽입된 상태로 로킹되고, 사용자가 외부로 돌출된 일단부를 누를 경우, 상기 노치로부터 로킹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기 제1 슬라이더를 향하는 타단이 상기 하부 크래들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블록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탄성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거유닛은
    상기 도킹부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개재되며, 차량의 충돌 발생 시, 충격력에 의한 상기 지지대와의 접촉에 의해 두께가 변형되는 충돌패드; 및
    상기 후크홈에 대응하여 상기 충돌패드에 후단이 장착되고, 상기 후크홈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돌패드의 두께 변형에 따라 상기 후크홈으로 삽입된 상기 고정후크를 향하여 선단이 돌출되면서 상기 고정후크를 이동시키는 충격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패드는
    그 재질이 상기 충격돌기의 재질보다 약한 경도를 갖는 서모 플라스틱 올레핀 또는 서모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돌기는
    그 재질이 고경도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0130164097A 2013-12-26 2013-12-26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987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097A KR101987153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097A KR101987153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85A KR20150075785A (ko) 2015-07-06
KR101987153B1 true KR101987153B1 (ko) 2019-06-10

Family

ID=53788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097A KR101987153B1 (ko) 2013-12-26 2013-12-26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275B1 (ko) 2015-12-14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마트폰 거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99B1 (ko) 2005-07-06 2006-09-20 이호상 핸드폰케이스 회전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677Y1 (ko) * 1998-11-17 2000-12-01 민경훈 자동차용휴대폰거치대
KR101239024B1 (ko) * 2010-10-12 2013-03-04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단말기 거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699B1 (ko) 2005-07-06 2006-09-20 이호상 핸드폰케이스 회전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785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1112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500380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782273B1 (ko) 차량 시트의 수용 장치의 신축식 커버 요소
US9537990B2 (en) Holder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ner structure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device
KR20110025532A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 장치
CN106864384B (zh) 车辆的智能手机保持设备
US9975493B2 (en) Vehicular console device
KR200488939Y1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KR101369672B1 (ko) 자동차용 무선 충전용 핸드폰 수납함
CN104512349A (zh) 用于遮阳板的显示设备固定装置
JP6240606B2 (ja) 乗り物用シート装置
KR101987153B1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GB2450858A (en) Vehicle seat mounting with docking unit to receive leg on video display
JP2014234009A (ja) 車両用装置の取付構造
KR20140115608A (ko) 차량용 핸드폰 거치대
KR101517730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로워 트림에 구비되는 우산꽂이
KR20190137424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211280844U (zh) 一种可无线充电的汽车用储物盒
CN211344541U (zh) 一种屏幕支架及车辆
KR200489154Y1 (ko) 차량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JP2014151840A (ja) ルーフライニングの仮保持構造
CN201961247U (zh) 水平式承载架
JP2020031282A (ja) 自動車用スマートフォンホルダ
CN220764258U (zh) 车载平板固定装置
KR101447930B1 (ko) 자동차용 포착암 절곡형 컵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