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249B1 - 감 박피기 - Google Patents

감 박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249B1
KR101981249B1 KR1020180019863A KR20180019863A KR101981249B1 KR 101981249 B1 KR101981249 B1 KR 101981249B1 KR 1020180019863 A KR1020180019863 A KR 1020180019863A KR 20180019863 A KR20180019863 A KR 20180019863A KR 101981249 B1 KR101981249 B1 KR 101981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utter
rotating
plat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전성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한남씨엠에스
사단법인경북대공학설계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한남씨엠에스, 사단법인경북대공학설계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한남씨엠에스
Priority to KR102018001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 A23N7/026Peeling machines therefor with rotary fruit holding spindles and fixed or movable peel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6Ca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8Holding the work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Abstract

본 발명은 단감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감 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감 박피기는, 꼭지가 제거된 감이 안착되는 감 안착부가 형성된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 샤프트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 샤프트 내부를 흡인하여 상기 감 안착부에 안착된 감을 지지하는 흡인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가운데에 캠 홈과 폐곡선 형태의 캠 벽이 형성된 캠 플레이트; 상기 캠 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단부에 부착되고 관통 홈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샤프트; 상기 보조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보조 샤프트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관통 홈을 통해 돌출되는 커터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캠 벽과 접촉되는 접촉 단부가 형성된 커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동력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커터부의 상기 접촉 단부가 상기 캠 벽과 접촉되면서 회전하고, 상기 접촉 단부와 상기 캠 벽의 접촉에 따라, 상기 커터는 상기 보조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비박피 영역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박피 영역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박피시에 감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과, 커터날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하나의 구동모터로 통합하여 구성하고, 커터부가 캠 홈과 접촉되게 하여 커터를 박피 영역과 비박피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성과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는 감 박피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 박피기 {Apparatus for peeling persimmon}
본 발명은 단감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감 박피기에 관한 것이다.
감의 껍질을 벗기는 작업은 홍시 상태로 완전하게 익기 전에 감을 수확하여 곶감 또는 감 말랭이로 만들기 위하여 수행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감 박피 작업은 오래전부터 있어 왔으며,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작업자가 껍질 제거용 칼을 이용하여 한 손으로 감을 잡고 다른 손으로 감의 껍질을 벗기는 수작업 형태였다.
근래에는 수작업 형태에서 벗어나 기계적인 박피가 가능하도록 한 감박피기가 개발되고 있다. 등록특허 10-1060423호는 이러한 가공용 감의 자동박피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서, 꼭지가 제거된 감을 컨베이어에 올려 이동시키면, 감을 잡을 수 있는 지그와 일체로 형성된 이동 플레이트가 레일을 타고 좌,우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지그는 고정핀 뭉치에 감을 고정시킨다. 감을 고정한 고정핀 뭉치는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작동바에 연결된 커터날에 의해 자동으로 감의 껍질을 벗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자동박피장치에서, 감을 고정한 고정핀 뭉치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커터날이 연결된 작동바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모터가 별개로 구성되어 있어, 구성과 제어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042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박피시에 감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과, 커터날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하나의 구동모터로 통합하여 구성과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는 감 박피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감 박피기는, 꼭지가 제거된 감이 안착되는 감 안착부가 형성된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 샤프트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 샤프트 내부를 흡인하여 상기 감 안착부에 안착된 감을 지지하는 흡인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가운데에 캠 홈과 폐곡선 형태의 캠 벽이 형성된 캠 플레이트; 상기 캠 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단부에 부착되고 관통 홈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샤프트; 상기 보조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보조 샤프트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관통 홈을 통해 돌출되는 커터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캠 벽과 접촉되는 접촉 단부가 형성된 커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동력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커터부의 상기 접촉 단부가 상기 캠 벽과 접촉되면서 회전하고, 상기 접촉 단부와 상기 캠 벽의 접촉에 따라, 상기 커터는 상기 보조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비박피 영역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박피 영역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터부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앙으로 편향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관통 홈은 상기 커터부가 상기 보조 샤프트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 홈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캠 플레이트 쪽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돌출 바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샤프트는 상기 제1 및 제2 돌출 바아에 연결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피시에 감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과, 커터날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하나의 구동모터로 통합하여 구성하고, 커터부가 캠 홈과 접촉되게 하여 커터를 박피 영역과 비박피 영역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성과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는 감 박피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 박피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커터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커터날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커터날을 외부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커터날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커터부의 접촉 단부가 캠 벽에 접촉되어 회전할 때 캠의 박피 영역과 비박피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 박피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커터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커터날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커터날을 외부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커터날이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커터부의 접촉 단부가 캠 벽에 접촉되어 회전할 때 캠의 박피 영역과 비박피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감 박피기는 구동 샤프트(110), 구동모터(113), 흡인모터(115), 프레임(101), 캠 플레이트(130), 회전 샤프트(140), 회전 플레이트(150), 보조 샤프트(160), 커터부(180), 스프링(170)을 포함한다.
구동 샤프트(110)는 꼭지가 제거된 감(10)이 안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동 샤프트(110)는 감(10)이 안착되는 감 안착부(111)를 구비하고, 감 안착부(111)에는 감(10)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핀(112)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감(10)은 이전 단계에서 미리 꼭지가 제거되고 그리퍼에 의해 파지되어 꼭지부가 아래로 향하도록 감 안착부(111)에 안착된다. 감(10)이 감 안착부(111)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감(10)의 아래 부분은 고정핀(112)의 날카로운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동모터(113)는 구동 샤프트(110)를 회전시킨다.
흡인모터(115)는 구동 샤프트(110)가 회전하는 동안 구동 샤프트(110) 내부를 흡인하여 감 안착부(111)에 안착된 감(10)을 지지한다. 구동 샤프트(110)는 흡인모터(115)의 흡인력이 감(10)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프레임(101)은 감 박피기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구동모터(113), 구동 샤프트(110) 등을 지지한다.
캠 플레이트(130)는 프레임(101)에 지지되고 가운데에 캠 홈(131)이 형성된다. 캠 플레이트(130)에는 캠 홈(131)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곡선 라인을 갖는 폐곡선 형태의 캠 벽(132)이 형성된다.
회전 샤프트(140)는 캠 홈(131)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회전 샤프트(140)는 구동 샤프트(110)와 동력연결되어 구동모터(113)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동 샤프트(110)로부터의 회전력은 기어부(121,122, 123), 풀리(124, 126), 벨트(125)로 차례로 전달되어 회전 샤프트(140)가 회전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50)는 회전 샤프트(140)의 단부에 부착되고 관통 홈(151)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돌출 바아(153, 154)는 관통 홈(151)의 양측에서 회전 플레이트(150)에 각각 부착되어 캠 플레이트(130)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조 샤프트(160)는 회전 플레이트(150)에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14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조 샤프트(160)는 제1 및 제2 돌출 바아(153, 154)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커터부(180)는 보조 샤프트(160)에 끼워져 보조 샤프트(160)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커터부(180)의 일측 단부에는 관통 홈(151)을 통해 돌출되는 커터(181)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캠 벽(132)과 접촉되는 접촉 단부(182)가 형성된다.
스프링(170)은 커터부(180)에 연결되어 커터부(180)가 회전 플레이트(150)의 중앙으로 편향되도록 힘을 가한다. 스프링(170)은 예를 들어, 보조 샤프트(160)에 권취되고 일단부가 커터부(180)에 고정되어, 커터부(180)를 회전 플레이트(150)의 중앙으로 당기도록 힘을 작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감 박피기를 이용하여 감의 껍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 샤프트(110)의 감 안착부(111)에 감(10)이 안착되면, 흡인모터(115)로부터 흡인력이 전달되어 감(10)을 지지한다.
구동모터(113)에 의해 구동 샤프트(110)가 회전하면 감(10)은 감 안착부(1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소정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구동 샤프트(110)의 회전력은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회전 샤프트(140)로 전달되어 회전 플레이트(15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 플레이트(150)가 회전하면, 회전 플레이트(150)에 연결된 보조 샤프트(160)가 회전하고, 보조 샤프트(160)에 끼워진 커터부(180)도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커터부(180)의 접촉 단부(182)는 캠 벽(132)과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접촉 단부(182)가 캠 벽(132)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동안, 커터(181)와 접촉 단부(182)는 보조 샤프트(160)를 중심으로 시소처럼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캠 벽(132)이 캠 플레이트(130)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부분에서는, 접촉 단부(182)가 보조 샤프트(160)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커터(181)가 상승(회전 플레이트(15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하게 된다.
캠 벽(132)이 캠 플레이트(13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부분에서는, 접촉 단부(182)가 보조 샤프트(160)보다 위에 위치하여, 커터(181)가 하강(회전 플레이트(150)의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하게 된다.
도 3은 접촉 단부(182)가 캠 벽(132)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동안 커터(181)의 변화되는 위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커터부(180)의 외부에서 회전 플레이트(150)를 바라볼 때 커터(181)의 변화되는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3과 동일한 위치에서 접촉 단부(182)가 캠 벽(132)을 따라 이동할 때, 감(10)의 박피가 이루어지는 박피 영역과, 감(10)이 박피되지 않는 비박피 영역을 표시하고 있다.
감(10)이 감 안착부(111)에 안착된 상태에서, 감(10)은 대략 회전 플레이트(15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따라, 커터(181)가 회전 플레이트(150)의 외측으로 이동하면, 커터(181)와 감(10)이 이격되어 감(10)이 박피되지 않는 비박피 영역이 되고, 커터(181)가 회전 플레이트(150)의 중앙으로 이동하면 감(10)과 커터(181)가 접촉되어 껍질이 제거되는 박피 영역이 된다.
커터(181)가 회전 플레이트(150)의 중앙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스프링(170)은 커터(181)를 감(10)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작용하여, 감(10)이 회전하는 동안 박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커터부(180)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동안 회전 플레이트(150)와 간섭되지 않도록 관통 홈(151)은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접촉 단부(182)가 캠 벽(132)에서 6시 방향을 지나면서 박피가 시작되어 12시 방향에서 박피가 완료된다. 이때, 커터(181)는 감(10)의 측부 하단에서 상단으로 올라가면서 박피하게 된다. 커터(181)는 감(10)의 형상에 맞게 6시 방향에서 12시 방향으로 올라가는 동안 회전 플레이트(150)의 중심에 더 가깝게 이동할 수 있다. 커터(181)와 감(10)이 접촉되어 박피가 이루어지는 동안, 접촉 단부(182)는 감(10)의 형상때문에 캠 벽(132)에는 닿지 않고 약간 이격되어 이동할 수 있다.
접촉 단부(182)가 대략 12시에서 6시 방향 사이에 있을 때는 커터(181)가 감(10)으로부터 이격되고, 이때는 감(10)이 감 안착부(111)에 안착되어 박피를 위해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 박피기에서는 감(10)을 회전시키는 구동 샤프트(110)와, 커터(181)를 감(10)과 접촉 또는 비접촉되게 이동시키는 회전 샤프트(140)가 하나의 구동모터(113)에 연결되어 전체적인 구성과 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다.
이는 회전 샤프트(140)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 플레이트(150)에 부착된 커터부(180)의 접촉 단부(182)가 캠 벽(132)에 접촉되면서 회전되고, 캠 벽(132)의 형상에 따라 커터(181)가 보조 샤프트(160)를 중심으로 하는 시소 운동에 의해 소정 주기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가능하게 되고, 스프링(170)은 감(10)을 박피하는 동안 감(10)과 커터(181)가 접촉을 유지하도록 커터(181)를 회전 플레이트(150)의 중앙으로 당기도록 힘을 작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 감
101 : 프레임
110 : 구동 샤프트
111 : 감 안착부
112 : 고정핀
113 : 구동모터
115 : 흡인모터
126 : 풀리
130 : 캠 플레이트
131: 캠 홈
132 : 캠 벽
140 : 회전 샤프트
150 : 회전 플레이트
151 : 관통 홈
153, 154 : 돌출 바아
160 : 보조 샤프트
170 : 스프링
180 : 커터부
181 : 커터
182 : 접촉 단부

Claims (4)

  1. 감의 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감 박피기에 있어서,
    꼭지가 제거된 감이 안착되는 감 안착부가 형성된 구동 샤프트;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 샤프트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구동 샤프트 내부를 흡인하여 상기 감 안착부에 안착된 감을 지지하는 흡인모터;
    상기 구동모터가 지지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가운데에 캠 홈과 폐곡선 형태의 캠 벽이 형성된 캠 플레이트;
    상기 캠 홈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의 단부에 부착되고 관통 홈이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샤프트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샤프트;
    상기 보조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보조 샤프트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관통 홈을 통해 돌출되는 커터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캠 벽과 접촉되는 접촉 단부가 형성된 커터부;
    상기 커터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터부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앙으로 편향되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구동 샤프트와 동력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커터부의 상기 접촉 단부가 상기 캠 벽과 접촉되면서 회전하고,
    상기 접촉 단부와 상기 캠 벽의 접촉에 따라, 상기 커터는 상기 보조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는 상하운동에 의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비박피 영역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박피 영역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관통 홈은 상기 커터부가 상기 보조 샤프트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될 때 상기 회전 플레이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감 박피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홈의 양측에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캠 플레이트 쪽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돌출 바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샤프트는 상기 제1 및 제2 돌출 바아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감 박피기.
KR1020180019863A 2018-02-20 2018-02-20 감 박피기 KR10198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863A KR101981249B1 (ko) 2018-02-20 2018-02-20 감 박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863A KR101981249B1 (ko) 2018-02-20 2018-02-20 감 박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249B1 true KR101981249B1 (ko) 2019-05-22

Family

ID=6668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863A KR101981249B1 (ko) 2018-02-20 2018-02-20 감 박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8457A (zh) * 2020-12-11 2021-03-30 况文明 一种新会柑榨汁用果肉果皮分离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372Y1 (ko) * 2003-07-30 2003-11-10 성판원 과일 자동 박피기
KR200368214Y1 (ko) * 2004-08-20 2004-11-17 이상돈 과일 박피기
KR101060423B1 (ko) 2009-12-08 2011-08-29 청도군농업기술센터 가공용 감의 자동 박피장치
KR20110128447A (ko) * 2010-05-24 2011-11-30 에스더블유이엔지(주) 과일 박피기
KR101217639B1 (ko) * 2010-07-19 2013-01-11 한명숙 자동 과피 제거 장치
KR101463555B1 (ko) * 2013-11-08 2014-11-20 반중권 과일용 박피기의 컷팅장치
KR20170072752A (ko) * 2015-12-17 2017-06-27 김영수 꼭지 제거를 겸한 감 제피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372Y1 (ko) * 2003-07-30 2003-11-10 성판원 과일 자동 박피기
KR200368214Y1 (ko) * 2004-08-20 2004-11-17 이상돈 과일 박피기
KR101060423B1 (ko) 2009-12-08 2011-08-29 청도군농업기술센터 가공용 감의 자동 박피장치
KR20110128447A (ko) * 2010-05-24 2011-11-30 에스더블유이엔지(주) 과일 박피기
KR101217639B1 (ko) * 2010-07-19 2013-01-11 한명숙 자동 과피 제거 장치
KR101463555B1 (ko) * 2013-11-08 2014-11-20 반중권 과일용 박피기의 컷팅장치
KR20170072752A (ko) * 2015-12-17 2017-06-27 김영수 꼭지 제거를 겸한 감 제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8457A (zh) * 2020-12-11 2021-03-30 况文明 一种新会柑榨汁用果肉果皮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65306B2 (ko)
KR100310981B1 (ko) 절연피복제거장치
JPS623777A (ja) 果物及び野菜の皮むき機
US5878643A (en) Curl type sandwich automatic cutting device
KR101981249B1 (ko) 감 박피기
JP2020018254A (ja) 果実野菜皮むき装置及び果実野菜皮むき方法
JPH01309672A (ja) 果実の皮むき装置
KR20150105107A (ko) 분절기능을 갖는 과일탈피장치
JPH06343438A (ja) 棒状野菜の皮剥き装置
FR2512395A1 (fr) Procede et appareil pour rendre illisible le texte marque sur des rubans uses en plastique carbone de machines a ecrire ou analogues
TWM580390U (zh) Batch peeling machine
JP3625529B2 (ja) カキ・ホタテ剥き機
KR200198533Y1 (ko) 야채절단장치
JPS6338788Y2 (ko)
JPH053271B2 (ko)
JP4976961B2 (ja) 被覆線剥皮装置
JPH0455664B2 (ko)
JP3061383U (ja) 瓜類の種取装置
SU1307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езани ботвы у корней свеклы к теребильному аппарату свекло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JP3108383B2 (ja) 巻線装置
JP2000166778A (ja) ゆで卵の殻切断器
JPH11114913A (ja) 木材裁断加工機用の安全装置
US2604686A (en) Bobbin stripper
JPH09271375A (ja) 皮剥機
KR19990011859U (ko) 닭발가락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