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756B1 -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Google Patents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2756B1 KR101612756B1 KR1020150120725A KR20150120725A KR101612756B1 KR 101612756 B1 KR101612756 B1 KR 101612756B1 KR 1020150120725 A KR1020150120725 A KR 1020150120725A KR 20150120725 A KR20150120725 A KR 20150120725A KR 101612756 B1 KR101612756 B1 KR 1016127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outer case
- mesh
- tank
- aquarium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5940 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관상어 등을 키우는 어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면을 갖는 바닥판이 설치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그물망을 설치하여 어항 내부에 축적되는 부유물 및 어류의 배설물 등을 효과적으로 바닥판에 모아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며, 여과필터를 통과한 물이 램프의 상면으로 이동하면서 램프의 냉각효율과 실내의 가습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어항의 상단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재배트레이를 설치하여 정화된 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는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관상어 등을 키우는 어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면을 갖는 바닥판이 설치되고,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그물망을 설치하여 어항 내부에 축적되는 부유물 및 어류의 배설물 등을 효과적으로 바닥판에 모아 외부로 배출이 용이하며, 여과필터를 통과한 물이 램프의 상면으로 이동하면서 램프의 냉각효율과 실내의 가습효과를 극대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어항의 상단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재배트레이를 설치하여 정화된 물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는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은 내부에 물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으며 측면이 투명한 유리로 제작되며, 어항 내부에 모래, 조약돌, 자갈, 수초 및 다양한 장식품들을 설치하고, 물을 채운 다음 다양한 관상어들을 넣어 키우는데 사용된다. 또한 어항 내부에는 관상어를 위한 산소 공급기 및 수중에 떠다니는 미세 부유물 및 관상어의 배설물을 포집하는 여과기, 어항 내의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기 등이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어항의 형태는 직사각, 사각, 원형 또는 기둥타입의 다각형, 벽걸이형 등 구매자의 요구하는 어항으로 구입할 수 있도록 그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디자인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직사각형의 어항이 많이 사용된다.
어항은 내부에서 서식하는 관상어가 먹이를 취하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배설하게 된다. 관상어의 배설물은 오래되지 못한 시간 내에 부패작용이 이루어지고, 수질의 탁도를 흐리게 함과 동시에 미세 플랑크톤에 의해 녹조 및 이끼를 발생함으로써, 어항의 미관을 해치고, 심지어는 물을 오염시켜 관상어들에게 치명적인 원인을 제공하는 등의 기본적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작된 종래의 어항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로 형성되며 상부와 바닥을 제외한 측면이 유리판으로 제작되며 본체(10)에 삽입되어 안착 되고 일정각도 경사를 갖는 바닥재(20)가 형성된다. 바닥재(20)의 하측에는 배수용 밸브(21)가 구비되고 배수용 밸브(21)의 상부에는 바닥재(20)와 연결되는 배수관(22)이 설치된다. 또한, 종래의 어항 내부에는 모래 및 자갈을 적층하는 자갈 받침대(30)가 형성되고, 자갈 받침대(30)의 상부에는 각종 수초와 인테리어 구성품, 온도기, 조명 등이 부가적으로 구성되며, 자갈 받침대(30)의 하부에는 산소 공급기를 설치하여 어항을 구성하도록 제작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발명은 배설물 및 수중에 부유물 등이 상기 바닥재(20)에 침하되어 모이고 배수용 밸브(21)를 개방하면 상기 배수관(22)으로 배출되어 물갈이를 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어항은 배설물 등이나 부유물 등을 배출하기 위해서 배수용 밸브(21)를 사용자가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배수용 밸브(21)를 개방하여 청소를 하지 않으면 배설물이 부패하고 수시로 물갈이를 통해 배설물을 제거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대형 어항일수록 물갈이 또한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상어의 배설물이 어항 내부의 모래나 자갈에 퇴적되지 않고 배설물을 여과하여 여과된 물을 어항 내부로 공급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관상어가 서식할 수 있는 어항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어항 내부에 미세 플랑크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여과필터를 구비하고 녹조 및 이끼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물의 오염을 방지하는 어항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100);좌측에서 중앙쪽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진 좌측 경사부(210-L)와, 우측에서 중앙쪽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좌측 경사부에 연접하는 우측 경사부(210-R)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안착되는 배설물 포집부(200);상기 배설물 포집부(2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그물망(300);상기 그물망(300)이 상기 외부 케이스(10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그물망(300)의 둘레에 장착되는 스트립(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300)은 폐곡선 형상의 상부틀(310) 및 상기 상부틀(310)과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부틀(320), 상기 상부틀(310)과 상기 하부틀(320)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대(330)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틀(320)의 둘레면에는 체결홈(411)을 갖는 가이드레일(410)이 부착되며, 상기 스트립(400)에는 상기 체결홈(411)에 슬라이딩되어 체결되도록 체결돌기(40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포집부(200)에는 일단이 폐쇄된 중공관으로서 상기 좌측 경사부(210-L)와 상기 우측 경사부(210-R)가 연접하는 부분에 안치되며 외주면에 흡수홀(510)이 다수개 관통 형성되는 흡수관(500); 상기 외부 케이스(100)를 관통하며 상기 흡수관(500)의 타단에 연결되는 배수관(5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20)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배수관(520)에 연결되는 여과장치(530); 상기 여과장치(530)를 통하여 여과된 물을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상측을 통하여 주입하기 위한 순환관(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540)에는 장식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장식부(600)는 물배출구(611)가 다수개 형성되는 제1 수조(610)와 상기 장식부(600)의 전면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돌기(621)가 돌출 형성되는 측벽(620) 및 상기 측벽(620)을 타고 이동된 물을 수용하는 제2 수조(630)로 형성되며, 상기 순환관(540)은 일측이 상기 여과장치(5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수조(610)에 연결되는 제1 순환관(541)과 일측이 상기 제2 수조(6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그물망(3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순환관(5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00)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그물망(300)에 자갈이 적재되는 경우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방울이 상기 자갈에 부딪혀 공기방울의 이동경로를 변경하여 공기방울이 물속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그물망(300)의 하단에 산소공급수단(7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상단에는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재배트레이(800)가 구비되며, 상기 재배트레이(8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재배트레이(800)에 식재된 식물에 빛을 조사하는 램프(910)와 상면에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물을 여과하여 배출하는 여과펌프(920) 및 상기 여과펌프(920)로부터 배출된 물이 증발되어 실내습도를 유지시키도록 물이 공기중에 노출되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램프(910)로부터 발열되는 열원을 냉각시키고 상기 재배트레이(800)로 여과된 물을 이동시키는 안내판(930)을 포함하는 습도조절부(9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930)의 하단에는 상기 램프(910)를 수용하는 지지판(94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941)의 하면에는 상기 안내판(930)을 통해 상기 재배트레이(800)로 이동하는 물의 일부가 유입되는 안내수로(941)와 상기 안내수로(941)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안내수로(941)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되, 일정량 수용되면 중령방향에 의해 하방향으로 물을 떨어트리는 물끊기홈(9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그물망을 별도로 설치하고 그물망에 스트립을 부착하여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에 발생한 이끼나 녹조 등을 쉽게 제거하여 어항 내부가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상어의 배설물을 어항 내부의 모래나 자갈에 퇴적되지 않도록 외부로 배출하거나 배설물을 여과하는 여과장치를 구비하여 어항의 수질을 향상시키고 물에 용존산소량이 증가하여 미세 플랑크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발명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관리가 용이한 어항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외부케이스, 그물망, 스트립 등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어항과 장식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지지판의 주요구성과 작동상태를 자세히 나타낸 저면도 및 부분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관리가 용이한 어항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외부케이스, 그물망, 스트립 등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어항과 장식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지지판의 주요구성과 작동상태를 자세히 나타낸 저면도 및 부분 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어항과 장식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지지판의 주요구성과 작동상태를 자세히 나타낸 저면도 및 부분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100)를 갖는다. 외부 케이스(100)는 상단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00)는 금속 및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00)의 측면은 유리 등의 투명재질로 형성된 유리판(110)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고 물속에 관상어를 구비하여 키울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00)에 삽입되어 외부 케이스(10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배설물 포집부(200)가 형성된다. 배설물 포집부(200)는 좌측에서 중앙쪽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진 좌측 경사부(210-L)가 형성되며, 좌측 경사부(210-R)와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우측에서 중앙쪽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진 우측 경사부(210-R)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3 을 참조하면 배설물 포집부(200)는 좌측 경사부(210-L) 및 우측 경사부(210-R)가 경사지도록 중앙이 합입되어 배설물 포집공간(S)을 형성한다. 배설물 포집공간(S)에는 관상어의 배설물이나 물속에 부유물 및 관상어가 먹다 남은 먹이들이 침전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00)의 하측에는 발광체(111)를 포함하는 지지대(112)가 형성된다. 지지대(112)는 외부 케이스(100)의 하측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며 외부 케이스(100)의 좌우측에 각각 대칭으로 형성된다. 지지대(112)는 외부 케이스(100)의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지지대(112)의 경사면에 발광체(111)가 설치된다. 발광체(111)에는 엘이디(LED)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케이스(100)는 하면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체(111)에서 조사되는 빛이 외부 케이스(100)의 하면을 투과하여 외부 케이스(100)의 내부를 다양한 빛으로 장식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배설물 포집부(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그물망(300)이 구비된다. 그물망(300)은 외부 케이스(100)에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그물망(300)은 상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물망(300)은 상부틀(310), 하부틀(320), 연결대(330)로 형성된다. 상부틀(310)은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 케이스(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틀(320)은 상부틀(320)과 상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부틀(310)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틀(310)과 하부틀(320)은 동일한 형상이다. 그물망(300)은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된 메쉬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물망(300)의 내부에는 모래 및 자갈이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타공의 크기는 모래의 알갱이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부틀(310)과 하부틀(320)은 연결대(330)에 의해 지지된다. 연결대(330)의 상측은 상부틀(310)과 연결되고 하측은 하부틀(320)과 연결된다. 연결대(330)는 상부틀(310) 및 하부틀(320)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배설물 포집부(200)에는 흡수관(500)이 형성된다. 흡수관(500)은 좌측 경사부(210-L)와 상기 우측 경사부(210-R)가 연접하는 부분에 안치된다. 흡수관(500)은 일단이 폐쇄된 중공관 형상이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흡수홀(510)이 관통 형성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흡수관(500)의 타단과 연결되는 배수관(520)이 형성된다. 배수관(520)은 중공관 형상으로 외부 케이스(10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배설물 포집부(200)의 좌측 경사부(210-L) 및 우측 경사부(210-R)를 타고 배설물 포집부(200)의 중앙으로 모아진 배설물이나 침전물 등이 흡수관(500)의 흡수홀(510)로 빨려들어가 배수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흡수관(500)의 직경보다 흡수홀(510)의 직경이 작은 직경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흡수홀(510)로 유입되는 유속이 흡수관(500) 주변의 유속보다 빨라지므로 배설물 포집부(200)에 수용되는 배설물이나 침전물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00)의 외측에는 배수관(520)과 연결되는 여과장치(530)가 설치된다. 여과장치(530)는 배수관(520)으로부터 배출된 관상어의 배설물이나 부유물 등을 여과하여 그물망(300)의 상단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하여 주입하도록 순환관(540)을 포함한다. 여과장치(530)의 일측에는 내부에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다수개의 홀이 천공되어있는 여과필터(531)와 여과필터(531)를 수용하는 필터수용탱크(532)가 설치된다. 여과필터(531)는 활성탄 필터 향균필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그물망(300)의 하단과 배설물 포집공간(S) 사이에는 산소공급수단(700)이 형성된다. 산소공급수단(700)은 배설물 포집공간(S) 내부에 위치하며,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방울을 배출하기 위해 다수개의 공기배출홀(711)이 형성되는 공기배출관(710)을 포함한다. 또한 산소공급수단(700)은 공기배출관(710)으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발생기(720)와 산소발생기(720)와 공기배출관(710)을 연결하는 연결관(730)을 포함한다. 공기배출관(710)은 그물망(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그물망(300)에 자갈, 모래 등이 적재되는 경우 산소공급수단(700)이 포함하는 공기배출관(710)이 그물망(3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방울이 배출되면서 공기방울이 자갈과 모래에 부딪혀 분산되고 이로 인해 공기방울의 이동경로가 변경된다. 이처럼 공기방울의 이동경로를 변경하여 공기방울이 물속에서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킴으로 산소가 물속에서 용해되는 양을 향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출되는 공기방울로 인해 그물망(300)에 적층된 모래나 자갈 사이에 이물질 등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여, 모래나 자갈이 부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물속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깨끗하고 쾌적한 수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그물망(300)의 하부틀(320)에는 하부틀(320)의 둘레를 따라 스트립(400)이 설치된다. 스트립(400)은 고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이 외부 케이스(100)의 유리판(110)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체결돌기(401)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스트립(400)은 하부틀(320)의 둘레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410)에 슬라이딩 되어 체결되는데, 이때 가이드레일(410)에 형성된 체결홈(411)에 체결돌기(401)가 끼워져 가이드레일(410)에 스트립(400)이 고정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00)의 유리판(110) 내측 벽면에 밀착된 스트립(400)은 이끼나 녹조를 제거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즉 그물망(300)에 형성된 손잡이(도면부호 미부여)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유리판(110)에 밀착된 스트립(400)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유리판(110)에 부착된 이끼나 녹조를 제거한다. 스트립(400)은 그물망(3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개로 설치되어 유리판(110)에 부착된 이끼나 녹조를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4 의 (a)와 (b)를 참조하면 배수관(520)에는 부유물을 포함하는 물에 입자가 큰 부유물을 1차로 여과하는 여과수조(550)가 설치된다. 여과수조(550)의 양측에는 흡입펌프(미도시)와 배출펌프(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과수조(550)는 부유물을 포함하는 물을 수용하는 케이스(551)와 케이스(551) 내부에 수용되어 입자가 큰 부유물을 걸러내는 침전필터(552)로 이루어진다. 여과수조(550)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케이스(551) 내부에 부유물을 포함하는 물이 일정량 수용되면 입자가 큰 부유물은 중력방향에 의해 케이스(551)의 바닥에 침전되고, 부유물이 제거된 물은 케이스(551)의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여과장치(530)로 이송된다. 이때 침전필터(522)에 의해 미처 중력방향으로 침전되지 못한 부유물을 걸러내거나 작은 크기로 분할되어 여과장치(530)로 이송된다. 따라서, 여과수조(550)가 구비됨으로 인해 여과장치(530)의 여과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수관(520)이 부유물에 의해 막히는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00)의 외부에 위치하고 순환관(540)과 연결되는 장식부(600)가 구비된다. 장식부(600)의 상측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된 제1 수조(610)가 형성된다. 제1 수조(610)에는 물배출구(611)가 다수개 형성되며 물배출구(611)는 장식부(600)의 상측에 위치한다. 장식부(600)의 전면에는 측벽(620)이 형성되며 측벽(620)에는 다수개의 돌기(6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장식부(600)의 하측에는 제2 수조(630)가 형성된다.
도 5 를 참조하면 순환관(540)은 일측이 여과장치(5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 수조(610)와 연결되는 제1 순환관(541)과 일측이 상기 제2 수조(6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외부 케이스그(1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순환관(54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순환관(542)에는 제2 수조(630)에 수용된 물을 그물망(300)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순환펌프(6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여과장치(530)에서 여과된 물이 제1 순환관(541)을 지나 제1 수조(610)로 이동한다. 제1 수조(610)로 이동된 물은 물배출구(611)를 통하여 측벽(620)을 타고 제2 수조(630)로 이동한다. 이때 측벽(620)에 다수개 돌출 형성된 돌기(621)에 의해 물이 하방향으로 자유낙하 한다. 다수개의 돌기(621)를 통해 자유낙하한 물은 많은 양의 공기방울을 만들게 되고 공기방울이 물과 함께 섞여 물속의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물속에 이산화탄소도 제거할 수 있다. 이와같은 물이 제2 수조(630)에 수용되고 수용된 물은 순환펌프(640)에 의해 외부 케이스(100)로 이동하여 물이 반복적으로 순환된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외부 케이스(100)의 개방된 상단에는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재배트레이(800)가 구비된다. 재배트레이(800)의 내부에는 바닥판(810)과 바닥판(8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8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닥판(810)에는 재배트레이(800)의 상측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어항 내부로 일정량 통과시키기 위한 배출홀(81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면 재배트레이(800)의 상단에는 재배트레이(800)에 식재된 식물에 물과 빛을 공급하기 위한 습도조절부(900)가 구비된다. 습도조절부(900)는 램프(910), 여과펌프(920) 및 안내판(930)을 포함한다.
램프(910)는 재배트레이(8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식재된 식물에 일정량의 광원을 조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LED)로 제작될 수 있다. 램프(9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ON/OFF 된다.
여과펌프(920)는 외부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관(940)으로부터 전달받아 여과하여 램프(910)를 방열시키기 위해 여과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안내판(930)은 여과펌프(920)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전달받아 재배트레이(800)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여과펌프(920)로부터 배출된 물을 공기중으로 증발시켜 실내공간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기중에 배출된 물이 노출되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계단식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910)로부터 발열되는 열을 전달받아 배출되는 물을 통해 램프(910)를 냉각시켜 램프(91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도 8 의 (a)를 참조하면 안내판(920)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램프(910)를 수용하는 지지판(940)이 구비된다. 지지판(940)의 하면에는 상기 안내판(930)을 따라 물이 이동하는 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는 안내수로(941)가 형성되며, 안내수로(941)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는 물끊기홈(942)이 형성된다. 물끊기홈(942)은 안내수로(941)의 폭 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의 (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안내판(920)을 따라 이동하는 물은 일부는 재배트레이(800)로 공급되고, 일부는 안내수로(941)의 일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안내수로(941)는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수로(941)를 따라 물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후 물끊기홈(942)에 일정량의 물이 차면 중력에 의해 물은 재배트레이(800)로 떨어진다. 물끊기홈(942)이 안내수로(941)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재배트레이(800)의 전면적에 균일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외부 케이스 110 : 유리판
200 : 배설물 포집부 210-L : 좌측 경사부
210-R : 우측 경사부 300 : 그물망
310 : 상부틀 320 : 하부틀
330 : 연결대 400 : 스트립
401 : 체결돌기 410 : 가이드레일
411 : 체결홈 500 : 흡수관
510 : 흡수홀 520 : 배수관
530 : 여과장치 540 : 순환관
541 : 제1 순환관 542 : 제2 순환관
600 : 장식부 611 : 물배출구
610 : 제1 수조 620 : 측벽
630 : 제2 수조 700 : 산소공급수단
710 : 공기배출관 720 : 산소발생기
730 : 연결관 800 : 재배트레이
900 : 습도조절부
200 : 배설물 포집부 210-L : 좌측 경사부
210-R : 우측 경사부 300 : 그물망
310 : 상부틀 320 : 하부틀
330 : 연결대 400 : 스트립
401 : 체결돌기 410 : 가이드레일
411 : 체결홈 500 : 흡수관
510 : 흡수홀 520 : 배수관
530 : 여과장치 540 : 순환관
541 : 제1 순환관 542 : 제2 순환관
600 : 장식부 611 : 물배출구
610 : 제1 수조 620 : 측벽
630 : 제2 수조 700 : 산소공급수단
710 : 공기배출관 720 : 산소발생기
730 : 연결관 800 : 재배트레이
900 : 습도조절부
Claims (8)
-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100);
좌측에서 중앙쪽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진 좌측 경사부(210-L)와, 우측에서 중앙쪽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좌측 경사부에 연접하는 우측 경사부(210-R)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부에 안착되는 배설물 포집부(200);
상기 배설물 포집부(2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외부 케이스(100)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그물망(300);
상기 그물망(300)이 상기 외부 케이스(100)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면과 접촉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그물망(300)의 둘레에 장착되는 스트립(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300)은 폐곡선 형상의 상부틀(310) 및 상기 상부틀(310)과 상호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부틀(320), 상기 상부틀(310)과 상기 하부틀(320)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대(330)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틀(320)의 둘레면에는 체결홈(411)을 갖는 가이드레일(410)이 부착되며, 상기 스트립(400)에는 상기 체결홈(411)에 슬라이딩되어 체결되도록 체결돌기(40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포집부(200)에는 일단이 폐쇄된 중공관으로서 상기 좌측 경사부(210-L)와 상기 우측 경사부(210-R)가 연접하는 부분에 안치되며 외주면에 흡수홀(510)이 다수개 관통 형성되는 흡수관(500);
상기 외부 케이스(100)를 관통하며 상기 흡수관(500)의 타단에 연결되는 배수관(520);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20)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배수관(520)에 연결되는 여과장치(530);
상기 여과장치(530)를 통하여 여과된 물을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상측을 통하여 주입하기 위한 순환관(5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540)에는 장식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장식부(600)는 물배출구(611)가 다수개 형성되는 제1 수조(610)와 상기 장식부(600)의 전면에 형성되고 다수개의 돌기(621)가 돌출 형성되는 측벽(620) 및 상기 측벽(620)을 타고 이동된 물을 수용하는 제2 수조(630)로 형성되며,
상기 순환관(540)은 일측이 상기 여과장치(5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수조(610)에 연결되는 제1 순환관(541)과 일측이 상기 제2 수조(6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그물망(3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순환관(5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00)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그물망(300)에 자갈이 적재되는 경우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방울이 상기 자갈에 부딪혀 공기방울의 이동경로를 변경하여 공기방울이 물속에 체류하는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그물망(300)의 하단에 산소공급수단(7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케이스(100)의 상단에는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재배트레이(800)가 구비되며,
상기 재배트레이(80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재배트레이(800)에 식재된 식물에 빛을 조사하는 램프(910)와
상면에 상기 외부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물을 여과하여 배출하는 여과펌프(920) 및
상기 여과펌프(920)로부터 배출된 물이 증발되어 실내습도를 유지시키도록 물이 공기중에 노출되는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계단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램프(910)로부터 발열되는 열원을 냉각시키고 상기 재배트레이(800)로 여과된 물을 이동시키는 안내판(930)을 포함하는 습도조절부(9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930)의 하단에는 상기 램프(910)를 수용하는 지지판(94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940)의 하면에는 상기 안내판(930)을 통해 상기 재배트레이(800)로 이동하는 물의 일부가 유입되는 안내수로(941)와
상기 안내수로(941)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안내수로(941)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되, 일정량 수용되면 중령방향에 의해 하방향으로 물을 떨어트리는 물끊기홈(9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725A KR101612756B1 (ko) | 2015-08-27 | 2015-08-27 |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0725A KR101612756B1 (ko) | 2015-08-27 | 2015-08-27 |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2756B1 true KR101612756B1 (ko) | 2016-04-29 |
Family
ID=55915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0725A KR101612756B1 (ko) | 2015-08-27 | 2015-08-27 |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2756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89009A (zh) * | 2016-11-25 | 2017-05-24 | 杜岩松 | 一种智能化渔业养殖设备 |
CN107079864A (zh) * | 2017-05-17 | 2017-08-22 | 中江中通机电科技有限公司 | 用于提高观赏鱼生存水质的养鱼设备 |
CN107197811A (zh) * | 2017-07-24 | 2017-09-26 | 务川自治县仡乡红水产养殖有限公司 | 一种水产养殖用水净化系统 |
CN108302674A (zh) * | 2018-01-24 | 2018-07-20 | 山西农业大学 | 一种耦合微藻空气净化的室内生态养殖系统 |
CN111903597A (zh) * | 2020-07-07 | 2020-11-10 |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 一种收集鱼类粪便的养殖装置 |
CN113875682A (zh) * | 2021-11-16 | 2022-01-04 | 陵水晨海种业有限公司 | 一种金鼓鱼生态养殖装置 |
CN115500308A (zh) * | 2022-09-24 | 2022-12-23 | 衡山福云生态农业有限责任公司 | 一种分层的稻鱼共生循环种养模型 |
CN116076408A (zh) * | 2022-12-09 | 2023-05-09 | 杭州市农业科学研究院 | 一种溪流鱼类孵化装置 |
KR20230083193A (ko) * | 2021-12-02 | 2023-06-09 | 변상범 | 공기 정화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67916A (ja) * | 2003-03-07 | 2004-09-30 | Kensetsu Kankyo Engineering Kk | 水質浄化材 |
KR100936964B1 (ko) | 2009-07-16 | 2010-01-18 | 황인창 | 수족관 |
KR101119185B1 (ko) * | 2009-07-14 | 2012-03-20 | 문경수 | 수족관 |
KR20130003073U (ko) | 2011-11-15 | 2013-05-24 | (주)로프캠프 | 케이블 보호 조립체 |
-
2015
- 2015-08-27 KR KR1020150120725A patent/KR10161275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67916A (ja) * | 2003-03-07 | 2004-09-30 | Kensetsu Kankyo Engineering Kk | 水質浄化材 |
KR101119185B1 (ko) * | 2009-07-14 | 2012-03-20 | 문경수 | 수족관 |
KR100936964B1 (ko) | 2009-07-16 | 2010-01-18 | 황인창 | 수족관 |
KR20130003073U (ko) | 2011-11-15 | 2013-05-24 | (주)로프캠프 | 케이블 보호 조립체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89009A (zh) * | 2016-11-25 | 2017-05-24 | 杜岩松 | 一种智能化渔业养殖设备 |
CN107079864A (zh) * | 2017-05-17 | 2017-08-22 | 中江中通机电科技有限公司 | 用于提高观赏鱼生存水质的养鱼设备 |
CN107197811A (zh) * | 2017-07-24 | 2017-09-26 | 务川自治县仡乡红水产养殖有限公司 | 一种水产养殖用水净化系统 |
CN108302674A (zh) * | 2018-01-24 | 2018-07-20 | 山西农业大学 | 一种耦合微藻空气净化的室内生态养殖系统 |
CN108302674B (zh) * | 2018-01-24 | 2019-12-13 | 山西农业大学 | 一种耦合微藻空气净化的室内生态养殖系统 |
CN111903597A (zh) * | 2020-07-07 | 2020-11-10 |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 一种收集鱼类粪便的养殖装置 |
CN113875682A (zh) * | 2021-11-16 | 2022-01-04 | 陵水晨海种业有限公司 | 一种金鼓鱼生态养殖装置 |
KR20230083193A (ko) * | 2021-12-02 | 2023-06-09 | 변상범 | 공기 정화 장치 |
KR102590990B1 (ko) * | 2021-12-02 | 2023-10-19 | 변상범 | 공기 정화 장치 |
CN115500308A (zh) * | 2022-09-24 | 2022-12-23 | 衡山福云生态农业有限责任公司 | 一种分层的稻鱼共生循环种养模型 |
CN116076408A (zh) * | 2022-12-09 | 2023-05-09 | 杭州市农业科学研究院 | 一种溪流鱼类孵化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2756B1 (ko) |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 |
US7503283B2 (en) | Aquatic egg collection research system and related devices for implementing the system | |
US4957623A (en) | Aquarium cleaning system using movable undergravel suction head | |
KR101923530B1 (ko) | 아쿠아포닉스시스템 | |
JP3146088U (ja) | 飼育水槽装置 | |
CN201204868Y (zh) | 多功能全自动水族箱 | |
US4098230A (en) | Aquarium | |
CN111418385A (zh) | 用于植物生长的设备和生长装置 | |
US8006646B2 (en) | Self cleaning aquarium system | |
KR930002425Y1 (ko) | 관상물고기용 어항 | |
KR101483606B1 (ko) |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 |
KR101610807B1 (ko) | 사이펀에 의한 역세척 기능을 갖는 생물막 여과 수처리 장치 | |
US20150250134A1 (en) | Closed system vivarium for use with an aquarium | |
KR20200059950A (ko) | 다층 생장 장치 | |
KR101416489B1 (ko) |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 |
JP6445200B2 (ja) | 魚介類養殖装置 | |
KR101986795B1 (ko) | 친환경형 생태관 | |
JP2017169562A (ja) | 底面排出式リビングボックス用金魚鉢 | |
CN210226311U (zh) | 一种水生动物与植物共生装置 | |
US10264767B2 (en) | Multi-level apartment type three-dimensional water tank | |
EP2328410B1 (en) |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in particular an aquarium, miniature decorative pond, or oceanarium | |
KR102244541B1 (ko) | 수조 | |
CN202514424U (zh) | 小型抽屉式水族缸 | |
JP2004166553A (ja) | 試験魚の飼育装置及び飼育方法 | |
CN203827882U (zh) | 一种驯养水培植物的水族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