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149B1 -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149B1
KR101986149B1 KR1020180007589A KR20180007589A KR101986149B1 KR 101986149 B1 KR101986149 B1 KR 101986149B1 KR 1020180007589 A KR1020180007589 A KR 1020180007589A KR 20180007589 A KR20180007589 A KR 20180007589A KR 101986149 B1 KR101986149 B1 KR 101986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paulin
resin
coating
mixtur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옥
Original Assignee
이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옥 filed Critical 이상옥
Priority to KR1020180007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2Floor elements with an anti-skid main surface, other than with groo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25Amines
    • D06M13/332Di- or polyami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5Epoxy res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9Polyamides; Polyim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기능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의 제조 방법은; 100%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기초로 제조된 모든 혼합사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일정 배율로 시트상 타포린을 제직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직된 시트상 타포린의 표면에 에폭시(epoxy) 수지 및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와 디에틸 트리아민(Diethyl Triamin; DETA)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수지 도포 타포린 시트 상에 금강사 #16~#3000까지를 범위로 하는 제품을 고압 전착하는 단계; 및 상기 금강사 표면에 코팅제로 우레탄 수지와 그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의 코팅액을 도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은 타포린 방수 시트를 지지체 소재로 사용하고 그 위에 특정한 무기물질을 도포하여 제조함에 의해 종래의 논슬립 제품의 문제점 등으로 인한 소비자의 불편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Non-slip pad using tarpaulin waterproof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기능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타포린 방수시트를 기재 지지체로 사용하여 그 위에 무기 소재의 논슬립 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끄럼 방지 기능, 내마모성과 방수성이 우수한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무기 소재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사진 도로나 계단은 물론 욕실 등과 같은 통상의 생활 공간에 존재하는 콘크리트, 대리석 또는 타일, 강화 플라스틱 소재 등으로 구성되는 바닥은 그 특성상 표면이 매끄럽게 마감되어 물기와 같은 주변 환경에 의해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쉽다.
이로 인해 그 위를 보행하는 보행자의 발의 착지 각도 등에 따라 마찰계수가 저하하면서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아져 골절을 당하는 등 생활상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끄럼 방지를 위해 예를 들어, 미끄러지기 쉬운 장소의 바닥에 테이프 등과 같은 표면 마찰력이 큰 재질의 미끄럼방지 수단을 부착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 수단은 사람의 미끄러짐뿐 아니라 기구, 가구 또는 장식물 등의 물체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무실 책상 또는 차량의 대쉬보드 위에 휴대폰이나 다양한 소품 등을 거치하는 경우에도 미끄럼 방지 수단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다양한 논슬립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 제안된 일반적인 미끄럼방지 수단은 기본적인 기능인 마찰력 제공과 부가적인 기능인 내마모성, 경제성, 심미성 등의 모든 특성들이 균형있게 조화를 이루는 제품들은 부족한 실정이며, 각각의 특정한 목적과 원하는 사용장소에 맞게 특성화된 제품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컨대,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11-0100852호(특허문헌 1)는 논슬립 바닥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라는 명칭으로, PVC 시트의 아래에 부직포를 접합하고 PVC 시트의 상면에는 그라스화이바를 일체화하여 기초 소재가 구성되고, 그 상면에 1차 PVC 코팅층이 구성되면서 칩이 1차 PVC 코팅층에 일부가 묻힌 상태가 되며, 그 위에 다시 2차 PVC 코팅층이 칩의 높이만큼 구성되면서 상기 2차 PVC 코팅층에 논슬립재가 요홈을 만들면서 요홈 주변에는 돌출부가 불규칙하게 형성된 상태로 된 논슬립 바닥재를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11-0054094호(특허문헌 2)에는 논슬립 시트 제조용 조성물, 논슬립 시트와 이를 이용한 타일 형태의 바닥 장식재 및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중합도 800 내지 1500인 PVC 수지와, PVC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에틸렌-초산 비닐-카본 모노옥사이드 삼원 공중합체의 폴리머 얼로이 20 내지 60 중량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논슬립 시트용 조성물과 이를 사용한 논슬립 시트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특히 타포린과 같은 천막용에 사용되는 수지인 에틸렌-초산 비닐-카본 모노옥사이드 삼원 공중합체의 폴리머 얼로이를 시트용 조성물로 사용한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특허문헌 1을 포함한 종래의 논슬립 패드는 일반적으로 PET 필름, 종이, 천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다양한 충격에 견디지 못하고 흠집이 생기면 연쇄적으로 패드가 찢어지거나 손상되어 단기간 사용 후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천 시와 같이 물에 노출될 때 방수력 저하에 따른 패드의 손상과 이로 인한 빈번한 교체에 따른 수명 문제 등이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부각되어 왔으며, 특히 하절기 야외 고온 현상에 의한 부착면과 논슬립 패드 간의 접착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 등과 같이 다양한 개선점을 안고 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내오염성, 긁힘성, 마모성, 내구성 등의 물성을 부여하기 위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와 같은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자외선으로 경화시켜 형성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으나, 방수성 부족에 따른 내구성 및 접착력 저하에 대한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도 미흡한 실정이어서 그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타포린 소재를 논슬립 패드의 기재 지지층으로 사용하고, 그에 적합한 접착제 적용 등을 시행하여 특정 무기 소재의 층을 형성함에 의해 논슬립 특성과 내구성을 개선하면서 방수성을 부여하여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0100852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005409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논슬립 패드에 대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현재 제안된 대부분 논슬립 패드의 문제점인 방수성 부재를 해결하면서 논슬립 특성을 더욱 개선하고 내구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킨 새로운 논슬립 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논슬립 패드를 타포린 방수시트를 기재 지지층으로 사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기 소재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되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내열성인 100%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로 가로, 세로 일정 배열로 제직한 판상 표면에 방수 특성을 갖는 에폭시(epoxy) 수지와 그 경화제로 배합된 혼합물을 나이프 코팅 처리하여 일정 온도로 경화시킨 후 특정 전압하에서의 고압 전착을 통해 금강사를 부착하여 경화하고, 우레탄 수지와 그 경화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금강사를 피복하고 경화하여 논슬립 패드를 제조하며,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논슬립 패드는 사용 시 다양한 충격과 습기, 고열 등에 우수한 내구성 특성을 가지며 마찰 계수를 증가시켜 미끄럼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장점을 제공하므로 달성될 수 있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의 제조 방법은;
100%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기초로 제조된 모든 혼합사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일정 배율로 시트상 타포린을 제직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직된 시트상 타포린의 표면에 에폭시(epoxy) 수지 및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와 디에틸 트리아민(Diethyl Triamin; DETA)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수지 도포 타포린 시트 상에 금강사 #16~#3000까지를 범위로 하는 제품을 고압 전착하는 단계; 및
상기 금강사 표면에 코팅제로 우레탄 수지와 그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의 코팅액을 도포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논슬립 패드를 페스툰 건조기(festoon dryer)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타포린의 표면에 도포되는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물은 에폭시 수지와 폴리아미드 수지에 탄산칼슘과 규조토를 첨가하고 경화제를 부가하여 고점도 타입의 혼합액을 제조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직된 시트상 타포린의 표면에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물로 도포하는 단계는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금강사 표면 코팅제로 우레탄 수지와 그 경화제,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로 도포하는 단계에 의해 금강사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는;
100%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기초로 제조된 모든 혼합사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일정 배율로 시트상 타포린을 제직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직된 시트상 타포린의 표면에 에폭시(epoxy) 수지 및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와 디에틸 트리아민(Diethyl Triamin; DETA)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수지 도포 타포린 시트 상에 금강사 #16~#3000까지를 범위로 하는 제품을 고압 전착하는 단계; 및
상기 금강사 표면에 코팅제로 우레탄 수지와 그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의 코팅액을 도포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타포린 방수시트 상에 도포된 혼합물의 도포 두께는 38㎛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은 타포린 방수 시트를 지지체 소재로 사용하고 그 위에 상기한 무기물질을 도포하여 제조함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논슬립 제품의 문제점 등으로 인한 소비자의 불편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논슬립 패드는; 1)타포린 소재 내부의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가로, 세로 일정 비율로 혼재되어 있어 어떠한 충격에도 파손, 찢어짐 등의 손상이 없으며 유연한 특성을 가지며, 2) 타포린 표면과 접착이 우수한 에폭시 수지와 폴리아미드 수지를 혼합한 혼합액으로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금강사의 견고한 부착력으로 반영구적인 접착력을 유지하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3) 20,000V 내지 35,000V의 고압 전착시 상술한 다양한 금강사를 특수 산처리 및 수세를 한 후 사용하여 매우 우수한 접착력 특성을 부여하여 내구성을 개선하였으며, 4) 타포린 기재를 사용하여 우수한 방수성을 부여하여 물에 노출시에도 우수한 접착력을 유지하여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 논슬립 패드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한 산업상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타포린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공정 중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장치를 사용하여 타포린 방수시트 상에 수지 혼합물을 도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 "함유" 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타포린" 또는 "타포린 방수시트"는 당해분야에서 공지된 의미로 사용되며, 구체적으로는 신소재 섬유로 비닐만큼 가볍고 유연하면서도 질긴 방수 원단을 지칭한다. 이 타포린 방수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위에 PVC를 합성하여 만들어진 사로 제직된 시트상의 직포로 파라솔, 천막, 텐트, 자동차 커버 등의 소재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나이프 코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칼(11)을 사용하여 점도가 높은 도료인 코팅액(13)을 기재(16), 예를 들면 직물 상에 덮는 가공을 지칭한다.
이러한 나이프 코팅에 이용되는 장치는 가장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코팅 장치로서, 코팅 수지를 나이프나 블레이드를 이용해 도포해주는 방법으로 코팅 두께는 나이프 에지(12)와 기재(16) 간의 거리로 조절될 수 있다.
유사한 장치로 나이프 오버 롤(Knife over roll)은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방법으로서 코팅 수지의 양은 아래 면의 롤러와 나이프 사이의 간격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 장치를 사용한 코팅의 품질은 나이프의 각도, 나이프의 형태, 웹과 같은 기재의 통과속도, 수지의 유동 특성 등에 좌우되며 코팅두께는 0.1인치 정도에 적용되고 습식 코팅의 경우는 0.002-0.02인치의 두께 범위 정도이다.
나이프 오버 블랑켓(Knife over blanket), 나이프 오버 테이블(Knife over table) 등도 유사한 방법으로 이는 이동되는 기재인 러버 블랑켓이나 테이블로 지지된 상태에서 코팅 수지가 적용되는 방법이다. 코팅 수지의 점도가 10,000 cps 이상의 경우에 주로 사용되나 그 이하인 경우도 가능하며 코팅되는 양은 웹의 장력, 나이프의 두께 및 각도, 기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전착(電着, electrodeposition)은 전기분해에 의해 어떤 물질이 석출하여 전극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지칭한다. 전기도금 및 전주는 그 목적에 따라 금속을 음극에 전착시키는 방법이나, 2산화망간, 2산화납처럼 양극에 전착하는 것도 있다.
도료를 탱크에 넣고 여기에 도장해야 될 금속을 침지하여 양극으로 하고, 탱크를 음극으로 하여 직류전원을 인가하여 양극의 피도장물인 금속 위에 전착시키면 도막(coating)이 형성된다. 도료 액은 수용성이나 수분산성(水分散性)의 전도성이 있는 도료로서 전기를 통함으로써 도막형성성분이 균일하게 골고루 밀착되어 나간다.
이러한 형은 음이온(anion) 형의 도료가 양극에 석출된 음이온전착형이나 반대로 도료가 양이온이 된 양이온(cation) 전착형도료가 출현하여 방식력(防飾力)이 증가하고, 금속표면의 전처리를 간략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어 자동차의 초벌칠 도료로서 에폭시 수지에서 유도한 것을 다량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금강사 (金剛砂, emery)"는 철광석과 외형이 비슷한 입상 또는 괴상의 짙은 색을 띤 치밀한 물질로, 강옥과 자철석(입상 또는 결정질)의 기계적 집합체를 지칭한다. 이들 광물 외에 다이어스포어·깁사이트·마가라이트·클로리토이드·규선석을 포함하는 것도 있다.
따라서, 금강사는 광물보다는 암석으로 취급해야 한다. 금강사의 모스 경도는 약 8인데 반해 순수한 강옥은 9이다. 금강사의 연마능(硏磨能) 또는 유효경도는 알루미나의 양에 비례하는 것이 아니고 물리적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금강사는 낙소스(Naxos) 섬에서 일찍부터 개발되었다. 이 섬에서 금강사는 결정질편암에 수반된 입상석회암 내에서 엉성한 덩어리나 렌즈 모양의 집합체 또는 불규칙한 층으로 산출된다. 낙소스와 유사한 주요광상은 소아시아에서 발견되는데, 이곳의 금강사는 붉은 토양 안에서 분리된 덩어리 또는 운모편암·편마암·화강암에 수반된 결정질석회암 내에 협재된 둥근 괴상으로 나타난다.
미국 내 몇 지역에서도 채광되고 있지만, 상업적 가치를 지닌 것은 1980년대초 뉴욕 주 피크스킬에서 채광되었다. 금강사는 오랫동안 주로 연마재로 사용되어왔으나, 현재 바닥 미끄럼 방지물이나 계단 디딤판, 포장재료 등 그 사용범위가 크게 넓어지고 있다. 다른 연마재를 선호하는 경우도 있지만 매우 미세한 금강사 가루는 렌즈 연마, 보석 세공 및 판유리 제조 등에 사용된다.
회전식 금강사 숫돌은 분말 금강사와 접착제를 고화시켜 만든 것으로 치과의사와 기계 기술자들에 의해 연마·성형·강철광내기등에 이용된다. 금강사 점착물, 금강사포(金剛砂布:또는 鐵丹 먹인 헝겊), 금강사지(金剛砂紙)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분말 금강사는 접착제로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페스툰 건조기(festoon dryer)는 현수식 건조기(懸垂式乾操機)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의 제조 방법은 100%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기초로 제조된 모든 혼합사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일정 배율로 시트상 타포린을 제직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직된 시트상 타포린의 표면에 에폭시(epoxy) 수지 및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와 디에틸 트리아민(Diethyl Triamin; DETA)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수지 도포 타포린 시트 상에 Al2O3, SiC, Zr·Al2O3, 세라믹 입자와 같은 도포된 연마제 제품에 사용되는 모든 금강사 #16 내지 #3000까지를 범위로 하는 제품을 고압 전착하는 단계; 및 상기 금강사 표면 코팅제로 우레탄 수지와 그 경화제인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로 도포하여 논슬립 패드를 제조하는 단계와, 선택적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논슬립 패드를 페스툰 건조기(festoon dryer)에서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 중 논슬립 패드 표면을 특수코팅 처리하여 금강사 부착의 용이성을 증가시킴에 있어서 타포린 표면의 평활도를 유지하는 데에 난해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 수지와 폴리아미드 수지에 결합력이 좋은 탄산칼슘과 증점에 용이한 규조토를 첨가하여 고점도 타입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금강사는 그 표면 코팅 상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결하였다.
즉, 금강사 표면 코팅액의 점도는 기술 표준상 400cps(25℃)이며 이 표준을 적용한 경우 피복량이 적어 마찰계수는 일반적으로 증가하지만, 내구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점도 표준을 1200cps(25℃)로 증가시켜 피복을 실시한 결과 매우 양호한 피복력과 내구성의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의 제조 방법을 이하에서 공정 별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100%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가로 및 세로의 일정 간격으로 제직 혼입된 타포린(두께 0.5T)을 롤 형상으로 준비하여,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나이프 코팅 장치인 콤마나이프(comma knife)를 이용하여 타포린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을 코팅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혼합물은 수지, 탄산칼슘 및 규조토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혼합물은 혼합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에폭시 수지 20 중량부에 폴리아미드 수지 64 중량부를 우선 600 RPM으로 교반 탱크에서 혼합한 후 탄산칼슘 30 중량부와 규조토 6 중량부를 첨가하고 1,000 RPM으로 30 내지 40분간 교반하여 분산시켜 분산물을 얻고, 여기에 용매로 톨루엔(Toluene)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400 RPM으로 10분간 다시 교반한 후 브룩필드(Brookfild) B형 점도계를 이용하여 25℃에서 1,800cps로 보정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혼합물을 도 2에 도시된 나이프 코팅 장치를 사용하여 타포린 방수시트 상에 코팅을 실시한 후 100℃ 내지 120℃ 범위의 포스트로우 드럼 오븐을 40분에 걸쳐 통과시켜 경화시킨 후 재 권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혼합물이 도포된 타포린 방수시트 상에 고압 전착 설비(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금강사를 부착시킨다. 보다 자세하게는, 금강사를 황산수용액(20%)에 1일 침적한 후 10회 이상 수세한 후 열풍 건조시킨다.
그 다음, 고압 전착 설비를 20,000 내지 35,000V, 바람직하기로는 25,000V를 유지하여 상기와 같이 처리된 금강사를 상기 방법에 따라 코팅용 혼합물이 도포된 타포린 방수시트에 부착시키고 페스툰 건조기에서 30분간 통과시켜 경화시킨 후 재 권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패드를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논슬립 패드에는 금강사가 일정 분포를 유지하며 타포린 표면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팅용 혼합물이 도포된 타포린 방수시트 상에 상술한 금강사 표면 코팅을 실시함에 있어서 코팅액은, 코팅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9 중량부를 혼합하여 1200 RPM으로 20분간 교반한 후 톨루엔, IPA 및 MEK를 혼합한 혼합용제 13 중량부를 첨가한 후 400 RPM으로 20분 동안 교반하여 브룩필드 B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1200cps로 보정하여 금강사를 피복하고, 피복 코팅 후 페스툰 건조기에서 30분간, 최대 60분간에 걸쳐 통과시킨 후 재 권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 패드의 제조방법은 롤 형태로 제조된 논슬립 패드 기재 지지층인 타포린 방수시트를 유연기(Flexing machine)를 통과시켜 유연한 상태로 제조할 수 있고, 이때 다양한 규격별 논슬립 패드 가공이 가능한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보다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타포린 표면의 접착력 향상과 방수력, 표면 평활도 향상을 위한 타포린 표면 코팅의 배합을 결정함에 있어서 하기 표 1과 같은 다양한 배합 비율을 사용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
에폭시 수지(EP)와 폴리아미드 수지(PA)의 배합 비율은 에폭시 수지의 함량을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최소 20 중량부로 하였을 때 동일 경화제 함량 적용 시,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코팅의 건조시간은 단축되고 타포린의 유연성이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접착력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에폭시 수지의 함량을 단계별로 증가시켜 초기 20 중량부부터 80 중량부까지 증가했을 때의 물성변화는 아래 표 1과 같았다.
배합비율 건조속도 유연성 접착력
EP 20 : PA 64 8분/120℃ 0++ 220 Newton
EP 30 : PA 64 9분/120℃ 0++ 240 Newton
EP 40 : PA 64 11분/120℃ 0++ 280 Newton
EP 50 : PA 64 18분/120℃ 0+ 320 Newton
EP 60 : PA 64 24분/120℃ 0 330 Newton
EP 70 : PA 64 28분/120℃ 0- 340 Newton
EP 80 : PA 64 34분/120℃ 0-- 380 Newton
1. 건조속도 : 건조기 오븐 시험
2. 유연성 : 피막 스냅(SNAP) 시험
3. 접착력 : 2" 시편 사용. 인장력기 사용.
본 실시예에서 타포린의 적정 유연성과 생산 라인의 건조 표준을 감안하여 에폭시 수지와 폴리아미드 수지의 배합비율을 60 내지 80:64,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80:64로 정하고, 탄산칼슘 30 중량부, 규조토 6 중량부를 첨가하여 점도를 상향 조정한 후, 톨루엔 20 중량부를 첨가하여 13200k 브룩필드 B형 접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1800cps로 결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에폭시 수지 80 중량부
- 폴리아미드 수지 64 중량부
- 탄산칼슘 30 중량부
- 규조토 6 중량부
- 톨루엔 20 중량부 / 1800cps, 25℃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탄산칼슘 30 중량부, 규조토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코팅용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점도는 600cps(25℃)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제시된 배합비로 표면 코팅을 실시함에 있어서 타포린 표면의 평활도 보정을 위해 코팅 두께별로 실험을 실시하여 그 표준을 정하였다.
각 두께별 평활도 시험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타포린 두께 코팅 두께(㎛) 표면 강도 평균 조도
0.5mm 18㎛ Max. 34.0 / Min. 18.0 ≒26.0
24㎛ Max. 30.0 / Min. 14.0 ≒22.0
38㎛ Max. 22.0 / Min. 10.0 ≒16.0
45㎛ Max. 16.0 / Min. 9.0 ≒13.0
60㎛ Max. 12.0 / Min. 6.0 ≒9.0
상기 평활도 시험 결과 코팅 두께가 클수록 표면의 평활도는 향상하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원가 상승요인이 크고 건조속도가 길어져서 생산량에 문제가 됨을 고려하여 적정 표준 두께를 38㎛로 결정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타포린 방수시트의 물성을 다양한 표면 처리 방식으로 보완하여 논슬립 패드 제조에 적합한 적정 데이터를 정립하였으며, 이 표준을 적용하여 타포린 표면을 코팅한 기재로 상술한 금강사 부착 공정과 금강사 피복 공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특성을 갖는 논슬립 패드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 고정된 칼
12 --- 나이프 에지
13 --- 코팅액
14 --- 백업 롤
15 --- 가이드 롤
16 --- 기재

Claims (6)

100%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기초로 제조된 모든 혼합사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일정 배율로 시트상 타포린을 제직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직된 시트상 타포린의 표면에 에폭시(epoxy) 수지 및 폴리아미드(polyamide) 수지와 디에틸 트리아민(Diethyl Triamin; DETA) 경화제를 혼합한 혼합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수지 도포 타포린 시트 상에 금강사 #16 내지 #3000까지를 범위로 하는 제품을 고압 전착하는 단계;
상기 금강사 표면에 코팅제로 우레탄 수지와 그 경화제의 혼합물의 코팅액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각 제조 단계에 의해 제조된 논슬립 패드를 페스툰 건조기(festoon dryer)에서 건조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타포린의 표면에 도포되는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물은 에폭시수지 80중량부와 폴리아미드 수지 64중량부에 탄산칼슘 30중량부와 규조토 6중량부를 첨가하고 톨루엔 20중량부를 부가하여 고점도 타입의 혼합액을 제조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의 제조 방법.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직된 시트상 타포린의 표면에 수지와 경화제의 혼합물로 도포하는 단계는 나이프 코팅(knife coating) 장치를 사용하여 도포함을 특징으로 하는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의 제조 방법.
삭제
삭제
KR1020180007589A 2018-01-22 2018-01-22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6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589A KR101986149B1 (ko) 2018-01-22 2018-01-22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589A KR101986149B1 (ko) 2018-01-22 2018-01-22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149B1 true KR101986149B1 (ko) 2019-06-07

Family

ID=6684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589A KR101986149B1 (ko) 2018-01-22 2018-01-22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1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48B1 (ko) * 2008-03-27 2008-12-09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무용제형 에폭시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바닥재 시공방법
KR20110054094A (ko) 2009-11-17 2011-05-25 (주)엘지하우시스 논슬립 시트 제조용 조성물, 논슬립 시트와 이를 이용한 타일 형태의 바닥 장식재 및 제조방법
KR20110100852A (ko)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성도 논슬립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48B1 (ko) * 2008-03-27 2008-12-09 (주)카스종합건축사사무소 무용제형 에폭시 바닥재용 도료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바닥재 시공방법
KR20110054094A (ko) 2009-11-17 2011-05-25 (주)엘지하우시스 논슬립 시트 제조용 조성물, 논슬립 시트와 이를 이용한 타일 형태의 바닥 장식재 및 제조방법
KR20110100852A (ko)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성도 논슬립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45396B (zh) 基于合成树脂基体的磨损保护层、其制备方法及其用途
US6218001B1 (en) Surface coverings containing dispersed wear-resistant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4039508B (zh) 带涂层磨料制品及其制备方法
CN102863635B (zh) 具有助黏附层的磨料物品
TW479285B (en) Method of modifying a wafer suited for semiconductor fabrication
ES2875730T3 (es) Panel de plástico de PVC
US11920056B2 (en) Surface covering with an ultra-violet (UV) curable surface coating
CN103964777A (zh) 仿大理石材料干粉及高光防滑仿大理石地坪的施工方法
JPH06170737A (ja) 結合基材部材を有する研磨布紙材
KR101986149B1 (ko) 타포린 방수시트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CN113738082A (zh) 一种环氧水磨石湿铺工艺
KR100757400B1 (ko) 미끄럼방지재 시공방법
US11549271B2 (en) Anti-slip floortile
CN106121187A (zh) 砂光地板结构及其配方以及加工工艺
US2706936A (en) Anti-skid surface covering
CN108430702A (zh) 磨料制品及其制备方法
US2010025A (en) Floor surface
KR101971025B1 (ko) 폴리염화비닐 기재를 사용한 논슬립 패드의 제조방법
CN1203897A (zh) 金刚砂塑胶防滑耐磨地板、地砖及其制造方法
KR100833676B1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포장재의 시공방법
GB2460239A (en) Multilayer coating of a floor
US2199752A (en) Coated abrasive
JP4163334B2 (ja) 防滑舗装方法
US20220056706A9 (en) Removable flooring system
KR20110002964A (ko) 미끄럼 방지용 도로포장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