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604B1 - 성형틀 - Google Patents

성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604B1
KR101983604B1 KR1020170103545A KR20170103545A KR101983604B1 KR 101983604 B1 KR101983604 B1 KR 101983604B1 KR 1020170103545 A KR1020170103545 A KR 1020170103545A KR 20170103545 A KR20170103545 A KR 20170103545A KR 101983604 B1 KR101983604 B1 KR 101983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sent
mold
clay
annula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873A (ko
Inventor
라영태
Original Assignee
라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영태 filed Critical 라영태
Priority to KR1020170103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6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28B1/261Moulds therefor
    • B28B1/262Mould materials; Manufacture of mould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 미리 제작된 제작틀을 사용함으로써 도자기를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가능하여,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제작틀에 형성된 파지부를 이용하여 건조된 도자기를 용이하게 탈형하여, 탈형시 발생할 수 있는 도자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작틀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 연장결합되는 고리형 조각을 구비하여, 조립 혹은 교체 가능함에 따라 도자기의 크기 또는 무늬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성형틀{FIGURATION TOOL}
본 발명은 성형틀에 관한 것이다.
김치나 과일 등의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식품 보관용기가 안출되어 있다.
식품 보관용기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밀폐 성능을 높여 식품을 오랫동안 보관하도록 된 형태의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는 환경호르몬 등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용기 본체를 강화유리 재질로 구현하고 덮개는 합성수지재로 구현한 밀폐형 식품 보관용기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추세이다.
또, 밀폐 성능은 낮지만 환경 친화적 재료라는 장점과 숨을 쉰다는 장점을 가지는 점토재질의 식품 보관용기도 등장하고 있다.
유리 재질의 용기의 경우, 환경호르몬은 방출되지 않지만, 무겁고 깨지기 쉬우며 제작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제조 원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리 재질의 용기보다는 점토재질의 용기가 더 주목받고 있다.
점토용기는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연에서 얻어지는 점토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문제가 전혀 없으며, 무엇보다 가마나 화로에서 구워질 때 수분이 빠져나오면서 생성되는 미세한 공극을 통해 숨을 쉬므로 내용물을 상하지 않게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 오븐이나 전자렌지에 넣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오븐에 넣고 사용할 경우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얻을 수 있어 음식을 더욱 맛있게 조리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한편, 식물을 심는 화분 등과 같은 용기의 경우에도 점토재질로 된 것이 많은데 합성수지 재질로 된 경우보다 고급스러운 미감을 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점토용기가 상기와 같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제작이 어렵다는 이유 때문이다.
점토재질의 용기는 그 성형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일정한 규격으로 대량생산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리 제작된 제작틀에 점토를 밀착시킴으로써,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하고 일정한 규격의 점토용기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 안출되었다.
인터넷검색 : 도자기 도범(http://blog.daum.net/dojasa/16794572)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미리 제작된 제작틀을 사용함으로써 도자기를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가능하여,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성형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작틀에 형성된 파지부를 이용하여 건조된 도자기를 용이하게 탈형하여, 탈형시 발생할 수 있는 도자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성형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작틀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 연장결합되는 고리형 조각을 구비하여, 조립 혹은 교체 가능함에 따라 도자기의 크기 또는 무늬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성형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부가 개방되고 오목한 내측면과 볼록한 외측면을 가지며, 외측면에 점토가 밀착됨으로써 점토를 그릇형상으로 성형하거나, 미리 정해진 무늬를 형성하는 제작틀; 및 제작틀을 조작하기 위해,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성형틀을 제공한다.
또한, 제작틀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연장결합되는 고리형 조각;을 더 포함하는 성형틀을 제공한다.
또한, 제작틀의 상부 둘레와 고리형 조각의 서로 맞닿는 면 중 어느 한쪽에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돌기가 끼움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틀을 제공한다.
또한, 파지부는, 제작틀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맞물려 회전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미리 제작된 제작틀을 사용함으로써 도자기를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가능하여,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틀에 형성된 파지부를 이용하여 건조된 도자기를 용이하게 탈형하여, 탈형시 발생할 수 있는 도자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틀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 연장결합되는 고리형 조각을 구비하여, 조립 혹은 교체 가능함에 따라 도자기의 크기 또는 무늬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작틀과 파지부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조각의 결합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틀(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작틀(100)과 파지부(200)의 결합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리형 조각(101)의 결합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틀(1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틀(10)은, 상부가 개방되고 오목한 내측면과 볼록한 외측면을 가지며, 외측면에 점토가 밀착됨으로써 점토를 그릇형상으로 성형하거나, 미리 정해진 무늬를 형성하는 제작틀(100); 및 제작틀(100)을 조작하기 위해,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파지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제작틀(100)은 개방된 상부 둘레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목한 정도가 다양한 제작틀(1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작틀(100)의 외측면에는 다양한 무늬가 형성되거나 물결형상과 같이 울퉁불퉁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어서, 파지부(200)는 상술한 제작틀(100)을 더욱 편리하게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도 1은 파지부(200)가 제작틀(100)의 내측면의 중앙부에서 상향돌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파지부(200)의 상단부가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파지부(200)의 외측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쥐고 상하조작 시, 더욱 편리한 사용감을 가질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밖에, 파지부(200)는 상술한 형상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도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작틀(100)의 내측면 상단부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반대로 요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제작틀(100)의 상하조작이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파지부(200)의 형상은 제작틀(100)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파지부(200)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 ‘+’, ‘*’의 형태와 같이, 제작틀(100) 내측면의 개구된 상단부를 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형성되거나, 다수개가 원심방향에서 교차되어 방사형으로 마련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부(200)에는 미끄럼방지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210)는 파지부(200)의 상단부 혹은 전체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에서 파지부(200)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지수가 높은 재질을 택하여 제공된다.
예를 들면, 미끄럼방지부(210)의 재질로는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및 EVA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등 마찰지수가 높은 소재가 파지부(200)의 표면에 덧입혀져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210)의 외표에는 엠보싱과 같은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마찰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서와 같이, 파지부(200)가 제작틀(100)에서 상향돌출 형성되는 경우, 미끄럼방지부(210)가 파지부(200)의 상단부 표면에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돌출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에 걸림으로써, 제작틀(100)의 상하조작이 더욱 용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형틀(1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자기를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제작틀(100)의 볼록한 외측면이 위를 향하도록 놓고, 점토판이나 물레 성형된 기물을 제작틀(100)에 올려 감싸도록 밀착시킨 후, 건조함으로써, 내부에 제작틀(100)의 외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도자기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제작틀(100)에서 도자기를 탈형시, 제작틀(100)을 뒤집어 내측면에 형성된 파지부(200)를 잡고 탈형함으로써, 도자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밖에도, 점토를 도자기 모양의 틀 내부에 위치시킨 후, 제작틀(100)의 볼록한 외측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여 점토를 가압성형함으로써, 성형틀(10)의 형상과 동일한 도자기를 제작할 수도 있다.
즉, 외측면에 미리 제작된 무늬가 형성되어 있어, 점토를 가압 성형 후 파지부(200)를 잡고 제작틀(100)을 들어올림으로써, 점토의 표면에 성형틀(10)과 동일한 무늬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200)는 제작틀(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지부(200)는, 제작틀(100)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301)와 맞물려 회전 결합되는 제2결합부(30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결합부(301)와 제2결합부(302)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홈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돌기의 외주연과 홈의 내주연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제1결합부(301)와 제2결합부(302)가 회전결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회전에 의해 걸리도록 하는 결합구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301)와 제2결합부(302)의 삽입관계에 상관없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제작틀(100)과 파지부(200)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되므로, 성형틀(10)의 제조공정이 간단해지게 된다.
또한, 하나의 파지부(200)에 다수개의 다양한 무늬를 가지는 제작틀(10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개의 파지부(20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덧붙여, 파지부(200)가 분리된 다수개의 제작틀(100)을 겹쳐서 쌓을 수 있게 되므로,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형틀(10)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제작틀(100)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연장결합되는 고리형 조각(101);을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작틀(100)의 상부 둘레와 고리형 조각(101)의 서로 맞닿는 면 중 어느 한쪽에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돌기가 끼움결합되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고리형 조각(101)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작틀(100)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파지부(200)는 상기 상호결합된 제작틀(100)과 고리형 조각(10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형성된다.
또한, 고리형 조각(101)을 다수개 구비하여 연장결합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도자기 제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 때, 이웃한 고리형 조각(101)이 서로 맞닿는 면 중 어느 한쪽에는 돌기가, 다른 쪽에는 홈이 형성되어 회전결합 혹은 끼움결합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리형 조각(101)의 경계에 따라 구획을 나누어 선택적으로 무늬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합의 무늬를 가지는 도자기가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장 바깥쪽 둘레에 결합되는 고리형 조각(101)을 교체하여 도자기의 상단부 둘레의 무늬를 다양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다각형, 울퉁불퉁한 형상 및 비대칭 형상 등 다양한 형태의 고리형 조각(101)을 연장결합함으로써, 하나의 제작틀(100)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도자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미리 제작된 제작틀(100)을 사용함으로써 도자기를 일정한 규격으로 제작가능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제작틀(100)에 형성된 파지부(200)를 이용하여 건조된 도자기를 용이하게 탈형하여, 탈형시 발생할 수 있는 도자기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제작틀(100)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 연장결합되는 고리형 조각(101)을 구비하여, 조립 혹은 교체 가능함에 따라 도자기의 크기 또는 무늬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성형틀
100 : 제작틀
101 : 고리형 조각
200 : 파지부
210 : 미끄럼방지부
301 : 제1결합부
302 : 제2결합부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고 오목한 내측면과 볼록한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외측면에 점토가 밀착됨으로써 상기 점토를 그릇형상으로 성형하거나, 미리 정해진 무늬를 형성하는 제작틀;
    상기 제작틀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제작틀의 개방된 상부 둘레에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연장결합되는 고리형 조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작틀의 상부 둘레와 상기 고리형 조각의 서로 맞닿는 면 중 어느 한쪽에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상기 돌기가 끼움결합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상단부 혹은 전체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상호결합된 제작틀과 고리형 조각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작틀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된 제1결합부와 맞물려 회전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틀.
KR1020170103545A 2017-08-16 2017-08-16 성형틀 KR101983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545A KR101983604B1 (ko) 2017-08-16 2017-08-16 성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545A KR101983604B1 (ko) 2017-08-16 2017-08-16 성형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873A KR20190018873A (ko) 2019-02-26
KR101983604B1 true KR101983604B1 (ko) 2019-05-29

Family

ID=6556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545A KR101983604B1 (ko) 2017-08-16 2017-08-16 성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6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6345A (ja) 2005-09-09 2007-03-29 Kazuo Furuno 陶磁器の成形方法及び成形型
KR200439001Y1 (ko) 2007-03-08 2008-03-17 여보현 분리판이 구비된 점토재 용기의 대량 생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433Y1 (ko) * 1998-01-13 2000-04-15 백경호 도자기 성형틀
KR20100006114U (ko) * 2008-12-08 2010-06-17 민경애 점토용기를 신속하게 반복 생산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6345A (ja) 2005-09-09 2007-03-29 Kazuo Furuno 陶磁器の成形方法及び成形型
KR200439001Y1 (ko) 2007-03-08 2008-03-17 여보현 분리판이 구비된 점토재 용기의 대량 생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873A (ko)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859B2 (en) Collapsible food container
JP3143343U (ja) 吸着カップ蓋
USD872599S1 (en) Plastic pizza delivery container
CN100376459C (zh) 用于储存食品的非塑料容器
EP1380396A4 (en)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BODY, PASTING COMPOSITION, CORE, METHOD FOR PRODUCING THIS CORE, MOLDED CERAMIC HOLLOW BODY AND LIGHT-EMITTING CONTAINER
KR102144727B1 (ko) 마이크로파 재가열 용기
JP5693847B2 (ja) 高強度を示す成形された軽量化プラスチックの蓋
US20160120194A1 (en) Food preparation shaping assembly and method
TWI537186B (zh) 射出成型封蓋
KR101983604B1 (ko) 성형틀
TWI545062B (zh) 射出成型封蓋
USD972411S1 (en) Football shaped container
TW201704107A (zh) 射出成型封蓋
CZ32109U1 (cs) Kombi box na přepravu a skladování zboží
USD894594S1 (en) Plastic foil carrier bag with plastic foil handle
KR100999937B1 (ko) 식품보관용 이중 접합용기
KR102106494B1 (ko)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KR200397652Y1 (ko) 김밥 제조틀
CN205891541U (zh) 具有3d装饰图案片的容器
KR20110011870U (ko) 보관용기
KR101326136B1 (ko) 이물질의 끼이지 않도록 이중사출로 성형된 밀폐용기
CN105142459A (zh) 化妆料用内盘及化妆料容器
JP6188119B2 (ja) 鏡餅飾り
KR200320633Y1 (ko) 다각김밥 성형용기
JP3183850U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