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100B1 -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 Google Patents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100B1
KR101933100B1 KR1020180088589A KR20180088589A KR101933100B1 KR 101933100 B1 KR101933100 B1 KR 101933100B1 KR 1020180088589 A KR1020180088589 A KR 1020180088589A KR 20180088589 A KR20180088589 A KR 20180088589A KR 101933100 B1 KR101933100 B1 KR 101933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load
disposed
s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622A (ko
Inventor
유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랙스
Publication of KR2018008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85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elt, e.g. material, surface,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running, jogging or speed-walk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02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on a curved pa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트레드밀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슬래트(slat);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의 양 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2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 각각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 하중영역;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제2 하중영역;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며,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제3 하중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Treadmill and frame structure of the treadmill}
본 발명은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트레드밀은 무한 궤도로 회전하는 벨트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운동 기구로서, 런닝머신으로 불려진다. 트레드밀은, 날씨에 관계 없이, 적당한 온도의 실내에서 걷기 또는 런닝(running)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나날이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트레드밀은,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벨트가 회전하는 자동 트레드밀과, 별도의 구동 수단 없이 사용자에 동작에 의해 벨트가 회전하는 수동 트레드밀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트레드밀은, 별도의 구동 수단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자동 트레드밀에 비해, 가격이 매우 저렴하며, 장치의 크기 및 무게도 매우 작아진다. 최근 들어, 이러한 수동 트레드밀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트레드밀을 사용 시, 사용자의 하중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슬래트(slat);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의 양 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2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 각각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 하중영역;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제2 하중영역;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며,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제3 하중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가 관통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는 용접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및 제3 하중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상부는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에 상기 곡선 형태를 따라 마련된 복수 개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의 일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에 의해 이동되는 제1 벨트;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의 타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에 의해 이동되는 제2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을 덮는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는 사용자의 발 동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은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2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 하중영역;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제2 하중영역;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며,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제3 하중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수평바가 관통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상부는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전단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일 방향으로 개방되는 전방 롤러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일 방향으로 개방되는 후방 롤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롤러 연결부에 연결된 전방 롤러; 및 상기 후방 롤러 연결부에 연결된 후방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은 사용자의 하중을 중앙 프레임의 수평바를 통해 사이드 프레임으로 전달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하중이 트레드밀의 일부에 집중되지 않게 함으로써, 트레드밀의 내구성이 증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원웨이 베어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레드밀(1)은 복수 개의 슬래트(10),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20, 30)를 포함한다.
슬래트(1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방향은 X축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Y축 방향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트레드밀(1)에서 운동을 실시할 때, 슬래트(10)는 사용자의 발 동작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슬래트(10)의 길이방향(제1 방향)으로의 양측에는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20, 30)가 마련된다.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20, 30)는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41, 142; 도 2 참조)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슬래트(10),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20, 30)의 내부에는 프레임 구조물(200)이 마련된다. 프레임 구조물(200)은 중앙 프레임(도 3의 100),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41, 142)을 포함한다.
프레임 구조물(200)은 복수 개의 슬래트(10)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슬래트(10)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200)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프레임(100)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중앙 프레임(100)은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 베어링(40), 전방 롤러 연결부(161), 후방 롤러 연결부(162), 전방 롤러(165), 후방 롤러(166)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은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슬래트(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도 3에서 X축 방향이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 사이에는 간격 유지부(181)가 배치될 수 있다. 간경 유지부(181)의 길이는,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간격 유지부(181)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 사이의 간격은 슬래트(1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은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가 관통하는 개구(135, 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의 상부는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의 상부 곡선 형태를 따라, 복수개의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홀(h)에는 각각 베어링(4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는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이 서로 이격된 방향 즉,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개구(135, 136)를 통해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는 개구(135, 136)에서 용접 방식에 의해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는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 사이의 간격 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는 제1 하중영역(131a, 132a), 제2 하중영역(131b, 132b) 및 제3 하중영역(131c, 13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중영역(131a, 132a)은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에서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이다. 제2 하중영역(131b, 132b)은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에서 제1 사이드 프레임(141)과 중첩되며, 제1 사이드 프레임(141)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영역이다. 제3 하중영역(131c, 132c)은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에서 제2 사이드 프레임(142)과 중첩되며, 제2 사이드 프레임(142)과 연결되어 고정되는 영역이다. 도 3에서는, 수평바(131, 132)의 개수가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수평바(131, 13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앙 프레임(100)에는 한 개의 수평바가 마련되거나, 세 개 이상의 수평바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41, 142)은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41, 142)은 트레드밀(1)에 작용하는 하중을 외부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다리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41, 142)은 위치 설정 부재(151, 15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설정 부재(151, 152)는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제2 방향(Y축 방향)으로는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설정 부재(151, 152)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사이드 프레임(141)의 위치 설정 부재(151)는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의 제2 하중영역(131b, 132b)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1 사이드 프레임(141)은 위치 설정 부재(151)를 통해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의 제2 하중영역(131b, 132b)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 프레임(142)의 위치 설정 부재(152)는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의 제3 하중영역(131c, 132c)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사이드 프레임(142)은 위치 설정 부재(152)를 통해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의 제3 하중영역(131c, 132c)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의 제2 하중영역(131b, 132b) 및 제3 하중영역(131c, 132c)은 고정부(155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 설정 부재(151, 152)는 고정부(15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의 제2 하중영역(131b, 132b) 및 제3 하중영역(131c, 132c)과 위치 설정 부재(151, 152)는 고정부(155a, 155b)에 고정 부재(미도시)를 연결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200)은 중앙 프레임(100)의 제2 하중영역(131b, 132b) 및 제3 하중영역(131c, 132c)이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41, 142)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프레임 구조물(200)을 포함하는 트레드밀(1)을 사용 시, 사용자의 하중이 슬래트(10)를 통해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으로 전달되며,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에 전달된 하중은 제1 및 제2 수평바(131, 132)의 제2 하중영역(131b, 132b) 및 제3 하중영역(131c, 132c)을 통해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141, 142)으로 전달되어 트레드밀(1)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제1 하중영역(131a, 132a)은 제2 하중영역(131b, 132b)과 제3 하중영역(131c, 132c)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드밀(1)의 내구성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의 전단에는 전방 롤러 연결부(16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프레임(110, 120)의 후단에는 후방 롤러 연결부(162)가 마련될 수 있다. 전방 롤러 연결부(161) 및 후방 롤러 연결부(162)는 일 방향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방 롤러 연결부(161) 및 후방 롤러 연결부(162)에는 전방 롤러부(165) 및 후방 롤러부(166)가 연결될 수 있다.
전방 롤러부(165)는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전방 롤러(1651)와 이들을 연결하는 전방 회전축(1652)을 포함한다. 후방 롤러부(166)는 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후방 롤러(1661)와 이들을 연결하는 후방 회전축(1662)을 포함한다.
전방 회전축(1652)는 전방 롤러 연결부(161)에 삽입 가능하며, 후방 회전축(1662)가 후방 롤러 연결부(162)에 삽입 가능하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은 사용자가 정상적인 운동을 실시할 때, 사용자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을 정의한다.
상기와 같이 전방 롤러 연결부(161) 및 후방 롤러 연결부(162)가 일 방향이 개방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전방 롤러부(165) 및 후방 롤러부(166)의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프레임(100)의 측면도이다.
중앙 프레임(100)의 전방 롤러(1651), 후방 롤러(1661) 및 복수 개의 베어링(40)에 접촉하도록 제1 및 제2 벨트(171, 17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벨트(171, 172)는 무단(endless)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벨트(171)는 복수 개의 슬래트(10)의 일 단부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제2 벨트(172)는 복수 개의 슬래트(10)의 타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전방 롤러(1651), 후방 롤러(1661) 및 복수 개의 베어링(40)에 의해 제1 및 제2 벨트(171, 172) 및 제1 및 제2 벨트(171, 172)에 고정 연결된 복수 개의 슬래트(10)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롤러(1651), 후방 롤러(1661) 및 복수 개의 베어링(40)은 제1 및 제2 벨트(171, 17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그에 따라, 제1 및 제2 벨트(171, 172)에 고정 연결된 복수 개의 슬래트(10)가 전방 롤러(1651), 후방 롤러(1661) 및 복수 개의 베어링(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프레임(100)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원웨이 베어링(19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7a는 원웨이 베이링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b는 원웨이 베어링(190)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도 7a 및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중앙 프레임(100)은, 트레드밀(1)이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하여, 원웨이(one-way) 베어링(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 프레임(100)의 전방에는 전방 롤러부(165)가 배치되며, 중앙 프레임(100)의 후방에는 후방 롤러부(166)가 배치된다.
원웨이 베어링(190)은,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다른 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웨이 베어링(190)은 도 7a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원웨이 베어링(190)의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방 회전축(1652)은 원웨이 베어링(190)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전방 회전축(1652)은 원웨이 베어링(190)의 내경(1901)에 고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원웨이 베어링(190)에 의해, 전방 롤러(1651)는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된다. 이러한 원웨이 베어링(190)을 통해, 사용자가 트레드밀(1)에서 올라서거나 운동하는 동안, 복수의 슬래트(10)가,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원웨이 베어링(190)은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원웨이 베어링(190)은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원웨이 베어링(190)은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사이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원웨이 베어링(190)은 간격 유지부(181)에 고정될 수 있다. 원웨이 베어링(190)과 간격 유지부(181) 사이에는, 원웨이 베어링(190)을 간격 유지부(18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지지부(1903)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원웨이 베어링(190)이 간격 유지부(181)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방 회전축(1652)에 고정된 내경(1901)이 회전될 수 있다.
만일, 원웨이 베어링(190)이 제1 프레임(110) 또는 제2 프레임(120)에 치우쳐 배치될 경우, 예를 들어, 원웨이 베어링(190)이 제1 프레임(110) 또는 제2 프레임(120)에 고정 배치될 경우, 원웨이 베어링(190)에 의한 전방 회전축(1652)의 제동시 편심 현상이 나타난다. 다시 말해서, 전방 회전축(1652)의 일 측은 원웨이 베어링(190)에 의해 제동되지만 전방 회전축(1652)의 타 측은 원웨이 베어링(190)이 없기 때문에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제동되게 된다. 그에 따라, 복수의 슬래트(10)가 제동될 때 비틀어져 제동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불안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편심 현상으로 인해, 원웨이 베어링(190)의 마찰력이 증가할 수 있다. 트레드밀(1)이 무동력 트레드밀인 경우에는, 이러한 원웨이 베어링(190)의 마찰력 증가는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야기할 수 있다.
그에 반해, 실시예에 따르면, 원웨이 베어링(190)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20) 사이의 가운데 배치됨으로써, 편심 현상으로 인한 원웨이 베어링(190)의 마찰력 증가를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슬래트(10)의 제동의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드밀(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트레드밀
10 … 슬래트
20 … 제1 사이드 커버
30 … 제2 사이드 커버
40 … 베어링
100 … 중앙 프레임
110 … 제1 프레임
120 … 제2 프레임
131 … 제1 수평바
132 … 제2 수평바
135, 136 … 개구
141 … 제1 사이드 프레임
142 … 제2 사이드 프레임
151, 152 … 위치 설정 부재
155a, 155b … 고정부
156 … 다리부
161 … 전방 롤러 연결부
162 … 후방 롤러 연결부
165 … 전방 롤러부
166 … 후방 롤러부
171 … 제1 벨트
172 … 제2 벨트
181 … 간격 유지부
190 … 원웨이 베어링
200 … 프레임 구조물

Claims (11)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슬래트(slat);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의 양 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2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전방 롤러와 이들을 연결하는 전방 회전축을 가지는 전방 롤러부;
    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후방 롤러와 이들을 연결하는 후방 회전축을 가지는 후방 롤러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회전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되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전방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간격 유지부에 의해 고정된, 원웨이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바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 하중영역;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제2 하중영역;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며,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제3 하중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및 제3 하중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며 상기 제2 및 제3 하중 영역의 적어도 1면에 면 접촉하는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하중은 상기 슬래트를 통해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전달되며,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전달된 하중은 상기 제2 하중 영역, 제3 하중 영역 및 상기 위치 설정 부재를 통해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으로 전달되며,
    상기 원웨이 베어링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가운데에 배치된, 트레드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바가 관통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바는 용접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고정되는 트레드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상부는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에 상기 곡선 형태를 따라 마련된 복수 개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트레드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의 일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에 의해 이동되는 제1 벨트;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의 타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2 프레임에 마련된 상기 복수 개의 베어링에 의해 이동되는 제2 벨트;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을 덮는 제1 및 제2 사이드 커버;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래트는 사용자의 발 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트레드밀.
  8.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1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된 제2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바;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상기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부;
    전방에 배치된 한 쌍의 전방 롤러와 이들을 연결하는 전방 회전축을 가지는 전방 롤러부;
    후방에 배치된 한 쌍의 후방 롤러와 이들을 연결하는 후방 회전축을 가지는 후방 롤러부;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회전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되 상기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전방 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간격 유지부에 의해 고정된, 원웨이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바는,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제1 하중영역;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제2 하중영역; 및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과 중첩되며,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된 제3 하중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및 제3 하중영역의 위치를 설정하며 상기 제2 및 제3 하중 영역의 적어도 1면에 면 접촉하는 위치 설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하중은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전달되며,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전달된 하중은 상기 제2 하중 영역, 제3 하중 영역 및 상기 위치 설정 부재를 통해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으로 전달되며,
    상기 원웨이 베어링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가운데에 배치된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평바가 관통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상부는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갖는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전단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일 방향으로 개방되는 전방 롤러 연결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일 방향으로 개방되는 후방 롤러 연결부;를 포함하는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KR1020180088589A 2016-06-16 2018-07-30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KR101933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91 2016-06-16
KR20160003391 2016-06-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264A Division KR101933101B1 (ko) 2016-06-16 2017-05-02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622A KR20180088622A (ko) 2018-08-06
KR101933100B1 true KR101933100B1 (ko) 2018-12-27

Family

ID=609387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264A KR101933101B1 (ko) 2016-06-16 2017-05-02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KR1020180088589A KR101933100B1 (ko) 2016-06-16 2018-07-30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264A KR101933101B1 (ko) 2016-06-16 2017-05-02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26129B2 (ko)
KR (2) KR101933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7632A1 (en) 2009-03-17 2010-09-23 Woodway Usa, Inc. Power generating manually operated treadmill
WO2017062504A1 (en) 2015-10-06 2017-04-13 Woodway Usa, Inc. Manual treadmill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1892187B1 (ko) * 2016-06-28 2018-08-28 주식회사 디랙스 트레드밀
EP3478375B2 (en) * 2016-07-01 2024-05-22 Woodway USA, Inc. Motorized treadmill with motor braking mechanism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200487810Y1 (ko) * 2017-07-04 2018-11-06 주식회사 디랙스 무동력 트레드밀
US11369836B2 (en) 2017-07-04 2022-06-28 Drax Inc. Motorless treadmill
US10695606B2 (en) * 2017-12-06 2020-06-30 Lifecore Fitness, Inc. Exercise treadmill
USD854101S1 (en) * 2018-01-05 2019-07-16 Peloton Interactive, Inc. Treadmill
KR102080163B1 (ko) * 2019-02-11 2020-04-07 주식회사 디랙스 트레드밀
USD930089S1 (en) * 2019-03-12 2021-09-07 Woodway Usa, Inc. Treadmill
TWM611132U (zh) * 2019-10-28 2021-05-01 曜暘科技股份有限公司 跑步機之履帶
USD948640S1 (en) * 2019-12-10 2022-04-12 Peloton Interactive, Inc. Treadmil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6129A1 (en) 1998-01-20 1999-07-22 Precor Incorporated Exercise treadmill
US20140011642A1 (en) 2009-11-02 2014-01-09 Alex Astilean Leg-powered treadmill
US20160144224A1 (en) 2014-11-26 2016-05-26 Icon Health & Fitness, Inc. Treadmill with Slatted Tread Belt
US20160166877A1 (en) 2014-12-12 2016-06-16 Technogym S.P.A. Manual treadmill
US20170312567A1 (en) 2016-04-29 2017-11-02 Rexon Industrial Corp., Ltd. Running deck with endless slat belt for treadmill and endless slat belt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3746B1 (en) * 1989-06-19 2005-08-02 Brunswick Corporation Exercise treadmill
US20030130095A1 (en) * 2001-11-05 2003-07-10 Hellman, Robert R. Aquatic treadmill with reversible orientations
TW200740489A (en) * 2006-04-18 2007-11-01 Jin-Da Lin A bi-directional one way operation device used in fitness equipment
WO2010107632A1 (en) * 2009-03-17 2010-09-23 Woodway Usa, Inc. Power generating manually operated treadmill
WO2013084757A1 (ja) 2011-12-06 2013-06-13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歩行運動機
JP2013226173A (ja) 2012-04-24 2013-11-07 Sadamu Mizobuchi 歩行運動装置
JP6064388B2 (ja) * 2012-06-28 2017-01-25 澁谷工業株式会社 ボンディングヘッド
KR101410325B1 (ko) * 2013-09-11 2014-06-24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러닝머신
US20160199695A1 (en) * 2015-01-08 2016-07-14 Gerald G. Armstrong Multi-Directional Exercise Platfor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6129A1 (en) 1998-01-20 1999-07-22 Precor Incorporated Exercise treadmill
US20140011642A1 (en) 2009-11-02 2014-01-09 Alex Astilean Leg-powered treadmill
US20160144224A1 (en) 2014-11-26 2016-05-26 Icon Health & Fitness, Inc. Treadmill with Slatted Tread Belt
US20160166877A1 (en) 2014-12-12 2016-06-16 Technogym S.P.A. Manual treadmill
US20170312567A1 (en) 2016-04-29 2017-11-02 Rexon Industrial Corp., Ltd. Running deck with endless slat belt for treadmill and endless slat belt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102A (ko) 2017-12-27
US20190118030A1 (en) 2019-04-25
KR101933101B1 (ko) 2018-12-27
KR20180088622A (ko) 2018-08-06
US10926129B2 (en)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100B1 (ko)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US10293204B2 (en) Leg-powered treadmill
ES2726905T3 (es) Cinta de andar manual
US10478666B2 (en) Treadmill
BR0206773A (pt) Esteira de dobramento
US11007404B2 (en) Treadmill
US20080146357A1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balance training apparatus
US20190105531A1 (en) Treadmill
CN111544829B (zh) 跑步机
US10821321B2 (en) Treadmill
US20110071005A1 (en) Stepping and Waist Twirling Exercise Machine
KR101982183B1 (ko)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KR200384634Y1 (ko) 스케이트 보드
KR102163804B1 (ko) 트렘플린기구의 스펙조절수단
CN107519647B (zh) 一种基于vr的健身器
KR102630812B1 (ko) 무동력 트레드밀
KR102149462B1 (ko) 트레드밀
KR20160000784U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JP5336641B1 (ja) グラススキー及びグラススキー用プレート並びにグラススキー用エレメント
KR102074983B1 (ko) 가상현실 체험시스템용 안전장치
CN203196207U (zh) 一种电动跑步机
KR102047322B1 (ko) 먼지 제거장치
KR101049599B1 (ko) 유산소운동기구
KR101524513B1 (ko) 2방향 직교 트레드밀 장치
JP3118660U (ja) ステップ機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