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549B1 -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 - Google Patents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549B1
KR101983549B1 KR1020180045628A KR20180045628A KR101983549B1 KR 101983549 B1 KR101983549 B1 KR 101983549B1 KR 1020180045628 A KR1020180045628 A KR 1020180045628A KR 20180045628 A KR20180045628 A KR 20180045628A KR 101983549 B1 KR101983549 B1 KR 10198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et tissue
closing
cut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호수의나라수오미
(주) 우수컨버팅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수의나라수오미, (주) 우수컨버팅, 이동훈 filed Critical (주)호수의나라수오미
Priority to KR102018004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549B1/ko
Priority to CN201821336453.1U priority patent/CN209209454U/zh
Priority to PCT/KR2019/004682 priority patent/WO201920358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38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combined with separate fixed tearing means, e.g. t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에 관한 것으로, 물티슈가 수용된 포장팩 상부면 중 인출구에 인접하게 부착되는 고정부; 및 좌우 대칭이며 소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절단선을 따라 절단되어 고정부와 양측 테두리 및 중앙 일부가 연결되며, 연결지점을 통해 고정부로부터 상하 회동하여 인출구를 개폐하도록 포장팩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상방 회동 시 절단선의 형태를 따라 절단된 한 쌍의 지지편에 의해 포장팩 상부면에 세워지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지지편은 '∪'자 형태로 절단되되, 내측 절단면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된다.

Description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Opening and closing film for wet tissue packing pack and wet tissue packing pa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티슈 포장팩의 인출구 개방을 위하여 고정부로부터 개폐부를 상방 회동시킬 경우, 개폐부의 절단 형태에 의해 개폐부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비닐재질의 포장팩 내에 수용된 상태로 사용된다. 포장팩은 사방이 막혀 있는 파우치 구조이며, 상부면에는 물티슈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된 인출구가 형성된다. 한편, 개방되어 있는 인출구로 인한 물티슈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팩의 상부면에는 별도의 개폐부재가 부착되어 인출구를 개폐하도록 사용된다.
도 1의 (a)와 (b)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폐부재에 대한 예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와 같은 개폐부재는 크게 필름 또는 캡의 구조로 구비된다. 이 중 캡 구조의 개폐부재는 사출과 같은 성형공법을 통해 성형된 구조물로서, 지지프레임이 인출구 주변을 둘러싼 형태로 부착되고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뚜껑부가 회동하면서 인출구를 개폐하도록 작동한다.
하지만, 캡 구조의 개폐부재는 제작을 위해 별도의 금형이 준비되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며, 이로 인해 포장팩의 전체 단가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필름 구조의 개폐부재는 얇은 두께의 필름이 인출구를 덮을 수 있도록 포장팩의 상부면에 점착된다. 포장팩의 상부면에 점착된 개폐부재는 접이점을 중심으로 고정부로부터 개폐부가 위쪽으로 젖혀져 인출구를 개방시키게 되며, 상방으로 젖혀진 개폐부가 다시 하방으로 회동하여 포장팩의 상면에 점착됨으로써 인출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필름 구조의 개폐부재는 뚜껑 형태에 비해 제작단가가 낮고 생산성이 높은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필름 구조의 개폐부재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인출구를 개방하기 위해 위쪽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접이점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자동 회동하게 된다. 즉, 필름 형태의 개폐부재는 인출구의 개방을 위하여 개폐부가 젖혀진 상태에서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젖혀진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단점에 의해, 사용자는 한 손으로 물티슈를 잡아 인출하는 과정에서 젖혀진 개폐부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다른 한 손으로 개폐부를 잡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문헌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035418호(2011.05.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티슈 포장팩의 인출구 개방을 위하여 고정부로부터 개폐부를 상방 회동시킬 경우, 개폐부의 절단 형태에 의해 개폐부를 세워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은 물티슈가 수용된 포장팩 상부면 중 인출구에 인접하게 부착되는 고정부; 및 좌우 대칭이며 소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절단선을 따라 절단되어 고정부와 양측 테두리 및 중앙 일부가 연결되며, 연결지점을 통해 고정부로부터 상하 회동하여 인출구를 개폐하도록 포장팩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상방 회동 시 절단선의 형태를 따라 절단된 한 쌍의 지지편에 의해 포장팩 상부면에 세워지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지지편은 '∪'자 형태로 절단되되, 내측 절단면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된다.
여기서, 지지편의 내측 절단면은 외측 절단면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부는 절단선의 형태를 따라 절단된 보조편을 더 구비하며, 보조편은 '∪'자 형태로 절단되며, 보조편의 내측 절단면과 지지편의 외측 절단면은 동일한 길이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편의 내측 절단면은 외측 절단면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한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이 구비된 물티슈 포장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은 개폐부의 상방 회동 시 계폐부와 일체로 연결된 '∪' 모양의 지지편도 함께 회동하여 포장팩의 상부면에 세워지게 되며, 회동한 지지편이 포장팩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발생하는 지지력에 의해 포장팩의 상부면에 개폐부가 안정적으로 세워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용 개폐필름은 지지편의 내측 절단면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됨에 따라, 개폐부에 작용하는 지지편의 지지력(支持力)이 내측 절단면들의 연장선상의 교차부분인 개폐부의 중심부에 작용하게 되므로, 개폐부가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다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포장팩의 상부면에 개폐부를 세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용 개폐필름은 지지편의 내측 절단면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됨에 따라, 지지편이 포장팩의 상부면에 세워질 경우, 내측 절단면이 인출구 방향으로 살짝 틀어져 세워지게 되므로, 포장팩의 상부면에 개폐부가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와 (b)는 물티슈 포장팩에 부착되는 종래의 캡 구조 및 필름 구조의 개폐부재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이 부착된 물티슈 포장팩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선의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의 개폐부가 고정부로부터 휘어져 상방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의 개폐부가 고정부로부터 휘어져 상방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X, Y, Z 좌표를 이용하여 X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Y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Z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며, 이는 명세서 전반 및 특허청구범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20)은 물티슈가 수용되는 포장팩(10)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인출구(12)를 개폐하도록 작동한다. 인출구(12)는 포장팩(10) 내부에 수용된 물티슈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통로로서, 포장팩(10) 상부면의 일 지점이 정해진 모양으로 천공되어 마련된다.
개폐필름(20)은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필름의 형태이며,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개폐필름(20)은 좌우길이에 비해 전후길이가 긴 원반형으로 제작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개폐필름(20)은 직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개폐필름(20)은 물티슈가 저장되어 있는 포장팩(10)의 상부면에 인출구(12)를 감싸도록 부착된다. 개폐필름(20)은 포장팩(10)의 상부면에 부착되기 위해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다. 포장팩(10)의 상부면에 부착된 개폐필름(20)은 인출구(12)를 덮고 있는 개폐부(24)가 고정부(22)로부터 상하 회동하며 포장팩(10)의 상부면에 탈부착됨으로써 인출구(12)를 개폐하도록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개폐필름(20)은 포장팩(10)의 상부면 중 인출구(12)에 인접하게 부착되는 고정부(22)와, 좌우 대칭인 한 쌍의 절단선(30)을 따라 절단되어 고정부(22)와 양측 테두리 및 중앙 일부가 연결되며, 연결지점(23)을 통해 고정부(22)로부터 상하 회동하여 인출구(12)를 개폐하도록 포장팩(10)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상방 회동 시 절단선(30)의 형태를 따라 절단된 한 쌍의 지지편(26)에 의해 포장팩(10) 상부면에 세워지는 개폐부(24)를 포함한다.
즉, 고정부(22)와 개폐부(24)는 개폐필름(20)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된 한 쌍의 절단선(30)에 의해 절단되어 형성되며, 고정부(22)와 개폐부(24)는 절단되지 않은 양측 테두리 및 중앙 일부의 연결지점(23)을 통해 연결된다. 이때, 개폐부(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선(30)의 형태를 따라 절단된 한 쌍의 지지편(26)을 통해 포장팩(10)의 상부면에 세워진다.
이에, 개폐필름(20)의 고정부(22)와 개폐부(24)의 구조 및 형태를 설명하기에 앞서, 절단선(30)의 형태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를 살펴보면, 절단선(30)은 중심축(C) 및 개폐필름(20)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양단부가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다. 절단선(3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C)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소정거리 떨어져 배치됨과 동시에 중심축(C)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절단선(30)과 개폐필름(20)의 외측 테두리 사이 및 한 쌍의 절단선(30) 사이에는 고정부(22)와 개폐부(24)를 연결하는 연결지점(23)이 형성된다.
절단선(30)은 중심축(C)으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 있는 제1 절단선(32)과, 제1 절단선(32)에 연결되며 개폐필름(20)의 외측 테두리와 소정거리 떨어져 있는 제2 절단선(34)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절단선(32)과 제2 절단선(34)은 각각 '∪'자 형태를 띠도록 구비되되, 제1 절단선(32)의 좌우방향 너비(폭)는 제2 절단선(34)의 좌우방향 너비 보다 더 넓게 마련된다.
제1 절단선(32)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너비를 갖는 '∪'자 형태로 구비된다. 제1 절단선(32)은 중심축(C)과 소정거리 떨어진 제1 내측 절단선(32a)과, 제1 내측 절단선(32a)과 소정의 너비를 갖는 제1 외측 절단선(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내측 절단선(32a)은 중심축(C)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됨에 따라, 좌우 방향에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내측 절단선(32a)은 대체로 'ハ'자의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제1 외측 절단선(32b)은 중심축(C)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제1 내측 절단선(32a)의 길이는 제1 외측 절단선(32b)의 길이보다 더 긴 길게 마련된다.
제2 절단선(34)은 제1 절단선(32)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개폐필름(20)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소정거리 떨어져 배치된다. 제2 절단선(34)은 전체적으로 '∪'자 형태로 구비된다. 제2 절단선(34)은 제1 절단선(32)의 제1 외측 절단선(32b)과 연결되는 제2 내측 절단선(34a)과, 개폐필름(20)의 외측 테두리와 소정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제2 외측 절단선(3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내측 절단선(34a)과 제1 외측 절단선(32b)은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며, 제2 내측 절단선(34a)과 제1 외측 절단선(32b)은 동일한 길이로 구비된다. 제2 내측 절단선(34a)의 길이는 제2 외측 절단선(34b)의 길이보다 더 긴 길게 마련된다.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개폐필름(20)은 절단선(30)을 따라 절단되어 고정부(22)와 개폐부(24)로 나누어진다. 고정부(22)는 포장팩(10)의 상부면 중 인출구(12)에 인접하게 부착되고, 개폐부(22)는 개폐부(24)는 절단되지 않은 연결지점(23)을 통해 고정부(22)로부터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부러지거나 펼쳐지며 포장팩(10) 상부면의 인출구(12)를 개폐시킨다. 개폐부(24)는 상방 회동 시 절단된 부분의 형태를 따라 형성된 지지편(26) 및 보조편(28)을 통해 포장팩(10)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진다.
개폐부(24)의 지지편(26)은 절단선(30)의 제1 절단선(32)을 따라 절단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편(26)은 제1 절단선(32)과 동일한 형태를 갖게 됨은 자명할 것이다. 지지편(26)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너비를 갖는 '∪'자 형태로 구비된다. 지지편(26)의 테두리에는 제1 절단선(32)에 의해 절단된 내측 절단면(26a)과 외측 절단면(26b)이 형성되며, 내측 절단면(26a)은 제1 내측 절단선(32a)과 같이 중심축(C)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지지편(26)의 내측 절단면(26a) 길이는 외측 절단면(26b)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개폐부(24)의 보조편(28)은 절단선(30)의 제2 절단선(34)을 따라 절단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조편(28)은 제2 절단선(34)과 동일한 형태를 갖게 됨은 자명할 것이다. 보조편(28)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너비를 갖는 '∪'자 형태로 구비되나, 보조편(28)의 너비는 지지편(26)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보조편(28)의 테두리에는 제2 절단선(34)에 의해 절단된 내측 절단면(28a)과 외측 절단면(28b)을 형성하며, 보조편(28)의 내측 절단면(28a)은 지지편(26)의 외측 절단면(26b)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연결된다. 또한, 보조편(28)의 내측 절단면(28a) 길이는 외측 절단면(28b)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도 5를 참고하면, 우선, 물티슈 포장팩(10)의 인출구(12)를 감싸도록 포장팩(10)의 상부면에 개폐필름(20)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폐부(24)의 일측을 손으로 파지하여 개폐부(24)를 포장팩(10)의 상부면으로부터 탈착시켜 인출구(12)를 개방시킨다.
포장팩(10)으로부터 탈착된 개폐부(24)는 연결지점(23)이 휘어지며 고정부(22)로부터 상방 회동한다. 개폐부(24)의 상방 회동 시 계폐부(24)와 일체로 연결된 지지편(26) 및 보조편(28)도 함께 회동하여 포장팩(10)의 상부면에 세워지게 된다. 이때, 개폐부(24)의 무게에 의해 만곡하게 휘어진 연결지점(23)이 살짝 아래로 눌리게 되며, 연결지점(23)과 일체로 연결된 개폐부(24)의 지지편(26)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개폐부(24)는 하방 이동한 지지편(26)이 포장팩(10)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발생하는 지지력에 의해 포장팩(10)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세워진다.
또한, 도 6과 같이, 지지편(26)의 내측 절단면(26a)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됨에 따라, 개폐부(24)에 작용하는 지지편(26)의 지지력(支持力)이 내측 절단면(26a)들의 연장선상의 교차부분(I)인 개폐부(24)의 중심부에 작용하게 되므로, 개폐부(24)가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다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포장팩(10)의 상부면에 개폐부(24)를 세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지지편(26)의 내측 절단면(26a)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됨에 따라, 지지편(26)이 포장팩(10)의 상부면에 세워질 경우, 내측 절단면(26a)이 인출구(12) 방향으로 살짝 틀어져 세워지게 되므로, 포장팩(10)의 상부면에 개폐부(24)가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물티슈 포장팩 12:인출구
20:개폐필름 22:고정부
23:연결지점 24:개폐부
26:지지편 30:절단선

Claims (5)

  1. 인출구(12)를 개폐하도록 물티슈 포장팩(10)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개폐필름(20)에 있어서,
    상기 개폐필름(20)은,
    상기 포장팩 상부면 중 상기 인출구에 인접하게 부착되는 고정부(22); 및
    좌우 대칭이며 소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절단선(30)을 따라 절단되어 상기 고정부와 양측 테두리 및 중앙 일부가 연결되며, 연결지점(23)을 통해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하 회동하여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포장팩 상부면에 탈부착되고, 상방 회동 시 상기 절단선의 형태를 따라 절단된 한 쌍의 지지편(26)에 의해 상기 포장팩 상부면에 세워지는 개폐부(24);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편은 '∪'자 형태로 절단되되, 내측 절단면(26a)이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되고,
    상기 지지편의 내측 절단면(26a)은 외측 절단면(26b)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절단선의 형태를 따라 절단된 보조편(28)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편은 '∪'자 형태로 절단되며, 상기 보조편의 내측 절단면(28a)과 상기 지지편의 외측 절단면(26b)은 동일한 길이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편의 내측 절단면(28a)은 외측 절단면(28b)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을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
KR1020180045628A 2018-04-19 2018-04-19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 KR10198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28A KR101983549B1 (ko) 2018-04-19 2018-04-19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
CN201821336453.1U CN209209454U (zh) 2018-04-19 2018-08-17 湿巾包装袋用开闭膜及具备其的湿巾包装袋
PCT/KR2019/004682 WO2019203586A1 (ko) 2018-04-19 2019-04-18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28A KR101983549B1 (ko) 2018-04-19 2018-04-19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549B1 true KR101983549B1 (ko) 2019-09-03

Family

ID=6745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628A KR101983549B1 (ko) 2018-04-19 2018-04-19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83549B1 (ko)
CN (1) CN209209454U (ko)
WO (1) WO201920358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80B1 (ko) 2020-03-11 2020-08-31 연민우 멀티 티슈 포장용기
KR102520780B1 (ko) 2021-11-22 2023-04-12 이승현 선택적 절취를 통한 오프닝 영역을 구비하는 중첩 라벨 시스템
KR20230059093A (ko) 2021-10-25 2023-05-03 이승현 단차를 형성하여 점착 성분의 전이를 방지하는 중첩 라벨 시트 시스템
KR102628869B1 (ko) * 2022-09-05 2024-01-23 이승현 선택적 스티키 영역 형성을 통한 선택적 폴딩이 가능한 라벨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370A (ja) * 2007-02-07 2008-08-21 Nippon Paper Crecia Co Ltd ウエットティシュ包装体の蓋用ラベ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8067B2 (ja) * 2004-02-05 2007-12-05 株式会社フクヨー 包装体
JP5976287B2 (ja) * 2011-09-15 2016-08-23 株式会社 ペーパーテック 包装体及び包装体の開閉蓋
KR101528356B1 (ko) * 2014-04-15 2015-06-12 이승현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라벨 및 이를 갖는 물티슈용 포장팩
KR20160114332A (ko) * 2015-03-24 2016-10-05 김영문 물티슈 스티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370A (ja) * 2007-02-07 2008-08-21 Nippon Paper Crecia Co Ltd ウエットティシュ包装体の蓋用ラベ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880B1 (ko) 2020-03-11 2020-08-31 연민우 멀티 티슈 포장용기
KR20230059093A (ko) 2021-10-25 2023-05-03 이승현 단차를 형성하여 점착 성분의 전이를 방지하는 중첩 라벨 시트 시스템
KR102520780B1 (ko) 2021-11-22 2023-04-12 이승현 선택적 절취를 통한 오프닝 영역을 구비하는 중첩 라벨 시스템
KR20230075382A (ko) 2021-11-22 2023-05-31 이승현 선택적 절취를 통한 오프닝 영역을 구비하는 중첩 라벨 시스템
KR102628869B1 (ko) * 2022-09-05 2024-01-23 이승현 선택적 스티키 영역 형성을 통한 선택적 폴딩이 가능한 라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209454U (zh) 2019-08-06
WO2019203586A1 (ko)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549B1 (ko)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필름 및 이를 구비한 물티슈 포장팩
KR101212850B1 (ko) 용기
KR102660253B1 (ko) 편평한 시일 용기
KR101528356B1 (ko) 물티슈 포장팩용 개폐라벨 및 이를 갖는 물티슈용 포장팩
JP7278384B2 (ja) 紙とプラスチックを結合した包装箱
JP2012501919A (ja) 物品の保存および分配等に用いる取出し口にふたを備えるパケット
JPS6335512B2 (ko)
US20160214779A1 (en) Flexible containers with a pouring spout
US11845592B2 (en) Method of making blank
US3412927A (en) Cylindrical sector-shaped tearable wrapping or package, particularly for cheese portions, and blank for forming such wrapping or package
JPH10327927A (ja) 使用時に少なくとも二つの製品を混合するための熱可塑性トレー
JP6862459B2 (ja) ヒンジリッド容器およびブランク
US3463380A (en) Closure device for milk carton
JPH09142509A (ja) 蓋及び蓋付容器
JP7020199B2 (ja) パッケージ及びシート材
JPH11310276A (ja) 液体用包装容器
JP3198697U (ja) 商品移送用及び箱詰め用のプリセットケース
JP5729812B2 (ja) 納豆容器
US3348754A (en) Reclosable dispensing container with snap lock
JP6170353B2 (ja) ラップフィルム包装箱
AU2014100175A4 (en) A Carton and Blank
KR101918859B1 (ko) 접이식 구조를 통한 렌즈 안전 포장체
ITPD990050U1 (it) Cassetta di contenimento per prodotti di commercio
KR20200002798A (ko) 패키징 및 이를 위한 블랭크
JP2017214097A (ja) 包装用外枠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