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057B1 -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057B1
KR101983057B1 KR1020170151827A KR20170151827A KR101983057B1 KR 101983057 B1 KR101983057 B1 KR 101983057B1 KR 1020170151827 A KR1020170151827 A KR 1020170151827A KR 20170151827 A KR20170151827 A KR 20170151827A KR 101983057 B1 KR101983057 B1 KR 10198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aseball
frame
image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824A (ko
Inventor
김회율
김제연
이홍준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0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9/00Bats, rackets, or the like, not covered by groups A63B49/00 - A63B57/00
    • A63B59/50Substantially rod-shaped bats for hitting a ball in the air,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G06K9/20
    • H04N5/225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p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Analysi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으로 지나가는 야구공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1 영상들과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영상들 중 상기 야구공이 기설정된 기준선 상에 위치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ITCHING ANALYSIS}
본 발명은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의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대 이상의 스테레오 카메라로 취득된 영상을 통해 투구의 스트라이크, 볼 여부를 정밀하게 판단하고 속도를 측정하여 투수 스스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구는 투수가 던진 공을 타자가 쳐서 베이스로 살아나가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구기 종목으로 체육의 기본 기술이 골고루 필요한 인기 스포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프로 야구 리그가 성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아마추어 야구 역시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투구 연습은 공을 던지는 투수와 공을 받는 포수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훈련 여건이 마땅치 않아 적은 인원으로 훈련해야 하는 소규모의 아마추어 구단이나, 훈련 인원 배치를 효율적으로 하고자 하는 프로야구 구단의 경우, 투수 혼자서 투구 연습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른 인원 없이도 투수 스스로 효율적으로 투구 연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인원의 도움 없이도 투수 스스로 효율적으로 투구 연습을 진행할 수 있는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카메라 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는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은,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으로 지나가는 야구공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1 영상들과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영상들 중 상기 야구공이 기설정된 기준선 상에 위치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상기 야구공의 위치를 근거로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추가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야구공이 날아오는 방향과 교차되도록 상기 홈 플레이트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홈 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홈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구 분석 시스템은 상기 고정 프레임을 마주보는 상단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각각 상기 상단 프레임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의 위치를 상기 기준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구 분석 시스템은, 휴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방법은, 양단에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가 각각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과 마주보는 상단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각각 상기 상단 프레임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의 위치를 상기 기준선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상단 프레임과 상기 2개의 측면 프레임들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으로 지나가는 야구공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1 영상들과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영상들 중 상기 야구공이 기설정된 기준선 상에 위치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방법은, 검출된 상기 야구공의 위치를 근거로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방법은,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플레이트 위에 카메라 2대를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물을 올려두는 것만으로 투수의 투구에 대한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포수, 심판, 코치 등 다른 인원이 없는 경우에도 투수 스스로 투구 능력 향상에 매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트리거 장치 없이 카메라 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의 투구 연습 전 촬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에서 일부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이 실제 투구 연습에 활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기설정된 기준선 상에 야구공이 위치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1)은 프레임(10), 제1 카메라(21), 제2 카메라(22), 및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트라이크 존(strike zone) 이상의 영역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은 사각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11), 상단 프레임(12), 제1 측면 프레임(13), 및 제2 측면 프레임(14)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은 2대의 카메라들(21, 22)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11)은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카메라들(21, 22)을 올바르게 거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단 프레임(12)은 고정 프레임(11)을 마주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이때 2개의 측면 프레임들(13, 14)은 고정 프레임(11)과 상단 프레임(12)을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측면 프레임들(13, 14)은 고정 프레임(11)과 결합/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프레임(10)을 사각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단 프레임(12)과 측면 프레임(13, 14)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진 형상이나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는 고정 프레임(11)의 양단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21)는 고정 프레임(11)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고, 제2 카메라(22)는 고정 프레임(11)의 타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의 각도는 수동 조절되거나,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 카메라(21) 및 제2 카메라(22)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들(21, 22)이 촬영한 영상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2대의 카메라들(21, 22)과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의 위치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프레임(10) 및 카메라들(21, 22)과 별도의 장치로서 그 외부에 위치하거나, 프레임(10)의 일부(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11)) 또는 카메라들(21, 22) 중 일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의 투구 연습 전 촬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1)에서는 투구 연습 전 기준선(51, 52; 도 5 참조)을 설정하기 위한 촬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의 동기화를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별도의 트리거 장치 없이도 양 카메라(21, 22) 간 동기화가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는 프레임(10)만 존재하는 상태에서 촬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제1 카메라(21)를 통해 프레임(10) 중 일부(예를 들어, 상단 프레임(12)과 제2 측면 프레임(14))가 촬영된 제1 영상(I1)을 얻을 수 있으며, 제2 카메라(22)를 통해 프레임(10) 중 일부(예를 들어, 상단 프레임(12)과 제1 측면 프레임(13))이 촬영된 제2 영상(I2)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에 존재하는 상단 프레임(12)의 위치(또는 상단 프레임(12)이 존재하는 위치 좌표)를 기준선(51, 5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상(I1)에서는 상단 프레임(12)과 제2 측면 프레임(14)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되고 있는 바, 제1 영상(I1)에서의 상단 프레임(12)과 제2 측면 프레임(14)의 위치가 제1 카메라(21)의 제1 기준선(51)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I2)에서는 상단 프레임(12)과 제1 측면 프레임(13)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되고 있는 바, 제2 영상(I2)에서의 상단 프레임(12)과 제1 측면 프레임(13)의 위치가 제2 카메라(22)의 제2 기준선(52)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는 설정된 기준선(51, 52)을 통해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에서 일부 프레임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이 실제 투구 연습에 활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기설정된 기준선 상에 야구공이 위치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3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의 동기화를 위한 기초 촬영이 진행된 이후, 실제 투구 연습 시에는 프레임(10) 중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들(21, 22)이 설정되어 있는 고정 프레임(11) 이외에 나머지 프레임들(상단 프레임(12), 제1 측면 프레임(13), 및 제2 측면 프레임(14))이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초 동기화를 위한 세팅 후 사용자(예를 들어, 투수(70))는 간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투구 연습을 하고자 하는 투수(70)는 상단 프레임(12), 제1 측면 프레임(13), 및 제2 측면 프레임(14)이 제거된 투구 분석 시스템(1)을 홈 플레이트(6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 프레임(11)은 야구공(50)이 날아오는 방향과 교차되도록 홈 플레이트(6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카메라(21)는 홈 플레이트(6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카메라(22)는 홈 플레이트(6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는 투수(70)가 투구 동작을 수행하여 날아오는 야구공(50)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21)는 야구공(50)이 존재하는 다수의 제1 영상들(I1)을 촬영하고, 제2 카메라(22)는 야구공(50)이 존재하는 다수의 제2 영상들(I2)을 촬영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30)는 다수의 제1 영상들(I1) 중 야구공(50)이 제1 기준선(51)에 위치하는 제1 영상(I1)과 다수의 제2 영상들(I2) 중 야구공(50)이 제2 기준선(52)에 위치하는 제2 영상(I2)을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을 이용하여 야구공(5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추출된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에서 각각 야구공(50)의 중심점을 획득하고, 획득된 2개의 중심점 좌표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을 수행함으로써 야구공(50)의 3차원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를 구성하는 2개의 카메라들(21, 22)을 이용하기 때문에 야구공(5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별도 구성(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바)이 불필요하게 된다.
즉, 부피가 큰 별도의 구조물 없이 2개의 카메라들(21, 22)을 부착할 수 있는 단순 구조물(예를 들어, 고정 프레임(11))만으로 야구공(5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검출된 야구공(50)의 위치를 근거로 해당 공(50)이 스트라이크 또는 볼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검출된 야구공(50)의 위치를 기설정된 영역(예를 들어, 스트라이크 영역/볼 영역)과 비교하여, 해당 투구를 스트라이크 또는 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투구에 대한 스트라이크/볼 판정 이외에 추가적으로 야구공(50)의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촬영된 영상들(I1, I2)을 통해 야구공(50)의 단위 시간당 이동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시스템(1’)은 알림 수단(60)을 구비할 수 있다.
알림 수단(60)은 스트라이크/볼 판정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례로 스피커,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림 수단(60)은 야구공(50)의 속도가 제어부(30)에 의해 측정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추가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도면들을 함께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락하도록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구 분석 방법은 프레임 준비 단계(S10), 기준선 설정 단계(S20), 일부 프레임 제거 단계(S30), 투구 촬영 단계(S40), 야구공 위치 검출 단계(S50), 스트라이크/볼 판정 단계(S60), 속도 측정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준비 단계(S10)에서는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가 설치된 프레임(10)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은 양단에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가 각각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1), 상기 고정 프레임(11)과 마주보는 상단 프레임(12), 상기 고정 프레임(11)과 상기 상단 프레임(12)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들(13, 14)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선 설정 단계(S20)에서는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로부터 각각 상단 프레임(12)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12)의 위치를 기준선(51, 52)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부 프레임 제거 단계(S30)에서는 프레임(10)에서 상단 프레임(12)과 상기 2개의 측면 프레임들(13, 14)을 제거할 수 있다.
투구 촬영 단계(S40)에서는 제1 카메라(21)와 제2 카메라(22)를 이용하여 고정 프레임(11)의 상측으로 지나가는 야구공(50)을 촬영할 수 있다.
야구공 위치 검출 단계(S50)에서는 제1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된 제1 영상들(I1)과 제2 카메라(22)에 의해 촬영된 제2 영상들(I2) 중 야구공(50)이 기설정된 기준선(51, 52) 상에 위치하는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제1 영상(I1)과 제2 영상(I2)을 이용하여 야구공(5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스트라이크/볼 판정 단계(S60)에서는 검출된 야구공(50)의 위치를 근거로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속도 측정 단계(S70)에서는 야구공(50)의 속도를 추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알림 수단(60)을 통해 스트라이크/볼 판정 결과 및 야구공(50)의 속도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알림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1': 투구 분석 시스템
10: 프레임
11: 고정 프레임
12: 상단 프레임
13: 제1 측면 프레임
14: 제2 측면 프레임
21: 제1 카메라
22: 제2 카메라
30: 제어부

Claims (10)

  1.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으로 지나가는 야구공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1 영상들과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영상들 중 상기 야구공이 기설정된 기준선상에 위치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
    상기 고정 프레임을 마주보는 상단 프레임;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들;
    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각각 상기 상단 프레임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의 위치를 상기 기준선으로 설정하는 투구 분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상기 야구공의 위치를 근거로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는 투구 분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추가 측정하는 투구 분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야구공이 날아오는 방향과 교차되도록 홈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투구 분석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홈 플레이트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카메라는, 홈 플레이트의 타측에 위치하는, 투구 분석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구 분석 시스템은, 휴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구 분석 시스템.
  8. 양단에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가 각각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과 마주보는 상단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각각 상기 상단 프레임이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상단 프레임의 위치를 기준선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상단 프레임과 상기 2개의 측면 프레임들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측으로 지나가는 야구공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1 영상들과 상기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제2 영상들 중 상기 야구공이 기설정된 기준선 상에 위치하는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제1 영상과 제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야구공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투구 분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검출된 상기 야구공의 위치를 근거로 스트라이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투구 분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야구공의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투구 분석 방법.
KR1020170151827A 2017-11-14 2017-11-14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3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827A KR101983057B1 (ko) 2017-11-14 2017-11-14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827A KR101983057B1 (ko) 2017-11-14 2017-11-14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824A KR20190054824A (ko) 2019-05-22
KR101983057B1 true KR101983057B1 (ko) 2019-09-03

Family

ID=6668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1827A KR101983057B1 (ko) 2017-11-14 2017-11-14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0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9789A (ja) * 2011-06-29 2013-01-17 Bridgestone Corp カメラシステム、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方法
JP2017151075A (ja) * 2016-02-19 2017-08-31 株式会社キンキクレスコ 野球用判定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9789A (ja) * 2011-06-29 2013-01-17 Bridgestone Corp カメラシステム、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方法
JP2017151075A (ja) * 2016-02-19 2017-08-31 株式会社キンキクレスコ 野球用判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824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511B1 (ko) 초고속 카메라와 적외선센서바를 이용한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TWI448318B (zh) 虛擬高爾夫模擬裝置及其使用之感測裝置與感測方法
JP4466133B2 (ja) 移動体計測装置
KR102335944B1 (ko) 스포츠 공 타격 요소의 충격 특성을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5288982B (zh) 高尔夫球的运动状态测定装置
JP2002052111A (ja) 改良されたスポーツ練習システム及びスポーツビデオゲーム
KR101495961B1 (ko)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248980B1 (ko) 골프 공 론치 모니터 타겟 얼라인먼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953132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및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통해 인식되는 골프 클럽
JP2015037435A (ja) ゴルフクラブの選定方法およびゴルフクラブ
CN111866575B (zh) 一种实时动作视频智能捕捉与反馈方法及系统
JP2005034619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挙動計測装置
CA2830487C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sensing device and method used for the same
US11077351B2 (en) Measurement and reconstruction of the golf launching scene in 3D
JP2009045495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の挙動計測装置
JP2018522450A (ja) ゴルフゲームを撮影するためのカメラ、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983057B1 (ko) 투구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192713A (ja) 端末装置及び表示方法
KR101982678B1 (ko) 영상 처리 기반의 퍼팅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90134238A (ko) 투수 및 타자 겸용 스크린 야구 게임 시스템
KR102439549B1 (ko) 골프스윙에 대한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클럽헤드의 임팩트 위치 센싱방법
US20210379446A1 (en) Automatic ball machine apparatus
JP2005233800A (ja) ボール落下地点の計測装置
KR20220136560A (ko) 2대의 카메라에 의해 실측되는 볼의 회전정보를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및 시스템
JP202408932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