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569B1 -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 - Google Patents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569B1
KR101981569B1 KR1020180132721A KR20180132721A KR101981569B1 KR 101981569 B1 KR101981569 B1 KR 101981569B1 KR 1020180132721 A KR1020180132721 A KR 1020180132721A KR 20180132721 A KR20180132721 A KR 20180132721A KR 101981569 B1 KR101981569 B1 KR 10198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odule
test
bimetal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수
Original Assignee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자체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는,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화재발생회로; 열에 반응하여 화재발생회로를 스위칭하는 바이메탈; 바이메탈의 하단에 설치되며, 열을 발산하는 발열모듈; 및 자체 테스트 기능이 구동되면 발열모듈을 구동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Heat detector having function for test}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화재감지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 유무를 확인하려면 열감지기의 경우 열을 직접 가해야 하고, 연기감지기에는 가스등의 연기를 분사하여 반응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감지기마다 개별적으로 열 또는 연기를 투입하기 위하여 별도로 제작한 시험장비를 일일이 들고 다니면서 감지기의 기능을 점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험방법은 화재감지기의 감도에 적합한 온도 또는 농도를 맞추어 투입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는 감지기가 동작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많은 양을 일시에 투입하기 때문에 감지기가 정상적인 감도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검사 때마다 열감지기에 가해지는 고온의 열기나 연기감지기에 가해지는 다량의 액체 가스는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시험으로 인하여 화재감지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82145 (공개일자 2010년07월16일) 차동식 열감지기의 점검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원격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열감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시험장비가 필요치 않고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정상 동작 여부를 시험하는 열감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화재발생회로; 열에 반응하여 상기 화재발생회로를 스위칭하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의 하단에 설치되며, 열을 발산하는 발열모듈; 및 자체 테스트 기능이 구동되면 상기 발열모듈을 구동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자체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하에 상기 발열모듈의 위치를 테스트단계에 따라 위아래로 변경하기 위한 이동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격의 관리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테스트 명령 및 상기 테스트단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테스트단계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 열을 발산하도록 상기 발열모듈 및 이동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될때까지 낮은 단계에서부터 높은 단계 순으로 각 위치에서 각각 열을 발산하도록 상기 발열모듈 및 이동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의 관리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되는 테스트단계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장치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정상 동작 여부를 시험하는 열감지기를 제공함으로 인해, 별도의 시험장비가 필요치 않고 원격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시험을 위한 화재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열감지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감지기에서의 자체 시험 기능 구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시험을 위한 화재감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 시스템은 복수개의 열감지기(10-1, 10-2, ..., 10-n, 이하 10으로 통칭) 및 관리 장치(5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열감지기(10)는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관리 장치(50)는 열감지기(10)들을 원격에서 성능을 시험(test)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감지기(10)는 화재로 인한 열을 감지하면, 화재발생 신호를 발생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관리 장치(50, 일반적으로 수신반이라 칭함)로 전송하고, 관리 장치(50)는 수신된 화재발생 신호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알리는 알림을 처리(예를 들어 경종 또는 사이렌 구동 등)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열감지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열감지기는 화재발생 신호를 생성하는 화재발생회로와 열에 반응하여 화재발생회로를 스위칭하는 바이메탈을 포함한다. 즉, 바이메탈에 열이 가해지면 바이메탈이 휘어 도면과 같이 접점됨으로써 화재발생회로가 연결되어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되는 것이다. 이러한 바이메탈을 이용한 열감지기의 구동 원리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열감지기가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천정에 설치된 열감지기 주위로 열을 가할 수 있는 별도의 시험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달리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10)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감지기(10)는 발열모듈(320)을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 열감지기(10)의 본체(300) 내에 구비되는 바이메탈(310)에 자체적으로 열을 가하기 위한 발열모듈(320)이 본체(300) 아래에 구비된다.
따라서, 자체 시험 기능이 구동되면, 열감지기(10)는 발열모듈(320)을 구동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발열모듈(320)에 의해 방출되는 열이 바이메탈(310)에 가해짐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하여 접점됨으로써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일례를 들면, 발열모듈(320)은 전기가 통하면 열을 방출하는 열선을 구비한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감지기(10)는 발열모듈(32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이동모듈(330)을 더 포함한다. 즉, 이동모듈(330)이 구동됨에 따라 발열모듈(320)의 위치가 도면과 같이 위아래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동모듈(330)은 전기적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레일 등을 포함하여 발열모듈(320)이 연결되는 연결부가 위아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정 장치의 위치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는 구성은 다른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으므로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열감지기(10)는 발열모듈(320), 이동모듈(330) 등의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더 포함되는데, 제어모듈은 테스트 단계에 따라 발열모듈(32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이동모듈(3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바이메탈(310)의 성능이 가장 좋은 상태일 때에는 다소 약간의 열이 가해지더라도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될 수 있을 것이며, 시간이 흘러 성능이 떨어지는 경우 보다 강한 열이 가해져야만 화재발생신호를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테스트를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단계 테스트의 경우 가장 아래 부분(즉, 바이메탈(310)에 전달되는 열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으로 발열모듈(320)을 이동시키기 위해 이동모듈(330)을 제어한다. 그리고 2단계의 경우 중간 높이로, 3단계의 경우 가장 높은 위치로 발열모듈(3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열감지기(10)의 제어모듈(미도시)은 자체시험 기능을 구동하면,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될때까지 낮은 단계에서부터 높은 단계 순으로 각 위치에서 일정시간(예를 들어, 30초 등) 동안 각각 열을 발산하도록 발열모듈(320) 및 이동모듈(33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각 단계별 시험을 1단계부터 순차적으로 수행하며 어떤 단계에서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모듈은 구비된 통신모듈(미도시)를 통해 확인된 시험단계에 대한 정보를 관리 장치(5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열감지기(10) 자체가 각 단계별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관리 장치(50)에 보고하는 방식이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관리 장치(50)의 제어하에 원격에서 열감지기(10)의 자체 시험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감지기에서의 자체 시험 기능 구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열감지기(10)는 관리 장치(50)로부터 테스트 명령 및 테스트 단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S510). 수신된 단계의 테스트를 수행한다(S520). 즉 열감지기(10)는 관리 장치(50)의 제어 하에 자체 테스트의 수행 및 테스트 단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명령된 테스트의 수행이 완료된 이후, 관리장치로부터 테스트 단계가 재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530), 일정 시간 내로 재수신되지 않으면 자체 테스트를 종료처리한다(S550). 만일 S520에서의 테스트 수행 결과 정상적으로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되어 관리 장치(50)로 전송되었다면 테스트를 재수행할 필요가 없으나,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관리 장치(50)는 다음 단계의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열감지기(1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이다.
만일 테스드 단계가 재수신되었드면, 열감지기(10)는 해당 단계의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해 이동모듈(330)을 제어하여 발열모듈(320)의 위치를 변경한다(S540).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장치(50)는 낮은 단계의 테스트부터 순차적으로 높은 단계의 테스트가 진행되도록 열감지기(10)를 원격에서 제어하고, 그 결과로서 화재발생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각 열감지기(10)의 원격으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성능 강도까지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열감지기
50 : 관리 장치
300 : 본체
310 : 바이메탈
320 : 발열모듈
330 : 이동모듈

Claims (5)

  1. 화재발생신호를 생성하는 화재발생회로;
    열에 반응하여 상기 화재발생회로를 스위칭하는 바이메탈;
    상기 바이메탈의 하단에 설치되며, 열선을 구비하여 상기 바이메탈로 열을 발산하기 위한 발열모듈;
    자체 테스트 기능이 구동되면 상기 발열모듈을 구동시키는 제어모듈;
    상기 발열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상기 바이메탈로 전달되는 양을 달리 하기 위해,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하에 상기 발열모듈의 위치를 테스트단계에 따라 위아래로 변경하기 위해 모터 및 레일을 포함하는 이동모듈; 및
    원격의 관리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모듈은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될때까지 낮은 단계에서부터 높은 단계 순으로 테스트단계를 조절하여 수행하되, 각 테스트 단계에 따른 위치에서 상기 발열모듈이 구동되도록 상기 이동모듈을 제어하고, 화재발생신호가 출력되는 테스트단계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장치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자체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관리장치로부터 테스트 명령 및 상기 테스트단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테스트단계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 열을 발산하도록 상기 발열모듈 및 이동모듈을 제어하는, 자체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2721A 2018-11-01 2018-11-01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 KR101981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21A KR101981569B1 (ko) 2018-11-01 2018-11-01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721A KR101981569B1 (ko) 2018-11-01 2018-11-01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569B1 true KR101981569B1 (ko) 2019-05-23

Family

ID=6668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721A KR101981569B1 (ko) 2018-11-01 2018-11-01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5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575B1 (ko) * 2020-03-31 2020-08-20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145A (ko) 2009-01-08 2010-07-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식 열감지기의 점검장치
KR101357869B1 (ko) * 2012-12-18 2014-02-06 주식회사 하이맥스 열감지기 원격 점검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145A (ko) 2009-01-08 2010-07-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동식 열감지기의 점검장치
KR101357869B1 (ko) * 2012-12-18 2014-02-06 주식회사 하이맥스 열감지기 원격 점검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575B1 (ko) * 2020-03-31 2020-08-20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3938B2 (en) Detector system
CN101491161B (zh) 开关设备、用于控制灯的系统以及用于带有至少一个发光装置的建筑物的光控制系统
US96191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dressably programming a notification safety device
US20060236189A1 (en) Distributed control apparatus
US20060268770A1 (en) Selection of network nodes of a network
KR101981569B1 (ko) 자체 시험 기능을 구비한 열감지기
US1046284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US20210167990A1 (en) Relay device and multi-split control system
JP4396583B2 (ja) 火災報知システム
US20160353558A1 (en) Lighting system,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communication in lighting system
US10206269B2 (en) System for commissioning elements in an installation
KR20110101014A (ko) P형 화재수신기용 중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p형 화재수신기의 신호 전달방법
US99926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rolling connected electronic devices in a connected home monitoring-security system
JP4790866B1 (ja) リモコンシステム
CA2753934C (en) System and method for buffered wireless device enrollment in a security system
KR100656056B1 (ko) 반도체 제조 장치 조정 방법
CN106559533A (zh) 一种手机遥控器、遥控系统及方法
US6603387B1 (en) Programming of RF transmitter identification data by monitoring power
JP2002094449A (ja) 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CN210075595U (zh) 一种基于ZigBee技术的室内疏散辅助系统
JP4469191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CN111077594B (zh) 一种闸机安装测试方法和系统
KR102329631B1 (ko) 진단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6731621B2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機器制御用プログラム
JP2006085263A (ja) コンピュータ操作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