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053B1 -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053B1
KR101986053B1 KR1020180096776A KR20180096776A KR101986053B1 KR 101986053 B1 KR101986053 B1 KR 101986053B1 KR 1020180096776 A KR1020180096776 A KR 1020180096776A KR 20180096776 A KR20180096776 A KR 20180096776A KR 101986053 B1 KR101986053 B1 KR 101986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ntal floss
coating
morbifera
dendropana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훈
정지원
정효정
김재영
송창길
강소영
권지은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제주자원식물황칠사업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제주자원식물황칠사업단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제주자원식물황칠사업단
Priority to KR102018009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4Dental floss; Floss holders
    • A61C15/041Dental f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와 치태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구강 병원균을 제거하여 구강질환 예방에도 효과적인 기능성 치실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은 치실원사 표면에 황칠추출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제조방법은, 치실원사 표면에 황칠 추출 농축액을 코팅하는 1차 코팅 단계; 치실원사에 코팅된 황칠추출 농축액을 건조시킨 후 그 표면에 왁스용액을 코팅하는 2차 코팅 단계; 왁스 용액을 불완전 건조시킨 후 그 표면에 황칠추출 농축액을 코팅하는 3차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Dental floss using extract of Dendropanaz morbifera and a manuf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와 치태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구강 병원균을 제거하여 구강질환 예방에도 효과적인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섭취하고 나면 치아와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가 끼이게 되는데, 이렇게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은 칫솔을 이용한 양치만으로는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려워 입냄새가 나고 치태 및 치석이 생기게 된다.
치아 사이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이쑤시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제거할 경우에는 잇몸 또는 치근을 손상시켜 출혈을 일으킬 우려가 있어 치실(dental floss) 사용이 권장되고 있다.
치실은 일반 칫솔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치아와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과 치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구로서 치주 질환이나 치아우식증(충치)을 예방하여 치아와 잇몸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치실 제조는 일반적으로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섬유를 꼬아서 제조하는 것과 박막의 테이프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치실은 다양한 제품군이 존재한다. 예컨대, 치실을 치아와 치아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왁스를 코팅한 제품이 있다. 또한,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치실에 향을 입혀 치실을 사용할 때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한 제품들이 있다. 예를 들면, 부드러운 과일향과 청량감을 주는 민트(mint)계열의 향을 덧입힌 제품들이 있다. 이러한 향들이 오랜 사용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당을 이용하여서 향의 보존과 산패를 방지하는 치실도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칫솔과 다양한 제품의 치실 이용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구강 및 치아 질환에 고통을 받고 있다. 구강 및 치아 질환 예방을 위하여 보다 효과적인 구강 및 치아 청결도구가 여전히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 10-2010-0048653 (2010년 5월 11일 공개, 치실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와 치태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구강 병원균을 제거하여 구강질환 예방에도 효과적인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은 치실원사 표면에 황칠 추출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실원사에 코팅된 황칠 추출물의 표면에 왁스가 코팅되고 그 표면에 황칠 추출물이 코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황칠 추출물에는 민트향, 과일향 등의 향미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제조방법은, 치실원사 표면에 황칠 추출 농축액을 코팅하는 1차 코팅 단계; 치실원사에 코팅된 황칠추출 농축액을 건조시킨 후 그 표면에 왁스용액을 코팅하는 2차 코팅 단계; 왁스 용액을 불완전 건조시킨 후 그 표면에 황칠추출 농축액을 코팅하는 3차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황칠 추출물은 당도가 15~25 브릭스인 황칠 추출 농축액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왁스용액은 왁스 100 중량부에 MCT(Medium chain triglyceride) 오일 1 ~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완전 용해시켜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은,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와 치태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구강 병원균을 제거하여 구강질환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황칠 추출물의 다중 코팅으로 황칠의 함량을 높이고 황칠의 유효성분의 방출시간을 연장시킴으로써, 구강질환을 유발하는 구강 병원균을 제거하는 데 보다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황칠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는 치실의 오랜 사용으로 일어날 수 있는 향의 산패를 방지함으로써 치실의 향을 오래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 치실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원료인 황칠나무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치실의 단면도.
도 3은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성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1차 코팅 단계 (황칠 추출물 코팅 단계)
치실 원사에 황칠 추출물을 코팅하는 단계이다.
황칠나무(Dendropanaz morbifera)는 최대 높이 15m에 달하는 두릅나무과 나무로(도 1), 만병통치 나무라는 뜻의 학명 덴드로 파낙스(Dendro-panax)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약리적 효능이 매우 뛰어난 약용식물이다. 황칠나무는 한국에서만 서식하며, 한국에서도 난대림이 펼쳐진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 도서지역과 해안지역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이다.
황칠 추출물은 항산화, 항암, 항염, 혈액 항응고 작용에 효과가 높다고 김민기 등(2017, JMM)이 발표하였으며, 김려원 등(2016, J Adv Prosthodont)은 구내염을 유발하는 Candida albicans과 치아우식증의 원인이 되는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한국특허공개 2003-007599는 황칠 추출물이 경조직 재생 촉진 효과를 가지며, 조골세포 및 치주인대세포 등의 알칼리 포스파타제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경조직 재생 및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칼슘염 및 인산염의 침착을 촉진시킴으로써 높은 경도를 가지는 경조직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효과는 골다공증, 치주질환 등과 같이 경조직 재생 및 증식과 관련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조성물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칠 추출물은 공지된 추출방법을 채택하여 황칠나무를 정제수나 에탄올로 추출하여 농축한 것이다. 황칠 추출물의 기능성 및 생산단가를 고려할 때 코팅에 사용되는 황칠 추출물의 당도는 15~25 브릭스(Brix)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황칠 추출물에는 소비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민트향, 과일향 등의 향미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민트향을 첨가할 경우 치실 사용시 입안에 청량감을 줄 수 있으므로 청량감을 선호하는 소비자라면 민트향이 포함된 치실을 선택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향미 성분은 소비자의 취향과 기호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특정한 향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치실 원사에 황칠 추출액 또는 황칠 추출액과 향미 성분의 혼합액을 코팅한 후 코팅된 치실을 완전히 건조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65℃에서 40~50초 동안 열풍건조시켰으나 건조 방법에 제한이 없음은 자명하다.
(2) 2차 코팅 단계 (왁스 코팅 단계)
1차 코팅 단계를 거친 치실의 표면에 왁스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무해한 왁스 100중량부에 MCT(Medium chain triglyceride) 오일 1 ~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90℃로 가열하여 제조한 왁스 용액에 상기 황칠 추출물이 코팅된 치실을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왁스 코팅을 진행하였다.
상기 MCT오일은 액상의 중쇄지방산으로 산화 및 저장 안정성이 매우 뛰어나고 유동성, 신전성이 양호하며 무독성에 무취, 무미, 무향의 특성이 있어 식용 및 의료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상온에서 액상 형태로 존재하는 MCT 오일을 왁스 용액에 첨가하면 왁스의 융점(melting point)을 낮출 수 있으며, 왁스만을 사용한 치실과 비교하여 치실 자체가 부드러워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왁스 용액을 통과한 치실은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된다. 코팅한 왁스층이 완전 건조되면 방수막을 형성하여 이후 추가적인 코팅을 진행할 때 코팅 효율이 떨어지므로 건조는 완전한 건조가 아닌 불완전 건조가 적당하다. 여기서 불완전 건조는 왁스가 완전한 고체 상태가 아니라 액체 상태의 성질이 남아 있는 것을 의미한다.
(3) 3차 코팅 단계(황칠 추출물 코팅 단계)
2차 코팅 단계를 거친 치실의 표면에 황칠 추출물을 2차로 코팅하는 단계이다.
코팅에 사용되는 황칠 추출물은 1차 코팅 단계에서 사용된 황칠 추출물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황칠 추출물에 민트향, 과일향 등의 향미 성분이 포함될 수 있음도 동일하다.
다만, 3차 코팅 후 치실 건조시에는 건조 온도를 40~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에서 건조시킬 경우에는 왁스 코팅이 녹아서 벗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이상과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한 치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치실(100)은 치실원사(110), 그 표면에 황칠 추출물 코팅층(120), 그 표면에 왁스 코팅층(130), 그 표면에 황칠 추출물 코팅층(1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치실(100)은 사용시 순차적으로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황칠 추출물이 방출되고 다음으로 왁스층이 붕괴되며 마지막으로 가장 안쪽에 존재하는 황칠 추출물이 방출된다.
구체적으로, 치실(100)이 타액이나 치아에 닿았을 때 우선적으로 3차 코팅된 황칠추출성분(120)이 구강과 치아에 방출되며, 치아 사이에 치실을 삽입하여 치실질을 하면 2차 코팅한 왁스층이 붕괴되면서 1차 코팅된 황칠 추출성분이 치아 사이에 자연스럽게 방출되어서 치아 사이의 음식 잔존물과 치태와 더불어 치아 사이의 병원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치실은 종래의 일반 치실에 비해 항균기능을 추가했을 뿐만 아니라, 황칠의 항균효과는 시간적 지속성을 두고 황칠 추출물이 방출됨으로써 구강질병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실시예>
황칠 추출액(20 brix, BK Biokorea) 1 중량부와 페퍼민트 액상향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액에, 폴리 에스테르 필라멘트를 꼬아서 만든 통상적인 치실 원사를 통과시켜 1차 코팅과정을 수행하였다. 코팅된 치실을 65℃에서 40초 동안 열풍건조시킨 후, 왁스 100 중량부와 MCT(Medium chain triglyceride) 오일 5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액을 통과시켜 2차 코팅과정을 수행하였다. 왁스 용액이 코팅된 치실을 40℃에서 5초 동안 열풍 건조시킨 후, 상기 황칠 추출액(20 brix, BK Biokorea) 1 중량부와 페퍼민트 액상향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액을 통과시켜 3차 코팅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40℃에서 40초 동안 열풍건조시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실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치실을 이용하여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BHI (Brain Heart Infusion) Broth에 0.5 ~ 0.6 OD (Optical Density)로 도달할 때까지 배양하여 Muller-Hinton agar 배지 도말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치실 25cm를 1.5cm로 절단하여, Streptococcus mutans를 도말한 Muller-Hinton agar 배지 위에 놓고 18시간 이후에 미생물 억제구역(Zone of inhibition)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치실의 장축 양 방향에 1.5 ~ 2.0 mm 미생물 억제구역이 나타났다(도 3). 이상의 결과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치실은 Streptococcus mutans의 성장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100 : 치실
110 : 치실원사
120 : 황칠 추출물 코팅층
130 : 왁스 코팅층

Claims (6)

  1. 치실원사 표면에 황칠 추출물이 코팅되고,
    상기 코팅된 황칠 추출물의 표면에 왁스가 코팅되며,
    상기 코팅된 왁스 표면에 황칠 추출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에는 향미 성분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4. 치실원사 표면에 황칠 추출물을 코팅하는 1차 코팅 단계;
    치실원사에 코팅된 황칠 추출물을 건조시킨 후 그 표면에 왁스용액을 코팅하는 2차 코팅 단계;
    왁스 용액을 불완전 건조시킨 후 그 표면에 황칠 추출물을 코팅하는 3차 코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당도가 15~25 브릭스인 황칠 추출 농축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용액은 왁스 100 중량부에 MCT(Medium chain triglyceride) 오일 1 ~ 10 중량부를 첨가한 후 완전 용해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제조방법.
KR1020180096776A 2018-08-20 2018-08-20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 KR101986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76A KR101986053B1 (ko) 2018-08-20 2018-08-20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776A KR101986053B1 (ko) 2018-08-20 2018-08-20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053B1 true KR101986053B1 (ko) 2019-06-04

Family

ID=6681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776A KR101986053B1 (ko) 2018-08-20 2018-08-20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0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761B1 (ko) * 2020-03-03 2020-09-22 주식회사 피지엘 은 나노 입자가 포함된 치실 및 치실 도구
KR102158758B1 (ko) * 2020-03-03 2020-09-22 주식회사 피지엘 금 나노 입자가 포함된 치실 및 치실 도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3133A (ja) * 1997-06-03 2002-01-29 ジレット、カナダ、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科衛生用品
KR100357046B1 (ko) * 2000-02-01 2002-10-18 롯데상사주식회사 분말향과 당알코올을 이용한 치실의 제조방법
KR20100048653A (ko) 2008-10-31 2010-05-11 김혜경 치실 및 그 제조방법
CN104305180A (zh) * 2014-10-09 2015-01-28 张璧云 食用和应用的配料
KR20150138068A (ko) *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2076A (ko) * 2016-05-23 2017-12-01 홍원정 옥수수 성분을 함유한 일회용 치실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3133A (ja) * 1997-06-03 2002-01-29 ジレット、カナダ、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科衛生用品
KR100357046B1 (ko) * 2000-02-01 2002-10-18 롯데상사주식회사 분말향과 당알코올을 이용한 치실의 제조방법
KR20100048653A (ko) 2008-10-31 2010-05-11 김혜경 치실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38068A (ko) * 2014-05-29 2015-12-09 주식회사유한양행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4305180A (zh) * 2014-10-09 2015-01-28 张璧云 食用和应用的配料
KR20170132076A (ko) * 2016-05-23 2017-12-01 홍원정 옥수수 성분을 함유한 일회용 치실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761B1 (ko) * 2020-03-03 2020-09-22 주식회사 피지엘 은 나노 입자가 포함된 치실 및 치실 도구
KR102158758B1 (ko) * 2020-03-03 2020-09-22 주식회사 피지엘 금 나노 입자가 포함된 치실 및 치실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7002561A (es) Composicion que comprende aceites esenciales para el cuidado bucal.
AU2010319911B2 (en) Denture care composition
CA2631657C (en) Chewable compositions with fast release magnolia bark extract
KR101986053B1 (ko) 황칠 추출물을 이용한 치실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31631A (ko) 위암을 일으키는 헬리코 박터균 제거와 심장병에 영향을 미치는 고도니균제거를 위한 매스틱유와 몰약이 함유된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방법
CN108066166A (zh) 去除牙结石的酸性漱口水及其制备方法
KR101692232B1 (ko) 천연 치약 제조 방법
US20140219934A1 (en) Botanical tooth whitener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discolored or stained teeth
TWI359679B (en) Antiplaque confectionery dental composition
KR102502829B1 (ko) 티트리 오일 및 알로에베라 겔을 포함하는 가글용 액상 조성물
KR102373373B1 (ko)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WO2012173464A1 (en) Oral care product for oral hygiene and growth inhibition of microorganisms
KR102158761B1 (ko) 은 나노 입자가 포함된 치실 및 치실 도구
RU2500384C1 (ru) Композиция ополаскивателя для полости рта
EP1683547A1 (en) Anticaries toothpaste containing Rubus Fruticosus for treating and cleaning teeth and/or gums
JP2000327581A (ja) 口腔殺菌用組成物
WO2019107168A1 (ja) 歯磨剤組成物
KR102610236B1 (ko) 구취 예방 또는 개선용 치약 조성물
JP4926418B2 (ja) 歯垢予防・除去用及び歯石予防・溶解用並びに歯周病予防・治療用の口腔用組成物
KR102236838B1 (ko) 프로폴리스가 포함된 치실 및 치실 도구
KR102612967B1 (ko) 비피두스엑스를 포함하는 구강용 액상 조성물
KR102158758B1 (ko) 금 나노 입자가 포함된 치실 및 치실 도구
JP4509260B2 (ja) やに除去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清掃用薬剤、やに除去用嗜好食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やに除去方法
KR102622954B1 (ko)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치약 조성물
KR102275526B1 (ko) 구강 관리용 치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