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852B1 -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852B1
KR101982852B1 KR1020110024835A KR20110024835A KR101982852B1 KR 101982852 B1 KR101982852 B1 KR 101982852B1 KR 1020110024835 A KR1020110024835 A KR 1020110024835A KR 20110024835 A KR20110024835 A KR 20110024835A KR 101982852 B1 KR101982852 B1 KR 101982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substrate
dye
layer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7253A (ko
Inventor
박병은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2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852B1/ko
Publication of KR20120107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2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zed by he counter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77Sealing arrangements, e.g.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81Serial interconnection of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되어 보다 높은 광전변환 효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격리판을 구비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격리판을 구비한 태양전지는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전기석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Solar cell with separator and method of the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되어 보다 높은 광전변환 효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청정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데 대한 관심도 크게 증가되고 있다.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소자를 통상 솔라셀 또는 태양전지로서 칭하고 있다. 태양전지는 그 동작 방식에 따라 크게 실리콘 태양전지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저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태양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가 환경친화적이며, 태양전지의 제조시에 CO2의 배출량이 적기 때문에 차세대 태양전지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경우에는 염료 분자가 흡수하는 파장의 광만이 광전변환에 이용되게 되는데, 염료 분자는 일반적인 실리콘의 흡수 스펙트럼에 비하여 적색 파장에서 현저히 낮은 흡수율을 보이기 때문에 실리콘을 사용하는 태양전지에 비하여 광전변환 효율이 낮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보다 제고할 수 있도록 된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성이 있고, 보다 친환경적이며, 제조비용을 대폭 낮출 수 있도록 된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리판에는 전기석 분말이 혼합 또는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는 제1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은 종이 또는 유기물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은 종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은 직물 또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에 염료가 추가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구조가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층에는 염료가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이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이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구조가 종이로 구성되는 제2 기판과, 제2 기판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판에는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며, 상기 다공질층에는 염료가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리판은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1 층과,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3 층 및, 상기 제1 층 및 제3 층의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제2 층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는 제1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은 종이 또는 유기물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층 또는 제3 층은 종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층 또는 제3 층은 직물 또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층 또는 제2 층에 염료가 추가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층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구조가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층에는 염료가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이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이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구조가 종이로 구성되는 제2 기판과, 제2 기판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판에는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며, 상기 다공질층에는 염료가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는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과 도전성 유기물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공질층은 도전성 무기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은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에는 전기석 분말이 혼합 또는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에는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혼합 또는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은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1 층과,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3 층 및, 상기 제1 층 및 제3 층의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전기석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제2 층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는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기판에는 전기석 분말이 혼합 또는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기판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혼합 또는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른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는 하부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기판에는 도전성 유기물과 전기석 분말의 혼합물이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따른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구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을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시키는 격리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격리판에 전기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격리판의 상하측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 형성 단계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상에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 용액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제1 기판상에 하부 전극층을 형성하고, 하부 전극층에 열을 가하여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 형성 단계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 용액을 제1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제1 기판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도전성 무기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전기석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에 염료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구조 형성단계는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판에 제1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 용액을 제2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제2 기판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다공질층에 염료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도전성 무기물 분말을 홉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의 상측에 전기석 분말을 이용하여 제2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의 상측에 전기석 분말과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2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따른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구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격리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격리판의 상하측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리판 형성단계는 전해질을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시키는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층상에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층상에 전해질을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시키는 제3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 형성 단계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상에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 용액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제1 기판상에 하부 전극층을 형성하고, 하부 전극층에 열을 가하여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 형성 단계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 용액을 제1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제1 기판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도전성 무기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전기석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층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층 또는 제3 층에 염료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구조 형성단계는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판에 제1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 용액을 제2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제2 기판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다공질층에 염료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도전성 무기물 분말을 홉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의 상측에 전기석 분말을 이용하여 제2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구조의 상측에 전기석 분말과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2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따른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구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격리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격리판의 상하측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 형성단계는 하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기판의 하측에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기판에 전기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기판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따른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구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격리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격리판의 상하측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 형성단계는 하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과 전기석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하부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하부 기판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 용액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전해질층 내에 격리판이 구비된다. 이 격리판은 전해질을 구성하는 요오드의 산화, 환원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으로의 전자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는 기판으로서 종래의 반도체 기판 대신에 종이나 유기물 기판이 사용된다. 따라서, 고가의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가격을 대폭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는 일반적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전해질층(3)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 및 상부 구조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구조는 예컨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하부 기판(1)과, 이 하부 기판(1)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2)을 구비한다. 하부 전극(2)은 예컨대 백금(Pt)으로 구성된다.
상부 구조는 예컨대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상부 기판(6)과, 이 상부 기판(6)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5) 및 예컨대 TiO2로 구성되는 다공질층(4)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전극(5)은 예컨대 SnO2 등의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지고, 다공질층(4)에는 예컨대 루테늄(Ru)계 염료가 흡착된다.
상기한 구조의 태양전지는 상부 전극(5)을 통해 외부 광이 입사되면, 입사되는 광은 상부 기판(6)과 상부 전극(5)을 통해 다공질층(4)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외부 광이 전달되면 다공질층(4)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 분자들이 여기된다. 이러한 여기 상태에서 염료들로부터 다공질층(4)으로 전자들이 주입되고, 이와 같이 주입된 전자들은 다공질층(4)으로부터 상부 전극(5)으로 확산된다.
한편 전자를 잃어버린 염료 분자에 대해서는 전해질로부터 전자가 제공된다. 전해질은 예컨대 요오드로 구성되는데, 요오드는 염료에 전자를 제공하면서 트리요오드화물(triiodide)로 산화된다. 전자를 잃어버린 트리요오드화물은 양극, 즉 하부 전극(2)의 표면으로 확산 이동되어 외부 회로를 통해서 유입되는 전자를 받아서 다시 요오드로 환원되고, 이와 같이 환원된 요오드는 다시 음극, 즉 상부 전극(5)측으로 확산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광전변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공질층(4)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에 충분한 전자를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염료에 전자를 제공하는 전해질, 즉 트리요오드화물에 원활하게 전자를 공급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해질층(3)의 내부에 격리판이 구비된다. 이 격리판에는 전기석이 포함된다. 전기석은 토루말린(tourmaline)이라 칭하는 붕규산염계 다공질성 광물로서, 적색, 황색, 녹색, 검정색 등 각종 색깔을 이루는 것에서부터 투명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상의 것이 존재한다.
전기석은 미세한 분말, 예컨대 0,3㎛ 크기의 입자로 분쇄하여도 양극과 음극을 구비하고, 여기에 열이나 압력을 가하면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외부적인 열이나 압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에도 음극을 통하여 0.06㎃의 미세전류를 영구적으로 방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석 또는 전기석 분말에 물 등의 액체가 접촉되면 음극을 통하여 방출되는 미세전류에 의하여 물이 순간적으로 전기분해되면서 주변을 음이온 상태로 만드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전해질층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중간 부분에 전기석을 이용하여 격벽을 형성하게 되면, 전기석이 전해질의 요오드에 전자를 공급하고, 또한 요오드간의 산화-환원 반응을 촉진함으로써 다공질층(4)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에 원활하게 전자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전기석은 분말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전기석과 전해질간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상기한 개념을 실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는 전해질이 주입되는 전해질층(3)에 격리판(31)이 구비된다. 이 격리판(31)은 예컨대 종이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이라 함은 펄프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된 일체의 종이와 더불어, 이러한 종이를 포함하는 재질, 예컨대 종이에 세라믹이나 실리콘 등의 내열성 재료를 침투시킨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격리판(31)으로서는 직물이나 부직포 등의 섬유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격리판(31)에는 전기석 분말이 흡착된다. 격리판(31)에 전기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경우에는 물 또는 전해질 용액에 전기석 분말을 혼합한 후, 그 혼합물에 격리판(31)을 일성 시간 이상 담가두는 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상기 전기석 분말에는 철, 바람직하게는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바람직하게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해질층(3)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격리판(31)을 중심으로서 요오드와 트리요오드화물이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격리판(31)이 하나의 가상적인 전극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격리판(31)은 상부 전극(5)에 대해서는 양극, 하부 전극(2)에 대해서는 음극으로 작용하게 된다.
태양전지는 통상 외부 광, 바람직하게는 태양광이 조사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외부로부터 태양광이 인입되면, 태양광의 특정 광파장 대역의 광은 염료에 흡수되고, 여기에서 흡수되지 않은 광은 전해질을 통해 하측으로 진행하여 격리판(31)에 도달되게 된다. 또한 태양광이 진행할 때 태양광의 에너지가 전해질에 흡수되면서 전해질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격리판(31)에 흡착되어 있는 전기석 또는 전기석 분말은 이와 같이 제공되는 온도 및 태양광을 흡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석의 음극에서는 전자가 방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출되는 전자는 전해질의 트리요오드화물에 제공되어 트리요오드화물을 요오드로 환원시키게 된다.
또한 격리판(31)에 흡착되어 있는 전기석은 격리판(31)의 상측 및 하측에 존재하는 전해질간의 전자 이동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격리판(31)을 중심으로 요오드 및 트리요오드화물간에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즉 상부 전극(5)으로부터 하측으로 확산 이동되는 트리요오드화물은 격리판(31)에서 그 하측의 요오드로부터 전자를 취하여 요오드로 환원되고, 하부 전극(2)으로부터 상측으로 확산 이동되는 요오드는 격리판(31)에서 상측의 요오드화물에 전자를 잃은 후 트리요오드화물로 산화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환원 및 산화된 요오드 및 트리요오드화물은 다시 상부 전극(5) 및 하부 전극(2)측으로 확산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해질층(3)내에서의 요오드 및 트리요오드화물간의 산화-환원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염료에 대한 전자 공급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하부 전극(2)으로부터 상부 전극(5)으로의 전자의 이동이 매우 활발해지게 됨으로써 태양전지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양이 증가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통상적인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부 기판(1) 및 하부 전극(2)으로 구성되는 하부 구조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통상적인 방법과 마찬가지로 상부 기판(6), 상부 전극(5) 다공질층(4)으로 구성되는 상부 구조체를 형성한 후 다공질층(4)에 염료를 흡착시킨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에 따라 형성된 격리판(31)을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 구조체를 결합시킴과 더불어 전해질층(3)에 전해질을 주입 및 밀봉하여 태양전지를 완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격리판(31)에 전기석 분말과 함께 염료가 흡착된다.
격리판(31)에 염료가 흡착되면, 상층의 다공질층(4)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에서 흡수되지 않은 외부 광은 격리판(31)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에 흡수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광을 흡수한 염료는 여기상태로 되면서 전자를 생성하게 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전자는 상부 전극(5)측으로부터 하측으로 확산 이동되는 트리요오드화물에 전달되어 이를 요오드로 환원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자를 잃은 염료는 하부 전극(2)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확산 이동되는 요오드로부터 전자를 흡수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격리판(31)에 흡착되어 있는 염료에 의해 격리판(31) 하측의 요오드와 격리판(31) 상측의 트리요오드 간의 전자 전달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태양전지에 있어서 하부 전극(2)으로부터 상부 전극(5)으로 전자 흐름이 원활해지게 됨으로써 태양전지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전기석 분말과 염료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만들게 된다. 이때 전기석은 다공질성 물질이므로 전기석에 다량의 염료가 부착 또는 흡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만들어진 혼합용액에 예컨대 종이 등의 소재를 일정 시간 동안 침지하여 격리판(31)에 전기석 분말 및 염료를 흡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그 밖의 공정은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물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기석 분말과 함께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바람직하게 혼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해질층(3)의 중간 부분에 격리판(40)이 구비되고, 격리판(40)은 3개층의 적층 구조(41, 42, 43)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40)의 제1 층 및 제3 층(41, 43)은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고, 제2 층(42)은 전기석층으로 구성된다. 이 제2 층(42)은 전기석 부말을 적층 형성한 것이다. 또한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2 층(42)으로서 전기석 분말과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층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의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층(41) 또는 제2 층(42)에는 염료가 흡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이 또는 부직포와 같이 전해질의 흡수 및 통과가 자유로운 제1 및 제3 층(41, 43)의 사이에 전기석 분말로 전기석층을 구성함으로써 전해질층에 구비되는 격리판(40)을 전기석층으로 구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의 실시예에 비해 안정적이면서도 많은 양의 전기석 분말을 채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석에 의한 전자의 공급과 전해질을 통한 전자의 확산 이동이 보다 활발해짐으로써 광전변환 효율이 높은 태양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는 하부 기판(61)으로서 종이가 이용된다. 그리고 이 하부 기판(61)의 상측에는 하부 전극(62)이 형성된다. 이 하부 전극(62)으로서는 도전성 금속 이외에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이용된다.
종이 기판(61)에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전극(62)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진공증착법이 이용된다. 그리고 종이 기판(61)상에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잉크젯법이나 스크린 인쇄법 또는 스핀코팅법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하부 기판(61)으로서는 유기물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이용가능한 유기물로서는 폴리이미드(PI),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에틸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 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4-메틸-1-펜텐)(TPX),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아세탈(POM),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설폰(PSF),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염화비닐리덴(PVDC), 폴리초산비닐(PVAC), 폴리비닐알콜(PVAL),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스티렌(PS), AS수지, ABS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불소수지, 페놀수지(PF), 멜라민수지(MF), 우레아수지(UF), 불포화폴리에스테르(UP), 에폭시수지(EP), 디알릴프탈레이트수지(DAP), 폴리우레탄(PUR), 폴리아미드(PA), 실리콘수지(SI)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및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하부 기판(61)으로서 유기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부 전극(62)으로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유기물이나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이용된다.
전해질층(3)에는 격리판(60)이 구비된다. 이 격리판(50)은 상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어떠한 구조의 것도 사용가능하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는 도 4의 실시예에서 하부 전극(62)상에 다공질층(63)을 형성한 것이다. 이 다공질층(63)은 전기석 분말 또는 전기석 분말과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다공질층(63)은 전기석 분말과 도전성 유기물의 혼합물, 또는 전기석 분말 및 도전성 유기물과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이때 도전성 유기물은 전기석 분말 등을 하부 전극(62)상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이러한 혼합물을 이용하여 다공질층(6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전기석 분말 등을 혼합한 후, 잉크젯이나 스크린 인쇄법 등을 이용하여 하부 전극(62)상에 다공질층(63)을 형성하고, 이후 일정 온도 이하로 열을 가하여 용매를 증발시키는 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다공질층(63)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해질층(3)에 전해질이 주입되면 전해질이 다공질층(3)에 흡착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질층(3)을 구성하는 전기석은 각각의 입자가 양극과 음극을 구비하고, 양극과 음극을 통해 전류가 흐르는 성질을 갖고 있다. 따라서 하부 전극으로부터 전해질로 공급되는 전자는 하부 전극(62)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하부 전극으로부터 전기석 입자를 통해 전해질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전기석은 전해질과 하부 전극(62)과의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전해질에 대한 전자의 공급이 보다 원활해지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석은 온도 변화 등에 따라 전자를 방출하게 되므로 이와 같이 방출된 전자는 전해질에 공급되게 된다. 이는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을 보다 높이게 된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 기판(61)이 종이로 구성되고, 이 하부 기판(61)의 하측에 하부 전극(62)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기판(61)에는 전기석 분말 또는 전기석 분말과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의 혼합물이 흡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 전극(62)의 상측에 하부 기판(61)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해질층(3)에 전해질을 주입할 때 하부 기판(61)에는 전해질이 흡착된다.
본 실시에에 있어서도 하부 기판(61)에 흡착되는 전기석 등의 분말이 하부 전극(62)과 전해질 간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전해질에 전자가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 기판(70)으로서 전도성 종이를 사용하면서 하부 전극은 제거된다. 이때 전도성 종이는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 및 전기석 분말의 혼합물을 흡착시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 기판(80)으로서 종이를 사용하면서 여기에 전도성 유기물,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흡착시킨다. 그리고 종래의 상부 전극은 제거된다. 이때 상부 기판(80)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종이에 다공질층(4)을 형성한 후, 종이에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을 흡착시키게 된다.
종이에 유기물을 흡착시키게 되면 종이에 결합되는 유기물은 외부 광의 전달 통로로서 기능하게 되므로 종이의 광투과율이 크게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공질층(4)을 형성하는 물질로서는 TiO2 대신에 전기석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공질층(4)을 구성하는 물질로서 TiO2를 사용하는 이유는 TiO2가 도전성을 가지면서도 광투과도가 좋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석은 다양한 색깔의 것이 존재하고 광투과도가 우수한 투명한 전기석도 존재한다. 또한 전기석 역시 다공질 물질로서 여기에는 염료가 용이하면서도 다량으로 흡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공질층(4)으로서 전기석 분말 또는 전기석 분말과 염료의 혼합물층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밖의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 기판(70) 또는 상부 기판(80)으로서 전도성 기판을 사용한다. 종래의 실리콘 또는 유리 기판의 경우에는 대면적화가 어렵고 유연성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판(70, 80)은 종이를 기본 재질로서 이용하게 되므로 대면적화가 용이하고 유연성이 탁월하므로 유연성이 있는 태양전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1: 하부 기판, 2: 하부 전극,
3: 전해질층, 4: 다공질층,
5: 상부 전극, 6: 상부 기판.

Claims (70)

  1.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리판에는 전기석 분말이 혼합 또는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종이 또는 유기물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종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직물 또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에 염료가 추가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가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층에는 염료가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이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이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가 종이로 구성되는 제2 기판과, 제2 기판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판에는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며, 상기 다공질층에는 염료가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7.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리판은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1 층과,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3 층 및, 상기 제1 층 및 제3 층의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제2 층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는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종이 또는 유기물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또는 제3 층은 종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또는 제3 층은 직물 또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또는 제2 층에 염료가 추가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가 제2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상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 및, 상기 상부 전극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다공질층에는 염료가 흡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이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이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가 종이로 구성되는 제2 기판과, 제2 기판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판에는 도전성 유기물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물이 흡착되며, 상기 다공질층에는 염료가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3.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는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상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 및,
    상기 하부 전극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리판은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전기석 분말과 도전성 유기물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층은 도전성 무기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8. 삭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에는 전기석 분말이 혼합 또는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에는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혼합 또는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41.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1 층과, 전해질이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되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3 층 및, 상기 제1 층 및 제3 층의 사이에 형성됨과 더불어 전기석분말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제2 층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42.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는 하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부 기판에는 전기석 분말이 혼합 또는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이 추가로 혼합 또는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44.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전해질층을 구비하며,
    상기 전해질층은 격리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는 하부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 기판에는 도전성 유기물과 전기석 분말의 혼합물이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45.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구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전해질을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시키는 격리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격리판에 전기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격리판의 상하측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 형성 단계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상에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 용액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제1 기판상에 하부 전극층을 형성하고, 하부 전극층에 열을 가하여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 형성 단계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 용액을 제1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제1 기판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도전성 무기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전기석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0.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에 염료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2.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 형성단계는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판에 제1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 용액을 제2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제2 기판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다공질층에 염료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3.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도전성 무기물 분말을 홉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4.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의 상측에 전기석 분말을 이용하여 제2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5.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의 상측에 전기석 분말과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2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6.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구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격리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격리판의 상하측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리판 형성단계는 전해질을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시키는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층상에 전기석 분말을 포함하는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층상에 전해질을 용이하게 흡수 또는 통과시키는 제3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 형성 단계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1 기판상에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전극은 도전성 유기물 용액 또는 도전성 유기물과 도전성 무기물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제1 기판상에 하부 전극층을 형성하고, 하부 전극층에 열을 가하여 용매를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 형성 단계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 용액을 제1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제1 기판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도전성 무기물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전기석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1.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2.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또는 제3 층에 염료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3.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 형성단계는 제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제2 기판에 제1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유기물 용액을 제2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제2 기판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다공질층에 염료를 흡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유기물 용액에 도전성 무기물 분말을 홉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5.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의 상측에 전기석 분말을 이용하여 제2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6.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의 상측에 전기석 분말과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제2 다공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7.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구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격리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격리판의 상하측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 형성단계는
    하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 기판의 하측에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 기판에 전기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흡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9.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구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격리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격리판의 상하측에 전해질을 주입하고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구조 형성단계는
    하부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도전성 유기물과 전기석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을 하부 기판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하부 기판에 열을 가하여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는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용액에 자철석 또는 영구자석 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10024835A 2011-03-21 2011-03-21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8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835A KR101982852B1 (ko) 2011-03-21 2011-03-21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835A KR101982852B1 (ko) 2011-03-21 2011-03-21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53A KR20120107253A (ko) 2012-10-02
KR101982852B1 true KR101982852B1 (ko) 2019-05-29

Family

ID=47279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835A KR101982852B1 (ko) 2011-03-21 2011-03-21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0698B1 (en) * 2021-03-18 2023-07-05 Exeger Operations AB A solar cell comprising a plurality of porous layers and charge conducting medium penetrating the porous lay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823A (ko) * 2006-09-21 2008-03-26 주식회사 유니코텍코리아 토르마린을 포함하는 발전 소자
KR20080067586A (ko) * 2007-01-16 2008-07-21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분리막을 구비하고 있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5743553B2 (ja) * 2008-03-05 2015-07-01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イリノイ 伸張可能及び折畳み可能な電子デバイス
KR101510658B1 (ko) * 2008-03-20 2015-05-06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7752A (ko) * 2008-09-03 2010-03-11 지성중공업 주식회사 토르말린 태양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53A (ko)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263B1 (ko) 적층형 광전변환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2754273B (zh) 色素增感型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US20080202583A1 (en)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090126784A1 (en)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conductive fiber electrode
US8481850B2 (en) Dye doped graphite graphene solar cell on aluminum
JP2012104505A (ja) 光電変換素子
JP6867703B2 (ja) ドープされた半導体材料の粒状体を備える太陽電池および太陽電池を製造する方法
JP2009037779A (ja) 光電変換素子、電子輸送層の製造方法、光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712212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82852B1 (ko) 격리판을 구비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4897226B2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およ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788325B1 (ko) 이온 분리막을 구비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662335B1 (ko) 격리판을 구비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104587847A (zh) 一种电学功能膜及其制备方法
KR101744984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76376B1 (ko) 전기석을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31651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0436A (ko) 격리판을 구비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032502A (ja) 光電変換素子
KR101763433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214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18548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245784A (ja) 電極の製造方法、光電変換電極の製造方法、及び、色素増感型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20120130435A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과 전해질
KR20120130819A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