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795B1 - 친환경형 생태관 - Google Patents

친환경형 생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795B1
KR101986795B1 KR1020170050240A KR20170050240A KR101986795B1 KR 101986795 B1 KR101986795 B1 KR 101986795B1 KR 1020170050240 A KR1020170050240 A KR 1020170050240A KR 20170050240 A KR20170050240 A KR 20170050240A KR 101986795 B1 KR101986795 B1 KR 101986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pace
eco
tank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7303A (ko
Inventor
이영표
박재경
배형준
Original Assignee
이영표
박대득
배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표, 박대득, 배형준 filed Critical 이영표
Priority to KR102017005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7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수생식물 또는 관상어 등이 지속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생태관 내에 자연 친화적인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형 생태관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형 생태관은
외측면에 방부목재의 장식용 외장재가 부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대;
전면 및 좌우 양측면이 투명체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고, 바닥면에 모래층이 채워지며 관상용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제1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며 뒷쪽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메인 수조;
상기 메인 수조 내의 테이블 위에 안착되고, 관상용 열대어가 서식할 수 있는 제2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투명체의 보조 수조;
상기 보조 수조의 제2공간에 연통되도록 이면에 연장형성되는 포트에 수용되고, 펌프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공간에 강제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재가 내설되며, 바닥면에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관통형성되며, 바닥면에 받침다리가 연장형성되는 여과통;
상기 메인 수조에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보조 수조의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관상용 열대어의 배설물 등을 포함하는 찌꺼기와, 상기 메인 수조의 관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찌꺼기를 임의주기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가 구비되는 배수통;
상기 메인 수조의 제1공간과 경계를 이루는 자연석과, 상기 자연석 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메인 수조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난석층과, 상기 난석층 위에 적층되어 배수를 위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 위에 적토되는 토양층과, 상기 토양층에 식재되어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정화용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형 생태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친환경형 생태관{a eco-friendly ecotarium}
본 명세서는 생태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생식물 또는 관상어 등이 지속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생태관 내에 자연 친화적인 생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친환경형 생태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가습기는 살균 기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가습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인체의 호흡기관 질환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가습기에 대한 사회적 불신과 불안이 팽배해짐에 따라 심각한 사회적 갈등을 야기시키고 있고, 사회병리현상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실내에 설치되는 수족관 내에 관상어가 유영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고, 수생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수족관 내의 식재함 등에 반 음지식물, 관엽식물, 꽃 등을 심어 인테리어 기능 및 관상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관상어를 수용하는 관상용 수족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상용 수족관에서는 관상어(일반적으로 열대어 등을 말함)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 기타 찌꺼기 등이 고여 있게 되면 유기물의 축적 등으로 인한 수질 악화로 인해 냄새가 발생되어 실내 공기를 오염시킴은 물론이고 값비싼 관상어 등의 폐사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관상용 수족관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관상어, 금붕어, 모래, 난석층, 식물 등을 수족관으로부터 모두 들어내어 수족관 내부를 세척하고, 수족관 내의 물을 자주 환수시키거나 배출시키는 작업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식물에 대한 물 관리를 주기적으로 해야 되므로 번거러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화학 약품, 또는 강제 폭기를 통하여 수족관 내의 수질을 개선하고 있으나 수질 개선 효과에 한계가 있고, 약품 사용에 따라 관상어의 생육에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는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반면에, 수족관 내의 수질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터식 외부 여과장치를 이용하게 될 경우 여과필터를 대부분 수입하는 실정이여서 수족관을 관리하는데 경제적인 부담을 갖는다.
이로 인해, 여과용 필터의 교체시기를 관리자의 부주의, 또는 무의식적으로 자주 미루게 되어 수족관 내의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출원번호 10-2012-0027680호에 자연 생태 환경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식물과 관상어의 상호 유기적인 작용에 의한 자연 생물학적 정화기능으로 인해 생태관 내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생태관 내의 물을 인위적으로 물갈이 하는 작업과정 및 별도의 배수시설이 불필요하여 용이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형 생태관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금붕어, 관상어의 배설물 등을 활성탄 등에 의해 여과시켜 정수처리하거나, 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양액(SM)에 의해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형 생태관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생태관 외측면에 구비되는 장식용 방부목재에 의해 생태관이 설치되는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게 되어 인테리어 기능 및 관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형 생태관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생태관에 생육되는 공기정화용 수생식물(관엽 식물,반음지 식물 등을 말함)에 의해 실내의 오염된 먼지, 또는 공기를 자연 청정상태로 정화시킬 수 있어 별도의 실내 가습기 또는 공기정화장치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는, 친환경형 생태관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형 생태관은
외측면에 방부목재의 장식용 외장재가 부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대;
전면 및 좌우 양측면이 투명체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고, 바닥면에 모래층이 채워지며 관상용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제1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며 뒷쪽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메인 수조;
상기 메인 수조 내의 테이블 위에 안착되고, 관상용 열대어가 서식할 수 있는 제2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투명체의 보조 수조;
상기 보조 수조의 제2공간에 연통되도록 이면에 연장형성되는 포트에 수용되고, 펌프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공간에 강제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재가 내설되며, 바닥면에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관통형성되며, 바닥면에 받침다리가 연장형성되는 여과통;
상기 메인 수조에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고, 보조 수조의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관상용 열대어의 배설물 등을 포함하는 찌꺼기와, 상기 메인 수조의 관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찌꺼기를 임의주기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가 구비되는 배수통;
상기 메인 수조의 제1공간과 경계를 이루는 자연석과, 상기 자연석 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메인 수조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난석층과, 상기 난석층 위에 적층되어 배수를 위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 위에 적토되는 토양층과, 상기 토양층에 식재되어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정화용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형 생태관을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식물과 관상어의 상호 유기적인 작용에 의한 자연 생물학적 정화기능(유기물질을 식물영양액으로 발효분해시킴에 따라 식물이 유기물질을 흡수하여 수질을 정화시키게 됨을 말함)으로 인해 생태관 내의 수질을 향상시키고, 식물 활성화용 양액(SM)에 의해 냄새를 제거시킴에 따라, 생태관 내의 물을 인위적으로 물갈이하는 작업과정 및 별도의 배수시설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하여 실용성 및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생태관 외측면에 구비되는 장식용 방부목재에 의해 생태관이 설치되는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게 되어 생태관이 친환경적이고 인테리어 기능 및 관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호기심이 강한 유아들 또는 어린이들이 동식물이 공존하는 자연상태의 생육환경을 실내에서 관찰하게 되어 자연학습자료로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생태관에 생육되는 공기정화용 수생식물에 의해 실내의 오염된 먼지, 또는 공기를 자연 청정상태로 정화시킴에 따라 별도의 실내 가습기 또는 공기정화장치의 사용이 불필요하여 신뢰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친환경형 생태관에서, 보조수조가 장착된 메인수조 및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태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생태관에서, 여과통이 장착된 보조 수조의 사시도,
도 3(b)은 도 1에 도시된 생태관에서, 보조 수조에 내설되는 여과통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생태관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형 생태관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형 생태관은
외측면에 방부목재, 대리석, ABS 등의 장식용 외장재(10)가 부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11)이 형성되는 받침대(12);
전면 및 좌,우 양측면이 투명체(일 예로서, 아크릴재, 강화유리재 등이 사용될 수 있음)로 형성되어 받침대(12) 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고, 바닥면에 모래층(13)이 채워지며 관상용 물고기(금붕어 등을 말함)가 서식할 수 있는 제1공간(14)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며 뒷쪽 바닥면에 관통공(15)이 형성되는 메인 수조(16);
메인 수조(16) 내의 테이블(17) 위에 안착되고, 관상용 열대어가 서식할 수 있는 제2공간(18)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는 투명체(일 예로서, 아크릴재, 강화유리재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의 보조 수조(19);
보조 수조(19)의 제2공간(18)에 연통되도록 이면에 연장형성되는 포트(19a)에 수용되고, 펌프(20) 구동에 의해 배수통(25)으로부터 제2공간(18)에 강제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재(21)(일 예로서, 활성탄, 스펀지, 여과솜, 황토볼(하이드로볼), 제오라이트 등을 말함)가 내설되며, 바닥면에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공(22)이 관통형성되며, 바닥면에 받침다리(23a)가 연장형성되는 여과통(23);
메인 수조(16)에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연장형성되어 수납공간(11)에 수용되고, 보조 수조(19)의 포트(19a)로부터 배출되는 관상용 열대어의 배설물 등을 포함하는 찌꺼기와, 메인 수조(16)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15)을 통해 배출되는 관상용 열대어의 배설물 등을 포함하는 찌꺼기 등을 임의주기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24)가 구비되는 배수통(25);
메인 수조(16)의 제1공간(14)과 경계를 이루는 자연석(26)과, 자연석(26) 후방으로 배치되고 메인 수조(16)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난석층(27)과, 난석층(27) 위에 적층되어 배수를 위한 모래층(28)과, 모래층(28) 위에 적토되는 토양층(29)과, 토양층(29)에 식재되어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정화용 수생식물(30) 등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층(31);을 구비한다.
여과통(23)은
배수통(25)으로부터 여과통(23)에 유입되어 여과재(21)에 의해 여과된 후, 바닥면의 배출공(22)을 통해 배출되는 물 흐름을 지체시킬 수 있도록 여과통(23) 내부를 구획하는 복수의 격벽(32,32a)을 구비하되,
여과통(23) 내부에서 순환되는 물 흐름방향이 S자 형태로 이루도록 격벽(32,32a) 중 하나의 격벽(32) 하단은 여과통(23)의 바닥면으로부터 임의거리만큼 이격되고, 격벽(32,32a) 중 다른 하나의 격벽(32a) 하단은 여과통(23) 바닥면에 밀착되고 동시에 격벽(32a) 상단은 여과통(23) 측벽보다 낮은 높이를 유지하여 형성된다.
환풍용 송풍팬(미 도시됨);
메인 수조(16)의 후방측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환풍용 송풍팬으로부터 이송되는 공기를 전면의 배출공(33)을 통해 수생식물에 토출하거나, 또는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이송용 덕트(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환풍용 송풍팬(미 도시됨)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압이 공기이송용 덕트(34)에 형성된 배출공(33)을 통과하여 공기정화용 수생식물(30) 주변에 분사된다.
따라서, 동절기에서와 같이 실내공기를 장시간동안 환기시키지 않을 경우에도 공기정화용 수생식물(30)이 공기 정체로 인해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메인 수조(16)의 제1공간(14) 및 보조 수조(19)의 제2공간(18)에 설정된 주기별로 물을 공급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펌프(20)의 구동 및 드레인밸브(24)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 도시됨);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드레인밸브(24)는
메인 수조(16)로부터 배수통(25)에 배출되는 이물질을 설정된 주기별로 배출시킴에 따라 메인 수조(16)의 제1공간(14)에 채워지는 용수를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시 온(ON) 상태로 절환되어 드레인밸브(24)를 개방상태로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과통(23)은 보조 수조(19) 위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로 인해 여과통(23)에 수용되는 여과재(21)를 교체할 경우 보조 수조(19)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메인 수조(16)에 수용되고, 여과통(23)에 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펌프(20)를 수용하여 메인 수조(16)에 채워지는 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한 수납통(3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펌프(20)를 수납통(35)에 수용하여 메인 수조(16)의 물로부터 격리시킴에 따라 펌프(20)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값비싼 수중펌프를 사용하지않고 상대적으로 저가인 일반 펌프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친환경형 생태관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메인 수조(10) 및 보조 수조(19)에 채워지는 용수에 의해 생태관이 설치되는 실내공간의 습도를 조절하여 천연 가습기 역할을 할 수 있음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 수조(16)가 안착되는 받침대(12)의 외측면을 목재 특유의 질감이 뛰어난 방부목재, 또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난 ABS 등을 이루어진 장식용 외장재(10)에 의해 빙둘러 감싸게 된다.
이로 인해, 생태관의 외측을 감싸는 장식용 외장재(10)가 자연친화적이고, 실내 인테리어 기능을 발휘하게 되므로 생태관이 설치되는 주변환경과 조화를 맞출 수 있게 된다.
메인 수조(16)의 제1공간(14)에 모래층(13)이 채워지고, 모래층(13)에 공급되는 용수에 금붕어와 같은 관상어를 수용하게 된다.
메인 수조(16) 내의 테이블(17)에 안착되는 보조 수조(19)의 제2공간(18)에 관상용 열대어를 수용하게 된다. 이때 펌프(20)에 의해 메인 수조(16)의 배수통(25)으로부터 호스(P1)를 통해 토출되는 용수는 여과통(23)에 공급된 후, 여과통(23) 내의 여과재(21)에 의해 용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일 예로서, 관상용 열대어 등의 배설물을 말함)을 여과시켜 정수처리된 물이 제2공간(18)에 급수된다.
한편, 여과통(23)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22)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은 펌프(20)에 의해 호스(P2)를 통해 메인 수조(16)의 외측면에 설치된 밸브(V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펌프(20)에 의해 배수통(25)으로부터 호스(P1)를 통해 토출되는 용수가 여과통(23)에 공급될 경우, 여과통(23)에 설치된 격벽(32,32a)에 의해 용수 흐름을 지연시키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격벽(32) 하단이 여과통(23)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여과통(23)에 유입되어 여과재(21)에 의해 정수처리된 용수 중 일부 용수는 격벽(32)의 하단과 여과통(23) 바닥면 사이의 틈새(s)를 통과하여 흐름 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틈새(s)를 통과한 용수가 격벽(32)과 대향되는 다른 격벽(32a)의 상단을 통과할 경우 다시 흐름방향을 변경하게 된다. 따라서 배수통(25)으로부터 여과통(23)에 유입되는 용수(관상용 열대어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 유기물이 용수에 포함되어 있음)를 격벽(32,32a)에 의해 S자 형태의 유선을 형성하게 되어 흐름을 지체시킴에 따라, 여과통(23)에 유입된 용수를 여과통(23) 내의 여과재(21)에 의해 정수처리할 수 있게 된다.
즉, 보조 수조(19)의 제2공간(18)에 공급되는 용수는 여과재(21)에 의해 정수처리된 상태이므로 메인 수조(16)의 제1공간(14)에 공급되는 용수보다 상대적으로 수질이 개선된 상태의 물 이다.
따라서, 여과통(23)에서 정수처리된 용수는 보조 수조(19)의 측벽에 형성된 절취부(19a)를 통과하여 관상용 열대어가 수용된 제2공간(18)으로 이동된다.
한편, 여과통(23)에 유입되는 용수 중 찌꺼기 등을 포함하는 용수 일부는 여과통(23)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배출공(22)을 통과하여 메인 수조(16)의 제1공간(14)의 용수에 혼합된다.
한편, 관상용 열대어 등의 배설물, 유기물, 또는 찌꺼기 등이 모아지는 배수통(25)에 연통되는 메인 수조(16)의 물에 수경재배용 식물영양액(SM)을 희석시켜 순환시킴에 따라 메인 수조(16)의 수질을 개선시켜 냄새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수경재배용 식물영양액이 희석된 용수를 식물식재층(31)의 공기정화용 수생식물(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펌프의 구동에 의해 메인 수조(16)의 제1공간(14)의 용수를 공기정화용 수생식물(30)에 공급하는 것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식물 식재층(31)의 토양층(29)에 식재되어 생육되는 반 음지식물, 관엽식물 등의 공기정화용 수생식물(30)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실내 습도 및 공기중에 포함되는 환경유해물질, 전자파를 흡수, 제거하게 되므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정화용 수생식물(30)과 보조 수조(19)의 제2공간(18)에 수용되는 관상용 열대어의 상호 유기적인 작용에 의한 자연 생물학적 정화기능으로 인해 메인 수조(16)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수조(16)의 제1공간(14)에 채워지는 용수에 포함되는 관상용 열대어 등의 배설물을 포함한 찌꺼기가 메인 수조(16)의 바닥면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5)을 통과하여 배수통(25)으로 낙하된다.
이때, 배수통(25)에 모아지는 찌꺼기가 누적되는 경우 메인 수조(16)의 측면에 설치된 드레인밸브(24)를 개방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미 도시됨)에 의해 드레인밸브(24)(일 예로서,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시 온(ON) 상태로 절환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드레인밸브(24)를 개방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음)를 설정된 주기별로 개방상태로 작동시킴에 따라 배수통(25)에 모아진 찌꺼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생태관 내의 물을 임의주기를 유지하여 인위적으로 물갈이 하는 작업과정 및 별도의 배수시설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생태관을 용이하게 사후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메인 수조(16)의 제1공간(14), 또는 보조 수조(19)의 제2공간(18)에 채워지는 수질 또는 pH값을 측정하되 측정값을 친환경형 생태관 관리자에게 수시로 전달함에 따라, 하절기에서와 같이 수온 급상승으로 인한 수질 저하 등으로 인해 보조 수조(19)의 제2공간(18)에 수용되는 값비싼 관상용 열대어가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의 내용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장식용 외장재
11; 수납공간
12; 받침대
13; 모래층
14; 제1공간
15; 관통공
16; 메인 수조
17; 테이블
18; 제2공간
19; 보조 수조
20; 펌프
21; 여과재
22; 배출공
23; 여과통
24; 드레인밸브
25; 배수통
26; 자연석
27; 난석층
28; 모래층
29; 토양층
30; 수생식물
31; 식물 식재층
32; 격벽
33; 배출공
34; 덕트
35; 수납통

Claims (6)

  1. 외측면에 방부목재의 장식용 외장재가 부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대;
    전면 및 좌우 양측면이 투명체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고, 바닥면에 모래층이 채워지며 관상용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제1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며 뒷쪽 바닥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메인 수조;
    상기 메인 수조의 제1공간과 경계를 이루는 자연석과, 상기 자연석 후방으로 배치되고 상기 메인 수조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난석층과, 상기 난석층 위에 적층되어 배수를 위한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 위에 적토되는 토양층과, 상기 토양층에 식재되어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정화용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층;을 구비하는 친환경형 생태관에 있어서,
    상기 메인 수조 내의 테이블 위에 안착되고, 관상용 열대어가 서식할 수 있는 제2공간이 형성되며, 측벽에 여과통에서 정수 처리된 용수가 유입될 수 있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는 투명체의 보조 수조;
    상기 보조 수조의 제2공간에 연통되도록 이면에 연장형성되는 포트에 수용되고, 펌프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공간에 강제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재가 내설되며, 바닥면에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관통형성되며, 바닥면에 받침다리가 연장 형성되는 여과통;
    상기 메인 수조에 연통되도록 바닥면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보조 수조의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관상용 열대어의 배설물 등을 포함하는 찌꺼기와, 상기 메인 수조의 관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찌꺼기를 임의주기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가 구비되는 배수통;
    상기 메인 수조에 수용되고, 상기 여과통에 물을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한 상기 펌프를 수용하여 상기 메인 수조에 채워지는 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한 수납통;
    상기 메인 수조의 후방측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환풍용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전면의 배출공을 통해 상기 수생식물 주변에 분사하여 실내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이송용 덕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형 생태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50240A 2017-04-19 2017-04-19 친환경형 생태관 KR101986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40A KR101986795B1 (ko) 2017-04-19 2017-04-19 친환경형 생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240A KR101986795B1 (ko) 2017-04-19 2017-04-19 친환경형 생태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303A KR20180117303A (ko) 2018-10-29
KR101986795B1 true KR101986795B1 (ko) 2019-06-07

Family

ID=6410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240A KR101986795B1 (ko) 2017-04-19 2017-04-19 친환경형 생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9029A (zh) * 2019-08-12 2019-09-24 黄景辉 一种简易换水的水草景观鱼缸
KR20210028933A (ko) 2019-09-05 2021-03-15 김현경 실내용 생태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6468A (zh) * 2017-11-09 2018-02-23 北京工业大学 智能雨林空气净化加湿器
CN111109186A (zh) * 2020-03-03 2020-05-08 商丘师范学院 一种建筑物阳台生态养殖系统
CN112674022A (zh) * 2020-12-30 2021-04-20 苏州鱼之源生物科技有限公司 高密度培育名贵鱼类优质苗种的设备及构建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3023B2 (ja) * 1998-02-13 2002-03-04 株式会社野田自動車工業所 水質浄化装置
KR101078315B1 (ko) * 2011-01-24 2011-11-01 박금희 환경친화형 생태 플렌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902A (ko) * 2011-02-10 2012-08-20 (주)푸르미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
KR20160111766A (ko) * 2015-03-17 2016-09-27 김준배 공기정화 및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식생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3023B2 (ja) * 1998-02-13 2002-03-04 株式会社野田自動車工業所 水質浄化装置
KR101078315B1 (ko) * 2011-01-24 2011-11-01 박금희 환경친화형 생태 플렌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9029A (zh) * 2019-08-12 2019-09-24 黄景辉 一种简易换水的水草景观鱼缸
KR20210028933A (ko) 2019-09-05 2021-03-15 김현경 실내용 생태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303A (ko)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6795B1 (ko) 친환경형 생태관
CA1272026A (en) Terrarium/aquarium combination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KR101479977B1 (ko)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1923530B1 (ko) 아쿠아포닉스시스템
KR101441040B1 (ko)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CN111418385A (zh) 用于植物生长的设备和生长装置
KR101416489B1 (ko)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101656516B1 (ko) 벽면정원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80007503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정원용 식생모듈
KR101429678B1 (ko)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KR101698643B1 (ko) 수조용 올인원 여과 장치
KR101612756B1 (ko)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CN105746441B (zh) 半水生萤火虫的室内规模化人工养殖方法
KR101527952B1 (ko) 공기 소독청정기
KR101652488B1 (ko) 실내 조경용 수경 재배기의 바디
KR100392352B1 (ko)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KR20190062083A (ko) 식물 재배 기능을 갖는 휴대용 수족관
KR200462881Y1 (ko) 수족관이 결합된 수경재배 정원
KR20110087571A (ko) 수경 수족관
KR101085597B1 (ko) 다중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101777675B1 (ko) 해삼 양식 시스템
KR102188639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KR100999174B1 (ko) 환경친화형 다용도 수족관
CN205727664U (zh) 充分过滤水族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