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189B1 -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 Google Patents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189B1
KR101986189B1 KR1020180014743A KR20180014743A KR101986189B1 KR 101986189 B1 KR101986189 B1 KR 101986189B1 KR 1020180014743 A KR1020180014743 A KR 1020180014743A KR 20180014743 A KR20180014743 A KR 20180014743A KR 101986189 B1 KR101986189 B1 KR 101986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ver
angle
coupled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일
김미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데코
Priority to KR1020180014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향 개방된 저장공간(110)을 갖는 몸체(100)와 개방된 상기 저장공간(110)을 커버하는 덮개(200)로 이루어지는 쓰레기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가 상기 몸체(100)의 양쪽 측벽에 회전각 조절수단(300)을 통해 회전 및 일정각도의 개방상태에서 정지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도록 함과 더불어 개방각도가 각도유지수단(400)을 통해 95-110도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대해 개방되는 덮개가 세워진 상태에서 개방각도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덮개를 쉽게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덮개의 반복적인 개폐시에도 덮개와 본체의 부딪힘이 없어 덮개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An outdoor clean box}
본 발명은 덮개를 갖는 쓰레기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쓰레기 등의 내용물을 보관한 후 이를 덮개로 덮어 보관 할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함에 있어 내용물 출입을 위해 개방되는 덮개가 개방상태에서 사용자가 쉽게 닫을 수 있도록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외부 시설물 등에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각종 쓰레기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함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함체는, 저장공간을 갖는 본체와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되며, 각종 쓰레기를 저장하는 쓰레기함, 또는 차량과 보행자 보호를 위한 제설 목적의 재료를 보관하는 제설함 등으로 서로 용도만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즉, 상기 쓰레기함과 제설함은 동일한 형상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쓰레기함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제설 목적의 쓰레기함은 겨울철에 눈이 많이 오는 경우에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차도나 이면 도로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의 저장공간에 모래나 염화칼슘과 같은 제설제를 보관하게 되며, 주로 겨울철에 눈이 많이 오는 경우나 도로의 결빙시에 차량의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모래나 염화칼슘을 결빙된 도로에 살포하게 된다.
상기한 경우 본체의 내부에 모래나 염화칼슘을 저장한 후 덮개를 덮어 보관하게 되는데, 종래 본체로부터 덮개가 분리되어 있어 사용시 덮개를 옆에다 놓은 후 내용물을 저장 또는 외부로 이송시키는데 이때 덮개를 닫지 않는 경우 겨울철의 영하의 낮은 기온에 의해 제설함 내부에 보관된 모래나 염화칼슘이 얼어버리는 일이 빈번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래나 염화칼슘을 결빙된 도로에 살포하고자 하면, 얼어서 굳어버린 모래나 염화칼슘을 녹이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며, 이에 의해 제설 작업이 길어지게 되고, 신속한 제설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체에 대해 덮개가 분리되지 않고 일측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하도록 된 구조가 제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한 경우 초기 개방시 사용자가 90도 각도 회전시키면 덮개가 자중력으로 회전되어지는 형태이어서 내용물 저장 또는 이송후 덮개를 닫고자 할때 사용자의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덮개의 반복적인 개폐시 덮개가 본체를 타격하는 구조로 반복적인 사용시 덮개와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 부위 및 부딪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특허공개 제10-2014-0021761호 공개일 2014. 02. 20 KR 실용신안등록 제20-0484769호 공고일 2017. 10. 23 KR 실용신안등록 제20-0248429호 공고일 2001. 10. 31 KR 실용신안등록 제20-0464752호 공고일 2013. 02. 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본체에 대해 개방되는 덮개가 세워진 상태에서 개방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및 덮개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향 개방된 저장공간을 갖는 몸체와 개방된 상기 저장공간을 커버하는 덮개로 이루어지는 쓰레기함에 있어, 상기 덮개가 상기 몸체의 양쪽 측벽에 회전각 조절수단을 통해 회전 및 일정각도의 개방상태에서 정지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도록 함과 더불어 개방각도가 각도유지수단을 통해 95-110도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각도유지수단은, 상기 덮개의 테두리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회전시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된 직립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덮개의 회전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각도유지구이며, 상기 각도유지구에 접촉시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가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회전각 조절수단은, 상기 몸체의 저장공간 양쪽 측벽 일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서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홀, 상기 몸체의 측벽에 대해 내측과 외측에 밀착되며 상기 슬라이드 안내홀과 연통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밀착판, 상기 밀착판이 상기 몸체의 측벽에 고정되도록 잠금하는 한 쌍의 잠금핀, 일측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덮개의 일측 회전부에 형성된 회전홀을 통과하여 상기 밀착판의 나사홀을 통과하면서 나사 고정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는 고정구, 상기 고정구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덮개의 회전부와 결합되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테두리부 상면과, 이와 접하는 상기 덮개의 테두리부 하면이 서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하향 경사각을 가지며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의 테두리부 일측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걸림돌출부를 더 돌출 연장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덮개를 이루는 테두리부의 절곡단에 추가로 더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몸체에 상기 덮개의 닫힘시 닫힘위치에서 닫힘속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밀폐 기능을 수행하도록 완충밀폐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완충밀폐수단은, 상기 몸체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스틸판, 상기 덮개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틸판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자성체, 상기 자성체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스틸판 접촉시 기밀을 유지하며 탄성변형되는 패드, 상기 패드에 내장되어 탄성변형을 증가시키는 복원스프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에 대해 개방되는 덮개가 세워진 상태에서 개방각도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덮개를 쉽게 닫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덮개의 반복적인 개폐시에도 덮개와 본체의 부딪힘이 없어 덮개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덮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
도 7은 도 4 또는 도 6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
도 8은 도 7의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 및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몸체의 저장공간을 커버하는 덮개가 개방상태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개방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에 의하여 상향 개방된 저장공간(110)을 갖는 몸체(100)와, 개방된 상기 저장공간(110)을 커버하는 덮개(200) 및 상기 덮개(200)가 상기 몸체(100)의 양쪽 측벽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각 조절수단(300) 그리고, 상기 덮개(200)가 닫힘상태에서 개방시 95-110도의 개방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각도유지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공지와 동일한 것으로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며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을 취하며 상향으로 개방된 저장공간(110)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개방측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수평면을 가지며 확장된 형태의 테두리부(120)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200)는, 상기 저장공간(110)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둘레를 따라 테두리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220)가 끝단에 절곡단(222)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상측 테두리부(120)를 감싸는 형태로 밀착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200)의 일측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개폐를 위한 손잡이(210)가 돌출 형성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200)는 상기 몸체(100)에 대해 회전각 조절수단(300)을 통해 회전되면서 개폐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상기 몸체(100)에 대해 상기 덮개(200)가 각도유지수단(400)을 통해 대략 수직형태로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도유지수단(400)은, 상기 덮개(200)의 테두리부(220)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200)의 회전시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직립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덮개(200)의 회전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각도유지구(410)이며, 상기 각도유지구(410)에 상기 몸체(100)의 직립부 접촉시 완충력을 제공하도록 완충부(42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420)는, 고무소재의 패드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따라, 상기 덮개(20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각 조절수단(30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덮개(200)가 회전되면서 일측 테두리부(220)에 구비된 각도유지구(410)가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직립부에 접촉되면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각도유지구(410)는 상기 덮개(200)의 일측 테두리부(220)에 형성된 접촉단부이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몸체(100)의 테두리부(120) 상면과, 이와 접하는 상기 덮개(200)의 테두리부(220) 하면이 서로 접촉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하향 경사각(A)을 가지며 접촉되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도 6 참조)
상기한 경우 폐쇄 동작에 있어 덮개(200)의 테두리부(220)가 상기 몸체(100)의 테두리부(120) 표면에 접촉시 틈새 발생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200)의 테두리부(220) 일측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걸림돌출부(226)를 더 돌출 연장되게 형성함이 바람직 하며, 상기 걸림돌출부(226)는, 상기 덮개(200)를 이루는 테두리부(220)의 절곡단(222)에 추가로 더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회전각 조절수단(300)은, 상기 몸체(100)의 저장공간(110) 양쪽 측벽 일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가이드홈(130), 상기 가이드홈(130)에서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홀(140), 상기 몸체(100)의 측벽에 대해 내측과 외측에 밀착되며 상기 슬라이드 안내홀(140)과 연통되는 나사홀(31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밀착판(320)(321), 상기 밀착판(320)(321)이 상기 몸체(100)의 측벽에 고정되도록 잠금하는 한 쌍의 잠금핀(330)(331), 일측에 머리부(341)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덮개(200)의 일측 회전부(260)에 형성된 회전홀(262)을 통과하여 상기 밀착판(320)(321)의 나사홀(312)을 통과하면서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342)가 형성되는 고정구(340), 상기 고정구(340)의 나사부(342)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덮개(200)의 회전부(260)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200)와 상기 고정구(34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너트부재(3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양쪽에 서로 대칭되게 마주보며 결합되는 한 쌍의 나사부(342)는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이에따라, 상기 덮개(200)의 개방 동작시에는 상기 고정구(340)의 나사부(342)가 서로 조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덮개(200)의 회전부(260)를 당김시켜 상기 덮개(200)가 몸체(100)에 대해 90도 각도를 넘어서지 않는 위치에서도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나사부(342)가 조임되면서 상기 회전부(260)의 표면이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면밀착 상태로 고정되어져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나사부(342)의 상기 나사홀(312) 결합 위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몸체(100)에 상기 덮개(200)의 닫힘시 닫힘위치에서 닫힘속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밀폐 기능을 수행하도록 완충밀폐수단(600)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상기 완충밀폐수단(600)은, 상기 몸체(100)의 테두리부(120)에 결합되는 스틸판(610), 상기 덮개(200)의 테두리부(220)에 결합되며 상기 스틸판(610)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자성체(620), 상기 자성체(620)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스틸판(610) 접촉시 기밀을 유지하며 탄성변형되는 패드(630), 상기 패드(630)에 내장되어 탄성변형을 증가시키는 복원스프링(640)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에 대해 상기 덮개(200)가 닫힘하는 경우 패드(630)가 상기 스틸판(610)의 표면에 탄성력을 가지며 면밀착되고 이와동시에 자성체(620)의 자성력으로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성체(620)는, 영구자석 또는 배터리에 의해 동작되는 전자석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패드(630)는, 탄성 변형되는 고무소재가 적용되며 상기 패드(630)의 내측에 탄성 복원을 위한 복원스프링(640)이 내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상기 덮개(200)가 상기 몸체(100)의 저장공간(110) 커버시 자성력 작용으로 패드(630)가 압축되면서 저장공간(110)을 폐쇄시켜 안정된 기밀 유지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몸체
110: 저장공간 120: 테두리부
130: 가이드홈 140: 슬라이드 안내홀
200: 덮개
210: 손잡이 220: 테두리부
222: 절곡단 226: 걸림돌출부
260: 회전부 262: 회전홀
300: 회전각 조절수단
320,321: 밀착판 312: 나사홀
330,331: 잠금핀
340: 고정구 341: 머리부
342: 나사부
350: 너트부재
400: 각도유지수단
410: 각도유지구 420: 완충부
600: 완충밀폐수단
610: 스틸판 620: 자성체
630: 패드 640: 복원스프링

Claims (6)

  1. 상향 개방된 저장공간(110)을 갖는 몸체(100)와 개방된 상기 저장공간(110)을 커버하는 덮개(200)로 이루어지는 쓰레기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가 상기 몸체(100)의 양쪽 측벽에 회전각 조절수단(300)을 통해 회전 및 일정각도의 개방상태에서 정지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도록 함과 더불어 개방각도가 각도유지수단(400)을 통해 95-110도에서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몸체(100)에 상기 덮개(200)의 닫힘시 닫힘위치에서 닫힘속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밀폐 기능을 수행하도록 완충밀폐수단(600)이 제공되도록 하되,
    상기 완충밀폐수단(600)은, 상기 몸체(100)의 테두리부(120)에 결합되는 스틸판(610), 상기 덮개(200)의 테두리부(220)에 결합되며 상기 스틸판(610)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자성체(620), 상기 자성체(620)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스틸판(610) 접촉시 기밀을 유지하며 탄성변형되는 패드(630), 상기 패드(630)에 내장되어 탄성변형을 증가시키는 복원스프링(6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유지수단(400)은,
    상기 덮개(200)의 테두리부(220)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덮개(200)의 회전시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직립부에 접촉되면서 상기 덮개(200)의 회전 각도를 유지하게 되는 각도유지구(410)이며, 상기 각도유지구(410)에 접촉시 완충력을 제공하는 완충부(42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 조절수단(300)은,
    상기 몸체(100)의 저장공간(110) 양쪽 측벽 일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 형성된 가이드홈(130),
    상기 가이드홈(130)에서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된 슬라이드 안내홀(140),
    상기 몸체(100)의 측벽에 대해 내측과 외측에 밀착되며 상기 슬라이드 안내홀(140)과 연통되는 나사홀(312)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밀착판(320)(321),
    상기 밀착판(320)(321)이 상기 몸체(100)의 측벽에 고정되도록 잠금하는 한 쌍의 잠금핀(330)(331),
    일측에 머리부(341)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덮개(200)의 일측 회전부(260)에 형성된 회전홀(262)을 통과하여 상기 밀착판(320)(321)의 나사홀(312)을 통과하면서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부(342)가 형성되는 고정구(340),
    상기 고정구(340)의 나사부(342)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덮개(200)의 회전부(260)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200)와 상기 고정구(34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너트부재(3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양쪽에 서로 대칭되게 마주보며 결합되는 한 쌍의 나사부(342)가 나선방향을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5. 삭제
  6. 삭제
KR1020180014743A 2018-02-06 2018-02-06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KR101986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743A KR101986189B1 (ko) 2018-02-06 2018-02-06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743A KR101986189B1 (ko) 2018-02-06 2018-02-06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189B1 true KR101986189B1 (ko) 2019-06-05

Family

ID=6684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743A KR101986189B1 (ko) 2018-02-06 2018-02-06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189B1 (ko)

Citation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397A (en) * 1979-05-18 1982-08-10 Yoshino Kogyosho Co., Ltd. Compact having stay-open lid structure
US4971220A (en) * 1989-12-11 1990-11-20 Kimberly-Clark Corporation Container with "stay open" lid
US5036997A (en) * 1990-08-10 1991-08-06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Stay-open towel dispensing container
JPH0378417U (ko) * 1989-12-01 1991-08-08
US5065887A (en) * 1990-02-20 1991-11-19 Scott Paper Company Container with hinged cover
JPH0610111U (ja) * 1992-07-13 1994-0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湾曲型カートン
JPH0728047U (ja) * 1993-10-27 1995-05-23 花王株式会社 キャップ
JPH08132014A (ja) * 1994-11-15 1996-05-28 Nec Home Electron Ltd 生ごみ処理機
EP0809338A2 (en) * 1996-05-22 1997-11-26 Dek, Inc. Reclosable cover for cable and duct channel
JP3137123B2 (ja) * 1993-10-01 2001-02-19 宏 吉原 蓋の開放機構
KR200248429Y1 (ko) 2001-06-11 2001-10-31 (주)수양기업 에프알피를 이용한 제설함
JP2003128201A (ja) * 2001-10-25 2003-05-08 Shiraishi Tekko Kk ゴミ収容箱
JP2003518435A (ja) * 1999-12-09 2003-06-10 マトリックス・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管ラック
KR100407165B1 (ko) * 2003-05-06 2003-12-01 조길순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구조
WO2004032692A1 (en) * 2002-10-09 2004-04-22 Donald Ian Campbell Mailbox
KR20070103597A (ko) * 2006-04-19 200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용기
JP2008280143A (ja) * 2007-05-10 2008-11-20 Asuberu Kk ゴミ箱
KR101004019B1 (ko) * 2010-03-02 2010-12-31 박광수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
JP5080931B2 (ja) * 2007-10-16 2012-11-21 三笠産業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KR200464752Y1 (ko) 2010-03-16 2013-02-15 엔피씨(주) 쓰레기통
KR20140021761A (ko) 2012-08-10 2014-02-20 고영숙 음식물쓰레기수거함용 뚜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수거함
KR200484769Y1 (ko) 2016-10-18 2017-10-23 인천광역시시설관리공단 잔여량 확인이 가능한 제설함
KR20180002274U (ko) * 2017-01-17 2018-07-25 우규하 압축기능이 구비된 자동개폐가능한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3397A (en) * 1979-05-18 1982-08-10 Yoshino Kogyosho Co., Ltd. Compact having stay-open lid structure
JPH0378417U (ko) * 1989-12-01 1991-08-08
US4971220A (en) * 1989-12-11 1990-11-20 Kimberly-Clark Corporation Container with "stay open" lid
US5065887A (en) * 1990-02-20 1991-11-19 Scott Paper Company Container with hinged cover
US5036997A (en) * 1990-08-10 1991-08-06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Stay-open towel dispensing container
JPH0610111U (ja) * 1992-07-13 1994-0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湾曲型カートン
JP3137123B2 (ja) * 1993-10-01 2001-02-19 宏 吉原 蓋の開放機構
JPH0728047U (ja) * 1993-10-27 1995-05-23 花王株式会社 キャップ
JPH08132014A (ja) * 1994-11-15 1996-05-28 Nec Home Electron Ltd 生ごみ処理機
EP0809338A2 (en) * 1996-05-22 1997-11-26 Dek, Inc. Reclosable cover for cable and duct channel
JP2003518435A (ja) * 1999-12-09 2003-06-10 マトリックス・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ーション 管ラック
KR200248429Y1 (ko) 2001-06-11 2001-10-31 (주)수양기업 에프알피를 이용한 제설함
JP2003128201A (ja) * 2001-10-25 2003-05-08 Shiraishi Tekko Kk ゴミ収容箱
WO2004032692A1 (en) * 2002-10-09 2004-04-22 Donald Ian Campbell Mailbox
KR100407165B1 (ko) * 2003-05-06 2003-12-01 조길순 음식물 쓰레기통의 뚜껑 개폐구조
KR20070103597A (ko) * 2006-04-19 200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용기
JP2008280143A (ja) * 2007-05-10 2008-11-20 Asuberu Kk ゴミ箱
JP5080931B2 (ja) * 2007-10-16 2012-11-21 三笠産業株式会社 ヒンジキャップ
KR101004019B1 (ko) * 2010-03-02 2010-12-31 박광수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
KR200464752Y1 (ko) 2010-03-16 2013-02-15 엔피씨(주) 쓰레기통
KR20140021761A (ko) 2012-08-10 2014-02-20 고영숙 음식물쓰레기수거함용 뚜껑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수거함
KR200484769Y1 (ko) 2016-10-18 2017-10-23 인천광역시시설관리공단 잔여량 확인이 가능한 제설함
KR20180002274U (ko) * 2017-01-17 2018-07-25 우규하 압축기능이 구비된 자동개폐가능한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54558B2 (en) Spigot and spigot guard for an insulating container
US10526130B2 (en) Insulating container
US9834342B2 (en) Insulating container and latching mechanism
US4979634A (en) Hold-open hinge mechanism for a molded plastic cover
EP2894111A1 (en) Cover device and container for covering built-in valve mounting channel opening of composite-typ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CA2266305A1 (en) Closure for a portable liquid container
KR101986189B1 (ko) 덮개의 개방각 유지가 가능한 쓰레기함
US9796337B2 (en) Battery compartment cover
KR101898268B1 (ko) 하이브리드 탄소섬유 복합재료를 적용한 투광성 비상탈출도어
US5230542A (en) Latch dog assembly
US20020130128A1 (en) Magnetically sealable enlosure
KR100983025B1 (ko) 윙바디 잠금장치
US5505505A (en) Device for securing a closure such as a window
US3402847A (en) Container closure
US6547102B2 (en) Swivel top closure
AU732702B2 (en) Handle for a door or a lid of electrical cabinets
US20170354249A1 (en) Hermetically sealable storage cabinets
CN204806808U (zh) 门体自锁装置及冰箱
CN109373685B (zh) 冰箱
JPH0417498Y2 (ko)
EP1684039A2 (en) Refrigerated cabinet with an apparatus for keeping the door ajar
KR20150045110A (ko) 탄성이 부여된 잠금장치
CN220815282U (zh) 一种右门内开板手堵盖
CN210036779U (zh) 一种设置观察窗口的仪表箱
KR20090009475U (ko) 음식물용 사각 밀폐용기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