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718B1 - 브라켓 - Google Patents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718B1
KR101982718B1 KR1020170126331A KR20170126331A KR101982718B1 KR 101982718 B1 KR101982718 B1 KR 101982718B1 KR 1020170126331 A KR1020170126331 A KR 1020170126331A KR 20170126331 A KR20170126331 A KR 20170126331A KR 101982718 B1 KR101982718 B1 KR 101982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fixing
transmitting
unit
impact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885A (ko
Inventor
이희도
강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102017012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7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제1 부재를 제2 부재 - 상기 제2 부재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을 구비함. - 에 연결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 지지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2 면에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3 면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라켓 {Bracket}
본 발명은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재들간의 결합을 구현할 수 있는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기계 및/또는 전자 장치들은 여러 종류의 부재들의 조합에 의해 설계 및 제작되고 있다. 상기 기계 및/또는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부재들은 상기 부재 자체의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조합에 의한 새로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기능은 다른 부재와 상보적인 결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다만, 부재들 간에 결합을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상기 새로운 기능이 제품에 좋은 효과를 줄 수도 있고 나쁜 효과를 줄 수도 있다. 그러므로, 기계 및/ 전자 장치를 제작, 설계하는 데 있어서, 부재들을 어떤 방법으로 결합을 해야 하는지는 제품의 설계, 제작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이슈다.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부재들간의 결합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면, 용접, 나사 결합,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부품들 간의 기계적 조립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부재들간에 형상이 많이 상이하여 일반적인 결합 방법에 의해서는 결합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때는, 결합을 위한 별도의 부재, 즉 브라켓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기존의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로, 기존의 브라켓은 부재들의 결합에만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부재들간의 결합에 대한 목적에 충실할지 모르겠지만, 충격에 의한 부재의 파손 또는 브라켓의 파손에 취약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둘째로, 기존의 브라켓은 단일 구성이 아닌 여러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는 상기 기계 및/또는 전자 장치의 부재들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브라켓의 여러 구성들도 결합시켜야 했기 때문에, 상기 부제를 결합하는 제조 공정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계 및/또는 전자 장치의 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 시키고, 상기 부재의 결합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제1 부재를 제2 부재 - 상기 제2 부재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을 구비함. - 에 연결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 지지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2 면에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3 면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부재와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절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전달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에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1 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1 전달부와 상기 제2 전달부 각각에 미리 정해진 경로로 충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전달부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가이드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제1 전달부 및 상기 상기 제2 전달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전달부 각각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제1 전달부는 및 상기 제2 전달부는,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 각각에 접촉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 상기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전달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절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1 전달부와 상기 제2 전달부 각각에 미리 정해진 경로로 충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1 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제1부재는, 서스펜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서스펜션 암이고, 상기 제2 부재는, 차량의 프레임이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서스펜션 암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배치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배치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충격을 완충하는 제2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치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시키는 회전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고정부에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브라켓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브라켓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제한부는, 상기 브라켓이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브라켓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제한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상기 제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제2 부재의 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기기는, 1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에 의하면, 기계 및/또는 전자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 및/또는 전자 장치의 제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의해 서스펜션 암과 차량용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태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브라켓에 의해 서스펜션 암과 차량용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 대한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X-X'에 대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의해 서스펜션 암과 차량의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의해 서스펜션 암과 차량용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기계 및/또는 전자 장치의 부재들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은 두 개의 부재간의 결합에 대해서 서술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부재들간의 결합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기계 및/또는 전자 장치 내의 모든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하 제1 부재는 서스펜션 암 - 상기 서스펜션 암은 서스펜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함. - 일 수 있고, 이하 제2 부재는 차량의 프레임일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의해 서스펜션 암과 차량의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상측 방향은 w1 방향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고, 하측 방향은 w2 방향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방향은 상기 체결수단(410, 420)의 체결에 의해 서스펜션 암(100)이 차량의 프레임(200)에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체결수단(410, 420)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수단(410, 420)의 하단부에서 상단부에 대한 방향을 말할 수 있다.
또한, 하측 방향은 상기 체결수단(410, 420)의 체결에 의해 서스펜션 암(100)이 차량의 프레임(200)에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체결수단(410, 420)을 기준으로 상기 체결수단(410, 42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에 대한 방향을 말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브라켓(300)은 서스펜션 암(100)이 차량의 프레임(20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은 상기 서스펜션 암(100)이 상측 방향(w1)으로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에 삽입되고, 상기 브라켓(300)은 하측 방향(w2)으로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이 형성하는 공간에 안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은 상기 브라켓(300)과 상기 서스펜션 암(100)이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체결수단(410, 42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서스펜션 암(100)과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은 제1 면(210), 제2 면(220) 및 제3 면(230)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제1 면(210), 상기 제2 면(220) 및 상기 제3 면(230)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암(100)은 상기 제1 면(21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w1)으로 상기 제1 면(21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수단(410, 420)은 상기 서스펜션 암(100),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 및 상기 브라켓(300)에 삽입되고 체결되어 이들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상태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체결수단(410, 420)는 제1 체결수단(410) 및 제2 체결수단(420)을 구비할 수 있다.
서스펜션 암(100)은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체결수단(410)이 삽입되는 제1 돌출부(110) 및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체결수단(420)이 삽입되는 제2 돌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10)는 제1 체결수단(410)이 삽입되는 제1 홀(1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120)는 제2 체결수단(420)이 삽입되는 제2 홀(121)을 구비할 수 있다.
차량의 프레임(200)은 제1 면(210), 제2 면(220) 및 제3 면(2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면(210)은 상기 제1 돌출부(110)에 삽입된 상기 제1 체결수단(410)이 삽입되는 제3 홀(211), 상기 제2 돌출부(120)에 삽입된 상기 제2 체결수단(420)이 삽입되는 제4 홀(212) 및 상기 서스펜션 암(1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5 홀(21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면(220) 상기 제1 면(210)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면(230)은 상기 제1 면(210)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면(220)과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300)은 상기 제1 체결수단(410)이 삽입되고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체결수단(4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고정부(311), 상기 제2 체결수단(420)이 삽입되고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제2 체결수단(42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고정부(312), 상기 제5 홀(213)에 삽입된 상기 서스펜션 암(100)의 일단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되는 배치부(350), 상기 제2 면(220)에 접촉되는 제1 전달부(330), 상기 제3 면(230)에 접촉되는 제2 전달부(340) 및 상기 고정부(311, 312)와 상기 제1 전달부(330)와 상기 제2 전달부(340) 각각을 연결시지는 지지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311, 312)는 상기 체결수단(410, 420)이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300), 상기 서스펜션 암(100) 및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11, 312)는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의 제1 면(210)을 기준으로 상기 서스펜션 암(100)과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부(311, 312)는 제1 고정부(311)와 제2 고정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부(311)는 상기 서스펜션 암(100)과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을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서스펜션 암(100)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면(21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1 체결수단(410)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부(311)는 상기 제1 돌출부(110) 및 상기 제3 홀(211)에 삽입된 상기 제1 체결수단(410)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부(312)는 상기 서스펜션 암(100)과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을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서스펜션 암(100)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면(22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2 체결수단(420)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312)는 상기 제2 돌출부(120) 및 상기 제4 홀(212)에 삽입된 상기 제2 체결수단(42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치부(350)는 상기 서스펜션 암(10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배치부(350)는 상기 제5 홀(213)에 삽입되는 상기 서스펜션 암(100)의 일단부를 포위 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치부(350)는 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배치부(350)는 상기 지지부(320)에 의해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브라켓(300)의 각 구성들의 배치관계 및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서술한다.
상기 제1 전달부(330)는 및 상기 제2 전달부(340)는, 상기 제2 면(220) 및 상기 제3 면(230) 각각에 접촉되며,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고정부(311, 312),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브라켓(300)을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300)을 사용하여 상기 서스펜션 암(100)과 상기 차량의 프레임(200)을 결합시킬 경우, 제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브라켓에 의해 서스펜션 암과 차량용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서스펜션 암(100, 도2 참조)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체결수단(410, 420)에도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311, 312)는 상기 체결수단(410, 42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체결수단(410, 420)에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고정부(311, 312)로 전달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부(320)는 상기 고정부(311, 312)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전달부는(330) 상기 고정부(311, 312)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상기 지지부(32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2 면(220)에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전달되는 충격은 상기 제1 체결수단(410), 상기 제1 고정부(311), 상기 지지부(320) 및 상기 제1 전달부(330)를 통하여 상기 제2 면(22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2 전달부(340)는 상기 고정부(311, 312)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상기 지지부(32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3 면에 전달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전달되는 충격은 상기 제2 체결수단(420), 상기 제2 고정부(312). 상기 지지부(32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를 통하여 상기 제3 면(23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달부(330)와 상기 제2 전달부(340)가 상기 충격을 상기 제2 면(220) 및 상기 제3 면(230) 각각에 전달함으로서, 상기 고정부(311, 312)에 전달되는 충격의 양을 감소 시킬 수 있어, 상기 고정부(311, 3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320)는 상기 체결수단(410, 420)이 상기 고정부(311, 312)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면(220)과 상기 제3 면(2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절하는 베이스부(322),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상기 제1 전달부(330)와 상기 제2 전달부(340) 각각에 미리 정해진 경로로 충격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321)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부(322)는 상기 고정부(311, 312)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210)과 접촉 또는 비접촉에 의해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상기 제2 면(220)과 상기 제3 면(2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베이스부(322)는 상기 체결수단(410, 420, 도 2 참조)이 상기 고정부(311, 312)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면(210)과 접촉되거나 비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410, 420)이 상기 고정부(311, 312)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322)는 상기 제1 면(210)과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수단(410, 420)이 상기 고정부(311, 312)에 체결되는 정도가 강하다면 상기 베이스부(322)와 상기 제1 면(21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는 클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체결수단(410, 420)이 상기 고정부(311, 312)에 체결되는 정도가 약하다면 상기 베이스부(322)와 상기 제1 면(21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410, 420)이 상기 고정부(311, 312)에 체결되는 정도가 더욱 약하다면, 상기 베이스부(322)와 상기 제1 면(210)은 서로 이격되어, 마찰력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마찰력은 상기 충격에 저항하는 힘일 수 있다. 상기 마찰력이 클수록 상기 충격에 저항하는 힘이 커질 수 있다.
이러한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베이스부(322)는 상기 제1 면(210)과 접촉되거나 접촉되는 강도가 조절되거나, 비 접촉됨에 따라,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상기 제2 면(220)과 상기 제3 면(230)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례로,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는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322)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달부(330)는 상기 제2 면(220)에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2 전달부(340)는 상기 제3 면(230)에 접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전달부(330)는 상기 제2 면(220)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2 전달부(340)는 상기 제3 면(230)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22)는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311, 312)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1 면(2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일례로, 상기 베이스부(322)는 상기 제1 면(210)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322)는 상기 고정부(311, 312)에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1 면(210), 상기 제1 전달부(330)를 통해 상기 제2 면(22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를 통해 상기 제3 면(230)으로 전달하여, 상기 고정부(311, 312)의 파손을 방지하여 상기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321)는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311, 312)에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 각각에 미리 정해진 경로로 충격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21)는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311, 312)에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배치부(350)에 미리 정해진 경로로 충격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321)는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충격에 강한 응력을 가지는 충격 수용부(323, 도 4 참조), 제1 완충부(335, 345) 및 제2 완충부(351)에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부(321)는 충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부(322)에서 충격에 취약한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321)는, 상기 베이스부(322)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베이스부(322)를 통해 상기 제1 면(21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상기 제1 면(210)으로 전달되는 충격의 경로는,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상기 베이스부(322)를 통해 상기 제1 면(210)으로 전달되는 경로와,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베이스부(322)를 통해 상기 제1 면(210)으로 전달되는 경로가 있을 수 있다.
충격의 경로를 다양화 함으로서, 상기 브라켓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전달부(330) 및 제2 전달부(340)는, 상기 가이드부(321)로부터 가이드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상기 제2 전달부(3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321)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 각각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완충부(335, 345)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완충부(335, 345)는 반 원형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부(321)가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 각각에 직접 연결된다면, 상기 가이드부(321)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완충부(335, 345)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 각각의 매개체가 되어줌으로서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20)는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311, 312)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치부(350)와 상기 고정부(311, 312)를 연결시키는 회전 방지부(3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회전 방지부(324)는 상기 고정부(311, 312)와 상기 배치부(350)를 직접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고정부(311, 312)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1, 312)가 비틀리는 경우는, 상기 서스펜션 암(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또는 상기 체결수단(410, 420)이 상기 고정부(311, 312)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부(350)는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배치부(350)는 상기 지지부(320)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배치부(350)는 상기 서스펜션 암(100)의 일단부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320)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브라켓(300), 서스펜션 암 및 차량의 브라켓의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배치부(350)는 상기 지지부(3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배치부(3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320)와 연결되어 충격을 완충하는 제2 완충부(351)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완충부(351)는 상기 가이드부(32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완충부(351)는 상기 가이드부(321)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배치부(350)에 직직접으로 전달될 경우, 상기 배치부(35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완충부(351)는 원 기둥 형상에서 일면이 평면으로 변형된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하, 가이드부(321)에 관한 배치 관계 및 이와 관련된 기술적 특징에 대해 자세히 서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320)는 충격 수용부(32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충격 수용부(323)는 상기 고정부(311, 312)로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가이드부(321)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충격 수용부(323)는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부터 전달받는 충격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충격 수용부(323)는 수용 가능한 정도를 초과하는 충격을 후술하는 제1 보조 가이드부(321c)에 의해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제2 전달부(340) 각각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수용부(323)는 수용 가능한 정도를 초과하는 충격을 후술하는 제2 보조 가이드부(321d)에 의해 상기 배치부(35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수용부(323)는 수용 가능한 정도를 초과하는 충격을 상기 베이스부(322)를 통해 상기 제1 면(210, 도2 참조)에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충격 수용부(323)는 상기 제1 전달부(330) 및 상기 배치부(35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2 전달부 및 상기 배치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충격 수용부(323)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가이드부(321)는 제1 가이드부(321a), 제2 가이드부(321b), 제1 보조 가이드부(321c), 제2 보조 가이드부(321d) 및 제3 보조 가이드부(321e)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321a)는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1 완충부(335, 345)에 전달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이드부(321a)는 상기 고정부(311, 312)와 상기 제1 완충부(335, 345)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부(321a)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어서 상기 제1 완충부(335, 345)도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부(321a)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미리 정해진 경로로 충격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321b)는 상기 고정부(311, 312)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충격 수용부(323)로 전달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가이드부(321b)는 상기 고정부(311, 312)와 상기 충격 수용부(323)를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가이드부(321b)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되어서 상기 충격 수용부(323)도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제2 가이드부(321b)는 상기 고정부(311, 312)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어서 상기 충격 수용부(323)도 상기 고정부(311, 312)를 기준으로 서로 대향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상기 고정부(311, 312)에 전달되는 충격에 대해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가이드부(321c)는 상기 제1 완충부(335, 345)와 상기 충격 수용부(323)가 서로 충격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보조 가이드부(321c)는 상기 제1 완충부(335, 345)와 상기 충격 수용부(323)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전달부(330) 및/또는 상기 제2 전달부(340)에 충격이 과도하게 작용될 경우, 상기 충격 수용부(323)가 충격을 전달받을 수 있어, 상기 브라켓, 상기 서스펜션 암 및 상기 차량의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충격 수용부(323)에 충격이 과도하게 작용될 경우, 상기 제1 전달부(330) 및/또는 상기 제2 전달부(340)가 충격을 전달받을 수 있어,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보조 가이드부(321d)는 상기 제2 완충부(351)와 상기 충격 수용부(323)가 서로 충격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보조 가이드부(321d)는 상기 제2 완충부(351)와 상기 충격 수용부(323)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치부(350)에 충격이 과도하게 작용될 경우, 상기 충격 수용부(323)가 충격을 전달받을 수 있어, 상기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충격 수용부(323)에 충격이 과도하게 작용될 경우, 상기 배치부(350)가 충격을 전달받을 수 있어, 상기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보조 가이드부(321e)는 상기 제1 완충부(335, 345)와 상기 제2 완충부(351)가 서로 충격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보조 가이드부(321e)는 상기 제1 완충부(335, 345)와 상기 제2 완충부(35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 완충부(335, 345)에 충격이 과도하게 작용될 경우, 상기 제2 완충부(351)가 충격을 전달받을 수 있어, 상기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완충부(351)에 충격이 과도하게 작용될 경우, 상기 제1 완충부(335, 345)가 충격을 전달받을 수 있어, 상기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가이드부(321a), 상기 제2 가이드부(321b), 상기 제1 보조 가이드부(321c), 상기 제2 보조 가이드부(321d) 및 상기 제3 보조 가이드부(321e)는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 수용부(323)의 두께는 상기 가이드부(321)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충격 수용부(323)는 복수의 상기 가이드부(321)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수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321), 제1 완충부(335, 345) 및/또는 상기 제2 완충부(351)는 상기 베이스부(322)로부터 상측 방향(w1, 도1 참조)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311, 312) 및/또는 상기 충격 수용부(323)는 상기 베이스부(322)로부터 상측 방향(w1, 도1 참조)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321)는 상기 고정부(311, 312) 및/또는 상기 충격 수용부(323)가 상기 베이스부(3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변위보다 작게 상기 베이스부(32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부(321)는 상기 충격 수용부(323), 제1 완충부(335, 345) 및 상기 제2 완충부(351)로 손실 없이 충격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격 수용부(323)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321b), 상기 제1 보조 가이드부(321c) 및 상기 제2 보조 가이드부(321d)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보조 가이드부(321c)와 상기 제2 가이드부(321b)가 이루는 제1 각도(a1)는 예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보조 가이드부(321d)와 상기 제2 가이드부(321b)가 이루는 제2 각도(a1)도 예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가이드부(321c)와 상기 제2 보조 가이드부(321d)가 이루는 제3 각도(a3)는 180° 이상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가이드부(321b)에 의해 상기 충격 수용부(323)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가이드부(321c)는 상기 충격 수용부(323)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보조 가이드부(321d)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충격 수용부(32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보조 가이드부(321c) 및 상기 제2 보조 가이드부(321d)에서 상기 충격 수용부(323)로 전달되는 충격이 서로 상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브라켓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11, 312)에 상기 제1 가이드부(321a) 및 상기 제2 가이드부(321b)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상기 제1 가이드부(321a)가 상기 고정부(311, 312)에 서로 예각을 가지며 이격되어 상기 고정부(311, 312)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가이드부(321b)와 상기 제2 가이드부(321b)와 가장 인접한 상기 제1 가이드부(321a)는 서로 예각을 가지며 이격되어 상기 고정부(311, 31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311, 312)에 충격이 작용될 경우, 효과적으로 다른 구성으로 전달할 수 있어, 상기 고정부(311, 312)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지부(324)는 상기 제2 가이드부(321b)와 둔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방지부(324)는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고정부(311, 312)를 지지하지 못하는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311, 312)를 지지함으로서, 상기 고정부(311, 312)의 비틀림을 방지하여, 상기 브라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X-X'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것을 유도하는 경사부, 상기 체결수단과 실질적인 결합이 일어나는 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고정부(311)는 제1 경사부(311c) 및 제1 나사부(311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고정부는 제2 경사부 및 제2 나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는 제1 경사부(311c)와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고, 상기 제1 경사부(311c)와 상기 제2 제2 경사부는 기술적 특징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는 제1 나사부(311b)와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고, 상기 제1 나사부(311b)와 상기 제2 나사부는 기술적 특징이 동일할 수 있다.
경사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부의 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서스펜션 암과 상기 차량의 프레임 간의 연결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수단을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로 유도 또는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경사부(311c)는 상기 제1 나사부(311b)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부(311c)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나사부(311b)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사부(311c)의 타단부는 상기 제1 나사부(311b) 방향으로 경사지지 않고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부(311c) 및 상기 제1 나사부(311b)는 상기 제1 체결수단(410)이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체결수단(410)은 상기 제1 홀(111), 상기 제3 홀(211), 상기 제1 경사부(311c) 및 상기 제1 나사부(311b)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고정부(311)와 체결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의해 서스펜션 암과 차량의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은 상기 고정부에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어서 상기 서스펜션 암이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브라켓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량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브라켓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의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서스펜션 암을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연결시키기 위해서 상기 브라켓이 위치되어야 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라켓의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체결수단이 삽입되기 위해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의 홀이 상기 제3 홀(211) 및 상기 제1 홀(111)의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브라켓의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한부(1361)는 상기 제1 경사부(311c)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한부(1361)는 상기 제1 경사부(311c) 타단부에서 하측 방향(w2, 도1 참조)으로 상기 제3 홀(2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제한부(1361)는 상기 제1 홀(111) 내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한부(1361)는 상기 브라켓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체결수단(410)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차량의 프레임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어,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시키는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례로, 제한부는 제1 제한부(1361) 및 제2 제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한부(1361)는 상기 제1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제한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한부(1361) 및 상기 제2 제한부는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이하 후술하는 내용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의해 서스펜션 암과 차량용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상기 제한부는 도 6(a)에서 도시된 제한부와 다르게, 상기 브라켓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서스펜션 암 및 차량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브라켓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제한부(2361)는 상기 제1 경사부(311c)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한부(2361)는 상기 제1 경사부(311c) 타단부에서 하측 방향(w2, 도1 참조)으로 상기 제3 홀(2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한부(2361)는 상기 제1 홀(1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서스펜션 암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어,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시키는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서스펜션 암의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서스펜션 암이 상기 차량의 프레임에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서스펜션 암이 위치되어야 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스펜션 암의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제1 홀(111)이 상기 제3 홀(211)이 이루는 영역과 동일하거나 그 영역 내에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가진 브라켓을 포함하여 운송 기기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서스펜션 암 200 : 차량의 프레임
300 : 브라켓 321 : 가이드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1 부재를 제2 부재 - 상기 제2 부재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을 구비함. - 에 연결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 지지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2 면에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3 면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절하는 베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과 접촉 또는 비접촉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전달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3 면에 각각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1 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8. 제1 부재를 제2 부재 - 상기 제2 부재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을 구비함. - 에 연결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 지지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2 면에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3 면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1 전달부와 상기 제2 전달부 각각에 미리 정해진 경로로 충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전달부는,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가이드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전달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2 전달부 각각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10. 삭제
  11. 제1 부재를 제2 부재 - 상기 제2 부재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을 구비함. - 에 연결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 지지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2 면에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3 면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면과 상기 제3 면에 전달되는 충격을 조절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1 전달부와 상기 제2 전달부 각각에 미리 정해진 경로로 충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베이스부를 통해 상기 제1 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12. 삭제
  13. 삭제
  14. 제1 부재를 제2 부재 - 상기 제2 부재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을 구비함. - 에 연결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 지지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2 면에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3 면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는,
    서스펜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서스펜션 암이고,
    상기 제2 부재는,
    차량의 프레임이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서스펜션 암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배치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상기 배치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충격을 완충하는 제2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15. 제1 부재를 제2 부재 - 상기 제2 부재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을 구비함. - 에 연결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 지지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2 면에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3 면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는,
    서스펜션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서스펜션 암이고,
    상기 제2 부재는,
    차량의 프레임이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서스펜션 암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치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가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치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시키는 회전 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켓.
  16. 제1 부재를 제2 부재 - 상기 제2 부재는 제1 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1 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2 면과 대향하는 제3 면을 구비함. - 에 연결시키기 위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충격을 전달받는 지지부;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2 면에 전달하는 제1 전달부; 및
    상기 제1 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지지부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제3 면에 전달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에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되어서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제2 부재에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브라켓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2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브라켓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이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이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제1 부재의 홀을 지나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제2 부재의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로 충격을 전달하는 브라켓.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4항 내지 9항, 11항, 14항 내지 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브라켓을 포함하는 운송기기.
KR1020170126331A 2017-09-28 2017-09-28 브라켓 KR101982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331A KR101982718B1 (ko) 2017-09-28 2017-09-28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331A KR101982718B1 (ko) 2017-09-28 2017-09-28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885A KR20190036885A (ko) 2019-04-05
KR101982718B1 true KR101982718B1 (ko) 2019-05-27

Family

ID=6610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331A KR101982718B1 (ko) 2017-09-28 2017-09-28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7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662A (ja) * 1999-02-19 2000-09-05 Toyota Auto Body Co Ltd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948A (ko) * 2001-10-29 200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 트레일링 마운팅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8662A (ja) * 1999-02-19 2000-09-05 Toyota Auto Body Co Ltd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885A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9806B2 (en) Vibration isolating device
US6773001B2 (en) Vibration isolation mount
CN100394063C (zh) 发动机安装件
KR102056859B1 (ko) 충격흡수 와이어 마운트 조립체
BRPI0602620B1 (pt) estrutura de molas para colchão
KR101573849B1 (ko) 통신케이블 트레이용 방진구
KR101982718B1 (ko) 브라켓
CN113752952A (zh) 承载组件
US20200181931A1 (en) Damper for reinforcing earthquake resistance
KR101312958B1 (ko) 중량물의 진동감쇄장치
US10166422B2 (en) Trampoline support frame
KR101724479B1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KR20070095053A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완충기
EP3295997A1 (en) Trampoline support frame
US6595503B1 (en) Cushioning device with U-shaped strip portions
KR101923450B1 (ko) 세탁장치
KR20070060789A (ko) 쇼바결합용 가이드장치
KR101392826B1 (ko) 프레스 방진기
CN114279256B (zh) 一种减震散热器
KR102197678B1 (ko) 컨테이너 연결용 체결블록
CN216311760U (zh) 一种芯片封装支架
CN214406274U (zh) 减振组件、压缩机组件和空调器
KR100309917B1 (ko) 인슐레이터 고정장치
KR102591557B1 (ko) 내진용 트레이 지지장치
CN210925489U (zh) 一种电脑硬盘减震脚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