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025B1 -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 - Google Patents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025B1
KR101982025B1 KR1020130133416A KR20130133416A KR101982025B1 KR 101982025 B1 KR101982025 B1 KR 101982025B1 KR 1020130133416 A KR1020130133416 A KR 1020130133416A KR 20130133416 A KR20130133416 A KR 20130133416A KR 101982025 B1 KR101982025 B1 KR 10198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1a
pair
pt1b
discharge port
d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1658A (ko
Inventor
이성명
배상우
이창우
임승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0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헤드의 유출입 포트에 댐핑 부재를 장착하여 소음 및 진동이 차량 탑승객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상쇄할 수 있는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COMPRESSOR HAVING DAMPING MEMBE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헤드의 유출입 포트에 댐핑 부재를 장착하여 소음 및 진동이 차량 탑승객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상쇄할 수 있는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각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왕복식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
하는 크랭크식,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고, 회전식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로터리식,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
스크롤 방식의 압축기(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압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51) 내부에 구동부(90)와, 압축실(60)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90)의 내부 공간은 흡입실(80)과, 압축실(60)과, 토출실(70)과, 배압실(53)으로 구획된다.
상기 구동부(90)는 상기 하우징(51)의 내측에 동축 상으로 장착되는 스테이터(91) 및 로터(9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압축부는 상기 하우징(51)의 내측에 공정되는 고정 스크롤(71) 및 상기 구동부(90)에 의해 선회운동하면서 상기 고정 스크롤(71)과 맞물려 압축실(60)을 형성하는 선회 스크롤(7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입실(80)은 상기 하우징(51)의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이고, 상기 압축실(60)은 상기 흡입실(80)로 흡입된 냉매가 압축되는 공간이며, 상기 토출실(70)은 상기 압축실(60)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공간이고, 상기 배압실(53)은 상기 선회 스크롤(72)이 상기 고정 스크롤(71) 방향으로 밀착하도록 압력을 가하기 위한 공간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스크롤 압축기에 의해 냉매가 압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접속단 등을 통해 제어부로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구동회로 등을 통해 구동부(90)로 동작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구동부(90)로 동작 신호가 전송되면, 하우징(51)의 내주면에 압입되어 있는 전자석 형태의 스테이터(91)가 여자되어 자성을 띠게 되고, 그에 따라 로터(92)와 스테이터(91) 간에 전자기적인 상호 작용이 이루어져 로터(92)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부(90)의 회전축(93)이 고속 회전하게 되면, 이 회전축 후단에 결합된 압축부의 선회 스크롤(72)이 동기하여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마주보는 상태로 정합된 고정 스크롤(71)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흡입실(80)에서 압축실(60)로 유동한 냉매가 스크롤 외주로부터 스크롤 중심부로 고압으로 압축된 후
상기 토출실(70)로 토출되면서 일련의 냉매 압축 동작이 완료하게 된다.
또한, 사판식 압축기(1)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챔버(11a,12a)를 각각 갖는 전방 실린더블록(11) 및 후방 실린더블록(12)과, 상기 전방 실린더블록(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헤드(21)와,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2)의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 헤드(22)와, 상기 프론트 헤드(21)와 전방 실린더블록(11) 및 후방 실린더블록(12)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41)과, 상기 구동축(41)에 장착되는 사판(42)과, 상기 사판(4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11,12)의 피스톤 챔버(11a,12a) 내부를 전후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피스톤(43)을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축(41)에 의해 작동되는 사판(42)이 상기 피스폰(43)을 작동하여 냉매를 압축 토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사판식 압축기(1) 또는 스크류 압축기(2) 모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헤드(22,23)를 통해 냉매가 토출되거나 혹은 토출된 후 순환되어 다시 유입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헤드(22,23)의 흡출입 포트에 캡(C)을 장착한 후 상기 캡(C)에 냉매 파이프(P1,P2)를 장착하여 냉매가 순화되는데, 이 때, 상기 압축기는 작동시 뿐만 아니라 미 작동시에도 엔진의 진동을 그대로 받아 진동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상기 냉매 파이프(P1,P2)를 통해 차량 내부의 증발기로 직접 전달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진동 및 소음이 차량 탑승자에게 직접 전달되어 차량 탑승자에게 불쾌함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어컨 작동시에는 엔진과 압축기 모두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며 진동하게 되는데, 특히 특정 주파수에서는 압축기의 진동이 가진되어 배관을 통해 승각에게 비정상 노이즈로 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진동 및 소음을 상쇄하기 위해 냉매 파이프(P1,P2) 중간에 댐핑 소재를 넣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냉매 파이프(P1,P2)의 강성이 떨어져서 오히려 진동 폭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상기 사판식 압축기 뿐만 아니라 스크롤식 압축기에서 발생하며 도 3에서는 사판식 압축기를 예로 설명한 것임을 밝혀둔다.
한편, 상술한 스크롤 압축기와 사판식 압축기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특허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094653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094646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3-0074389호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2-000096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리어 헤드의 입출입 포트에 설치된 댐핑 부재에 의해 진동 및 소음이 냉매 파이프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 탑승자에게 불쾌감이나 노이즈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압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전력이 발생되는 구동부(90)를 수용하고,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실(80)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 내에 고정되는 고정 스크롤(71)과, 상기 구동부(90)에 의해 선회 운동하면서 상기 고정 스크롤(71)과 맞물려 압축실(60)을 형성하는 선회 스크롤(72)과, 상기 선회 스크롤(72)이 상기 고정 스크롤(71) 방향으로 밀착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배압실(53)과,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헤드(23)와, 상기 하우징(51)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 헤드(24)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헤드(24)에 형성된 토출 포트(PT1a) 및 유입 포트(PT1b)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 포트(PT1a) 및 상기 유입 포트(PT1b)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댐핑 부재(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댐핑 부재(100)는 판체 형상의 댐핑 본체(110)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본체(110)에는 상기 토출 포트(PT1a) 및 상기 유입 포트(PT1b)에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공(111a, 111b)이 형성되고, 상기 댐핑 본체(110)에는 한 쌍의 관통구(112)가 상기 한 쌍의 관통공(111a, 111b)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어 헤드(24)에는 한 쌍의 고정공(PT2)이 상기 토출 포트(PT1a)와 상기 유입 포트(PT1b)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고정구가 상기 관통구(112)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공(PT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댐핑 본체(110)는 상기 토출 포트(PT1a) 또는 상기 유입 포트(PT1b)와 상기 한 쌍의 고정공(PT2) 사이 영역 및 상기 한 쌍의고정공(PT2)들 사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에 일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스톤 챔버(11a,12a)를 각각 갖는 전방 실린더블록(11) 및 후방 실린더블록(12)과, 상기 전방 실린더블록(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헤드(21)와,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2)의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 헤드(22)와, 상기 프론트 헤드(21)와 전방 실린더블록(11) 및 후방 실린더블록(12)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41)과, 상기 구동축(41)에 장착되는 사판(42)과, 상기 사판(4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11,12)의 피스톤 챔버(11a,12a) 내부를 전후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피스톤(43)을 포함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헤드(22)에 형성된 토출 포트(PT1a) 및 유입 포트(PT1b)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 포트(PT1a) 및 상기 유입 포트(PT1b)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댐핑 부재(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댐핑 부재(100)는 판체 형상의 댐핑 본체(110)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본체(110)에는 상기 토출 포트(PT1a) 및 상기 유입 포트(PT1b)에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공(111a, 111b)이 형성되고, 상기 댐핑 본체(110)에는 한 쌍의 관통구(112)가 상기 한 쌍의 관통공(111a, 111b)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어 헤드(22)에는 한 쌍의 고정공(PT2)이 상기 토출 포트(PT1a)와 상기 유입 포트(PT1b)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고정구가 상기 관통구(112)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공(PT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댐핑 본체(110)는 상기 토출 포트(PT1a) 또는 상기 유입 포트(PT1b)와 상기 한 쌍의 고정공(PT2) 사이 영역 및 상기 한 쌍의 고정공(PT2)들 사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댐핑 부재(100)가 장착된 상기 토출 포트(PT1a) 및 상기 유입 포트(PT1b)를 덮는 캡(20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압축기에 따르면, 댐핑 부재에 의해 진동이나 소음이 압축기로부터 배관 파이프로 전달되지 않고 감쇄되므로 차량 탑승자에게 불쾌감이나 노이즈가 전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사판 압축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종래의 압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 부재를 압축기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
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 부재를 압축기로부터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판식 압축기와 스크롤 압축기 모두 적용가능한 것으로서 우선 앞서 설명된 도 1과 도 3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압축기는 대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부(9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51)의 내부 공간에 구획되는 흡입실(80)과, 압축실(60)과, 토출실(70)과, 배압실(53)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90)는 상기 하우징(51)의 내측에 동축 상으로 장착되는 스테이터(91)와, 로터(92) 및 회전축(9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압축부는 상기 하우징(51)의 내측에 공정되는 고정 스크롤(71) 및 상기 구동부(90)에 의해 선회 운동하면서 상기 고정 스크롤(71)과 맞물려 압축실(60)을 형성하는 선회 스크롤(7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어부는 상기 하우징(51)의 내측에 장착되는 PCB 등 각종 구동회로 및 소자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입실(80)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냉매가 저장되는 공간이고, 상기 압축실(60)은 상기 흡입실(80)로 흡입된 냉매가 압축되는 공간이며, 상기 토출실(70)은 상기 압축실(60)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공간이고, 상기 배압실(53)은 상기 선회 스크롤(72)이 상기 고정 스크롤(71) 방으로 밀착하도록 압력을 가하기 위한 공간이다.
즉, 상기 선회 스크롤(72)이 고정 스크롤(71)에 대해 선회 운동을 하면서 냉매를 압축하여 리어 헤드(24)를 통해 토출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내지 소음 또는 엔진에서 전달되는 진동 내지 소음이 상기 리어 헤드(24)에 설치되는 냉매 파이프(P1,P2)를 통해 차량 내부로 전달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도 3 참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 부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의 댐핑 본체(110)와, 상기 댐핑 본체(110) 일부가 개방되되 상기 유출입 포트(PT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관통공(111)을 포함한다.
즉, 상기 댐핑 본체(110)가 상기 입출입 포트(PT1)에 설치됨으로서 상기 냉매 파이프측으로 진동이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가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공(111) 주변에 형성되는 관통구(112)를 더 포함하여, 고정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관통구(112)를 관통한 후 상기 유출입 포트(PT1) 주변에 형성되는 고정공(PT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입출입 포트(PT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포트(PT1a) 및 유입 포트(PT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댐핑 부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본체(110)에 냉매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 관통공(111a)과 순환된 냉매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 관통공(111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입출입 포트(PT1)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공(PT2)의 경우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출입 포트(PT1) 좌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댐핑 부재(100)의 관통공(112)역시 좌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112a,112b)
한편, 본 발명의 댐핑 부재(100)가 상기 입출입 포트(PT1)에 장착된 후 상기 유출입 포트(PT1)를 덮는 캡(20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캡(200)은 상기 입출입 포트(PT1)를 덮는 캡 본체(210)와 상기 캡 본체(210) 양 측에 형성되어 고정구(F)가 삽입되는 고정공(211)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구(F)는 상기 고정공(211)과 댐핑 본체(110)의 관통공(112)을 관통한 후 입출입 포트(PT1)의 고정공(PT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사판 압축기(1)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판식 압축기(1)는 피스톤 챔버(11a,12a)를 각각 갖는 전방 실린더블록(11) 및 후방 실린더블록(12)과, 상기 전방 실린더블록(11)의 전면에 결합되면서 토출실(21a)을 갖는 프론트 헤드(21) 및 상기 후방 실린더블록(12)의 후면에 결합되면서 토출실(22a)을 갖는 리어 헤드(22)와, 상기 프론트 헤드(21)와 전방 실린더블록(11) 및 후방 실린더블록(12)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41)과, 상기 구동축(41)에 장착되는 사판(42)과, 상기 사판(4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11,12)의 피스톤 챔버(11a,12a) 내부를 전후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피스톤(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실린더블록(11) 및 후방 실린더블록(12)에 형성되는 관통공(11c,12c,12c,12d) 중 일부의 관통공(12d)은 상기한 헤드볼트(30)의 관통을 위한 구멍으로만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냉매 가스의 유동을 위한 유로로 사용되며, 이러한 유로에 상기 헤드볼트(30)가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유로가 냉매의 유동뿐만 아니라 헤드볼트(30)가 관통되는 통로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냉매 가스의 유로로 사용되는 관통공은 전술된 프론트 헤드(21)에 형성되는 관통공(21c) 및 리어 헤드(22)에 형성되는 체결홈(22c)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43)에 의해 압축된 냉매는 리어 헤드(22)를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 사판식 압축기(2)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스크류 압축기(1)에서 발생하는 진동 내지 소음 또는 엔진에서 전달되는 진동 내지 소음이 상기 리어 헤드(22)에 설치되는 냉매 파이프(P1,P2)를 통해 차량 내부로 전달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도 3 참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 부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의 댐핑 본체(110)와, 상기 댐핑 본체(110) 일부가 개방되되 상기 유출입 포트(PT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관통공(111)을 포함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상기 댐핑 본체(110)가 상기 입출입 포트(PT1)에 설치됨으로서 상기 냉매 파이프측으로 진동이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가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11) 주변에 형성되는 관통구(112)를 더 포함하여, 고정구(도시되지 않음)가 상기 관통구(112)를 관통한 후 상기 유출입 포트(PT1) 주변에 형성되는 고정공(PT2)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입출입 포트(PT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 포트(PT1a) 및 유입 포트(PT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댐핑 부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댐핑 본체(110)에 냉매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 관통공(111a)과 순환된 냉매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 관통공(111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입출입 포트(PT1)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공(PT2)의 경우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출입 포트(PT1)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댐핑 부재(100)의 관통구(112)역시 관통공(111)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112a,112b)
한편, 상기 스크류 압축기(2)와 같이 본 발명의 댐핑 부재(100)가 상기 입출입 포트(PT1)에 장착된 후 상기 유출입 포트(PT1)를 덮는 캡(200)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캡(200)은 상기 입출입 포트(PT1)를 덮는 캡 본체(210)와 상기 캡 본체(210) 양 측에 형성되어 고정구(F)가 삽입되는 고정공(211)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공(211)은 상기 관통구(112)에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211a,211b)
또한, 상기 고정구(F)는 상기 고정공(211)과 댐핑 본체(110)의 관통공(112)을 관통한 후 입출입 포트(PT1)의 고정공(PT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 : 실린더 블록 11 : 전방 실린더 블록
12 : 후방 실린더 블록 21 : 프론트 헤드
22 : 리어 헤드 41 : 구동축
42 : 사판 43 : 피스톤
51 : 하우징 71 : 고정 스크롤
72 : 선회 스크롤 90 : 구동부
100 : 댐핑 부재 110 : 댐핑 본체
111 : 관통공 112 : 관통구
300 : 실링 부재

Claims (4)

  1. 회전력이 발생되는 구동부(90)를 수용하고,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실(80)이 내부에 형성된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 내에 고정되는 고정 스크롤(71)과, 상기 구동부(90)에 의해 선회 운동하면서 상기 고정 스크롤(71)과 맞물려 압축실(60)을 형성하는 선회 스크롤(72)과, 상기 선회 스크롤(72)이 상기 고정 스크롤(71) 방향으로 밀착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배압실(53)과,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헤드(23)와, 상기 하우징(51)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 헤드(24)를 포함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헤드(24)에 형성된 토출 포트(PT1a) 및 유입 포트(PT1b)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 포트(PT1a) 및 상기 유입 포트(PT1b)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댐핑 부재(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댐핑 부재(100)는 판체 형상의 댐핑 본체(110)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본체(110)에는 상기 토출 포트(PT1a) 및 상기 유입 포트(PT1b)에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공(111a, 111b)이 형성되고,
    상기 댐핑 본체(110)에는 한 쌍의 관통구(112)가 상기 한 쌍의 관통공(111a, 111b)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어 헤드(24)에는 한 쌍의 고정공(PT2)이 상기 토출 포트(PT1a)와 상기 유입 포트(PT1b)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고정구가 상기 관통구(112)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공(PT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댐핑 본체(110)는 상기 토출 포트(PT1a) 또는 상기 유입 포트(PT1b)와 상기 한 쌍의 고정공(PT2) 사이 영역 및 상기 한 쌍의 고정공(PT2)들 사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
  2. 피스톤 챔버(11a, 12a)를 각각 갖는 전방 실린더블록(11) 및 후방 실린더블록(12)과, 상기 전방 실린더블록(1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헤드(21)와, 상기 후방실린더블록(12)의 후면에 결합되는 리어 헤드(22)와, 상기 프론트 헤드(21)와 전방 실린더블록(11) 및 후방 실린더블록(12)의 중앙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41)과, 상기 구동축(41)에 장착되는 사판(42)과, 상기 사판(42)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면서 상기 전,후방 실린더블록(11, 12)의 피스톤 챔버(11a, 12a) 내부를 전후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피스톤(43)을 포함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 헤드(22)에 형성된 토출 포트(PT1a) 및 유입 포트(PT1b)에 장착되어 상기 토출 포트(PT1a) 및 상기 유입 포트(PT1b)를 상호간에 연결하는 댐핑 부재(1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댐핑 부재(100)는 판체 형상의 댐핑 본체(110)를 포함하고,
    상기 댐핑 본체(110)에는 상기 토출 포트(PT1a) 및 상기 유입 포트(PT1b)에 대응되는 한 쌍의 관통공(111a, 111b)이 형성되고,
    상기 댐핑 본체(110)에는 한 쌍의 관통구(112)가 상기 한 쌍의 관통공(111a, 111b)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어 헤드(22)에는 한 쌍의 고정공(PT2)이 상기 토출 포트(PT1a)와 상기 유입 포트(PT1b) 사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고정구가 상기 관통구(112)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공(PT2)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댐핑 본체(110)는 상기 토출 포트(PT1a) 또는 상기 유입 포트(PT1b)와 상기 한 쌍의 고정공(PT2) 사이 영역 및 상기 한 쌍의 고정공(PT2)들 사이 영역에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 부재(100)가 장착된 상기 토출 포트(PT1a) 및 상기 유입 포트(PT1b)를 덮는 캡(2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
KR1020130133416A 2013-11-05 2013-11-05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 KR101982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416A KR101982025B1 (ko) 2013-11-05 2013-11-05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416A KR101982025B1 (ko) 2013-11-05 2013-11-05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658A KR20150051658A (ko) 2015-05-13
KR101982025B1 true KR101982025B1 (ko) 2019-05-24

Family

ID=5338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416A KR101982025B1 (ko) 2013-11-05 2013-11-05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0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239A (ja) 2008-11-05 2010-05-20 Daikin Ind Ltd 圧縮機
JP2013204457A (ja) * 2012-03-27 2013-10-07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374B2 (ja) * 1994-10-05 2004-06-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KR20020000966A (ko) 2000-06-23 2002-01-09 신영주 사판식 압축기의 실린더부 흡입공 구조
JP2012211531A (ja) * 2011-03-31 2012-11-01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
KR101426988B1 (ko) 2011-12-26 2014-08-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압축기
KR101711230B1 (ko) 2012-02-16 2017-02-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20130094653A (ko) 2012-02-16 2013-08-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2239A (ja) 2008-11-05 2010-05-20 Daikin Ind Ltd 圧縮機
JP2013204457A (ja) * 2012-03-27 2013-10-07 Toyota Industries Corp 電動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1658A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310B1 (ko)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US8485794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with rotary valve
KR101982025B1 (ko) 댐핑 부재를 구비하는 압축기
KR20120112084A (ko) 모터 구동식 압축기
KR101172693B1 (ko) 압축기
US20070264137A1 (en) Hermetic compressor
KR101184577B1 (ko) 압축기
WO2005008069A1 (en) Compressor
KR20080029077A (ko) 압축기
KR100970714B1 (ko) 전동 압축기
JP2002021717A (ja) 片頭ピストン型圧縮機
KR100972172B1 (ko) 전동 압축기
JP2002070728A (ja) 斜板式圧縮機の脈動低減構造
WO2004094827B1 (en) Motor driven compressor
KR101984510B1 (ko) 압축기
KR100941708B1 (ko) 전동 압축기
KR100983330B1 (ko) 맥동압 저감구조를 가지는 사판식 압축기
KR101674577B1 (ko) 왕복동식 압축기
KR101452567B1 (ko)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JPH109134A (ja) 圧縮機のマフラ構造
KR101942914B1 (ko) 압축기
KR101196364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1031813B1 (ko) 압축기
JP2006300049A (ja) 圧縮機の吸入脈動低減構造
KR20180095247A (ko) 압축기의 맥동 저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