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183B1 -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183B1
KR101982183B1 KR1020170141317A KR20170141317A KR101982183B1 KR 101982183 B1 KR101982183 B1 KR 101982183B1 KR 1020170141317 A KR1020170141317 A KR 1020170141317A KR 20170141317 A KR20170141317 A KR 20170141317A KR 101982183 B1 KR101982183 B1 KR 10198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line
frame
laser beam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433A (ko
Inventor
유선경
박재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to KR1020170141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1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2Scanning systems, i.e. 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beam relative to the lase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무동력 트레드밀이 개시된다. 개시된 무동력 트레드밀은, 복수의 슬래트를 연결하는 한 쌍의 벨트; 상기 한 쌍의 벨트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전방 풀리 및 후방 풀리; 및 상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상기 전방 풀리 및 상기 후방 풀리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각각의 일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까지 연장된 복수의 연결 공간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Motorless treadmi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rame of treadmill}
본 발명은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레드밀은 무한 궤도로 회전하는 벨트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운동 기구로서, 런닝머신으로 불려진다. 트레드밀은, 날씨에 관계 없이, 적당한 온도의 실내에서 걷기 또는 런닝(running)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나날이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트레드밀은,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벨트가 회전하는 동력 트레드밀과, 별도의 구동 수단 없이 사용자에 동작에 의해 벨트가 회전하는 무동력 트레드밀로 구분될 수 있다.
무동력 트레드밀은, 별도의 구동 수단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동력 트레드밀에 비해, 가격이 매우 저렴하며, 장치의 크기 및 무게도 매우 작아진다. 최근 들어, 이러한 동력 트레드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일 예로서, 무동력 트레드밀은 복수의 슬래트가 연결되어 회전하는 트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랙부는 복수의 슬래트의 양 단부에 배치된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와,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각각의 일부가 관통하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무동력 트레드밀의 트랙부에 사용되는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는 그 숫자가 상당히 많기 때문에, 프레임 구조물에 이러한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각각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 시간도 상당히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단시간 내에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가지는 프레임을 제조하는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슬래트(slat);
상기 복수의 슬래트의 양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슬래트를 연결하는 한 쌍의 벨트;
상기 한 쌍의 벨트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상기 한 쌍의 벨트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전방 풀리 및 후방 풀리; 및
상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상기 전방 풀리 및 상기 후방 풀리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은,
상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각각의 일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까지 연장된 복수의 연결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공간 각각의 폭은,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각각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공간 각각의 폭은,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각각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공간 각각의 폭은 0.5 mm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공간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각각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 라인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한 쌍의 연장 라인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 라인과 상기 관통 구멍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조립체의 반경은 상기 관통 구멍의 반경보다 크며, 상기 연결 공간의 높이는 상기 베어링 조립체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공간의 높이는, 인접한 상기 관통 구멍 사이의 거리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은,
판 형상의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프레임을 제조하는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프레임의 상부의 일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상부의 일부 영역의 단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결 공간의 제1 연장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1 연결 공간의 제1 연장 라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결 공간의 제2 연장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제2 연장 라인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프레임의 상부의 다른 일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연장 라인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연장 라인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연장 라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레이저 빔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연장 라인 사이의 거리는 0.5 mm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일부 영역, 상기 제1 연장 라인,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외곽라인 및 상기 제2 연장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들을 거치는 동안, 레이저 빔은 상기 플레이트에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일부 영역과 상기 제1 연장 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과, 상기 제2 연장 라인과 상기 상부의 다른 일부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연장 라인과 상기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은,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상부의 다른 일부 영역의 단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연결 공간의 제1 연장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2 연결 공간의 제1 연장 라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연결 공간의 제2 연장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2 연결 공간의 제2 연장 라인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프레임의 상부의 또 다른 일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연결 공간 각각의 높이는, 상기 제1 관통 구멍과 상기 제2 관통 구멍 사이의 거리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에 따르면, 복수의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 구멍을 단시간 내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동력 트레드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동력 트레드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중앙 프레임 및 중앙 프레임에 설치된 회전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무동력 트레드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 확대도로서, 프레임에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가 설치된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연결 공간의 상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6의 연결 공간의 하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i는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프레임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동력 트레드밀(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동력 트레드밀(1)은 복수 개의 슬래트(10),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20, 30)를 포함한다.
슬래트(1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방향은 X축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Y축 방향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무동력 트레드밀(1)에서 운동을 실시할 때, 슬래트(10)는 사용자의 발 동작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슬래트(10)의 길이 방향(제1 방향)으로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20, 30)가 마련된다.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20, 30)는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20)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슬래트(10),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20, 30)의 내부에는 프레임 구조물(100)이 마련된다. 프레임 구조물(100)은 중앙 프레임(110),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중앙 프레임(110)은 복수 개의 슬래트(10)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슬래트(10)의 양단을 지지한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20)는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20, 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운동 시작시 또는 운동 종료시에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한다.
도 3은 도 1의 무동력 트레드밀(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중앙 프레임(110) 및 중앙 프레임(110)에 설치된 회전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무동력 트레드밀(1)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프레임(110)은 한 쌍의 프레임(200)과, 한 쌍의 프레임(200)을 연결하는 복수의 간격 유지부(300)를 포함한다. 한 쌍의 프레임(200) 각각에는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 전방 풀리(165) 및 후방 풀리(52)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 쌍의 프레임(200)은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 되어 있으며,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슬래트(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 3에서 X축 방향이 될 수 있다.
간격 유지부(300)는 한 쌍의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부(30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프레임(200)과 프레임(20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 쌍의 프레임(200) 사이의 간격은 슬래트(1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방 풀리(51) 및 후방 풀리(52)는 프레임(200)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다. 전방 풀리(51) 및 후방 풀리(52)는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은 사용자가 정상적인 운동을 실시할 때, 사용자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을 정의한다.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는 전방 풀리(51) 및 후방 풀리(5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는 프레임(200)의 상부(201; 도 5 참조) 형상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는 프레임(200)의 상부(201) 형상을 따라 곡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곡선 형태는 가운데가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 사이에는 가이드 롤러(45)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롤러(45)는 벨트(60)가 제1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45)의 직경은 베어링 조립체(4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복수의 슬래트(10)는 벨트(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벨트(60)는 복수의 슬래트(10)의 양 측부에 배치되며, 복수의 슬래트(10)를 연결한다.
벨트(60)는 전방 풀리(51),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 및 후방 풀리(52)에 감겨져 회전될 수 있다. 벨트(60)의 회전에 의해, 벨트(60)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슬래트(10)가 회전된다.
사용자가 복수의 슬래트(10)를 포함하는 트랙부 상에서 발 동작을 하게 되면, 그로 인해 트랙부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트랙부는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전방 풀리(51) 및 후방 풀리(52)와, 이들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들(4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발 동작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무동력 트레드밀(1)에서는, 사용자가 빠르게 뛰면 트랙부가 빠르게 회전되며, 사용자가 느리게 뛰면 트랙부가 느리게 회전된다. 사용자가 정지하면 트랙부는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자기 자신의 뛰는 속도에 맞추어 회전되는 트랙부에서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 자연스럽게 속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보다 능동적인 운동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슬래트(10)를 포함하는 무동력 트레드밀(1)에서는, 복수의 슬래트(10)가 부드럽게 회전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복수의 슬래트(10)의 폭이 소정 크기 이하로 작게 설계되며, 이러한 복수의 슬래트(1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의 간격 역시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슬래트(10)의 폭은 10 cm 이하이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의 간격은 7 cm 이하로 설계될 수 있다.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의 간격이 작을 경우, 한 쌍의 프레임(200) 각각에 설치되는 베어링 조립체(40)의 개수는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베어링 조립체(40)의 개수는 30개 이상일 수 있다. 베어링 조립체(40)의 개수는 40개 이상일 수 있다. 베어링 조립체(40)의 개수는 100개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어링 조립체(40)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이러한 베어링 조립체(40)를 지지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210; 도 5 참조)이 형성된 프레임(200)을 제작하는 시간 역시 증가하게 된다. 복수의 관통 구멍(210)의 개수는 베어링 조립체(40)의 개수에 대응된다.
이하에서는, 프레임(200)이 다수의 관통 구멍(210)을 가지되, 그 제작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3의 일부 확대도로서, 프레임(200)에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가 설치된 프레임(2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공간(2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 각각은 회전 가능한 베어링(41)과, 베어링(41)을 지지하는 지지축(42)을 포함한다.
프레임(200)은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 각각의 일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21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200)은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40) 각각의 지지축(42)이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210)을 포함한다. 관통 구멍(210)을 관통한 지지축(42)은 너트(미도시)에 의해 프레임(200)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복수의 관통 구멍(210) 각각을 상부로 개방하는 복수의 연결 공간(220)을 더 포함한다. 연결 공간(220)은 프레임(200)의 상부로부터 관통 구멍(210)까지 연장된다. 프레임(200)에 관통 구멍(210)의 상부를 개방하는 연결 공간(220)을 더 포함함에 따라, 프레임(200)의 제작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프레임(200)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후술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공간(220)의 폭(d1)은, 관통 구멍(210)의 직경(D)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공간(220)의 폭(d1)은 관통 구멍(210)의 직경(D)의 95 %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공간(220)의 폭(d1)은 관통 구멍(210)의 직경(D)의 20 %보다 작을 수 있다. 연결 공간(220)의 폭(d1)은 0.5 mm보다 클 수 있다.
연결 공간(220)의 높이(h1)는 인접한 관통 구멍(210) 사이의 거리(L)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연결 공간(220)의 높이(h1)는 관통 구멍(210) 각각에 설치되는 베어링 조립체(40)의 반경(R)보다 작을 수 있다. 베어링 조립체(40)의 반경(R)은 관통 구멍(210)의 반경(r)보다 크다. 인접한 관통 구멍(210) 사이의 거리(L)는 베어링 조립체(40)의 반경(R)의 2배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연결 공간(220) 각각의 높이는, 인접한 관통 구멍(210) 사이의 거리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연결 공간(220) 각각의 폭(d1)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연결 공간(220A)의 폭(d12)은 관통 구멍(210) 각각의 직경(D)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공간(220)은 프레임(200)의 상부(210)로부터 관통 구멍(210)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 라인(221, 22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연결 공간(220)의 폭은 한 쌍의 연장 라인(221, 222) 사이의 평균 간격일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연결 공간(220)의 상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6의 연결 공간(220)의 하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연장 라인(221, 222) 각각과 프레임(200)의 상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분(231)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연결 부분(231)의 곡률 반경(R1)은 1 mm ~ 10 mm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연장 라인(221, 222) 각각과 관통 구멍(210)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부분(232)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연결 부분(232)의 곡률 반경(R2)은 1 mm ~ 10 mm일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1)의 프레임(200)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i는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트레드밀(1)의 프레임(200)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a 내지 도 11i를 참조하면, 판 형상의 플레이트(P)에 레이저 빔(LB)을 조사하여, 복수의 관통 구멍(210) 및 복수의 연결 공간(220)을 가지는 프레임(200; 도 6 참조)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a를 참조하면, 먼저 프레임(200)을 제조하기 위한 플레이트(P)를 준비한다. 준비된 플레이트(P)에 레이저 빔(LB)을 조사하여, 프레임(200)의 상부(201)의 일부 영역(201-1)을 형성한다(S10). 프레임(200)의 상부(201)의 외곽 라인의 일부 영역(201-1)을 형성한다. 프레임(200)의 상부(201)의 일부 영역(201-1)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프레임(200)의 상부(201)의 일부 영역(201-1)을 형성한 후,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프레임(200)의 상부(201)의 일부 영역(201-1)의 단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 라인(221)을 형성할 수 있다(S20). 제1 연장 라인(221)과 후술할 제2 연장 라인(222)에 의해, 제1 연결 공간(220; 도 6 참조)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를 향한다는 의미는 중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것은 물론, 중력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45도 ~ 135도인 방향을 향하는 것을 포함한다.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함에 따라, 상부(201)의 일부 영역(201-1)과 제1 연장 라인(221)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분(231)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분(231)의 곡률 반경은 1 mm ~ 10 mm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c를 참조하면, 제1 연장 라인(221)을 형성한 후,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제1 연장 라인(22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관통 구멍(210)의 외곽 라인(2110)을 형성할 수 있다(S30).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함에 따라, 제1 연장 라인(221)과 제1 관통 구멍(210)의 외곽 라인(211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분(232)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부분(232)의 곡률 반경은 1 mm ~ 10 mm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d를 참조하면, 제1 관통 구멍(210)의 외곽 라인(2110)을 형성한 후,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제1 관통 구멍(210)의 외곽 라인(2110)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 라인(222)을 형성할 수 있다(S40).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조사함에 따라, 제1 관통 구멍(210)의 외곽 라인(2110)과 제2 연장 라인(222)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분(232)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부분(232)의 곡률 반경은 1 mm ~ 10 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부를 향한다는 의미는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것은 물론, 중력 방향과 반대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45도 ~ 135도인 방향을 향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연장 라인(221)과 제2 연장 라인(222) 사이의 거리(d1)는, 제1 관통 구멍(210)의 직경(D)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 라인(221)과 제2 연장 라인(222) 사이의 평균 거리(d1)는, 제1 관통 구멍(210)의 직경(D)보다 작을 수 있다.
다만, 제1 연장 라인(221)과 제2 연장 라인(222) 사이의 거리(d1)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1 연장 라인(221)과 제2 연장 라인(222) 사이의 거리(d12)는, 제1 관통 구멍(210)의 직경(D)과 동일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201)의 일부 영역(201-1), 상기 제1 연장 라인(221), 상기 제1 관통 구멍(210)의 외곽라인(2110) 및 상기 제2 연장 라인(222)을 형성하는 단계들을 거치는 동안, 레이저 빔(LB)은 상기 플레이트(P)에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조사된다.
다시 도 11d를 참조하면, 제1 연장 라인(221)과 제2 연장 라인(222) 사이의 거리(d1)는, 레이저 빔(LB)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 라인(221)과 제2 연장 라인(222) 사이의 거리(d1)는, 0.5 mm 보다 클 수 있다.
도 10 및 도 11e를 참조하면, 제1 연결 공간(220)의 제2 연장 라인(222)을 형성한 후,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프레임(200)의 상부(201)의 다른 일부 영역(201-2)을 형성할 수 있다(S50).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조사함에 따라, 제2 연장 라인(222)과 상부(201)의 다른 일부 영역(201-2)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분(231)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분(231)의 곡률 반경은 1 mm ~ 10 mm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f를 참조하면, 프레임(200)의 상부(201)의 다른 일부 영역(201-2)을 형성한 후,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프레임(200)의 상부(201)의 다른 일부 영역(201-2)의 단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연결 공간(220)의 제1 연장 라인(221)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조사함에 따라, 상부(201)의 다른 일부 영역(201-2)과 제2 연결 공간(220)의 제1 연장 라인(221)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분(231)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분(231)의 곡률 반경은 1 mm ~ 10 mm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g를 참조하면, 제2 연결 공간(220)의 제1 연장 라인(221)을 형성한 후,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제2 연결 공간(220)의 제1 연장 라인(22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관통 구멍(210)의 외곽 라인(2110)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조사함에 따라, 제2 연결 공간(220)의 제1 연장 라인(221)과 제2 관통 구멍(210)의 외곽 라인(211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분(232)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부분(232)의 곡률 반경은 1 mm ~ 10 mm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h를 참조하면, 제2 관통 구멍(210)의 외곽 라인(2110)을 형성한 후,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제2 관통 구멍(210)의 외곽 라인(2110)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연결 공간(220)의 제2 연장 라인(222)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조사함에 따라, 제2 관통 구멍(210)의 외곽 라인(2110)과 제2 연결 공간(220)의 제2 연장 라인(222)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분(232)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부분(232)의 곡률 반경은 1 mm ~ 10 mm일 수 있다.
도 10 및 도 11i를 참조하면, 제2 연결 공간(220)의 제2 연장 라인(222)을 형성한 후,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프레임(200)의 상부(201)의 또 다른 일부 영역(201-3)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조사함에 따라, 제2 연결 공간(220)의 제2 연장 라인(222)과 상부(201)의 또 다른 일부 영역(201-3)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분(231)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분(231)의 곡률 반경은 1 mm ~ 10 mm일 수 있다.
레이저 빔(LB)의 조사한 후, 플레이트(P)의 일부(P1)를 제거함으로써, 도 6과 같이 복수의 관통 구멍(210)과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210)을 상부로 개방시키는 복수의 연결 공간(220)을 포함하는 프레임(200)이 제조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공간(220) 각각의 높이는, 인접한 관통 구멍(210) 사이의 거리의 1/2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하여 플레이트(P)에 복수의 관통 구멍(210)을 형성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복수의 관통 구멍(210)이 형성된 프레임(20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2는 비교예에 따른 프레임(2)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만일, 도 12와 같이, 복수의 관통 구멍(210)이 프레임(2)의 상부로 개방되지 않는 구조일 경우, 복수의 관통 구멍(2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빔(LB)의 조사, 중단 및 이동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게 된다. 이 경우,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중단시켰다가 재개하는 과정에서, 프레임(200)을 절단할 수 있을 정도로 레이저 빔(LB)의 세기가 소정 크기 이상이 될 때까지 대기하는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레이저 빔(LB)의 조사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소정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LB)을 멈추지 않고 연속적으로 조사함에 따라, 레이저 빔(LB)의 조사를 중단시켰다가 재개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0)의 인접한 관통 구멍(210)을 형성하는 사이에, 연결 공간(220) 및 프레임(200)의 상부 형상을 형성하기 때문에, 레이저 빔(LB)의 조사 없이 레이저 빔(LB)의 조사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1 : 무동력 트레드밀 10 : 슬래트
40 : 베어링 조립체 41 : 베어링
42 : 지지축 45 : 가이드 롤러
51, 52 : 전방 풀리 및 후방 풀리 60 : 벨트
100 : 프레임 구조물 110 : 중앙 프레임
120 : 사이드 프레임 200 : 프레임
201 : 상부 210 : 관통 구멍
220 : 연결 공간 221 : 제1 연장 라인
222 : 제2 연장 라인 231 : 제1 연결 부분
232 : 제2 연결 부분 300 : 간격 유지부
L : 레이저 빔

Claims (19)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슬래트(slat);
    상기 복수의 슬래트의 양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슬래트를 연결하는 한 쌍의 벨트;
    상기 한 쌍의 벨트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상기 한 쌍의 벨트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 전방 풀리 및 후방 풀리; 및
    상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상기 전방 풀리 및 상기 후방 풀리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 각각은,
    상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 각각의 일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까지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가 배치되지 않은 복수의 연결 공간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연결 공간 각각의 폭은,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각각의 직경보다 작은, 무동력 트레드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공간 각각의 폭은 0.5 mm보다 큰, 무동력 트레드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 공간 각각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각각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 라인에 의해 정의되며,
    상기 한 쌍의 연장 라인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지는, 무동력 트레드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 라인과 상기 관통 구멍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지는, 무동력 트레드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조립체의 반경은 상기 관통 구멍의 반경보다 크며,
    상기 연결 공간의 높이는, 상기 베어링 조립체의 반경보다 작은, 무동력 트레드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공간의 높이는, 인접한 상기 관통 구멍 사이의 거리의 1/2보다 작은, 무동력 트레드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는 가운데가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무동력 트레드밀.
  10. 판 형상의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레임을 제조하는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프레임의 상부의 일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상부의 일부 영역의 단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결 공간의 제1 연장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1 연결 공간의 제1 연장 라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결 공간의 제2 연장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제2 연장 라인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프레임의 상부의 다른 일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공간의 폭은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 연결 공간에는 상기 복수의 베어링 조립체가 배치되지 않는,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연장 라인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작은,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연장 라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레이저 빔의 직경보다 큰,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 라인과 상기 제2 연장 라인 사이의 거리는 0.5 mm보다 큰,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일부 영역, 상기 제1 연장 라인, 상기 제1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 및 상기 제2 연장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들을 거치는 동안, 레이저 빔은 상기 플레이트에 중단 없이 연속적으로 조사되는,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일부 영역과 상기 제1 연장 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과, 상기 제2 연장 라인과 상기 상부의 다른 일부 영역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지는,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연장 라인과 상기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지는,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상부의 다른 일부 영역의 단부로부터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연결 공간의 제1 연장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2 연결 공간의 제1 연장 라인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상기 제2 관통 구멍의 외곽 라인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연결 공간의 제2 연장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플레이트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2 연결 공간의 제2 연장 라인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프레임의 상부의 또 다른 일부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연결 공간 각각의 높이는, 상기 제1 관통 구멍과 상기 제2 관통 구멍 사이의 거리의 1/2보다 작은,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KR1020170141317A 2017-10-27 2017-10-27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KR10198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317A KR101982183B1 (ko) 2017-10-27 2017-10-27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317A KR101982183B1 (ko) 2017-10-27 2017-10-27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433A KR20190047433A (ko) 2019-05-08
KR101982183B1 true KR101982183B1 (ko) 2019-05-24

Family

ID=6658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317A KR101982183B1 (ko) 2017-10-27 2017-10-27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1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917B1 (ko) 2022-11-10 2023-09-15 최병원 월풀용 무동력 트레드 밀 구조체
KR102579916B1 (ko) 2022-11-10 2023-09-15 최병원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467B2 (ja) * 1991-07-23 2000-06-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オフセット枚葉印刷機
KR101075991B1 (ko) 2011-05-25 2011-10-27 황준하 체중을 이용한 비전동 러닝머신
US20150210348A1 (en) * 2009-11-02 2015-07-30 Alex Astilean Leg-powered treadmil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467U (ja) * 1998-04-23 1998-10-27 シーダー株式会社 ローラコンベアにおける回転軸の軸受装置
KR100671884B1 (ko) * 2004-09-23 2007-01-19 신한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소음 저감 절삭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467B2 (ja) * 1991-07-23 2000-06-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オフセット枚葉印刷機
US20150210348A1 (en) * 2009-11-02 2015-07-30 Alex Astilean Leg-powered treadmill
KR101075991B1 (ko) 2011-05-25 2011-10-27 황준하 체중을 이용한 비전동 러닝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917B1 (ko) 2022-11-10 2023-09-15 최병원 월풀용 무동력 트레드 밀 구조체
KR102579916B1 (ko) 2022-11-10 2023-09-15 최병원 무동력 트레드밀 구조체를 구비한 월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433A (ko)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100B1 (ko)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KR101982183B1 (ko)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US7195582B2 (en) Rock climbing apparatus
KR101982184B1 (ko) 트레드밀
JP2007008726A (ja) 着脱可能なローラアセンブリを備える側方可撓コンベヤモジュール
KR102080163B1 (ko) 트레드밀
KR20160150084A (ko) 트레드밀
KR20160147071A (ko) 트레드밀
JP2010206037A (ja) 基板搬送装置
JP2011225350A (ja) エレベータドアのドアシュー
KR102630812B1 (ko) 무동력 트레드밀
KR102085937B1 (ko) 무동력 트레드밀
KR102149462B1 (ko) 트레드밀
JP3992707B2 (ja) 鶏糞乾燥装置
KR101582635B1 (ko) 가이드 레일을 갖는 이족 운동 장치
CN1658931A (zh) 易操纵的直排轮溜冰鞋
JP7237289B2 (ja) トレッドミル
KR102579917B1 (ko) 월풀용 무동력 트레드 밀 구조체
KR102288063B1 (ko) 경사식 마늘 쪽 분리 장치
KR200434336Y1 (ko) 구륜 결합구조를 갖는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KR101918397B1 (ko) 경사형 컨베이어장치
KR20210129385A (ko) 지지용 진동장치가 구비된 농작물 수확기
KR20150093454A (ko) 가변 발판을 갖는 이족 운동 장치 및 이족 운동 장치 어셈블리
CN115970243A (zh) 一种体育舞蹈旋转适应装置及方法
TWM288563U (en) Rock climbing machin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