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902A -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902A
KR20120091902A KR1020110012004A KR20110012004A KR20120091902A KR 20120091902 A KR20120091902 A KR 20120091902A KR 1020110012004 A KR1020110012004 A KR 1020110012004A KR 20110012004 A KR20110012004 A KR 20110012004A KR 20120091902 A KR20120091902 A KR 20120091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il
planting
charcoa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길
Original Assignee
(주)푸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푸르미 filed Critical (주)푸르미
Priority to KR1020110012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1902A/ko
Publication of KR20120091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60Flowers; Ornamental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하나의 방수수조에 석재가 쌓여 경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를 기준으로 일측은 어류를 키울 수 있는 물이 수용되는 어항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식재토가 적층되어 식재식물이 심어지는 식재부가 형성된 자연생태 정원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재토가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제1난석층, 상기 제1난석층의 상부에 흙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층되는 흙 흘러내림 방지층,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식물에 영양을 공급하는 광합성 세균근이 배양된 제2난석층, 식물이 식재되기 위한 상토층으로 이루어져 자연생태정원 내 수질오염을 방지하면서도 식재부에 식재된 식물들의 원활한 성장이 가능한 자연생태정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The natural and ecological garden and buil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토로 인한 수질 오염을 방지하고, 식재토에 포함된 다양한 미생물로 인하여 식물의 성장을 도울 뿐만 아니라 어류의 먹이로도 이용되는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에는 관상이나 취미 생활 또는 정화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식재시설을 구비하며, 이러한 식재시설은 식물이 살 수 있도록 흙을 채워야 하는 특성상 일정하게 구획된 공간 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식재시설 뿐만 아니라 실내의 습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습기 외에 관상은 물론 취미 생활에도 부합될 수 있는 수중시설을 구비하게 되는데, 그 수중시설 중의 대표적인 것이 어류 등을 넣고 키우는 어항이 대표적이다.
다만, 상기와 같은 식재시설이나 수중시설은 각각 설치되어야 하는 조건상 좁은 실내공간에서 각각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면적을 확보하기가 어렵고, 유지 및 관리 또한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최근에는 하나의 시설물에 식재시설과 수중시설이 합쳐진 자연생태정원이 구현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자연생태정원은 상부가 개방된 하나의 방수수조에 석재 등이 쌓여 경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 기준으로 일측은 솜, 모래 및 자갈로 이루어지는 바닥층이 구비되어 어류를 키울 수 있는 물이 수용되는 어항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여러 토질의 식재토가 적층되어 식재식물이 심어지는 식재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식재토는 통상 여과재 역할을 하는 난석, 식물이 식재된 상토에서 흙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부직포,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상토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식재토를 구성하는 성분 중의 하나인 난석은 자체에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고, 상기 성분으로 구성된 식재토 만으로는 식물의 영양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식물의 성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질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연생태정원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뿌리의 부패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뿌리의 발육 및 식물 성장이 원활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토양 미생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된 하나의 방수수조에 석재가 쌓여 경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를 기준으로 일측은 어류를 키울 수 있는 물이 수용되는 어항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식재토가 적층되어 식재식물이 심어지는 식재부가 형성된 자연생태 정원에 있어서,
상기 식재토는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제1난석층과;
상기 제1난석층의 상부에 흙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층되는 흙 흘러내림 방지층과;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식물에 영양을 공급하는 광합성 세균근이 배양된 제2난석층과;
식물이 식재되기 위한 상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생태정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과 제1난석층 사이에는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갖는 숯을 적층시킨 숯층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숯층은 토양미생물이 배양된 숯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수수조 내에 식재부와 어항부로 구획하는 석재를 쌓고 식재부와 어항부를 연결하는 수로를 형성하는 구획단계와;
상기 식재부에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난석을 쌓는 제1난석층 형성단계와;
상기 제1난석층의 상부에 한지 또는 부직포를 적층시키는 흙 흘러내림 방지층 형성단계와;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의 상부에 광합성세균군이 배양된 난석을 쌓는 제2난석층 형성단계와;
상기 제2난석층의 상부에 식재 식물을 심기 위한 부엽토를 쌓는 상토층 형성단계와;
상기 식재부에 식재 식물을 심고, 어항부에 바닥층을 형성한 뒤 물을 주입하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 형성단계 전에 제1난석층의 상부에 숯을 적층하여 숯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재토를 포함하는 자연생태정원은 여과기능이 우수한 난석을 사용하되, 수질을 정화시키는 여과박테리아균이 배양된 난석의 사용으로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제2난석층에 배양된 미생물들로 인하여 식재식물의 성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제1난석층 및 제2난석층에 배양된 미생물의 작용으로 다른 유효한 미생물이 번식하며 이들이 어항부로 유입됨에 따라 어류의 먹이로도 이용가능하다는 부가적이 효과도 있다.
또한, 숯층의 형성으로 통기 및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져 식물의 뿌리 부패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숯에 각종 미량요소가 함유되어 있어 토양에 활력을 주기 때문에 뿌리의 발육 및 식물의 성장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숯층 형성이 토양미생물이 배양된 숯을 사용함에 따라 식물 생육에 유용한 각종 토양미생물들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어 식재식물의 생육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생태정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생태정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생태정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하나의 방수수조(1)에 작은 석재들이 쌓여 경계부(2)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2)를 기준으로 일측은 솜과 모래 및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바닥층이 구비되고 어류를 키울 수 있는 물이 수용되는 어항부(3)가 형성되며, 타측은 식재토가 적층되어 식재식물이 심어지는 식재부(4)가 형성되며, 상기 식재부(4)에는 내부에 통상적인 수중펌프,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통상의 수온자동조절히터 등이 내장되고 어항부의 물을 순환시켜 재공급하는 순환챔버 등이 구비된 자연생태 정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재부에 여과박테리아균의 발생을 활성화시켜 물속 생물의 분비물이나 각종 사료 찌꺼기가 분해됨에 따라 수질오염을 막을 수 있고, 광합성세균군과 같은 식물 성장에 필요한 독립 영양 미생물로 인하여 식물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이러한 미생물들의 번식으로 어류의 먹이로도 이용될 수 있는 식재토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재토는 제1난석층(10), 흙 흘러내림 방지층(20), 제2난석층(30) 및 상토층(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난석층(10)은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난석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식재부(4)의 최하층에 적층되어 식재토에 여과 박테리아균이 보다 신속하게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난석은 식물생육에 필요한 미량요소를 함유한 다공질의 모래로, 물을 그 사이사이로 통과시키는 유리한 조건을 갖음과 동시에 상층으로 심어질 식재식물의 뿌리가 직접적으로 물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식재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분 전달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여과재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토양속의 가스발생을 중화 흡수시켜 뿌리의 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난석은 큰 간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불규칙한 형태의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난석은 그대로 식재부에 적층시키는 경우 난석자체의 여러 가지 오염물질로 인해 수질이 오염될 수 있고, 기본적으로 산성을 띠고 있어 수질을 산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난석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난석은 여과재로서의 기능은 물론, 수질정화에 도움을 주는 여과 박테리아균에 의해 수질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난석에 여과 박테리아균과 더불어 어류의 먹이로 이용 가능한 미생물이 번식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들이 어항부로 유입되어 어류의 먹이로도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난석은 여과 박테리아 균을 배양시키기 전에 난석의 세척과 탈수를 반복한 뒤, 건조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여과 박테리아 균에 일정기간 배양하여 난석의 다공 속에 여과 박테리아균이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배양될 수 있다.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20)은 상기 제1난석층(10)의 상부에 적층된 부엽토 등과 같은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20)은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 한지 등이 적층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한지를 사용하는 경우 탈취성이 우수하고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아 유해물질과 냄새제거에 효과적으로 여과하는 등 공기정화효과를 갖을 수 있으며, 질기기 때문에 어항부에서 스며든 물이 흡수되더라도 쉽게 찢어지지 않을 수 있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효과를 가지므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난석층(30)은 식물에 영양을 공급하는 광합성 세균군이 배양된 난석을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20)의 상부에 적층시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광합성세균군은 토양이 받는 빛과 열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식물의 뿌리에서 나오는 분비물 혹은 유해가스를 기질로 해서 질소화합물의 아미노산, 핵산이나 생리활성물질, 당류 등 식물의 생육성장을 촉진시키는 다수의 유용물질을 생합성하는 독립 영양미생물이다.
따라서 제2난석층에 상기와 같은 광합성세균군이 배양된 난석을 사용하여 적층시키면, 광합성 세균이 분비하는 질소화합물을 기질로 하여 VA균근균이 증가하고 , 이에 따라 식물이 뿌리를 통하여 흡수하지 못하는 불용성 인산 등을 식물에 공급하여 질소고정균인 아조토박터와 공생하면서 질소고정능력을 촉진시키는 등 식물의 성장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식재식물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토양에서 광합성 세균이 증가하면 다른 유효한 토양미생물도 증가되기 때문에 이러한 미생물들이 어항부로 흘러들어 물고기에게 유용한 먹이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광합성세균군이 배양된 난석은 광합성세균군의 배양전에 난석을 반복적으로 세척 및 탈수한 뒤, 건조시켜 오염물질을 제거한 다음, 광합성세균군에 일정기간 배양하여 난석의 다공 속에 광합성 세균군이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배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토층(40)은 식재식물이 식재되는 부분으로, 식재식물의 뿌리가 내려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토지이다. 이러한 상토층(40)은 식재식물의 뿌리 부위 대다수나 전부가 모두 파묻힐 수 있도록 충분한 량을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토층(40)은 나뭇잎이나 작은 가지 등이 미생물에 의해 부패, 분해되어 발생되는 부엽토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부엽토는 배수가 좋고, 수분과 양분의 보축력이 강하며 지온을 높이고 영양분이 풍부하므로 식재식물의 성장에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식재토를 포함하는 자연생태정원은 여과기능이 우수한 난석을 사용하되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되어 있어 식재토 내 여과박테리아균이 신속하게 활성화되고, 이들이 어류의 분비물이나 각종 사료 찌꺼기를 분해하여 수질을 정화시키고 난석 사용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며, 제2난석층에 각각 배양된 미생물들로 인하여 식재식물의 성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제1난석층 및 제2난석층에 배양된 미생물의 작용으로 다른 유효한 미생물이 번식하며 이들이 어항부로 유입됨에 따라 어류의 먹이로도 이용가능하다는 부가적이 효과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생태정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정원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20)과 제1난석층(10) 사이에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갖는 숯을 적층시킨 숯층(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숯층(50)은 숯을 통해 항균효과, 탈취효과, 유해가스 흡착 능력 및 통기성을 크게 증대시키고 물 등의 흡수율을 높여 제2난석층(30) 및 상토층(40)으로의 수분 전달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숯은 참숯, 대나무, 활성탄, 왕겨 숯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숯은 숯 자체가 그대로 적층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분쇄 등을 통하여 분말상태나 소정의 크기를 갖는 알갱이, 펠릿 형태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숯은 제조과정에서 미세한 기공이 다수 형성되는데, 이러한 기공으로 인해 표면면적이 증대되어 우수한 흡착성과 통기성을 나타내며, 석회나 칼리 등의 염기류, 철, 망간 등의 미량요소를 함유하여 토양에 활력을 주므로 뿌리의 발육 및 식물의 성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분 배수능력이 좋아 투수성이 높으므로 습도가 높아도 식물의 뿌리 부패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어항부의 물이 유입되더라도 식재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체적의 30%까지 산소를 함유하여 통기성을 좋게함에 따라 뿌리의 충분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숯층(50)은 토양미생물이 배양된 숯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숯은 다수의 기공을 갖고 있어 표면면적이 넓고, 수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통기성이 좋기 때문에 미생물의 최적의 서식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숯을 일정기간 동안 토양미생물에 배양시키면, 숯의 기공에 토양미생물이 배양되어 원활하게 서식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숯에 배양된 토양미생물은 활발하게 번식하여 제2난석층과 함께 식물 성장에 유용한 추가적인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연생태정원에 식재된 식재식물의 성장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방수수조(1) 내에 식재부(4)와 어항부(3)로 구획하는 석재를 쌓아 경계부(2)를 형성하고, 식재부(4)와 어항부(3)를 연결하는 수로를 형성하는 구획단계(S1)를 수행하게 된다.
즉, 상부가 개방된 하나의 방수수조(1)에 작은 석재들을 쌓아 경계부(2)를 형성하고, 상기 경계부(2)를 기준으로 일측은 솜과 모래 및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바닥층을 형성하고 어류를 키울 수 있도록 물이 수용되는 어항부(3)를 형성한다. 그리고 경계부(2)의 타측은 식재토가 적층되어 식재식물이 심어지는 식재부(4)가 형성되며, 상기 식재부(4)에는 내부에 통상적인 수중펌프,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통상의 수온자동조절히터 등이 내장되고, 어항부의 물을 순환시켜 재공급하는 순환챔버 등이 구비되고, 식재부와 어항부(3)를 연결하기 위한 수로 등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로 상기 식재부(4)에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난석을 쌓는 제1난석층 형성단계(S2)를 수행한다.
상기 제1난석층(10)은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난석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물이 원활하게 투수될 수 있어 어항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더라도 식재식물의 뿌리가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여 뿌리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고, 가스발생을 중화 및 흡수시켜 뿌리의 세포를 활성화시키며, 여과 박테리아균으로 인하여 수질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난석으로 인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난석은 여과 박테리아균을 배양시키기 전에 세척 및 탈수를 반복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 단계는 상기 제1난석층(10)의 상부에 한지 또는 부직포를 적층시키는 흙 흘러내림 방지층 형성단계(S4)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제1난석층(10) 상부에 적층된 부엽토 등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기성이 우수한 한지나 부직포 등이 적층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한지를 사용하는 경우 한지의 우수한 탈취성으로 인해 냄새제거효과 및 유해물질의 제거 효과 등 공기정화에 효과적이며, 재질이 질기기 때문에 물이 흡수되더라도 쉽게 찢어지지 않아 효과적으로 배합토 등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흙 흘러내림 방지층(20)을 형성한 후에는 흙 흘러내림 방지층의 상부에 식재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광합성세균군이 배양된 난석을 쌓는 제2난석층 형성단계(S5)를 수행한다.
제2난석층(30)은 광합성세균군을 통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유용물질을 제공하여 식물의 생육성장을 촉진시키고, 난석사용을 통한 원활한 배수효과로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층된다. 이때 상기 광합성세균군이 배양된 난석은 광합성세균군을 배양하기 전에 난석을 수차례 세척 및 탈수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한 뒤 광합성 세균군을 배양시키는 것이 난석으로 인한 수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 제2난석층(30)의 상부에 식재 식물을 심기 위한 부엽토를 쌓는 상토층 형성단계(S6)를 수행한다.
상기 부엽토는 배수가 좋고 수분과 양분의 보축력이 강하며, 영양분이 풍부하므로 식재식물의 성장에 탁원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부엽토는 식재식물의 뿌리가 내려 고정될 수 있도록 충분한 량을 적층시켜 상토층(40)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식재부(4)의 상토층(40)에 식재 식물을 심고, 어항부(3)에 바닥층을 형성한 뒤 물을 주입하는 마무리 단계(S7)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자연생태정원의 시공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자연생태정원 내 항균, 탈취효과를 높이면서 식재식물의 성장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 형성단계 전에 제1난석층의 상부에 숯을 적층하여 숯층을 형성하는 단계(S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숯층(50)은 토양미생물이 배양된 숯을 쌓아 올리는 것으로, 토양미생물들이 숯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에 배양되어 활발하게 번식됨에 따라 제2난석층과 함께 식물 성장에 유용한 영양분 들을 식재식물에 제공되어 그 성장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숯의 수분 조절 능력과 배수능력 등을 통해 높은 습도에서도 식물의 뿌리가 부패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숯층의 형성으로 자연생태정원 내 식재식물의 생육환경이 더욱 최적의 상태로 맞추어질 수 있어 식재식물의 성장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 방수수조 2: 경계부
3: 어항부 4: 식재부
10:제1난석층 20: 흙 흘러내림 방지층
30: 제2난석층 40: 상토층
50: 숯층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하나의 방수수조에 석재가 쌓여 경계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를 기준으로 일측은 어류를 키울 수 있는 물이 수용되는 어항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식재토가 적층되어 식재식물이 심어지는 식재부가 형성된 자연생태 정원에 있어서,
    상기 식재토는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제1난석층(10)과;
    상기 제1난석층의 상부에 흙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층되는 흙 흘러내림 방지층(20)과;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식물에 영양을 공급하는 광합성 세균근이 배양된 제2난석층(30)과;
    식물이 식재되기 위한 상토층(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생태정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20)과 제1난석층(10) 사이에는 항균 및 탈취기능을 갖는 숯을 적층시킨 숯층(5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생태정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숯층(50)은 토양미생물이 배양된 숯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생태정원.
  4. 방수수조 내에 식재부와 어항부로 구획하는 석재를 쌓고 식재부와 어항부를 연결하는 수로를 형성하는 구획단계(S1)와;
    상기 식재부에 여과 박테리아균이 배양된 난석을 쌓는 제1난석층 형성단계(S2)와;
    상기 제1난석층의 상부에 한지 또는 부직포를 적층시키는 흙 흘러내림 방지층 형성단계(S4)와;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의 상부에 광합성세균군이 배양된 난석을 쌓는 제2난석층 형성단계(S5)와;
    상기 제2난석층의 상부에 식재 식물을 심기 위한 부엽토를 쌓는 상토층 형성단계(S6)와;
    상기 식재부에 식재 식물을 심고, 어항부에 바닥층을 형성한 뒤 물을 주입하는 마무리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흙 흘러내림 방지층 형성단계(S4) 전에 제1난석층의 상부에 숯을 적층하여 숯층을 형성하는 단계(S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생태공원의 시공방법.
KR1020110012004A 2011-02-10 2011-02-10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 KR20120091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04A KR20120091902A (ko) 2011-02-10 2011-02-10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04A KR20120091902A (ko) 2011-02-10 2011-02-10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902A true KR20120091902A (ko) 2012-08-20

Family

ID=46884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004A KR20120091902A (ko) 2011-02-10 2011-02-10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19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0951A (zh) * 2014-11-17 2015-04-01 任立 一种硬质护坡生态软化的方法
CN105329039A (zh) * 2015-11-27 2016-02-17 江惠贤 一种多功能桌面造型流水摆件
KR20180117303A (ko) * 2017-04-19 2018-10-29 이영표 친환경형 생태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0951A (zh) * 2014-11-17 2015-04-01 任立 一种硬质护坡生态软化的方法
CN105329039A (zh) * 2015-11-27 2016-02-17 江惠贤 一种多功能桌面造型流水摆件
KR20180117303A (ko) * 2017-04-19 2018-10-29 이영표 친환경형 생태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JP6125744B2 (ja) バイオマスによる太陽熱と炭酸ガスの固定装置及び同固定装置を備えた家屋
KR101479977B1 (ko)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Boopathi et al. Sustainable Developments of Modern Soil-Less Agro-Cultivation Systems: Aquaponic Culture
CN106630385B (zh) 一种养殖尾水再生利用的水上稻作方法
KR100818912B1 (ko) 수생초목을 이용한 오수의 자연고도 정화장치
CN102986541B (zh) 带气垫层的可控养殖发酵床的建立方法及其发酵床
MX2010013712A (es) Instalacion ecotecnica y metodo para produccion de sustrato de cultivo, de materiales para tratamiento de suelo, y de fertilzantes organicos teniendo propiedades de terra preta antropogenica.
US63872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ater system habitat environment
CN103250668A (zh) 一种结合水产养殖及无土农业种植的系统
JPH07171334A (ja) 有機溶剤除去用エアスクラッバー
KR102258856B1 (ko) 어류사육과 채소작물을 동시 얻기 위한 순환시스템의 적용방법
CN208016700U (zh) 适于北方地区的双面连体温室鱼菜种养系统
JPWO2005081641A1 (ja) 水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システム
JP6037094B2 (ja) 通気性・保水性・吸着性・pH調整機能を有する木炭・pH緩衝調整剤混練粒状資材の製造方法とその使用方法
CN103404475A (zh) 农户地下室生态循环水养鱼系统
KR101248110B1 (ko) 액비를 이용한 악취 저감 돈사 세정 순환 시스템
KR101368123B1 (ko) 자연 생태 환경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KR20120091902A (ko) 자연생태정원 및 자연생태정원의 시공방법
KR101347218B1 (ko) 지하매설 돈사를 이용한 에너지 중립 하우스 식물재배 시스템
KR101421236B1 (ko) 공기정화용 탁자
JP4620761B2 (ja) 海洋生物養殖システム
KR101265571B1 (ko) 광천수와 탄소알갱이를 이용한 수경재배 장치
KR20110109346A (ko) 미생물이 활착된 다공질매체를 구비한 화분시스템
CN202135588U (zh) 一种迷你有机水培水族箱庭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