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352B1 -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 Google Patents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352B1
KR100392352B1 KR10-2001-0017650A KR20010017650A KR100392352B1 KR 100392352 B1 KR100392352 B1 KR 100392352B1 KR 20010017650 A KR20010017650 A KR 20010017650A KR 100392352 B1 KR100392352 B1 KR 100392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filtration
powd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8518A (ko
Inventor
신국현
Original Assignee
신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국현 filed Critical 신국현
Priority to KR10-2001-0017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3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장기간 갈지 않아도 되는 해수어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은 수조 수면상의 물(W1)을 수평방향으로 순환시켜 수조의 양단 측벽(4)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유입공(6)을 통해 측벽의 외측에 형성된 제1여과조(8)로 이동시킨 다음 제1여과조 내에 장착된 필터(10)를 거쳐 수중모타펌프(M1)에 의해 다시 수조 내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수조 내 물의 수평순환 사이클(C1)와; 수조 내부의 물을 수조의 저면(12)에 형성된 유입공(14)을 통해 수조 하부의 제2여과조(16)를 거쳐 모타펌프(M2)에 의해 다시 수조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수조 내 물의 수직순환 사이클(C2)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2여과조(16) 내에는 수조 내 물에 대한 중량 대비로 산호사 분말 3.75wt% -5.5wt%, 제오라이트 분말 1wt%-2wt%, 활성탄 분말 0.5wt%-1wt% 및 백반석 분말 1.25wt%-1.75wt%을 균질 혼합한 혼합분말 여과베드가 장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은 수년간 물을 갈지 않아도 해수어에게 최적의 살아 있는 물과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WATER TANK FOR SEA FISH HAVING DUAL CIRCULATION AND FILTER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장기간 물갈이 없이 해수어를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며, 특히 식용 활어를 장기간 물갈이 없이 사육하는 이중 물 순환 여과구조를 갖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해수어 사육시 수조 내의 물을 해수어가 잘 살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 수조 내 먹이 찌꺼기, 배설물, 먼지 등 각종 유해물질을 물리적, 생물학적, 화학적 등의 방법으로 여과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특히 해수어 사육자가 기본적으로 이해하여야 할 내용은 유기물질의 분해과정과 관련한 질소순환과정 및 이 질소순환 과정과 관련된 세 종류 박테리아의 역활이다.
즉, 해수어 사육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세 종류의 박테리아는 헤테로트로픽 박테리아(HETEROTROPHIC BACTERIA : 암모니아 박테리아), 니트로소모나스 박테리아(NITROSOMONAS BACTERIA : 아질산 박테리아) 및 니트로백터 박테리아(NITROBACTER BACTERIA : 질산염 박테리아)이다.
헤테로트로픽 박테리아는 수조 안에서 생존하는 모든 생물체들이 배설하는 분비물과 먹이의 남은 부분이 썩거나 죽은 물고기가 썩는 것과 해수어들의 피부로 통한 분비물 등에서 만들어지는 미생물로서, 이 박테리아는 자체 내에서 먹이를 섭취하여 배설하는데 이 배설물이 해수어에게 해로운 독성의 암모니아를 생기게 하는원인이 된다. 해수어를 잘 기르기 위해서는 이 암모니아가 독성이 없는 질산염으로 바뀌어야 하며 이것이 해수어를 기르는데 성공할 수 있는 비결이다. 헤테로트로픽 박테리아의 수는 약 15분마다 배로 늘어나는 매우 번식률이 높은 박테리아이며 니트로소모나스 박테리아는 헤테로트로픽 박테리아를 먹고사는 박테리아이다. 니트로소모나스 박테리아가 배설한 성분이 아질산(NO2)의 요인이 된다. 니트로소모나스 박테리아의 번식률은 헤테로트로픽 박테리아의 번식률에 비해 낮아서 약 24-36시간마다 배로 증가한다. 한편, 니트로백터 박테리아는 니이트로소모나스 박테리아의 분비물에 의해서 생기는데 이 박테리아 역시 분해되어 질산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이 과정을 질소 순환계라 부른다.
해수어 사육에 있어서 해야 할 일은 암모니아를 아질산으로, 아질산을 질산염으로 분해시켜야 하는데, 헤테로트로픽 박테리아의 번식력에 비해 우리가 원하는 니트로백터 박테리아의 생식 조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그 최적번식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해수어 및 니트로백터 박테리아의 번식 환경조건은 첫째 풍부한 산소, 적절한 PH(수소이온 농도), 소금 농도 및 온도 여건이다. 충분한 양의 니트로백터 박테리아가 수조 안에서 서식하게 되기까지는 수조의 크기와 해수어의 수량에 따라 대개 3주에서 8주까지의 기간이 걸린다. 특히, 저면 여과 방식에서는 그 번식기간이 더 오래 걸리는데 이 니트로백터 박테리아의 번식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우선 암모니아가 최고 수치까지 오른 후 그 수치가 급격히 떨어지는 동시에 다시 아질산이 최고 수치까지 오른 다음 어느 기간 동안 유지하다가 아질산 수치도 급격히 떨어지게 과정을 거친다. 암모니아가 없어지고 아질산이 최고 수치까지 오른 후 눈에 띄게수치가 낮아지면서 수조에서 암모니아나 아질산 검출이 되지 않을 때, 즉 질산염의 형성이 이루어지게 되어 독성분인 암모니아나 아질산이 완전히 제거된 후 그때서야 비로소 니트로백터 박테리아가 충분히 번식하여 수질이 안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많은 질산염이 생기면 이 역시 해수어에게는 많은 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해수어가 견디기 힘들게 되지만 질산염은 암모니아나 아질산과 달리 정기적으로 적당량의 물갈이를 해 줌으로써 질산염의 수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것이 해수어 수조의 물을 자주 갈아 주어야 하는 이유중의 하나이고 질산염 역시 자주 측정을 하여 수조에서 항시 0.05ppm이하가 나오도록 관리에 힘써야 한다.
본 발명은 질산염 박테리아인 니트로 백터 박테리아의 최적 생장조건을 제공함으로써 장시간 물갈이 없이도 해수어를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 활어 수족관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해수어 사육시 발생되는 단백질의 주요인인 배설물, 피부표면 분비물 등을 측면 오버플로우 여과방식(물의 수평 순환에 의한 여과방식)에 의해 분리 제거하여 수조 수면이 공기와 충분히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인위적인 산소공급 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양의 산소가 대기로부터 직접 수면에 접하여 녹아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동시에 박테리아의 최적 생장조건을 제공하는 생물학적 여과베드를 수조 저면에 설치한 물의 수직 순환에 의한 여과방식에 의해 활어에게 유독한 암모니아와 아질산을 지속적, 안정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장기간 물갈이를 하지 않아도 활어에게 최적의 살아 있는 물을 제공하는 활어수조여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조내 물의 순환구조를 이원화하여 단백질의 제거와 암모니아 및 아질산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함으로써 장기간 물갈이를 하지 않아도 활어에게 최적의 살아있는 물과 산소를 제공하는 활어 수조여과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이중 물순환 여과구조를 도시한 전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물의 수평순환 사이클(C1)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 내부의 물을 수조의 저면에 형성된 유입공을 통해 수조 하부의 제2여과조를 거쳐 다시 수조로 흘러 나오도록 하는 물 수직순환 사이클(C2)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 내부의 물을 수조의 저면에 형성된 유입공을 통해 수조 하부의 제2여과조를 거쳐 다시 수조로 흘러 나오도록 하는 물 수직순환 사이클(C2)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2 : 수조 4 : 측벽
6 : 오버플로우 유입공 8 : 제1여과조
10 : 필터 12 : 수조저면
14 : 수조저면 유입공 16 : 제2여과조
C1 : 수평순환 사이클 C2 : 수직순환사이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이중 물순환여과구조를 도시한 전체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은 주로 수조 수면상의 물(W1)을 수평방향으로 순환시켜 수조(2)의 측벽(4)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유입공(6)을 통해 측벽의 외측에 형성된 제1여과조(8)로 이동시킨 다음 필터(10: 도2 참조)를 거쳐 다시 수조(2) 내로 흘러 나오도록 하는 제1 물순환사이클(C1 : 이하, 수평순환 사이클이라 한다)과, 수조 내부의 물(W2)을 수조의 저면(12)에 형성된 유입공(14)을 통해 수조 하부의 제2여과조(16)를 거쳐 다시 수조로 흘러 나오도록 하는 제2 물 순환사이클(C2 : 이하 수직순환 사이클이라 한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물의 수평순환 사이클(C1)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수조 내의 물은 수조 측벽(4) 상단의 동일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된 복수개의 오버플로우 유입공(6)을 통해 측벽 외측에 형성된 제1여과조(8) 내로 이동된다. 제1여과조 내에는 그 제1여과조의 수평면적 전체를 덮는 크기의 소정 두께(바람직하게는 수중 두께 약 30mm- 50mm)의필터(10), 예컨대 패드형상으로 된 합성솜이나 스폰지가 내장되는데 이 필터는 그 상면이 상기 오버플로우 유입공(6)의 위치보다 하부에 놓이도록 설치된다. 도면 부호 9는 상기 필터를 제1여과조 내에 안착시키기 위한 재치대이며 이 필터는 필요에 따라 정기적으로 교체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조로부터 측벽 오버플로우 유입공(6)을 통해 제1여과조(8) 내로 유입된 물(W1)은 상기 필터(10)의 상면으로부터 그 하면으로 통과하는 동안 함유하고 있던 단백질의 주요인인 배설물, 피부표면 분비물을 걸르며, 걸러진 물은 수중모타펌프(M1)의 작동에 의해 호스(18)를 통해 의해 다시 수조 내로 회송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중모타펌프(M1)는 그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메인 수조(2) 및 제1여과조(8)와 분리된 공간 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수중모타펌프(M1)는 상기 제1여과조(8)의 전면 일측에 하부 연통공(20)에 의해 상기 제1여과조(8)와 연통가능하게 구획하는 격벽(22)에 의해 분리된 전면 공간(24) 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조 상면의 물(W1)은 오버플로우 유입공(6)을 통해 제1여과조(8) 내로 유입된 다음 필터(10)을 거쳐 걸러져 상기 격벽(24) 하부에 있는 연통공(20)을 통해 수중모타펌프가 설치된 전면공간(24)으로 유입되고 이 전면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수중모타펌프(M1)의 작동에 의해 호스(18)를 통해 다시 수조(2) 내로 공급된다. 도면 부호 26은 상기 수중모타펌프(M1)의 송수 호스를 수조 내측으로 인입하기 위한 연통공으로서 상기 오버플로우 유입공(6)보다 위쪽, 즉 수조의 수면보다 위쪽에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 내부의 물(W2)을 수조의 저면(12)에 형성된 유입공(14)을 통해 수조 하부의 제2여과조(16)를 거쳐 다시 수조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수직순환 사이클(C2)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그 단면도이다. 제2여과조(16)는 물리적 여과 및 본 발명에 있어서 질소순환과정 중에 가장 유용한 박테리아인 니트로백터 박테리아의 최적 번식 환경조건을 제공하기 위한 생물학적 여과베드로서 그 내부에 본 발명에 따라 최적 비율로 조성된 소정 성분의 혼합분말 여과재가 충전되어 있다. 이 혼합분말이 내장된 제2여과조(16)는 수조 저면과 분리된 하부공간(28) 내에 위치하여 이 제2여과조의 상면은 수조 저면(12)에 형성된 복수개의 유입공(14)을 통해 수조와 연통한다. 혼합분말이 충전된 제2여과조(16)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다수의 물 흡입공(32)을 갖는 파이프(34)가 적어도 하나 이상 수평방향으로 배설되고 이 파이프(34)는 수조 외부에 구비된 모타펌프(M2)에 연결됨으로써 이 모타펌프(M2)의 작동에 의해 제2여과조(16)를 거친 물(W2)이 수조로 환송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2여과조(16) 내부에 장입되는 혼합분말은 산호사, 제오라이트, 화산석, 활성탄 및 맥반석의 혼합분말이다. 종래 본 발명과 유사하게 생물학적 여과베드 조성물로서 산호사, 제오라이트 및/또는 활성탄 혼합분말을 사용한 것이 여러 가지 공지되어 있기는 하지만(예컨대, 국내 공개특허 1994-0019215호 등) 그 구체적 조성 성분비가 개시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과 같은 이중 물 여과 순환구조를 갖지 않음으로써 15일 내지 20일을 주기로 물을 갈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발명자는 제2여과조(16) 내부에 장입되는 생물학적 여과베드로서의 혼합분말 조성비를 그 각 요소의 성분비를 다양하게 가변하면서 오랜 시간 동안 각 성분의 해수어에게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실험한 결과로서 얻은 것으로서, 그 구체적 조성비는 수조에 담기는 해수(PH 8.1-8.3, 염도 0.021-0.023)에 대한 중량 대비로 산호사 분말 3.75wt%-5.5wt%, 제오라이트 분말 1.5wt%-3wt%, 화산석 분말 1wt%-2wt%, 활성탄 분말 0.5wt%-1wt% 및 백반석 분말 1wt%-2wt%이며, 이러한 조성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된 생물학적 여과베드 사용시 한 수조 내에서 함께 사육할 수 있는 최대 해수어량은 해수에 대한 중량비로 2wt%-3wt%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호사는 다공성 소재로서 박테리아가 군집을 이루는데 용이하도록 표면이 접착성이어서 호기성 박테리아인 니트로 백터 박테리아의 최적 활착베드의 역할을 한다. 수조 내에서 암모니아, 아질산, 질산염 등이 많이 발생할 때는 PH가 급격히 낮아지므로 PH를 적정 수치(8.1-8.3)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암모니아, 아질산 및 질산염을 분해하는 데에 필요한 니트로 백터 박테리아의 충분한 배양이 무엇보다 중요한 바, 산호사는 이 니트로 백터 박테리아가 군집을 이루어 활착되로록 함으로써 수조 내 물의 수소이온농도(PH)를 실제의 해수에 유사한 상태로 유지하는 데에 가장 결정적역할을 한다. 산호사의 함량이 3.75wt% 이하로 될 경우에는 PH의 수치가 낮아지고 반대로 5.5wt% 이상으로 될 경우에는 PH수치가 높아져 해수어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오라이트가 상기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산소량이 감소하고 질소화 과정(물이 뿌옇게 변함)이 진행되었고 상기 조성범위 이하일 경우에는 해수어가 마르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화산석, 활성탄 및 맥반석은 유해물질의 흡착 및 살균에 관여함과 동시에 산호석과 마찬가지로 그 조성비가 상기 범위 이상일 경우 PH를 높이고 이하일 경우 PH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말을 이루는 각 성분은 그 입도가 다 같이 3mm-10mm 범위의 것이 균질하게 혼합한 형태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는 장기간 물갈이하지 않아도 해수어를 사육할 수 있는 최적 조적을 찾기 위해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을 들여 실험한 결과로서 전술한 제2여과재의 조성비를 얻을 수 있었고(이 조성을 달리할 경우 해수어가 비늘을 전부 벗거나 불과 하루 사이에 전 해수어가 몰사하는 예가 빈번하였다), 본 발명 출원일 현재 이러한 제2여과재 조성 및 전술한 수조 내 물의 수평순환 싸이클(C1) 및 수직순환 싸이클(C2)을 갖는 수조(해수용량 4톤 및 평균 해수어 총중량 100Kg)를 5년이 넘게 전혀 물갈이를 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정기적인 물갈이를 하는 수조보다도 월등히 투명한 상태로 유지하는 특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유리벽으로 이루어진 해수어 수조는 햇빛을 받아 그 내벽면에 이끼(식물성 플랑크톤 부착물)가 달라붙게 되어 이를 주기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물갈이를 전혀 하지 않고 물이 그대로 담겨진 상태에서 부러시 등을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수조 내벽면(유리면)에 부착된 이끼를 청소함에도 불구하고 물갈이를 행하는 수조에 비해, 이끼를 청소한 직후의 불과 수시간 동안만 잠시 물이 탁할 뿐, 평상시 월등히 깨끗한 수질을 유지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에 있어서 세척되어 수중에 부유하는 이끼들이 해수어의 먹이로서 소비되어 해수어에게 유용한 성분으로 기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물의 수직순환 사이클(C2)에 의해 필요충분하게 여과되어 제2여과조 내의 산호사, 제오라이트 등에 흡착되어 천연 바닷가의 뻘을 이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은 양의 충분한 니트로백터 박테리아가 배양되어 그 수질이 일단 안정된 이후에는 오히려 전혀 물갈이를 하지 않은 상태로 오래 유지하면 할 수록 그 생물학적 평형상태를 스스로 유지하게 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종래의 해수어 사육 수조에서는 결코 기대할 수 없는 놀라운 효과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여과재의 조성의 구체적 실시예를 제시하면 해수 4ton, 해수어 총 중량 100kg인 수조에 대하여 산호사 분말 200kg, 제오라이트 분말 90kg, 화산석 분말 60kg, 활성탄 분말 30kg 및 맥반석 분말 60kg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타펌프(M2)에 의해 인양되어 다시 수조로 환송되는 물(W2)의 유입 위치 및 방향은 그 노즐이 수면 가까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 내 물의 수직순환 싸이클(C2) 과정에서 모타펌프(M2)에 의해 인양되는 물의 수조 내 분사노즐이 수조 수면 가까이에서(바람직하게는 수면에 걸쳐지게)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한 이유는 수면의 물을 흐름을 수평 방향으로 유도하여 해수어 사육시 필연적으로 수면에 거품과 함께 떠오르는 단백질의 주요인인 배설물, 피부표면 분비물을 전술한 오버플로우 유입공(6) 쪽으로 쉽게 밀어내기 위함이며 아울러 수면으로부터 거품을 걷어내는 물 흐름과정에서 물 표면상에 지속적으로 강한 파도를 일으켜 수면에 대한 공기접촉면적을 넓히는것에 의해 인위적인 산소공급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해수어에게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조는 수조 수면상의 물(W1)을 수평방향으로 순환시켜 수조의 측벽(4)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유입공(6)을 통해 측벽의 외측에 형성된 제1여과조(8)로 이동시킨 다음 필터(10)를 거쳐 수중모터(M1)에 의해 다시 수조 내로 흘러 나오도록 하는 수평순환 사이클(C1)과, 수조 내부의 물(W2)을 수조의 저면(12)에 형성된 유입공(14)을 통해 수조 하부의 제2여과조(16)를 거쳐 모타펌프(M2)에 의해 다시 수조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수직순환 사이클(C2)을 갖는 수조내 물의 이원화 순환구조 및 해수에 대한 산호사 분말 3.75wt% -5.5wt%, 제오라이트 분말 1.5wt%-3wt%, 화산석 분말1wt%-2wt%, 활성탄 분말 0.5wt%-1wt% 및 백반석 분말 1wt%-2wt%을 혼합한 혼합분말의 생물학적 여과베드에 의해 단백질의 제거와 암모니아 및 아질산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행함으로써 전혀 화학적 약품을 사용하거나 인위적인 산소공급장치를 구비하는 것 없이 장기간 물갈이를 하지 않아도 된다.
물갈이를 하지 않을 경우 무엇보다 해수교체에 다른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점에서 좋지만 해수의 무단 방류에 따른 환경피해(해수를 무단 방류할 경우 그 해수가 스며든 주변 경작지의 작물이 죽게될 뿐만 아니라 하천이나 상수원의 수질를 크게 오염시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육되는 식용 활어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음으로써 육질이 단단하고 오래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식물성 프랑크톤의 자연생성에 의해 먹이를 공급하지 않아도 살이 빠지지 않는 점이다.
한편, 해수어 생존 및 니트로 백터 박테리아의 번식에 최적의 해수 온도는 13℃-15℃이므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물의 수직순환 사이클(C2) 중에 수온조절기(36)(냉각기 및 가열기)를 거치는 과정을 더 설정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해수어들은 급격한 온도변화만을 피해준다면 수조 내 물의 온도가 어느 정도 이 수온범위를 벗어나더라도 무난히 적응하는 적응력이 있으며, 수조 주변 기온이 13℃-15℃도 전후인 계절에서는 이 수온조절기를 가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수온조절기 요소는 본 발명에 있어서 부가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에 의해 해수어 사육시 특히 질소 순환계에 있어서 해수어 생존에 유익한 호기성 박테리아인 니트로백터 박테리아의 최적 번식 환경조건인 활착베드, 풍부한 산소, 적절한 PH(수소이온 농도)및 온도 여건이 항시 충족되고 또한 수조 내에서 물의 유동(움직이는 물)을 만듦으로써 장기간 물갈이를 하지 않아도 천연의 바다물과 같은 깨끗한 살아있는 물을 사육되는 해수어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수족관에 의해 장기간 물갈이를 하지 않아도 활어에게 최적의 살아있는 물을 제공함으로서 빈번한 해수교체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수(해수)를 무단 방출하지 않음으로써 도시 하천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수조 수면상의 물을 수평방향으로 순환시켜 수조의 측벽에 형성된 오버플로우 유입공을 통해 측벽의 외측에 형성된 제1여과조로 이동시킨 다음 제1여과조 내에 장착된 필터를 거쳐 수중모타펌프에 의해 다시 수조 내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수조 내 물의 수평순환 사이클와;
    수조 내부의 물을 수조의 저면에 형성된 유입공을 통해 수조 하부의 제2여과조를 거쳐 모타펌프에 의해 다시 수조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수조 내 물의 수직순환 사이클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2여과조 내에는 수조 내 물에 대한 중량 대비로 산호사 분말 3.75wt% -5.5wt%, 제오라이트 분말 1.5wt%-3wt%, 화산석 1wt%-2wt%, 활성탄 0.5wt%-1wt% 및 백반석 1wt%-2wt%이며 입도 3mm-10mm인 균질 혼합분말 여과베드가 장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2. 제1항에 있어서 제2여과조를 거쳐 다시 수조로 흘러 들어가도록 하는 상기 제2모터펌프의 분사노즐은 수조 내 물의 수면 가까이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유입공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개구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여과조 내에 장착된 필터는 패드 형상으로 된 합성솜 또는 스폰지이며, 그 상면은 상기 오버플로우 유입공의 위치보다 하부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조 내 물의 수직 순환싸이클 중의 물이 수조 외부에서 수온조절기를 더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KR10-2001-0017650A 2001-04-03 2001-04-03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KR100392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650A KR100392352B1 (ko) 2001-04-03 2001-04-03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650A KR100392352B1 (ko) 2001-04-03 2001-04-03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518A KR20020078518A (ko) 2002-10-19
KR100392352B1 true KR100392352B1 (ko) 2003-07-22

Family

ID=2769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650A KR100392352B1 (ko) 2001-04-03 2001-04-03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3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310B1 (ko) 2009-08-19 2012-03-26 박근하 수족관용 저면 여과흡입구
CN110742005A (zh) * 2019-11-21 2020-02-04 湖南富高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蝌蚪养殖用水循环净化装置
KR20200060987A (ko) 2018-11-23 2020-06-02 이유진 수조용 파도 발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278A (ko) * 2002-11-21 2003-03-06 기태형 여과장치가 구비된 활어 수입/수출용 컨테이너
KR100773105B1 (ko) * 2005-05-25 2007-11-02 배유진 2중 여과조를 갖는 수족관
KR100780876B1 (ko) * 2006-06-19 2007-11-29 정명규 물 순환장치를 갖는 수조
KR100921501B1 (ko) * 2007-09-13 2009-10-13 주식회사 포스코 초음파 탐상기용 수조
KR101478797B1 (ko) * 2014-06-19 2015-01-05 명노환 양식용 이중 수조
KR101634354B1 (ko) * 2015-08-28 2016-06-29 대한민국 저온성 먹이 생물 배양 장치
KR102028154B1 (ko) * 2017-08-23 2019-10-02 (주)미래에프앤디 육상 도심 고밀도 축양 양식을 위한 입체 단열 수조 시스템
CN109730021B (zh) * 2019-02-01 2021-09-07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间歇式双循环工厂化循环水养殖系统
KR102265428B1 (ko) * 2019-08-21 2021-06-15 박철희 수족관용 박스여과기
KR102589940B1 (ko) * 2022-07-21 2023-10-13 조성래 리얼감이 향상된 하이브리드 수족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관 비디오폰
KR102639541B1 (ko) * 2022-12-30 2024-02-21 변성문 수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310B1 (ko) 2009-08-19 2012-03-26 박근하 수족관용 저면 여과흡입구
KR20200060987A (ko) 2018-11-23 2020-06-02 이유진 수조용 파도 발생 장치
CN110742005A (zh) * 2019-11-21 2020-02-04 湖南富高农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蝌蚪养殖用水循环净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518A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352B1 (ko)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US5732654A (en) Open air mariculture system and method of culturing marine animals
Helfrich et al. Fish farming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RAS)
JP5610296B2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JP2618326B2 (ja) 海水魚の飼育方法及びそのための観賞用水槽
US63573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ising fish and/or shellfish
US6755981B2 (en) Aquarium cleaning system
CN103999813A (zh) 一种室内循环水立体多用途水产品生态养殖装置
US3929101A (en) Filtration and circul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e
KR102258856B1 (ko) 어류사육과 채소작물을 동시 얻기 위한 순환시스템의 적용방법
Browdy¹ et al. 11 Shrimp Culture in Urban, Super-intensive Closed Systems
JP2015089348A (ja) アワビの養殖方法とその養殖システム
JP2002119169A (ja) 魚介類の養殖システム及び養殖方法
JP4185973B2 (ja) 陸上における有用海生生物養殖方法、その装置および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た有用海生生物
JP2009060830A (ja) 循環式水槽およびこれを用いた魚介類の飼育方法
JP6860764B2 (ja) 養殖方法および養殖設備
KR102646413B1 (ko)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JP3053077B2 (ja) 循環海水を用いた海産動物養殖方法及び海産動物養殖用水槽システム
JP2018019614A (ja) 鰻養殖システムおよび鰻養殖方法
KR102143415B1 (ko) 고순도 순환여과시스템을 이용한 아쿠아포닉스장치
CN107360999A (zh) 一种青虾的养殖方法
JP2000279991A (ja) 通性嫌気細菌による脱窒還元水浄化処理システム
EP1435772A1 (en) Aquaculture process and apparatus
CN212488004U (zh) 一种水体养殖与种植的循环生态系统
JPH10108581A (ja) 真珠養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