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520B1 -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 Google Patents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520B1
KR101982520B1 KR1020170053198A KR20170053198A KR101982520B1 KR 101982520 B1 KR101982520 B1 KR 101982520B1 KR 1020170053198 A KR1020170053198 A KR 1020170053198A KR 20170053198 A KR20170053198 A KR 20170053198A KR 101982520 B1 KR101982520 B1 KR 101982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column
air discharge
metal lath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742A (ko
Inventor
김성배
이원록
유중모
Original Assignee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주)엔아이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주)엔아이스틸 filed Critical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5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52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 E04B1/944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covered with fire-proof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으로 형성된 기둥 본체의 외부에 이중의 메탈 라스 및 모르타르 층으로 내화피복구조를 일체화하도록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일정 길이의 강관으로 형성된 기둥 본체와; 기둥 본체의 전체길이 또는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까지의 외측면에 구성되는 메탈 라스와; 메탈 라스의 외측으로 일정 두께로 타설되는 1차 모르타르와; 기둥 본체의 코너에서 1차 모르타르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코너비드와; 라스 패스너로 1차 모르타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메탈 라스와; 메탈 라스의 외측면에 일정 두께로 타설되는 2차 모르타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STEEL COLUMN ENHANCE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본 발명은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으로 형성된 기둥 본체의 외부에 이중의 메탈 라스 및 모르타르 층으로 내화피복구조를 일체화하도록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둥과 보 등 주요 구조부재들을 강재로 구성하는 철골 구조의 경우 철골 부재의 외측을 내화 피복재로 둘러쌈으로써 화재 시 고온으로 인하여 급격한 부재의 내력(주로 인장 강도) 저하에 의한 건물의 붕괴를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내화 피복 공법에는 건식 공법, 습식 공법, 반건식 공법 등이 있었다.
그러나, 공장에서 사전제작되는 강관의 경우에는 현장에서 내화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기간 및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46223호 "고강도 콘크리트 시멘트계 고밀도 내화뿜칠재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주제로서 무기바인더 20~ 88.6중량%와, 차열성(insulation) 및 차염성(integrity)을 발휘하기 위한 내화단열골재 5 ~ 40 중량%, 차열성 및 차염성을 보강하기 위한 무기난연제 5 ~ 30중량%, 무기물과 난연성유기물간의 가교역활을 하는 결합충전물 0.1 ~ 30중량% 및 기능성 첨가제인 혼화제 0.3 ~ 6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된 내화피복재와 물을 1: 0.5 ~1.5의 배합비로 혼합한 뿜칠재를 고강도 콘크리트에 피복하고, 상기 뿜칠재 위에 석고보드를 부착하되, 상기 뿜칠재는 내화시험시 평균온도 538℃, 최고온도 649℃이하의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10mm 이상의 두께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뿜칠을 하고 다시 석고보드를 부착하도록 하여 내화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현장에서 내화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기간 및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46223호 "고강도 콘크리트 시멘트계 고밀도 내화뿜칠재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관으로 형성된 기둥 본체의 외부에 이중의 메탈 라스 및 모르타르 층으로 내화피복구조를 일체화하도록 하여, 기둥의 시공시에 외부에 별도로 내화 피복재를 형성할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강재의 기둥 본체와 외부에 구성되는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강관으로 형성된 기둥 본체와; 기둥 본체의 전체길이 또는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까지의 외측면에 구성되는 메탈 라스와; 메탈 라스의 외측으로 일정 두께로 타설되는 1차 모르타르와; 기둥 본체의 코너에서 1차 모르타르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코너비드와; 라스 패스너로 1차 모르타르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메탈 라스와; 메탈 라스의 외측면에 일정 두께로 타설되는 2차 모르타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둥 본체에는 2개 이상의 공기 배출공이 통공되고, 공기 배출공에는 일단부가 기둥 본체의 내부와 연통되며 타단부가 1차 모르타르 및 2차 모르타르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공기 배출관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공기 배출관의 일단 측의 외주면에는 쐐기형태의 고정 돌기가 형성되어, 공기 배출관의 일단부가 기둥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 돌기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배출관의 외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상으로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부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캡부로 이루어지는 고정 캡이, 배출관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이 고정 캡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둥 본체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내주면에 일정길이 또는 전체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보강근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둥 본체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내주면에 일정길이 또는 전체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보강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은 강관으로 형성된 기둥 본체의 외부에 이중의 메탈 라스 및 모르타르 층으로 내화피복구조를 일체화하도록 하여, 기둥의 시공시에 외부에 별도로 내화 피복재를 형성할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강재의 기둥 본체와 외부에 구성되는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a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은 일정 길이의 강관으로 형성된 기둥 본체(10)와, 기둥 본체(10)의 외부에 차례로 메탈 라스(20) 및 1차 모르타르(30)와, 다시 메탈 라스(40) 및 2차 모르타르(70)를 형성하여 내화피복구조를 기둥 본체(10)와 일체화하도록 하여, 기둥의 시공시에 외부에 별도로 내화 피복재를 형성할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메탈 라스(20)를 이용하여 (40)강재의 기둥 본체(10)와 외부에 구성되는 모르타르(30)(70)와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둥 본체(10)는 강재로 이루어지는 각형 강관 등 다양한 형상의 강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둥 본체(10)의 외측에는 메탈 라스(20)가 구성되는데, 메탈 라스(20)의 부착은 다양한 고정 수단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 본체(10)의 외측면에 바로 접하여 형성되는 메탈 라스(20)는 기둥 본체(10)의 전체 길이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둥 본체(10)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중량이 증가하거나 운반이 어렵기 때문에 도 1b에서와 같이, 기둥 본체(10)의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까지의 외측면에 구성되도록 하여, 기둥 본체(10)의 노출된 외측면은 현장에서 뿜칠 등으로 내화구조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탈 라스(20)는 후술하는 1차 모르타르(30)와의 부착력을 높이면서도 강성을 높이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메탈 라스(20)의 외측으로는 일정 두께로 모르타를 타설하여 1차 모르타르(30)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기둥 본체(10)의 각 모서리에서 1차 모르타르(30)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코너비드(40)가 형성되도록 하여, 2차 모르타르(70) 형성후에 모서리 부분의 보호 및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코너비드(40)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코너비드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코너비드(40)의 고정은 코너비드의 형태에 의한 고정, 고정 수단으로 인한 고정 등 다양한 방법으로 1차 모르타르(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1차 모르타르(30)의 외측에는 다시 메탈 라스(50)가 부착되도록 한다.
기둥 본체(10)의 외측면에는 60mm이상으로 피복하여야 내화구조를 갖기 때문에, 기둥 본체(10)에 접하여 구성되는 메탈 라스(20)는 기둥 본체(10)에 1차 모르타르(30)와의 부착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고, 지둥 본체(10)의 외측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메탈 라스(50)는 1차 모르타르(30)와 2차 모르타르(70)로 이루어지는 내화피복구조의 강성 및 부착강도를 증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1차 모르타르(30)의 외측에 구성되는 메탈 라스(50)는 1차 모르타르(50)에 복수의 라스 패스너(60)로 고정되록 할 수 있다.
라스 패스너(lath fastener)는 공지의 다양한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스 패스너(60)에 의하여 고정되는 메탈 라스(50)의 외측면에는 다시 일정 두께의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2차 모르타르(70)를 형성하도록 한다.
2차 모르타르(70)는 코너비드(40)가 형성된 부분까지 형성되도록 하여, 기둥 본체(10)의 외측면에 1차 모르타르(30) 및 2차 모르타르(70)로 이루어지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특히, 기둥 본체(10)에는 공기 배출공(19)이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하여, CFT 기둥의 경우 기둥 본체(1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시에 내부의 수증기를 공기 배출공(19)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 배출공(19)은 기둥 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1개씩 2개소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기 배출공(19) 사이의 간격이 5m이상 초과되는 경우에는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공기 배출공(19)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경 20mm이상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기둥 본체(10)의 외측면에는 1차 모르타르(30) 및 2차 모르타르(70)가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 배출공(19)에 별도의 공기 배출관(81)을 삽입하여 기둥 본체(10) 내부의 공기를 공기 배출관(8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 배출관(81)은 내부에 중공(811)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 배출공(19)에는 일단부가 기둥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고, 타단부는 기둥 본체(1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1차 모르타르(30) 및 2차 모르타르(70)를 형성하여, 공기 배출관(81)의 타단부가 1차 모르타르(30) 및 2차 모르타르(7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어 기둥 본체(10)의 내부의 공기를 공기 배출관(8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공기 배출관(81)은 기둥 본체(10)에 구성된 후에 외부로 인발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공기 배출관(81)의 일단 측의 외주면에는 쐐기형태의 고정 돌기(81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돌기(813)를 형성하면, 공기 배출관(81)의 일단부가 기둥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고정 돌기(813)가 기둥 본체(10)의 내측면에 걸려 기둥 본체(10)의 외부로 공기 배출관(81)이 인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공기 배출관(81)의 타단부에는 고정 캡(82)을 결합하여 공기 배출관(81)의 타단부를 2차 모르타르(70)의 외측에서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기 배출관(81)에 고정 캡(82)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출관(81)의 외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812)이 형성되도록 하고 고정 캡(82)에는 이와 대응하는 나사산(822)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 캡(82)을 공기 배출관(81)의 타단부에 나사결합하여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정 캡(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상으로 내측면에 나사산(822)이 형성되는 결합부(821)와, 결합부(821)의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부(821)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캡부(823)로 형성되도록 한다.
결합부(821)는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 캡(82)을 공기 배출관(81)의 타단부에 결합시에 공기 배출관(81)의 타단부가 결합부(821)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공기 배출관(81)의 중공(811)이 결합부(821)를 통하여 외기와 접하기 때문에 공기 배출관(81)의 중공(811)을 통하여 기둥 본체(10)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부(821)의 외측에는 결합부(821)의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는 캡부(823)가 형성되도록 하여, 공기 배출관(81)이 안정적으로 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기둥 본체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내주면에 일정길이 또는 전체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보강근(11)이 용접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합되어 구성되도록 하여, 기둥 본체(10)의 좌굴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보강역할을 함과 동시에 내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와의 전단 연결재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보강근(11)은 길이방향 배치시에는 기둥 본체(10)의 각변의 내측면에 1개가 구성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이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도 5에서와 같이, 기둥 본체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내주면에 일정길이 또는 전체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보강부재(12)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보강부재(12)는 플레이트, 앵글, 채널, 철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본체(10)의 각 변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기둥 본체(10)의 각 변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메탈 라스(metal lath)(20)(50)는 와이어 메쉬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의 제작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둥 본체(10)를 제작한다(a).
기둥 본체(10)는 각형 기둥 등 다양한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기둥 본체(1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메탈 라스(20)를 구성하도록 한다(b).
메탈 라스(20)는 용접, 볼트 접합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기둥 본체(10)의 외측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메탈 라스(20)의 외측에 일정 두께로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1차 모르타르(30)를 형성하도록 한다(c).
이후, 1차 모르타르(30)의 양생이 끝난 이후에는 1차 모르타르(30)의 모서리 부분의 외측에 코너비드(40)를 설치하고, 라스 패스너(60)로 1차 모르타르(30)에 메탈 라스(50)를 고정하도록 한다(d).
이후, 메탈 라스(50)의 외측에 일정 두께로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2차 모르타르(70)를 형성하도록 한다(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은 강관으로 형성된 기둥 본체의 외부에 이중의 메탈 라스 및 모르타르 층으로 내화피복구조를 일체화하도록 하여, 기둥의 시공시에 외부에 별도로 내화 피복재를 형성할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강재의 기둥 본체와 외부에 구성되는 모르타르와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기둥 본체
11 : 보강근
12 : 보강부재
19 : 공기 배출공
20 : 메탈 라스
30 : 1차 모르타르
40 : 코너비드
50 : 메탈 라스
60 : 라스 패스너
70 : 2차 모르타르
81 : 공기 배출관
811 : 중공
812 : 나사산
813 : 고정 돌기
82 : 고정 캡
821 : 결합부
822 : 나사산
823 : 캡부

Claims (6)

  1. 일정 길이의 강관으로 형성된 기둥 본체(10)와;
    기둥 본체(10)의 전체길이 또는 하단부에서 일정 높이까지의 외측면에 구성되는 메탈 라스(20)와;
    메탈 라스(20)의 외측으로 일정 두께로 타설되는 1차 모르타르(30)와;
    기둥 본체(10)의 코너에서 1차 모르타르(30)의 외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코너비드(40)와;
    라스 패스너(60)로 1차 모르타르(3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메탈 라스(50)와;
    메탈 라스(50)의 외측면에 일정 두께로 타설되는 2차 모르타르(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기둥 본체(10)에는 2개 이상의 공기 배출공(19)이 통공되고, 공기 배출공(19)에는 일단부가 기둥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며 타단부가 1차 모르타르(30) 및 2차 모르타르(7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내부에 중공(811)이 형성된 관 형상의 공기 배출관(81)이 구성되며, 배출관(81)의 외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812)이 형성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관형상으로 내측면에 나사산(822)이 형성되는 결합부(821)와, 결합부(821)의 외측에 형성되는 결합부(821)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캡부(823)로 이루어지는 고정 캡(82)이, 배출관(81)의 나사산(812)이 형성된 부분이 고정 캡(82)의 결합부(8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 배출관(81)의 일단 측의 외주면에는 쐐기형태의 고정 돌기(813)가 형성되어, 공기 배출관(81)의 일단부가 기둥 본체(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 돌기(813)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둥 본체(10)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내주면에 일정길이 또는 전체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보강근(1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6.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둥 본체(10)는 내주면에 길이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내주면에 일정길이 또는 전체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보강부재(1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KR1020170053198A 2017-04-25 2017-04-25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KR101982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198A KR101982520B1 (ko) 2017-04-25 2017-04-25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198A KR101982520B1 (ko) 2017-04-25 2017-04-25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42A KR20180119742A (ko) 2018-11-05
KR101982520B1 true KR101982520B1 (ko) 2019-05-28

Family

ID=64329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198A KR101982520B1 (ko) 2017-04-25 2017-04-25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077A (zh) * 2019-06-20 2019-08-27 福州大学 一种内置frp筋的型钢-混凝土组合l形柱
KR20210100385A (ko) * 2020-02-06 2021-08-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충전 합성 부재
KR102282380B1 (ko) * 2020-08-05 2021-07-27 씨제이대한통운 (주) Pc기둥, 이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393222B1 (ko) 2020-11-18 2022-04-29 장윤근 거푸집 서포트 가로 연결장치
KR102544562B1 (ko) * 2021-03-25 2023-06-15 삼성물산 주식회사 상하층 분리 타설이 가능한 콘크리트 충전 기둥 및 이를 이용한 상하층 분리 타설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975A (ja) * 1999-06-17 2000-12-26 Ando Corp プレキャスト複合柱の接合方法
JP2003321874A (ja) * 2002-05-08 2003-11-14 Kajima Corp 鋼管柱の連結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185Y2 (ja) * 1989-06-27 1998-01-14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送り装置
JP2862486B2 (ja) * 1994-09-28 1999-03-03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排水脱気機構付き鉄骨耐火被覆積層構造
KR101146223B1 (ko) 2008-12-31 2012-05-15 주식회사 성현케미칼 고강도 콘크리트 시멘트계 고밀도 내화뿜칠재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975A (ja) * 1999-06-17 2000-12-26 Ando Corp プレキャスト複合柱の接合方法
JP2003321874A (ja) * 2002-05-08 2003-11-14 Kajima Corp 鋼管柱の連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742A (ko) 201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520B1 (ko) 내화피복구조를 갖는 강관 기둥
EP3085844B1 (en) Three-dimensional lightweight steel framework formed by two-way continuous double beams
US2241169A (en) Building construction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US9890531B2 (en) Modular building system with adhesive-joined spline connections between wall sections
CN102162278A (zh) 一种轻型钢结构建筑体系
KR101625136B1 (ko) 프리캐스트 src기둥과 프리캐스트 src보의 셀프포지셔닝 연결구조
KR101429430B1 (ko)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더블 피씨거더
JP6931520B2 (ja) 外壁構造物
KR101670553B1 (ko) Pc벽체가 기존 건축물 외면에 접합되는 내진보강구조
KR101168137B1 (ko) 건축용 패널 결합구조
JP6565434B2 (ja) 鉄骨建造物
KR101274994B1 (ko) 콘크리트 충전용 이중강관 및 콘크리트 충전용 강관기둥
KR20210070632A (ko) 합성기둥 및, 합성기둥 구조체
KR101373262B1 (ko) 연결판 교차식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JP6497923B2 (ja)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KR102249058B1 (ko) 조립식 벽체
KR101951814B1 (ko) 섬유판넬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또는 슬래브 구조물의 내진 보강공법
RU157703U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двухпазогребневый замковый блок
KR101951878B1 (ko) 섬유판넬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JP6497922B2 (ja) 木造建築物の外張り断熱耐火外壁構造
KR101939169B1 (ko) 단일 스팬 모듈러 주택 시공방법
KR20200083091A (ko) 건축용 단열패널 및 이 건축용 단열패널 제조방법
RU134558U1 (ru) Облегченная несущая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с повышенной дуктильностью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2601231B1 (ko) 판상의 건축용 인방 및 이를 이용한 인방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