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5196B1 - 휴대용 연삭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196B1
KR101985196B1 KR1020170110587A KR20170110587A KR101985196B1 KR 101985196 B1 KR101985196 B1 KR 101985196B1 KR 1020170110587 A KR1020170110587 A KR 1020170110587A KR 20170110587 A KR20170110587 A KR 20170110587A KR 101985196 B1 KR101985196 B1 KR 101985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lange
grinding
work surface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044A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1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6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abrasive belts, e.g. with endless travell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4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 B24B21/12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plane surfaces involving a contact wheel or roller pressing the belt against the work
    • B24B21/14Contact wheels; Contact rollers; Belt support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05Auxiliary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07Movable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는 대상물의 작업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주행부, 일단은 상기 주행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대상물의 작업면에 밀착되고, 상기 작업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며 상기 작업면을 연삭하는 연삭부 및 상기 연삭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연삭기{GRINDER}
본 발명은 휴대용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의 작업면을 가공하여 표면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구조물을 이루는 파이프(pipe), 플레이트(plate) 또는 거더(girder) 등 철골 구조물의 경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장작업이 수행된다. 이러한 도장작업이 수행되기 전에, 대상표면의 이물질, 녹, 도막 등을 제거하는 연삭(Grinding) 작업이 진행된다.
이러한 연삭 작업을 거쳐 대상물의 표면에 이물질 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표면조도를 높여 도장작업 등 후속 공정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연삭기는 종류가 다양하며,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휴대용 연삭기를 사용하거나 선행문헌(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78790호)에 기재된 연삭기와 같이 대상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이동하는 연삭기가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연삭기의 경우 가볍고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해양구조물의 경우 크기가 일반 구조물에 비해 크기 때문에 휴대용 연삭기를 사용하게 되면 작업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에 기재된 연삭기는 크기가 큰 대상물의 연삭 작업에 적합하기는 하지만 선행문헌은 연삭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수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분진을 수집하기 위한 구조물이 포함되어 부피가 크고 이동이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동이 용이한 연삭기가 필요할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78790호 (등록일:2007.11.1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동이 용이한 휴대용 연삭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대상물의 작업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주행부, 일단은 상기 주행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대상물의 작업면에 밀착되고, 상기 작업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며 상기 작업면을 연삭하는 연삭부 및 상기 연삭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업면과의 각도가 조절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연삭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삭부는 상기 주행부에 결합되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구동롤러,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작업면에 밀착되는 밀착롤러,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밀착롤러를 연결하는 지지부재 및 양단이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밀착롤러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밀착롤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벨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제1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감싸며,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고, 중심에 상기 제1회전축이 삽입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름이 상기 하우징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에어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롤러는 상기 벨트부재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밀착롤러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부는 상기 대상물의 작업면에 각각 밀착 배치되는 제3플랜지와 제4플랜지, 상기 제3플랜지와 상기 제4플랜지의 중심에 관통되게 삽입되고, 상기 연삭부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과 상기 연삭부의 상기 일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행부와 상기 연삭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플랜지와 상기 제4플랜지는 상기 작업면의 두께에 따라 이격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연삭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벨트부재를 사용하여 작업면을 연삭함으로써 전체 연삭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이동력을 높일 수 있다.
둘째, 손잡이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서서 이동하며 작업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주행부가 대상물 작업면의 크기에 따라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작업면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가 대상물과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를 나타내는 평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의 연삭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의 연삭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의 주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의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가 보강재 절단면을 연삭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가 바닥면 용접선 비드를 연삭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가 바닥면 도장작업을 위한 전처리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에 사용되는 플레이트 또는 거더 등 철골 구조물의 작업면에 대한 연삭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휴대용 연삭기에 관한 발명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는 주행부(100), 연삭부(200) 및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주행부(100)는 대상물(50)의 작업면(50a)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연삭부(200)는 일단(200a)은 주행부(100)에 결합되며, 타단(200b)은 대상물(50)의 작압면(50a)에 밀착되고, 작업면(50a)을 따라 회전 이동하며 작업면(50a)을 연삭할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연삭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면(50a)과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는 대상물(50)의 작업면(50a)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면(50a)을 연삭할 수 있는데, 여기서 주행부(100)와 연삭부(20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휴대용 연삭기는 이동 시에 주행부(100)와 연삭부(200)가 작업면(50a)에 밀착되어 회전 이동하고, 손잡이부(300)는 작업자의 신장과 같은 신체조건 또는 연삭부(200)가 작업면(50a)에 밀착되는 각도에 따라 작업면(50a)과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우선,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가 연삭 작업을 진행하려는 작업면(50a)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를 참조하면 작업면(50a)은 해양구조물에 사용되는 플레이트 또는 거더 등 철골구조물의 절단면일 수 있다. 철골 구조물의 절단면은 열에 의한 경화가 발생하여 다른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전처리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철골 구조물을 절단한 후 작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를 이용하여 절단면을 연삭하여 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철골 구조물의 절단면의 폭에 따라 후술할 주행부(100)의 제3플랜지(110)와 제4플랜지(120)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휴대용 연삭기가 절단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면(50a)은 비드가 존재하는 용접선일 수 있다. 용접 작업에 의해 생성된 비드를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를 용접선 위에 위치시키고 일 방향으로 전진하여 용접선 근처의 비드를 연삭하여 평평하게 만들 수 있다.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작업면(50a)은 오염된 도장면이나 도장 전의 철판일 수 있다. 작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를 이용하여 도장작업 전 전처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연삭부(200)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주행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 8을 참조하여 손잡이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삭부
연삭부(200)는 구동롤러(210), 밀착롤러(250), 지지부재(270) 및 벨트부재(2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는 벨트부재(280)가 작업면(50a)과 밀착되어 회전함에 따라 작업면(50a)을 연삭할 수 있으며, 구동롤러(210)와 밀착롤러(250)는 벨트부재(280)를 작업면(50a)을 따라 이동시켬과 동시에 벨트부재(28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구동롤러(210)는 주행부(100)에 결합되며, 제1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밀착롤러(250)는 제2회전축(2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작업면(50a)에 밀착될 수 있다.
주행부(100)와 밀착롤러(250)는 작업면(50a)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주행부(100)는 전단에 배치되고, 밀착롤러(250)는 후단에 배치되며, 구동롤러(210)는 주행부(100)와 밀착롤러(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밀착롤러(250)가 전단에, 주행부(100)가 후단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동롤러(210)는 벨트부재(280)가 회전함에 따라 작업면(50a)이 연삭되도록 벨트부재(28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부재(270)는 제1회전축(220)과 제2회전축(26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롤러(210)와 밀착롤러(25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지지부재(270)는 일단은 제1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타단은 제2회전축(2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270)에 의하여 구동롤러(210)와 밀착롤러(25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롤러(210)를 작업면(50a)을 향해 이동하거나 작업면(50a)으로부터 멀리 이동시켜 연삭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70)는 구동롤러(210)와 밀착롤러(25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실린더(275)와 피스톤(27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피스톤(276)을 실린더(275)에 대하여 이동시켜 지지부재(2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270)의 길이에 따라 구동롤러(210)와 밀착롤러(250) 사이의 이격거리가 정해질 수 있다.
이이서, 벨트부재(280)는 양단이 구동롤러(210)와 밀착롤러(250)에 의하여 지지되고, 구동롤러(210)와 밀착롤러(25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벨트부재(280)는 연삭용 벨트이며 컨베이어벨트(Convevor Bel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양단이 각각 구동롤러(210)와 밀착롤러(250)에 의하여 지지되어 제1회전축(220)과 제2회전축(260)을 중심으로 순환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벨트부재(280)의 양단은 구동롤러(210)와 밀착롤러(25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지만 중심이 지지되지 않으면 하측으로 처지게 되는데 특히 벨트부재(280)의 전체 구간에서 중심부의 상측부분이 처지게 되면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재(270)에 보조부재(290)가 결합되어 벨트부재(280)의 중심부 상측부분을 지지하여 벨트부재(280)가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롤러(210)는 구동모터(230), 하우징(235) 및 제1플랜지(236)와 제2플랜지(237)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모터(230)는 제1회전축(220)을 포함하며, 제1회전축(22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연삭기에 포함되는 구동모터(230)는 에어모터일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고압 공기를 공급받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230)와 연결되는 에어공급장치(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35)은 구동모터(230)를 감싸며, 구동모터(23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즉, 하우징(235)은 앞서 설명한 벨트부재(280)와 밀착되어 구동모터(230)의 회전력을 벨트부재(28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동모터(230)는 하우징(23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230), 하우징(235), 벨트부재(280) 및 밀착롤러(250)는 작업면(50a) 상에서 일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휴대용 연삭기의 상면에서 봤을 때, 구동모터(230)를 주행부(100)와 밀착롤러(250)를 연결한 가상의 선(X) 위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는 구동모터(230)의 무게중심이 주행부(100)와 밀착롤러(250)를 연결한 가상의 선(X) 외측에 형성될 경우 작업면(50a)이 균일하게 연삭되지 않으며, 휴대용 연삭기가 전진 시 외측으로 기울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제1플랜지(236)와 제2플랜지(237)는 하우징(235)의 양측에 구비되고, 중심에 제1회전축(220)이 삽입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름이 하우징(235)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플랜지(236)와 제2플랜지(237)는 하우징(235)의 양측면을 덮으며, 하우징(235)에 비해 지름이 크게 형성되므로 하우징(235)에 감기는 벨트부재(280)는 제1플랜지(236)와 제2플랜지(237)에 의하여 수평이동이 제한받을 수 있다.
제1플랜지(236)와 제2플랜지(237)는 벨트부재(280)가 회전하는 과정에 하우징(23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밀착롤러(250)는 구동롤러(210)의 회전력에 의하여 벨트부재(28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게 되며, 벨트부재(280)를 작업면(50a)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벨트부재(280)와 작업면(50a)의 접촉면적은 작업면(50a)에 대한 연삭부(200)의 경사각도에 의하여 결정되기도 하지만 밀착롤러(250)의 크기에 의해서도 결정될 수 있다.
즉, 밀착롤러(250)의 크기에 따라 작업면(50a)과의 접촉면적이 다르므로 연삭하는 면적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작업에 따라 연삭부(200)와 작업면(50a) 사이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거나 밀착롤러(250)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밀착롤러(250)는 벨트부재(280)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외주면에 기어치(250a)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치(250a)는 밀착롤러(250)와 벨트부재(28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하기 위한 것으로, 벨트부재(280)가 원활하게 회전하여 연삭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주행부
주행부(100)는 제3플랜지(110)와 제4플랜지(120), 중심축(130) 및 연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플랜지(110)와 제4플랜지(120)는 대상물의 작업면(50a)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즉, 제3플랜지(110)와 제4플랜지(120)는 작업면(50a)을 중심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주행부(100)가 작업면(50a)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작업면(50a)의 양측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플랜지(110)와 상기 제4플랜지(120)는 작업면(50a)의 두께에 따라 이격거리가 조절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심축(130)은 제3플랜지(110)와 제4플랜지(120)의 중심에 관통되게 삽입되고, 작업면(50a) 상에 안착되며 연삭부(20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중심축(130)은 작업면(50a)에 안착되며 밀착롤러(250)와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밀착롤러(250)가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후단에 배치될 경우 중심축(130)이 전단에서 작업면(50a)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밀착롤러(250)가 안정적으로 회전하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부재(140)는 중심축(130)과 연삭부(200)의 일단(200a)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행부(100)와 연삭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140)는 일단(140a)은 중심축(13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140b)은 연삭부(200)의 일단(200a) 예를 들어 제1회전축(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삭부(200)의 일단(200a)을 작업면(50a)을 향해 밀착시키게 되면 연결부재(140)가 회전하며 작업면(50a)과 결합되는 중심축(130)과 밀착롤러(25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반대로, 연삭부(200)의 일단(200a)을 작업면(50a)으로부터 멀리 끌어올리게 되면 중심축(130)과 밀착롤러(25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게 된다. 이는 작업자가 기립된 상태로 작업할 지 아니면 앉아서 작업할지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손잡이부
손잡이부(300)는 제1연결부재(310), 제2연결부재(320) 및 손잡이(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제1연결부재(310)는 연삭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연결부재(320)는 제1연결부재(31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재(320)의 일단에는 손잡이(3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연결부재(320)가 제1연결부재(310)에 형성된 가이드홈(미도시)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제1연결부재(310)와 제2연결부재(320)의 결합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볼트(미도시) 등에 의하여 결합되며 조립되는 포인트에 따라 결합 후 전체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00)는 연삭부(2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회전축(220)에 결합되어 제1회전축(22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작업자가 신체조건 또는 작업에 따라 연삭부(200)의 일단(200a)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손잡이부(300) 역시 작업자에 의하여 회전되거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대상물 50a: 작업면
100: 주행부 110: 제3플랜지
120: 제4플랜지 130: 중심축
140: 연결부재 140a: 일단
140b: 타단 200: 연삭부
200a: 일단 200b: 타단
210: 구동롤러 220: 제1회전축
230: 구동모터 235: 하우징
236: 제1플랜지 237: 제2플랜지
250: 밀착롤러 250a: 기어치
260: 제2회전축 270: 지지부재
275: 실린더 276: 피스톤
280: 벨트부재 290: 보조부재
300: 손잡이부 310: 제1연결부재
320: 제2연결부재 330: 손잡이
R1, R2: 지름

Claims (9)

  1. 대상물의 작업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주행부;
    일단은 상기 주행부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대상물의 작업면에 밀착되고, 상기 작업면을 따라 회전 이동하며 상기 작업면을 연삭하는 연삭부; 및
    상기 연삭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작업면과의 각도가 조절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부는,
    상기 대상물의 작업면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 배치되되며, 상기 작업면의 두께에 따라 이격거리가 조절되는 제3플랜지와 제4플랜지;
    상기 제3플랜지와 상기 제4플랜지의 중심에 관통되게 삽입되고, 상기 작업면 상에 안착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과 상기 연삭부의 상기 일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주행부와 상기 연삭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연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부는,
    상기 주행부에 결합되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구동롤러;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작업면에 밀착되는 밀착롤러;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밀착롤러를 연결하는 지지부재; 및
    양단이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밀착롤러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밀착롤러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연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는,
    상기 제1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감싸며,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고, 중심에 상기 제1회전축이 삽입되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름이 상기 하우징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연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에어모터인 휴대용 연삭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롤러는 상기 벨트부재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외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되는 휴대용 연삭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동롤러와 상기 밀착롤러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도록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연삭기.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연삭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1연결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재; 및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연삭기.
KR1020170110587A 2017-08-31 2017-08-31 휴대용 연삭기 KR101985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587A KR101985196B1 (ko) 2017-08-31 2017-08-31 휴대용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587A KR101985196B1 (ko) 2017-08-31 2017-08-31 휴대용 연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044A KR20190024044A (ko) 2019-03-08
KR101985196B1 true KR101985196B1 (ko) 2019-06-03

Family

ID=65800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587A KR101985196B1 (ko) 2017-08-31 2017-08-31 휴대용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297193A1 (en) * 2020-06-23 2023-02-02 White International Pty Ltd Apparatus for finishing a workpie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300A (ja) * 2001-07-23 2003-02-12 Vessel Giken Kogyo Kk ベルトサンダ
WO2006092138A1 (en) 2005-01-21 2006-09-08 Flex Trim A/S Apparatus for grinding a surface comprising two movably arranged hoo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790B1 (ko) 2007-03-15 2007-11-23 이일영 진공식 표면연마 머신
KR101059501B1 (ko) * 2008-10-24 2011-08-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그라인딩 장치
KR101285138B1 (ko) * 2011-09-20 2013-08-07 주식회사 이공엔지니어링 슬라브 표면의 부분적 스카핑을 위한 컴팩트 그라인더 머신
KR20130003325U (ko) * 2011-11-28 2013-06-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그라인더 고정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300A (ja) * 2001-07-23 2003-02-12 Vessel Giken Kogyo Kk ベルトサンダ
WO2006092138A1 (en) 2005-01-21 2006-09-08 Flex Trim A/S Apparatus for grinding a surface comprising two movably arranged ho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044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2316A (ko) 파이프 샌딩 장치
KR101206367B1 (ko) 윈도우 글래스 연마장치
KR101985196B1 (ko) 휴대용 연삭기
KR20120004519U (ko) 자동 tig 용접 장치
KR20180015392A (ko) 인코넬 파이프 그라인딩 머신
US3753525A (en) Pipe working carriage
JP6268064B2 (ja) レール削正装置
CN206588745U (zh) 自动抛光设备
JP5800775B2 (ja) レール頭部削正機および自走式レール頭部削正装置
JPS58109262A (ja) 研磨機
KR101497391B1 (ko)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KR101180866B1 (ko) 대구경 강관의 내주면을 버핑하기 위한 버핑 장치
CN210254262U (zh) 一种坡口机
KR101279433B1 (ko) 원형회전 용접케리지
JP7004311B2 (ja) 溶接ビード切削装置
KR20180017253A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벨트 그라인더
KR200222712Y1 (ko) 선저부 자동 전처리장치
JP3226605U (ja) 溶接部研磨機
CN205290555U (zh) 一种刀剑抛光机
CN216371445U (zh) 一种管道外壁焊缝的打磨机
CN113829201B (zh) 一种管道外壁焊缝的打磨机及其使用方法
JP5881874B2 (ja) レール頭部削正機および自走式レール頭部削正装置
CN213857400U (zh) 一种耐磨的切割装置
EP3808480A1 (en) Machining assembly
CN214685036U (zh) 一种焊接机用定位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