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541B1 - 수조 - Google Patents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541B1
KR102244541B1 KR1020190013899A KR20190013899A KR102244541B1 KR 102244541 B1 KR102244541 B1 KR 102244541B1 KR 1020190013899 A KR1020190013899 A KR 1020190013899A KR 20190013899 A KR20190013899 A KR 20190013899A KR 102244541 B1 KR102244541 B1 KR 102244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tank
partition wall
ho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916A (ko
Inventor
심규운
심원용
Original Assignee
심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운 filed Critical 심규운
Priority to KR102019001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5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수조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관상어가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격벽을 통해 상기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구획부, 상기 제2 공간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급조, 상기 제2 공간의 타측에서 상기 공급조에 연결되는 여과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 일측의 제1통공을 통해 상기 여과조의 상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공급조의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기포를 통해 상승하는 물은 상기 제1격벽 타측에 형성된 제2통공을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확산한다.

Description

수조{FISH TANK}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수조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형 어류를 키울 수 있는 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사무실이나 책상에서 가습용이나 실내 인테리어용으로 작은 수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미니수조는 지속적으로 물을 여과시켜 순환을 유지하면서 실내의 특성상 소음의 저감기술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소형 어류를 키우기 위해 사용되는 수조는 어류 또는 먹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오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수조내부의 물을 여과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내의 한정된 공간에서 사용되는 수조의 경우 에어리프트 방식에 의해 물이 수조의 외부로 비산하거나 물의 순환을 위한 펌프에 의한 강한 수류 및 소음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의 실내에서 관상용으로 양육되는 소형 어류가 생활하는 미니 수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에어리프트에 의한 물의 비산이나 펌프의 소음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관상어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0875호는 수족관용 무소음 소형 에어펌프 및 에어펌프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2584호는 탄소발열체 히터를 이용한 관상어용 수족관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소음 방지 기술은 개시되고 있으나 수조의 환경 개선 및 공간 확보를 위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수조에서 발생되는 강한 수류, 기포에 의한 물튀김 및 소음을 감소시키고 에어리프트 방식의 물의 확산에 의해 여과된 물의 순환으로 관상어가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의 개선 및 공간확장이 가능한 수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조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격벽을 통해 상기 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구획부, 상기 제2 공간의 타측에 형성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공급조, 상기 제2 공간의 일측에서 상기 공급조에 연결되는 여과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격벽 일측의 제1통공을 통해 상기 여과조의 상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공급조의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기포를 통해 상승하는 물은 상기 제1격벽 타측에 형성된 제2통공을 통해 상기 제1공간으로 확산한다.
또한, 상기 공급조는 상기 여과조 및 제1격벽 사이에서 하부에 형성되는 기포발생유닛, 상기 기포발생유닛과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튜브 및 상기 제2 통공의 하부에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격벽과 결합되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격벽에서 상기 제2 공간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공급조 및 여과조를 분리하고 하부에 제3 통공이 형성되는 제2 격벽 및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여과조 사이에서 상기 제1격벽으로부터 상기 제2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공간의 일측에 상기 침전조를 형성하고, 상부에 제4 통공이 형성되는 제3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조는 상기 제2 및 제3 격벽 사이에 양측면이 밀착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발포 고분자 또는 스펀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하부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조는 일단 일부분은 상기 바디의 상단 가장자리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단 나머지 부분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에 조명이 형성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조는 상기 바디의 상단에 상기 제1 또는 제2 공간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간 각각을 향해 형성된 경사면들 각각에 LED가 형성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여과조의 상부를 커버하고 식물의 씨앗 또는 새싹이 거치되는 커버, 상기 공급조의 상부를 커버하고 장공이 형성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조는 상기 바디의 상단에 상기 제1 또는 제2 공간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간 각각을 향해 형성된 경사면들 각각에 LED가 형성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격벽은 일측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에는 유막제거용 타공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조는 상부를 커버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부로 관통되는 기포배출홀이 형성되는 배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조는 일단은 상기 기포배출홀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배출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축소되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키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스폰지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 하부의 필터의 오염물질을 통해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고, 상기 고정유닛의 장공에는 식물 형태의 종이로 형성된 건조기가 배치되어 조명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조명부가 밀착되면 하부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공급조의 물을 흡수 및 건조시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거나 조명부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조명부와 분리되면 상부를 향해 이동하여 물과 분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는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별도의 워터펌프의 추가 없이 기포의 발생만으로 수류가 형성되어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조는 수류를 발생시키는 공간이 관상어가 유영하는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작은 부피에 비해 관상어가 살 수 있는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조는 별도의 고정유닛을 통해 기포의 발생으로 물의 표면에 발생하는 물방울의 비산을 방지하고, 수류에 의해 이동하는 물이 필터에서 여과되는 과정에서 필터의 표면적 활용이 극대화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조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절개도.
도 3은 도 1의 수조를 I-I'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수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조명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사시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수조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수조를 I-I'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0)는 바디(200), 구획부(400), 공급조(500) 및 여과조(600)들을 포함한다.
수조(100)는 사무실 및 원룸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기포(2)의 발생만으로 수류가 발생되도록 제작되어 소음이 최소화 되고, 수류를 발생시키는 부분이 후방에 위치하여 심미감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바디(20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의 상자 형태로 형성되고, 투명한 고분자 또는 세라믹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공간 내부를 유영하는 관상어가 바디(200)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바디(200)는 사용되는 환경 또는 용도에 따라 원형 또는 직육면체를 제외한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수조(100)의 하부에는 무게중심을 위하여 외측면보다 상대적으로 중량이 높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구획부(400)는 제1 격벽(420), 제2 격벽(440), 제3 격벽(460), 커버(470) 및 배출판(480)을 포함한다.
구획부(400)는 바디(200)의 내부 공간을 제1 및 제2 공간(10, 20)으로 구획하고, 제2 공간(20)을 복수의 공간들로 구획하도록 형성되고, 제2 공간(20)은 제2 공간(20)으로 유입되는 물의 정화 및 수류 발생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격벽(420)의 일측 일부분은 바디(200)의 일측 내측면에 밀착되고, 타측은 바디(200)의 일측 내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어 바디(200)의 타측 내측면과 결합된다.
제1 격벽(420)을 통해 제1 격벽(420)의 전방에는 상대적으로 공간이 넓은 제1 공간(10)이 형성되고, 제1 격벽(420)의 후방에는 제1 공간(10)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의 제2 공간(20)이 형성된다.
제1 격벽(420)의 일측 상부 및 하부에는 제1 공간(10) 및 제2 공간(20)을 연결하도록 제1 격벽(420)을 관통하는 제1 통공(422, 424)들이 각각 형성되고, 제2 격벽(420)의 타측 상부에는 제1 공간(10) 및 제2 공간(20)을 연결하도록 제1 격벽(420)을 관통하는 제2 통공(426)이 형성된다.
제2 통공(426)이 형성되는 수평선상은 제1 통공(422)이 형성되는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고, 공급조(500)에서 발생되는 기포(2)에 의해 물(1)이 제2 통공(426)을 지나 제1 공간(10)으로 확산 이동한다.
제1 통공(422)에는 수조(100) 내부의 물의 수위(12)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1 통공(422)에 해당하는 제1 격벽(420)의 내부에는 물의 수면의 유막을 제거할 수 있는 유막제거용 타공판이 배치된다.
제1 통공(424)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1 격벽(420)의 하부에는 복수의 관통공(17)들이 제1 격벽(420)을 관통하여 제1 공간(10) 및 제2 공간(20)을 연결하고,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관통공(17)들은 동일 수평선상에 3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될 제3 격벽(460)을 통해 제2 공간(20)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침전조(30)로 물을 주입하면 관통공(17)들을 통해 제1 공간(10)으로 물이 이동하므로, 물(1)을 수조(100)에 주입하는 동안 제1 공간(20) 안에 배치되는 바닥재들을 포함하는 인테리어들의 형태가 유지되고 분진 발생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공간(10, 20)들 각각에 주입된 물은 제1 격벽(420)을 통해 서로 분리되고, 제1 통공(422, 424)들, 제2 통공(426) 및 관통공(17)들을 통해서만 서로 연결된다.
제2 격벽(440)의 일단은 제2 공간(20)에서 제1 격벽(420)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 격벽(420)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2 공간(20)을 가로질러 바디(200)의 후방 내측면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2 격벽(440)의 하부에는 제2 격벽(440)을 관통하는 제3 통공(442)이 형성되고, 제2 격벽(440)을 통해 제2 공간(20)과 분리된 공간은 제3 통공(442)을 통해 제2 공간(20)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2 격벽(440), 제1 격벽(420)의 타측 및 바디(200)의 타측 사이에는 제2 공간(20)의 일측 일부분에 해당하는 공간이 제2 공간(20)과 분리되도록 형성되고, 제2 공간(20)으로 유입되는 물은 제3 통공(442)을 지나 제1 격벽(420)의 타측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격벽(460)의 일단은 제2 공간(20)에서 제1 격벽(42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 격벽(420)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제2 공간(20)을 가로질러 바디(200)의 후방 내측면을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다.
제3 격벽(460)에 의해 제2 공간(20)의 타측에는 제2 공간(20)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공간을 차지하는 침전조(30)가 형성되고, 제3 격벽(460) 및 제2 격벽(440)의 사이에 해당하는 제2 공간(20)의 중앙부에는 여과조(600)가 배치된다.
제3 격벽(460)의 상단에는 침전조(30)) 및 제2 공간(20)의 중앙부를 연결하는 제4 통공(462)이 형성되고, 제4 통공(462)은 제1 통공(422) 및 제1 통공(424) 사이에서 제1 통공(422)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통공(422, 424)들을 통해 제1 공간(10)에서 침전조(30)로 유입되는 물은 침전조(30)에 채워진 후 제4 통공(462)을 통해 제2 공간(20)의 중앙부로 유입된다.
한편, 침전조(30)에는 실린더 형태의 히터가 배치되어 물(1)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침전조(30)에 튜브(16)를 넣어서 물을 주입하거나, 침전조(30))의 하부에 가라앉는 부산물을 물(1)과 함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커버(470)의 일단은 제2 격벽(440)의 상부면 및 바디(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튜브(54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바디(200)의 후방 내측면 및 제1 격벽(420)과 밀착되면서 침전조(30)를 향해 연장되어 바디(200)의 일측 내측면과 밀착되어 침전조(30)의 상부를 커버하며, 커버(470)의 저면은 제3 격벽(460)의 상부면과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커버(470)의 일단은 튜브(16)를 둘러싸면서 바디(20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며 개방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커버(470)의 타단에는 후술될 튜브(540)를 둘러싸면서 바디(20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장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470)는 침전조(30)에 유입된 물이 제3 격벽(460)의 상부를 지나 제2 공간(20)의 중앙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공간(20)의 중앙부로 유입된 물이 제2 격벽(440)의 상부면으로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하며, 물(1)이 기포(2)에 의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배출판(480)은 플레이트 형태로 커버(470)의 타단 저면에 밀착되고, 커버(470)의 타단에 형성되는 장공의 나머지 공간의 직하방에 배출판(480)을 관통하는 기포배출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포(2)들은 상기 기포배출홀 및 커버(470)의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장공을 통해 외부로 이동한다.
공급조(500)는 기포발생유닛(520), 튜브(540) 및 차단판(560)을 포함한다.
공급조(500)는 제2 공간(20)의 일측에 해당하는 제2 격벽(440) 및 바디(200)의 타측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기포(2)를 발생시켜 기포(2)가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힘으로 상부를 향해 물(1)이 이동하도록 수류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포(2)에 의해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물(1)은 제2 통공(426)을 지나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고, 제1 공간(10)으로 유입되는 물(1)의 수류에 의해 제1 공간(10)의 물(1)은 다시 제1 통공(422, 424)들을 통해 침전조(30)로 이동하며, 침전조(30)로 이동한 물(1)은 제4 통공(462) 및 제3 통공(442)을 지나 다시 공급조(500)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기포발생유닛(520)은 제2 공간(20) 일측의 하부에 형성되고, 기포(2)를 발생시키는 에어스톤(콩돌)으로 제작되어 상부에서 튜브(540)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기포로 전환되어 물(1)로 이동한다.
튜브(540)의 일단은 기포발생유닛(5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커버(470) 타단의 장공을 지나 외부로 연장되어 공기주입장치와 연결되고, 튜브(540)는 커버(470) 타단의 장공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차단판(560)의 일단은 제2 공간(20)의 일측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제1 격벽(420)에 결합되고, 타단은 튜브(54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바디(200)의 후방 내측면까지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차단판(560)은 기포발생유닛(520)에서 발생된 기포(2)들의 일부가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속도를 감속시켜 물(1)의 표면을 향해 높은 속도로 이동하는 기포(2)에 의해 물(1)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기포(2)들이 제2 통공(426)을 통해 제1 공간(10)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제1 공간(10)에서 기포(2)들이 발생시키는 소음을 방지한다.
또한, 차단판(560)의 저면에서 이동이 차단되어 계류상태인 기포(2)들의 일부분은 차단판(560)에 의해 형성된 공급조(500) 내부의 좁은 공간에서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로 속도가 증가하는 물의 수류에 의해 끌어당겨져 상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하므로 물(1)의 표면에서 기포(2)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벤츄리 효과에 의해 증가하는 물(1)의 수류는 제2 통공(426)을 통해 제1 공간(10)으로 확산하며 이동하므로, 물(1)의 순환이 원활하고, 펌프에 의한 물(1)의 수류가 아닌 확산에 의해 제1 공간(10)으로 이동하므로 관상어들의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기포(2)들에 의해 비산하는 물(1)은 배출판(480)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고 기포(2)에 의한 공기는 배출판(480)의 상기 기포배출홀에 의해 외부로 이동한다.
또한, 다른 종류의 기포발생유닛(520)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2)의 양에 상관없이 차단판(560)이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기포(2)의 양을 조정하므로 기포발생유닛(520)의 조정이나 제어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기포발생유닛(520)에서 발생된 기포(2)들은 상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제3 통공(442)으로부터 유입된 물(1)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부로 이동한 물(1)은 제2 통공(426)을 통해 제1 공간(10)으로 확산하면서 이동한다.
여과조(600)는 필터(620) 및 손잡이(640)를 포함한다.
여과조(600)는 제2 격벽(440) 및 제3 격벽(460) 사이에 배치되고, 커버(47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를 향해 이동시켜 분리가 가능하여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필터(620)는 발포 고분자 또는 스펀지 형태로 형성되고, 제3 통공(442)을 통해 필터(62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1)의 오염물질들은 필터(620) 내부에 형성된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거나 필터(620)에 흡착된다.
필터(620)는 제2 격벽(440) 및 제3 격벽(460)의 사이에 해당하는 제2 공간(20)에서 일단 상부는 제4 통공(46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 격벽(420)의 하부에서 제2 공간(20)으로 바 형태로 돌출되는 걸림턱(423)과 밀착된다.
필터(620)의 일단은 높이가 제4 통공(462)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므로, 침전조(30)로 유입되는 물이 제4 통공(462)을 통해 필터(620)로 안정적으로 유입되고, 물(1)이 필터(620)에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정화효과가 증가된다.
필터(620)의 타단은 걸림턱(423)에 의해 바디(200)의 바닥 부분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필터(620)를 통과하며 정화된 물(1)은 제3 통공(442)으로 원활히 흐르게 된다.
필터(620)의 일단에는 필터(620)의 일단 일부분을 관통하는 고리 형태의 손잡이(640)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손잡이(640)를 통해 필터(620)를 외부로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제4 통공(462)을 통해 필터(620)로 유입되는 물(1)은 수위차에 의해 필터(620)의 일측 상단에서 타측 하부까지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정화되고, 정화된 물(1)은 제3 통공(442)으로 이동하여 기포(2)에 의해 상승한다.
따라서, 수조(100)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활용하여 수류를 발생시키는 워터펌프 또는 모터없이 기포발생유닛(520)으로만 수류를 형성하여 소음 및 제조비용이 감소되고 공간 활용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조(100)는 수조(100)의 배면에 구획부(400)를 통해 공급조(500) 및 여과조(600)들이 배치되고, 구획부(400)에 의해 물(1)이 외부와 차단되어 조용하며 수조(100)의 외관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의 수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조명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0)는 조명부(700) 및 커버부(720)를 더 포함한다.
조명부(700)의 일단은 바디(200)의 후방 상단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바디(200)의 전방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조명부(700)의 타단 저면에는 LED 또는 전구가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수조(100)의 내부 공간을 향해 광을 발생시켜 관상어의 발색을 유지시키고 관상어를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이 개선된다.
커버부(720)의 가장자리는 바디(200)의 전방 및 양측 상단을 커버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수조(100)에 담은 물(1)의 상부를 커버한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110)는 스키머(3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수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0)는 스키머(300)를 더 포함한다.
스키머(300)의 일단은 배출판(480)의 상부에서 상기 기포배출홀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배출판(480)의 일부분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일단 및 타단 사이의 외측면은 원뿔의 외측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스키머(300)의 내부에는 상기 기포배출홀과 연결되는 원뿔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기포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기포(2)들은 스키머(300)의 내부공간에서 스키머(300)의 내측면과 충돌한다.
스키머(300)의 내측면에 충돌하는 기포(2)들은 터지면서 기포(2)들의 표면에 흡착된 부유물, 용존 유기물, 배설물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이 스키머(300)의 내측면에 흡착되고, 기포(2) 내부의 공기는 스키머(300)에 연결된 튜브를 통해 외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스키머(300)는 상기 기포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포집되는 기포(2)들을 통해 물(1)에 부유하는 부유물, 용존 유기물, 배설물 및 단백질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조(120)는 구획부(410) 및 조명부(8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수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수조(120)는 기포가 발생되는 기포발생유닛(520)의 상부에서 가습을 위한 습기가 발생되고, 바디(200)의 상단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조명부(800)를 통해 제1 공간(10) 또는 제2 공간(20) 상부에 광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수조(120)는 구획부(410) 및 조명부(800)를 포함한다.
구획부(410)는 커버(472) 및 고정유닛(482)을 포함한다.
커버(472)는 발포 고분자 또는 스티로폼 소재로 제작되고,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472)의 분리를 통해 필터(620)를 수조(120)에 편리하게 삽입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고정유닛(482)은 바디(200)의 후방을 향해 장공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커버(472)와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고정유닛(482)의 장공을 통해 튜브(54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조명부(800)는 레일(810, 820)들, 바디(830), 제어부(840), 모터(850) 및 조명유닛(860, 862, 864)들을 포함한다.
조명부(800)는 바디(200)의 상단에 제1 또는 제2 공간(10, 20)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및 제2 공간(10, 20)들 각각을 향해 형성된 경사면들 각각에 조명유닛(860, 864)들이 각각 형성되어 수조(120)의 조명을 위한 광을 동시에 제공한다.
레일(810, 820)들 각각은 바디(200)의 일측 및 타측 상부면에 각각 바디(200)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바디(830)의 저면 양측은 레일(810, 820)들 각각과 바디(20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바디(810)의 하부에 위치한 일단 일부분은 바디(200)의 양측으로 플레이트 형태로 길게 연장된 형상이고, 레일(810, 820)들 각각과 바디(20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바디(810)의 상부에 해당하는 타단 일부분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확장되며 연장되어 바디(200)의 전방 및 후방 각각을 향해 조명유닛(864, 860)들 각각이 배치되는 경사면들을 형성한다.
제어부(840)는 바디(830)의 내부에 형성되고, 스마트폰 또는 공유기에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며, 내장된 배터리를 통해 연결된 모터(8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 또는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제어부(840)에 연결하여 바디(830)가 제1 공간(10) 또는 제2 공간(20) 쪽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바디(2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모터(850)는 바디(83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바디(830)와 결합되고, 제어부(840)와 연결되며, 구동축은 레일(820)을 향해 연장된 후 외측면이 확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레일(820)과 밀착된다.
따라서, 모터(850)의 구동으로 구동축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바디(830)를 바디(200)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조명을 집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조명유닛(860)은 바디(200)의 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바디(830)의 경사면에 부착되어 비스듬히 제1 공간(10)을 향해 조명을 제공하고, 조명유닛(864)은 바디(200)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 바디(830)의 경사면에 부착되어 비스듬히 제2 공간(20)을 향해 조명을 제공한다.
조명유닛(862)은 바디(830)의 경사면들 사이에 형성된 평면의 저면에 부착되고, 바디(83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제1 공간(10) 또는 제2 공간(20)에 조명을 제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10, 120: 수조
200: 바디 400: 구획부
500: 공급조 600: 여과조
700, 800: 조명부

Claims (6)

  1.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에 제1 및 제2 통공들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을 제1 및 제2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제1 격벽을 포함하는 구획부;
    상기 제2 공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여과조;
    상기 제2 공간의 일측에서 상기 여과조에 연결되는 침전조; 및
    상기 제2 공간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기포발생유닛, 상기 기포발생유닛의 상부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튜브 및 상기 제2 통공의 하부에서 일단은 상기 제1 격벽과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튜브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공급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공을 통해 상기 침전조로 유입된 물은 상기 여과조를 지나 상기 공급조의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기포를 통해 상승하여 상기 제2 통공을 통해 상기 제1 공간으로 확산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격벽에서 상기 제2 공간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와 결합되어 상기 공급조 및 여과조를 분리하며 하부에 상기 공급조 및 여과조를 연결하는 제3 통공이 형성되는 제2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통공 및 상기 여과조 사이에서 상기 제1 격벽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공간의 일측에 상기 침전조를 형성하고, 상부에 제4 통공이 형성되는 제3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일측 하부에 상기 제1 및 제2 공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관통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에는 유막제거용 타공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조는,
    상부를 커버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부로 관통되는 기포배출홀이 형성되는 배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6. 제5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기포배출홀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배출판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축소되며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스키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












KR1020190013899A 2019-02-01 2019-02-01 수조 KR102244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899A KR102244541B1 (ko) 2019-02-01 2019-02-01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899A KR102244541B1 (ko) 2019-02-01 2019-02-01 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16A KR20200095916A (ko) 2020-08-11
KR102244541B1 true KR102244541B1 (ko) 2021-04-26

Family

ID=7204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899A KR102244541B1 (ko) 2019-02-01 2019-02-01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262B1 (ko) * 2020-08-27 2022-08-16 변상훈 수족관
CN114793997B (zh) * 2022-03-14 2023-05-16 浙江省淡水水产研究所 一种水产养殖用降噪型供氧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1191A (ja) * 2007-07-02 2009-01-22 Yanmar Co Ltd 活魚水槽装置
JP2009278894A (ja) * 2008-05-21 2009-12-03 Tominaga Jushi Kogyosho:Kk 水中生物飼育システムおよび水槽用浄化ユニット
KR101318263B1 (ko) * 2013-01-10 2013-10-15 유병화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용 침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489B1 (ko) * 2012-11-12 2014-07-10 심규운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1191A (ja) * 2007-07-02 2009-01-22 Yanmar Co Ltd 活魚水槽装置
JP2009278894A (ja) * 2008-05-21 2009-12-03 Tominaga Jushi Kogyosho:Kk 水中生物飼育システムおよび水槽用浄化ユニット
KR101318263B1 (ko) * 2013-01-10 2013-10-15 유병화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용 침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916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756B1 (ko) 관리가 용이한 다기능 어항
US4606821A (en) Sectionalized integrated aquarium
US5062950A (en) Prefab filter tank with warning function
KR102244541B1 (ko) 수조
KR101156799B1 (ko) 여과기능을 갖는 수족관
US20130213308A1 (en) Pet Bowl For Keeping Water Fresh
US8006646B2 (en) Self cleaning aquarium system
WO2009142202A1 (ja) 水中生物飼育システムおよび水槽用浄化ユニット
US20150250134A1 (en) Closed system vivarium for use with an aquarium
KR101460596B1 (ko) 공기정화용 식물포트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시스템
KR20160097825A (ko) 무진동 가구매립형 식물재배장치
US7631616B2 (en) Aquarium
JP2010057383A (ja) 浮遊生物の飼育水槽装置
EP23284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in particular an aquarium, miniature decorative pond, or oceanarium
US20060081193A1 (en) Aquatect
JP2011177070A (ja) プランター付水槽装置
JP2009254317A (ja) 観賞魚水槽用濾過装置
KR10082862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JP3184500U (ja) 多段式観賞用水槽
KR20060067931A (ko) 다용도공기청정기
KR102074951B1 (ko) 공기환경개선장치
KR200386972Y1 (ko) 장식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JP3185232U (ja) 水循環型観賞用水槽
KR101798530B1 (ko) 친환경 침대
CN214903196U (zh) 一种龟鳖类宠物饲养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