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915B1 - 이동단말에서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에서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915B1
KR101980915B1 KR1020120088181A KR20120088181A KR101980915B1 KR 101980915 B1 KR101980915 B1 KR 101980915B1 KR 1020120088181 A KR1020120088181 A KR 1020120088181A KR 20120088181 A KR20120088181 A KR 20120088181A KR 101980915 B1 KR101980915 B1 KR 101980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obile terminal
bezel
touch event
change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1861A (ko
Inventor
이윤우
임영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9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Abstract

이동단말에서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터치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히스토리를 저장하고,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히스토리를 참조로, 터치인식영역에 대한 폭변화율을 계산하여, 상기 폭변화율이 소정 역치보다 큰 경우, 이동단말의 베젤영역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판단하여, 터치모드로의 진입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에서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METHOD FOR DETECTING WRONG TOUCH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단말에서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젤(bezel)이란,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부 주변의 테두리를 말한다. 최근 스마트폰(smartphone) 등 이동단말의 보급화되면서, 이동단말의 디스플레이부가 대형화되고 베젤이 슬림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베젤영역이 지나치게 얇은 경우, 사용자가 이동단말에 대한 그립동작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에 진입하게 되어,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단말의 그립시 베젤영역에 대한 터치 오동작을 판별하여,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이동단말의 베젤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이동단말의 터치 오동작 검출방법은, 터치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단계;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히스토리를 참조로, 터치인식영역에 대한 폭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폭변화율이 소정 역치보다 큰 경우, 이동단말의 베젤영역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판단하여, 터치모드로의 진입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터치이벤트가 그립동작이 아니고, 베젤영역에 대한 터치가 아닌 경우, 터치모드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폭변화율이 상기 소정 역치보다 작은 경우, 터치모드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터치인식영역의 중심점의 좌표와, 터치인식영역의 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소정 역치는, 손가락과 손바닥에 의한 터치입력의 폭변화율의 상대적인 차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터치인식영역의 폭변화율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터치이벤트가 베젤터치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베젤터치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터치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어, 베젤터치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의 일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손에 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센싱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의 일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이동단말(1)은 바(bar) 형태의 스마트폰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패드형 컴퓨터(pad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 디스플레이부와 주변부에 베젤이 적용될 수 있는 어떠한 이동단말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베젤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TV 등의 고정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1)의 바디(body)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단말(1)의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1)에는 디스플레이부(21), 음향출력부(22), 카메라(23), 마이크(24), 사용자 입력부(25), 인터페이스부(2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는 프론트 케이스(1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21)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22)와 카메라(23)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25)와 마이크(24)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의 주변을 둘러싸는 베젤(30)은, 디스플레이부(21)와 프론트 케이스(1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임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은 이동단말(1)은,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을 자명하다.
도 2는 사용자가 이동단말을 손에 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단말(1)을 손에 쥐는 경우에, 사용자의 손과 베젤(30)이 만나는 영역(A 내지 E)이 발생하며, 이동단말(1)을 쥐는 손가락이 디스플레이부(21)쪽으로 중복되는 경우, 터치모드에 진입하는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이동단말(1)은, 제어부(50), 센싱부(40), 디스플레이부(21) 및 저장부(6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과 관련되는 구성요소만을 도 3에 도시하였을 뿐, 이동단말(1)이 본 발명과 무관한 복수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임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1)는 이동단말(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1)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또는 그래픽UI(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표시한다. 이동단말(1)이 화상통화모드 또는 촬영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0)는, 사용자가 이동단말(1)을 그립(grip)하는 것을 검출하고, 디스플레이부(21)의 접촉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센싱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1)의 센싱부(40)는 그립센서(41) 및 터치센서(42)를 포함한다.
그립센서(41)는, 도 1과 같은 이동단말(1)의 측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이동단말(1)에 대한 그립(grip)동작을 검출한다. 또한, 그립센서(41)는, 사용자가 이동단말(1)을 그립한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그립센서(41)에 대한 그립동작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제어부(50)로 전송된다. 이로써, 제어부(50)는 이동단말(1)의 측면의 어느 영역이 그립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다.
터치센서(42)는 디스플레이부(2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42)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42)에 대한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는 제어부(50)로 전송된다. 이로써,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21)의 어느 영역이 터치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다.
제어부(50)는 그립센서(41) 또는 터치센서(42)로부터 그립동작 또는 터치입력('터치이벤트'라 함)이 있는 경우, 베젤(30)영역에 대한 터치인 베젤터치에 의해 터치모드로 진입하는 오동작을 판별하여, 터치모드에 진입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50)는, 터치이벤트가 있는 터치인식영역의 폭(width) 변화율을 기준으로 오동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터치이벤트가 있는 경우, 터치입력에 대한 히스토리를 저장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50)는, 그립센서(41) 또는 터치센서(42)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터치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확인한 경우(S51),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히스토리(history)를 저장부(60)에 저장한다(S52).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터치인식영역의 중심점의 좌표 및 터치인식영역의 폭을 포함한다. 터치인식영역의 폭은, 터치인식영역 중 가장 그 길이가 긴 길이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터치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인식영역(T)의 중심점(P)의 좌표와, 그 폭(W)을 검출하고, 이 정보의 히스토리를 저장부(60)에 저장한다.
제어부(50)는, 터치이벤트가 그립센서(41)에 의해 그립동작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S53), 또는, 그립동작이 아닌 경우에도, 베젤영역에 대한 터치이벤트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S54), 터치이벤트 정보의 히스토리를 참조로, 터치인식영역에 대한 폭변화율을 계산한다(S56).
이후, 제어부(50)는, 이 폭변화율과 미리 설정된 역치를 비교한다(S57). 역치(threshold)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손바닥에 의한 터치입력의 폭변화율의 상대적인 차이로 결정되는 것으로서, 이동단말(1)의 제조시 미치 결정되어 저장부(6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에 의한 터치입력인 경우 폭변화율이 적고, 손바닥에 의한 터치입력인 경우 폭변화율이 크다. 따라서, 역치는, 이 사이의 값에서 결정된다.
폭변화율이 역치보다 큰 경우(S57), 손바닥에 의한 터치입력으로 판단하여, 배젤터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S58), 터치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제한한다. 한편, 폭변화율이 역치보다 작은 경우(S57), 손가락에 의한 터치입력으로 판단하여, 베젤터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S55), 터치모드에 진입하도록 허용한다.
한편, 그립동작이 아니고, 베젤영역에 대한 터치이벤트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경우(S53, S54)에는, 베젤터치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S55), 터치모드에 진입하도록 허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인식영역의 폭변화율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터치이벤트가 베젤터치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베젤터치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터치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어, 베젤터치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 디스플레이부 40: 센싱부
41: 그립센서 42: 터치센서
50: 제어부 60: 저장부

Claims (5)

  1. 이동단말의 측면에 부착된 그립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단말에 대한 그립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터치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
    터치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히스토리를 저장하는 단계;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히스토리를 참조로, 터치인식영역에 대한 폭변화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그립 동작이 검출되고, 상기 폭변화율이 소정 역치보다 큰 경우, 이동단말의 베젤영역에 대한 터치인 것으로 판단하여, 터치모드로의 진입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터치 오동작 검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터치이벤트가 그립동작이 아니고, 베젤영역에 대한 터치가 아닌 경우, 터치모드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터치 오동작 검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변화율이 상기 소정 역치보다 작은 경우, 터치모드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터치 오동작 검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이벤트에 대한 정보는,
    터치인식영역의 중심점의 좌표와, 터치인식영역의 폭을 포함하는 이동단말의 터치 오동작 검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역치는,
    손가락과 손바닥에 의한 터치입력의 폭변화율의 상대적인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이동단말의 터치 오동작 검출방법.
KR1020120088181A 2012-08-13 2012-08-13 이동단말에서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 KR101980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181A KR101980915B1 (ko) 2012-08-13 2012-08-13 이동단말에서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181A KR101980915B1 (ko) 2012-08-13 2012-08-13 이동단말에서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861A KR20140021861A (ko) 2014-02-21
KR101980915B1 true KR101980915B1 (ko) 2019-05-21

Family

ID=5026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181A KR101980915B1 (ko) 2012-08-13 2012-08-13 이동단말에서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9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2976A1 (en) * 2005-12-30 2007-07-05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20090174679A1 (en) * 2008-01-04 2009-07-09 Wayne Carl Westerma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919B1 (ko) * 2008-08-21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7586B1 (ko) * 2010-07-12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85363B1 (ko) * 2010-09-27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2976A1 (en) * 2005-12-30 2007-07-05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20090174679A1 (en) * 2008-01-04 2009-07-09 Wayne Carl Westerma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861A (ko) 201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6961B2 (en) Electronic apparatus,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WI679562B (zh) 回應於力敏介面之電子裝置
US9024892B2 (en) Mobile device and gesture determination method
US201300501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luding operations associated with accidental touch inputs
US20150268789A1 (en)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ally triggering edge swipe gesture and gesture triggering
US10514797B2 (en) Force-sensitive user input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9016080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method
US9965086B2 (en) Method for enabling function module of terminal, and terminal device
US9423883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validity of touch key input used for the electronic apparatus
US11086412B2 (en) Method for determining display orient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502421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WO2014109262A1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US201601792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put method and program
JP2016006609A (ja) 電子機器
WO2019091455A1 (zh) 触摸识别方法、触摸装置
CN105653168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JP5679595B2 (ja) 電子機器及び座標判定方法
US9557848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5736551B1 (ja)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JP5639487B2 (ja) 入力装置
KR101980915B1 (ko) 이동단말에서 터치 오동작을 검출하는 방법
US20170285899A1 (en) Display device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with display control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40320430A1 (en) Input device
US20150024721A1 (en) Automatically connecting/disconnecting an incoming phone call to a data processing device based on determining intent of a user thereof to respond to the incoming phone call
TW201504876A (zh) 防止手掌誤觸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