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731B1 -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 Google Patents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731B1
KR101982731B1 KR1020190003781A KR20190003781A KR101982731B1 KR 101982731 B1 KR101982731 B1 KR 101982731B1 KR 1020190003781 A KR1020190003781 A KR 1020190003781A KR 20190003781 A KR20190003781 A KR 20190003781A KR 101982731 B1 KR101982731 B1 KR 101982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component
moved
supply unit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제
Original Assignee
대화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화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화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19000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fluid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는 암나사부가 상단을 향한 상태로 제1부품을 제1위치로 공급하는 제1공급부; 숫나사부가 하단을 향한 상태로 제2부품을 체결위치로 공급하여 상기 제1부품과 상호 체결시키는 제2공급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제1부품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를 갖고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부품이 상기 체결위치에서 상기 제2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2부품과 체결될 수 있도록 이동되는 이동 테이블 부재; 및 상기 제1공급부와 상기 제2공급부 그리고 상기 이동 테이블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Automated equipment for packer assembling}
본 발명은 건물의 균열틈에 보수액을 주입하기 위해 균열틈에 형성한 구멍에 결합되는 패커(packer)를 자동으로 조립하는 자동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근래 교량이나 건축물등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 또는 부실시공으로 인하여 이들 콘크리트 구조물의 파손 및 붕괴와 같은 대형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이들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안전도의 진단 및 그에 따른 보수, 보강 및 방수등의 대책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예로서, 온도의 변화나 지진의 발생 등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건축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 및 날로 증가되는 교통량 등을 감안하지 않은 교량 등은 철저한 안전진단을 통하여 재 설계 시공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노후 또는 잘못 시공된 기존 구조물들을 전면 파괴하고 신설구조물로 재설계 시공함에 있어서는, 막대한 예산과 공기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기존 교량을 재시공할 경우에는 극심한 교통의 정체 내지 마비현상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그에 따른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 한 실현이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난점을 감안하고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점과 취약점을 보완, 보강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패커를 이용한 공법이 있다.
상기 패커를 이용한 공법은 먼저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 부분에 구멍을 천공한 후, 상기 구멍에 패커를 삽입하여 설치하고, 상기 패커에 주입기를 연결하여 보수액(폴리우레탄, 에폭시 등)을 주입함으로써, 콘크리트구조물의 균열을 보수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패커는 몸체와 체크밸브가 서로 나사 결합되며, 그 결합부 사이에는 와셔가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패커는 작업자가 하나씩 수작업을 통해 조립하고 있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패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암나사부를 갖는 제1부품과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숫나사부를 갖는 제2부품을 상호 조립하기 위한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단을 향한 상태로 상기 제1부품을 제1위치로 공급하는 제1공급부; 상기 숫나사부가 하단을 향한 상태로 상기 제2부품을 체결위치로 공급하여 상기 제1부품과 상호 체결시키는 제2공급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제1부품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를 갖고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부품이 상기 체결위치에서 상기 제2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2부품과 체결될 수 있도록 이동되는 이동 테이블 부재; 및 상기 제1공급부와 상기 제2공급부 그리고 상기 이동 테이블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공급부는 제1승강 부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케이싱;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을 회동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케이싱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2부품이 공급되는 통로를 갖고, 상기 제2부품을 척킹하도록 선단에 복수의 절개홈을 갖는 조임부와, 상기 조임부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2부품 공급피더의 공급관과 연결되는 상부 중공축부를 갖는 중공척; 및 상기 상부 중공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척을 업다운시키는 제2승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척이 상기 제2승강 부재에 의해 업 이동되면 상기 조임부가 상기 제2부품을 척킹하고, 상기 중공척이 상기 승강 부재에 의해 다운 이동되면 상기 조임부가 상기 제2부품을 언척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승강부재는 상기 중공척을 다운 이동시키는 언척킹 실린더; 및 상기 중공척을 업 이동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위치로 제3부품을 공급하는 제3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공급부는 수평 방향에서 상기 제3부품을 공급하여 상기 제1부품 상에 제공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체결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와 대칭되는 제2위치에 상기 제1부품을 공급하되; 상기 제1공급부는 제1부품 공급피더; 상기 제1부품 공급피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1위치로 상기 제1부품을 공급하는 제1투입 포트; 및 상기 제1부품 공급피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2위치로 상기 제1부품을 공급하는 제2투입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체결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와 대칭되는 제2위치에 상기 제1부품을 공급하고, 상기 이동 테이블 부재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제1부품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테이블 부재는 수평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를 갖고 상기 제1,2안착부 아래는 오픈된 구조의 이동 테이블; 상기 제1안착부 상의 상기 제1부품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클램핑; 상기 제2안착부 상의 상기 제1부품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2클램핑; 및 상기 제1안착부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2안착부가 제2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안착부가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테이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클램핑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부품이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된 후 상기 제1부품을 고정하며, 상기 1안착부가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 후 상기 제2부품이 체결되면 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클램핑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부품이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제1부품을 고정하며, 상기 제2안착부가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 후 상기 제2부품이 체결되면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부품과 제2부품의 조립을 연속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의 중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제2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도 8a, 도 8b는 이동 테이블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에서의 동작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은 앞서 설명한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에서의 동작 과정에서 이동 테이블에서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패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의 중요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10)는 패커(S)를 조립하기 위한 설비로, 암나사부를 갖는 제1부품(패커의 몸체;S1)과 제1부품에 체결되는 숫나사부를 갖는 제2부품(패커의 체크밸브;S2) 그리고 제1부품(S1)과 제2부품(S2) 사이에는 제3부품(와셔;S3)가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일 예에 따르면,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10)는 제1공급부(100), 제2공급부(200), 제3공급부(400), 이동 테이블 부재(500) 그리고 제어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0)는 제1공급부(100), 제2공급부(200), 제3공급부(400) 그리고 이동 테이블 부재(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공급부(100)는 이동 테이블 부재(500)의 상부에서 암나사부가 상단을 향한 상태로 제1부품(S1)을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로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는 제2공급부(200)의 체결위치(P3)와 일직선 상에 위치되며, 체결위치(P3)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위치된다.
제1공급부(100)는 제1부품 공급피더(110), 제1부품 공급피더(110)와 연결되고 제1위치(P1)로 제1부품(S1)을 공급하는 제1투입 포트(120) 그리고 제1부품 공급피더(110)와 연결되고 제2위치(P2)로 제1부품(S1)을 공급하는 제2투입 포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투입 포트(120)와 제2투입포트(130)는 이동 테이블 부재(5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제1부품(S1)을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제1부품 공급피더(110)와 제1투입 포트(120) 그리고 제2투입포트(130)는 각각 투명한 공급관(112)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제1,2투입 포트(120,130) 각각에는 제1부품(S1)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상단 고정핀부(132)와 하단 고정핀부(133)가 제공된다. 하단 고정핀부(133)는 바로 공급될 제1부품(S1)을 홀딩하고, 상단 고정핀부(132)는 그 다음번 제1부품(S1)을 홀딩하게 된다.
제2공급부(20))는 이동 테이블 부재(500)의 상부에서 숫나사부가 하단을 향한 상태로 제2부품(S2)을 체결위치(P3)로 공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제2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공급부(200)는 승강 플레이트(210), 케이싱(220), 회전부재(230), 중공척(240), 제2승강부재(250), 제1승강부재(280) 그리고 제2부품 공급피더(290)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플레이트(210)는 제1승강 부재(28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220)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베어링부(222)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부재(230)는 승강 플레이트(210)에 설치된다. 회전 부재(230)는 케이싱(220)을 회동시킨다. 회전 부재(230)는 회전 구동부(23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234) 그리고 케이싱 외주면에 설치되는 풀리(23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232)는 승강 플레이트(210)의 후면에 위치되어 가려지기 때문에 도면들에 표현되지 않았으며, 다만 도 5에서 가상선으로 회전 구동부(232)를 임의로 표시하였습니다.
중공척(240)은 케이싱(220)에 삽입 설치된다. 중공척(240)은 내부에 제2부품(2)이 이동되는 통로(241)를 갖는다. 중곡척(240)은 제2부품(2)을 척킹하도록 선단에 복수의 절개홈을 갖는 조임부(242)와, 조임부(242)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2부품 공급피더(290)의 공급관(292)과 연결되는 상부 중공축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승강 부재(250)는 상부 중공축부(244)에 결합되어 중공척(240)을 업다운시킨다. 도 5에서와 같이, 중공척(240)이 제2승강 부재(250)에 의해 업 이동되면 조임부(242)가 제2부품(S2)을 척킹하고, 도 6에서와 같이 중공척(240)이 제2승강 부재(250)에 의해 다운 이동되면 조임부(242)가 제2부품(S2)을 언척킹한다.
일 예로, 제2승강부재(250)는 중공척(240)을 다운 이동시키는 언척킹 실린더(252) 및 중공척(240)을 업 이동시키는 제1탄성부재(2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254)는 언척킹 실린더(252)에 의해 중공척(240)이 다운 이동되면 압축되었다가 언척킹 실린더(252)가 오프(공압이 인가되지 않으면)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중공척(240)을 업 이동시키게 된다.
중공척(240)은 제2부품(S2)을 척킹한 상태에서 케이싱(220)이 회전부재(230)에 의해 회동되면 제2부품(S2)을 척킹한 상태에서 회전된다.
도 7, 도 8a, 도 8b는 이동 테이블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이동 테이블 부재(500)는 제1위치(P1)에서 제1공급부의 제1투입포트(120)를 통해 공급된 제1부품(S1)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512)와, 제2위치(P2)에서 제1공급부의 제2투입포트(130)를 통해 공급된 제1부품(S1)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테이블 부재(500)는 제1안착부(512)에 안착된 제1부품(S1)이 체결위치(P3)에서 제2공급부(200)를 통해 제2부품(S2)과 체결될 수 있도록 이동되고, 제2안착부(514)에 안착된 제1부품(S1)이 체결위치(P3)에서 제2공급부를 통해 제2부품(S2)과 체결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테이블 부재(500)는 이동 테이블(510), 제1클램핑(520), 제2클램핑(530), 테이블 구동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테이블(510)은 베이스(501) 상에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안착부(512)와 제2안착부(514)를 갖고 제1,2안착부(512,514) 아래는 오픈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그리고 제3위치(P3)에 해당되는 베이스(501) 아래에는 제1부품(S1)을 받치는 받침대(592)들이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제1클램핑(520)은 제1안착부(512) 상의 제1부품(S1)을 고정 또는 해제한다. 제1클램핑(520)은 제1척킹 블럭(522), 제1척킹 블럭(522)을 언척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524) 그리고 제1척킹 블럭(522)을 척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클램핑(530)은 제2안착부(514) 상의 제1부품(S1)을 고정 또는 해제한다. 제2클램핑(530)은 제2척킹 블럭(532)과 제2척킹 블럭(532)을 언척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534)와 제2척킹 블럭(532)을 척킹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2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클램핑(520)과 제2클램핑(530)의 스프링은 동일한 스프링이 활용될 수 있다.
테이블 구동부(540)는 이동 테이블(510)을 이동시킨다. 이동 테이블(510)은 테이블 구동부(540)에 의해 제1안착부(512)가 제1위치(P1)로 이동되면 제2안착부(514)는 체결 위치(P3)로 이동되고, 제2안착부(514)가 제2위치(P2)로 이동되면 제1안착부(512)가 체결 위치(P3)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1클램핑(520)은 제1위치(P1)에서 제1부품(S1)이 제1안착부(512)에 안착되면 제1부품(S1)을 고정하며, 제1안착부(512)가 체결 위치(P3)로 이동 후 제2부품(S2)이 체결되면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고, 제2클램핑(530)은 제2위치(P2)에서 제1부품(S1)이 제2안착부(514)에 안착되면 제1부품(S1)을 고정하며, 제2안착부(514)가 체결 위치(P3)로 이동 후 제2부품(S2)이 체결되면 고정을 해제한다.
다시 도 1 및 도 7, 도 8a를 참조하면, 제3공급부(400)는 체결위치(P3)로 제3부품(S3)을 공급한다. 여기서 제3부품(S3)은 제1부품(S1)과 제2부품(S2)의 체결면에 삽입되는 와셔일 수 있다. 제3공급부(400)는 제2부품이 제1부품과 체결하기 전, 수평 방향에서 제3부품(S3)을 이송하여 제1안착부(512) 또는 제2안착부(514)에 놓여진 제1부품(S1)에 제공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에서의 동작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제1부품(S1)이 제1안착부(512)에 안착된 후 체결위치(P3)로 이동되면, 제3공급부(400)에서 제3부품(S3)이 제1부품(S1) 상부로 공급된다(도 9).
제2공급부(200)에서 제2부품(S2)은 회동하면서 다운 이동되어 제1부품(S1)에 체결되고, 그 사이에 새로운 제1부품(S1)이 제2투입 포트(130)를 통해 제2안착부(514)에 공급된다(도 10, 도 11). 제1부품(S1)과 제3부품(S3) 그리고 제2부품(S2)의 체결이 완료되면, 중공척(240)이 제2승강 부재(250)에 의해 다운 이동되면서 조임부(242)가 제1부품과 체결된 제2부품(2)을 언척킹한다(도 12).
승강 플레이트(210)는 업 이동되고, 조임부(242)에 새로운 제2부품(S2)이 위치된 상태에서 언척킹 실린더(252)가 오프(공압이 인가되지 않으면)되면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중공척(240)이 업 이동되면서 새로운 제2부품(S2)을 척킹한다(도 13).
그리고, 이동 테이블(510)은 테이블 구동부(540)에 의해 제1안착부(512)가 제1위치(P1)로 이동되고, 제2안착부(514)는 체결 위치(P3)로 이동된다. 이동 테이블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안착부(512)에 위치한 체결된 조립제품(제1,2,3부품이 결합된 상태인 패커)은 이동 테이블(510) 아래로 떨어져 별도의 회수통(미도시됨)으로 모아지게 된다.
앞서 언급한 조립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제1부품 공급이 좌측과 우측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제2부품의 체결이 딜레이 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생산성을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앞서 설명한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에서의 동작 과정에서 이동 테이블에서의 동작을 부연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에서와 같이, 체결위치(P3)에서 제1안착부(512)에 위치한 제1부품(S1)이 제2부품(S2)과 체결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2안착부(514)에는 새로운 제1부품(S1)이 공급되며, 제1부품(S1)이 공급될 때 제2클램핑(530)은 오픈된 상태이고, 제1부품 공급이 완료되면 제1부품(S1)을 고정하게 된다. 체결위치(P3)에서 제1부품(S1)과 제2부품(S2)의 체결이 완료되면, 이동 테이블(510)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 테이블(510)이 이동 하기 전에 제1안착부(512)에 위치한 제1부품(S1)의 고정이 해제되며, 제1부품(S1)과 제2부품(S2)의 체결된 상태의 조립 부품(패커)은 이동 테이블(51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밑으로 자연 낙하된다.
도 16에서와 같이, 체결위치(P3)에서 제2안착부(514)에 위치한 제1부품(S1)이 제2부품(S2)과 체결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안착부(512)에는 새로운 제1부품(S1)이 공급되며, 제1부품(S1)이 공급될 때 제1클램핑(520)은 오픈된 상태이고, 제1부품 공급이 완료되면 제1부품(S1)을 고정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부품 조립 자동화 설비(10)는 배경 기술에서 언급한 보수액을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패커(S)의 조립을 자동화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나사 체결되는 2개의 부품과 그 사이에 와셔가 끼워지는 다양한 제품을 조립하는데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공급부 200 : 제2공급부
400 : 제3공급부 500 : 이동 테이블 부재

Claims (9)

  1. 암나사부를 갖는 제1부품과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숫나사부를 갖는 제2부품을 상호 조립하기 위한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단을 향한 상태로 상기 제1부품을 제1위치로 공급하는 제1공급부;
    상기 숫나사부가 하단을 향한 상태로 상기 제2부품을 체결위치로 공급하여 상기 제1부품과 상호 체결시키는 제2공급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제1부품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를 갖고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부품이 상기 체결위치에서 상기 제2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2부품과 체결될 수 있도록 이동되는 이동 테이블 부재; 및
    상기 제1공급부와 상기 제2공급부 그리고 상기 이동 테이블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공급부는
    제1승강 부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케이싱;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을 회동시키는 회전부재;
    상기 케이싱에 삽입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2부품이 공급되는 통로를 갖고, 상기 제2부품을 척킹하도록 선단에 복수의 절개홈을 갖는 조임부와, 상기 조임부의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2부품 공급피더의 공급관과 연결되는 상부 중공축부를 갖는 중공척; 및
    상기 상부 중공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척을 업다운시키는 제2승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척이 상기 제2승강 부재에 의해 업 이동되면 상기 조임부가 상기 제2부품을 척킹하고, 상기 중공척이 상기 제2승강 부재에 의해 다운 이동되면 상기 조임부가 상기 제2부품을 언척킹하는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부재는
    상기 중공척을 다운 이동시키는 언척킹 실린더; 및
    상기 중공척을 업 이동시키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위치로 제3부품을 공급하는 제3공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공급부는 수평 방향에서 상기 제3부품을 공급하여 상기 제1부품 상에 제공하는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5. 암나사부를 갖는 제1부품과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숫나사부를 갖는 제2부품을 상호 조립하기 위한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가 상단을 향한 상태로 상기 제1부품을 제1위치로 공급하는 제1공급부;
    상기 숫나사부가 하단을 향한 상태로 상기 제2부품을 체결위치로 공급하여 상기 제1부품과 상호 체결시키는 제2공급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제1부품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를 갖고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제1부품이 상기 체결위치에서 상기 제2공급부를 통해 상기 제2부품과 체결될 수 있도록 이동되는 이동 테이블 부재; 및
    상기 제1공급부와 상기 제2공급부 그리고 상기 이동 테이블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체결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와 대칭되는 제2위치에 상기 제1부품을 공급하고;
    상기 제1공급부는
    제1부품 공급피더;
    상기 제1부품 공급피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1위치로 상기 제1부품을 공급하는 제1투입 포트; 및
    상기 제1부품 공급피더와 연결되고 상기 제2위치로 상기 제1부품을 공급하는 제2투입 포트를 포함하는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부는
    상기 체결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위치와 대칭되는 제2위치에 상기 제1부품을 공급하고,
    상기 이동 테이블 부재는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제1부품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테이블 부재는
    수평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를 갖고 상기 제1,2안착부 아래는 오픈된 구조의 이동 테이블;
    상기 제1안착부 상의 상기 제1부품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1클램핑;
    상기 제2안착부 상의 상기 제1부품을 고정 또는 해제하는 제2클램핑; 및
    상기 제1안착부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2안착부가 제2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안착부가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이동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테이블 구동부를 포함하는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램핑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부품이 상기 제1안착부에 안착된 후 상기 제1부품을 고정하며, 상기 제1안착부가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 후 상기 제2부품이 체결되면 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제2클램핑은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제1부품이 상기 제2안착부에 안착되면 상기 제1부품을 고정하며, 상기 제2안착부가 상기 체결 위치로 이동 후 상기 제2부품이 체결되면 고정을 해제하는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9. 삭제
KR1020190003781A 2019-01-11 2019-01-11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KR101982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781A KR101982731B1 (ko) 2019-01-11 2019-01-11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781A KR101982731B1 (ko) 2019-01-11 2019-01-11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731B1 true KR101982731B1 (ko) 2019-05-28

Family

ID=6665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781A KR101982731B1 (ko) 2019-01-11 2019-01-11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7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238U (ja) * 1993-03-29 1994-10-21 日産車体株式会社 ボルトとナットの組み付け装置
JP2004238200A (ja) * 2003-02-08 2004-08-26 Yoshitaka Aoyama 部品供給装置
KR20110139516A (ko) * 2010-06-23 2011-12-29 고순옥 패킹 조립장치
KR101881035B1 (ko) * 2017-12-13 2018-07-25 (주)에이패스 볼트와 너트 자동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4238U (ja) * 1993-03-29 1994-10-21 日産車体株式会社 ボルトとナットの組み付け装置
JP2004238200A (ja) * 2003-02-08 2004-08-26 Yoshitaka Aoyama 部品供給装置
KR20110139516A (ko) * 2010-06-23 2011-12-29 고순옥 패킹 조립장치
KR101881035B1 (ko) * 2017-12-13 2018-07-25 (주)에이패스 볼트와 너트 자동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731B1 (ko) 패커 조립을 위한 자동화 설비
GB2426772A (en) Surge reduction tool having a ported flapper
EA018799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рабочей жидкости противовыбросового превентора
US8230931B2 (en)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a bonnet
CN108747302B (zh) 一种新型球齿钎头压装机
US10107712B2 (en) Automated blowout preventer control and testing system
CN108012446B (zh) 一种翻板装置
CN104526002B (zh) 一种能自动翻转活塞冷却喷嘴体孔加工夹具的使用方法
CN107447669A (zh) 一种挂篮模板定位装置
KR101975805B1 (ko) 밸브의 리크 테스트기 및 이를 이용한 밸브의 리크 테스트 방법
CN112727432A (zh) 一种石油钻机自动化流程控制系统及机具模拟测试方法
CN218556877U (zh) 一种用于集装箱锁钮的自动拆装夹具
US20220403725A1 (en) High pressure jumper manifold with flexible connector
KR100789259B1 (ko) 볼밸브조립기와 볼밸브조립기 유닛
WO2017007628A1 (en) Testable backpressure valve system
JPH07237053A (ja) 軸状部品の自動挿入装置及び自動挿入方法
CN113982506B (zh) 一种轮转凸缘卡芯小修抽油杆吊卡及使用方法
CN101382067A (zh) 液压动力钳的plc控制方法
CN209648764U (zh) 一种主从机械手夹钳远程更换装置
CN209510287U (zh) 一种自动过接头装置
US3289691A (en) Valve sub
CN203357057U (zh) 装夹装置
CN109652849B (zh) 夹具和电镀生产线
CN108918134A (zh) 一种冲击器测试装置
CN111749467A (zh) 一种钢管混凝土用的顶升装置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