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888B1 - 유량계 - Google Patents

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888B1
KR101980888B1 KR1020180008802A KR20180008802A KR101980888B1 KR 101980888 B1 KR101980888 B1 KR 101980888B1 KR 1020180008802 A KR1020180008802 A KR 1020180008802A KR 20180008802 A KR20180008802 A KR 20180008802A KR 101980888 B1 KR101980888 B1 KR 101980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mbers
inlet
outlet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선
Original Assignee
최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운선 filed Critical 최운선
Priority to KR102018000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888B1/ko
Priority to CN201811286033.1A priority patent/CN11006837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2Compensating or correcting for variations in pressure, density or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01F15/185Connecting means, e.g. bypass conduits

Abstract

유량계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이 표시되고 부유체가 내부에 삽입되어 부력 변동에 의해 이동되는 게이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기 형성되는 상,하 결합부와, 상기 상,하 결합부에 각기 결합되는 인출구와 인입구가 양단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뒷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제1,2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부재는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조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장착부를 분할된 제1,2부재에 인입구와 인출구를 용접하였고, 인입구 또는 인출구가 열변형에 의해 뒤틀린 상태가 되더라도 분할된 제1,2부재를 조절부를 이용하여 길이와 각도를 보정할 수 있어 누설 발생 요인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량계{FLOWMETER}
개시되는 내용은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흐름량을 표시하는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량계는 공기, 물 등의 유체의 흐름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가스 유량계는 유리관 부유식 면적 유량계, 차압 면적식 유량계, 판넬형 부유식 면적 유량계, 금속관 부유식 면적 유량계 또는 터빈 유량계 등 가스 유량계는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를 갖는다.
종래 유체 흐름을 측정하는 유량계는 게이지의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인입구와 유출되는 인출구가 형성되며, 게이지에는 볼이 내장되어 유체에 의해 볼이 이동함으로써 게이지에 형성된 눈금을 지시하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 유량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이 표시되고 부유체가 내장되어 수직 이동되는 게이지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양측에 각기 형성되는 결합부(142',144')와, 결합부(142',144')에 각기 결합되는 인출구(220')와 인입구(240')가 양단에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뒷면에 장착되는 장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장착부(300')의 양측에 인입구(240')와 인출구(220')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열변형에 의한 뒤틀림이 발생되었다.
뒤틀림이 발생된 인입구(240') 또는 인출구(220')를 결합부(142',144')에 결합시키면 튀틀어진 각도로 인하여 인입구와 인출구의 외면에 부착된 패킹이 하우징의 결합부의 내주면에 균일하게 밀착되지 못하게 되므로 기밀상태가 유지될 수 없어 누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인입구(240') 또는 인출구(220')에 니플을 나사 결합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강한 조임력을 가했을때 장착부(300')가 영향을 받아 비틀어지게 됨으로써 인입구(240') 및 인출구(220')가 결합부(142',144')에 정확하게 결합되지 못하여 누설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6-0126339호
개시되는 내용은 장착부의 뒤틀림 현상을 개선함으로써 하우징과 장착부를 조립할때 누설 발생 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량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이 표시되고, 부유체가 내부에 삽입되어 부력 변동에 의해 이동되는 게이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기 형성되는 상,하 결합부와, 상기 상,하 결합부에 각기 결합되는 인출구와 인입구가 양단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뒷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제1,2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부재는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조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유량계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를 분할된 제1,2부재에 인입구와 인출구를 용접하였고, 인입구 또는 인출구가 열변형에 의해 뒤틀린 상태가 되더라도 분할된 제1,2부재를 조절부를 이용하여 길이와 각도를 보정할 수 있어 누설 발생 요인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결합된 측면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결합된 저면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결합된 측면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결합된 저면도,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나타낸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A)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이 표시되고 부유체(미도시)가 내부에 삽입되어 부력 변동에 의해 이동되는 게이지(12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기 형성되는 상,하 결합부(142,144)와, 상기 상,하 결합부(142,144)에 각기 결합되는 인출구(220)와 인입구(240)가 양단에 형성되고 하우징(100)의 뒷면에 장착되는 장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투명재질이며 대개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이루어진다.
게이지(120)는 하우징(100)의 전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레벨바(122)와, 레벨바(122)의 양측에 눈금이 표시되며, 레벨바(122)에 대응되도록 내측에 파이프(124)가 형성되고, 파이프(124)의 내부에 부유체가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부유체는 구슬이 적용된다.
하우징(100)의 양측에 상,하 결합부(142,144)가 각기 형성된다. 하우징(100)을 수직하게 형성하였을때를 기준으로 상,하부를 정한다.
상,하 결합부(142,144)는 각기 원통형상이며, 상기 파이프(124)의 양단에 통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 인출구(220)와 인입구(240)가 결합되되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인출구(220)와 인입구(240)의 외주면에 패킹(260)이 구비되어 상,하 결합부(142,144)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장착부(30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제1,2부재(310,32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제1부재(310)는 측면에 측벽이 형성되어 단면이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인출구(220)가 결합되며, 타측에는 길이를 갖는 조절공(340)이 형성된 삽입부(314)가 형성된다.
제2부재(320)는 측면에 측벽이 형성되어 단면이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인입구(240)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부재(310)의 삽입부(314)로 삽입되는 텅(322)이 형성되며, 상기 텅(322)에는 조절공(340)에 대응되는 나사공(323)이 형성된다.
텅(322)은 제2부재(320)의 일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어 단턱(326)이 형성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단턱(326)의 높이는 제1부재(310)의 두께만큼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텅(322)이 제1부재(310)의 삽입부(314)에 삽입되어 제1부재(310)의 저면에 밀착되고, 제1부재(310)와 제2부재(320)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부재(310,320)는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조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조절부는 상기 제1부재(3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공(340)과, 제2부재(3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절공(340)에 대응되는 나사공(323) 및 상기 조절공(340)과 나사공(323)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나사(360)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부재(320)의 텅(322)을 제1부재(310)의 삽입부(314)에 삽입한 후 나사공(323)과 조절공(340)이 일치된 상태에서 제1,2부재(310,3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또 제1,2부재(310,320)를 상하로 미세한 각도로 회전시켜 인입구(240)와 인출구(220)가 결합될 위치, 즉 하우징(100)의 양측에 상,하 결합부(102,104)의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2부재(310,320)에 각기 인입구(240)와 인출구(220)를 용접할때 열변형에 의해 제1,2부재(310,320)의 판부위에 뒤틀림이 발생될 수 있으나 상기 조절공(340)과 나사공(323)의 간격이나 좌우 편차를 조절함으로써 이러한 뒤틀림을 보정하여 인입구(240)와 인출구(220)가 하우징(100)의 상,하 결합부(142,144)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부재(310,320) 각각은 측벽에 고정공(319,329)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된 볼트(382)가 상기 고정공(319,329)에 결합되도록 하여 제1,2부재(310,320)가 하우징(100)과 일체가 되어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유량계를 테스트하기 위해 종래 기존 제품과 개선된 본 실시예(개선 제품)에 대한 누설 실험을 실시하였고 다음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존 제품 개선 제품
샘플 수량 40개 40개
pass 수량 34개 40개
누설 발생 수량 6개 0개
누설 발생률 15% 0%
테스크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른 개선 제품에서는 누설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기존 제품 대비 성능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하우징 120 ; 게이지
142 : 상 결합부 144 : 하 결하부
220 : 인입구 240 : 인출구
300 : 장착부 310 : 제1부재
320 : 제2부재 340 : 조절공
360 : 나사

Claims (5)

  1. 투명재질로 형성되며 전면에 눈금이 표시된 게이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및 하부에 각기 형성되는 상,하 결합부와, 상기 상,하 결합부에 각기 결합되는 인출구와 인입구가 양단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뒷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제1,2부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2부재는 간격과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조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공과, 제2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조절공에 대응되는 나사공 및 상기 조절공과 나사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재는 측면에 측벽이 형성되고, 일측에 인출구가 결합되며, 타측에는 길이를 갖는 조절공이 형성된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부재는 측면에 측벽이 형성되고, 인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제1부재의 삽입부로 삽입되는 텅이 형성되며, 상기 텅에는 조절공에 대응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텅은 제2부재의 일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어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의 높이는 제1부재의 두께만큼 형성되며,
    상기 텅이 제1부재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제1부재의 저면에 밀착되어, 제1부재와 제2부재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부재 각각은 측벽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볼트가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어 고정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계.


KR1020180008802A 2018-01-24 2018-01-24 유량계 KR101980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02A KR101980888B1 (ko) 2018-01-24 2018-01-24 유량계
CN201811286033.1A CN110068377B (zh) 2018-01-24 2018-10-31 流量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802A KR101980888B1 (ko) 2018-01-24 2018-01-24 유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888B1 true KR101980888B1 (ko) 2019-05-22

Family

ID=6667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802A KR101980888B1 (ko) 2018-01-24 2018-01-24 유량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0888B1 (ko)
CN (1) CN110068377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32A (ja) * 1996-06-28 1998-01-23 Mitsuwa Gas Kiki Kk ガスメータ取付ユニット
KR20060126339A (ko) 2005-06-03 2006-12-07 여수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 유량계
KR20170131620A (ko) * 2015-03-25 2017-11-29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진동 유량계에서 브레이즈 조인트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0149B2 (en) * 2001-01-22 2004-05-04 Ricoh Company Limited Ink composition and inkjet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ink composition
CN2793458Y (zh) * 2005-05-08 2006-07-05 张厚珕 旋转密封装置
KR101037532B1 (ko) * 2009-04-14 2011-05-26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가스계량기 지지대
CN202393432U (zh) * 2011-11-10 2012-08-22 深圳市精佳电器有限公司 一种电子流量计
CN103591987A (zh) * 2013-11-26 2014-02-19 哈尔滨理大晟源科技开发有限公司 塑料管转子流量计及测量安装方法
FR3020460B1 (fr) * 2014-04-29 2017-12-08 L'air Liquide Sa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Dispositif de mesure de pression, robinet, stockage et installation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JP6597069B2 (ja) * 2015-09-02 2019-10-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センサーユニット、電子機器、および移動体
CN206772206U (zh) * 2017-04-25 2017-12-19 中国计量大学 一种简易超声波水表反射片微角度变化测量装置
CN107606338A (zh) * 2017-09-04 2018-01-19 无锡市永兴金属软管有限公司 一种基于流量检测的金属软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32A (ja) * 1996-06-28 1998-01-23 Mitsuwa Gas Kiki Kk ガスメータ取付ユニット
KR20060126339A (ko) 2005-06-03 2006-12-07 여수대학교산학협력단 가스 유량계
KR20170131620A (ko) * 2015-03-25 2017-11-29 마이크로 모우션, 인코포레이티드 진동 유량계에서 브레이즈 조인트 응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68377A (zh) 2019-07-30
CN110068377B (zh)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028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etering fluid flow
EP0547617B1 (en) Mass flow meter and method
US10794794B2 (en) Flow conditioner
US7096744B2 (en) Softwar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ariable orifice flow meter
Grace et al. Discharge coefficients of small-diameter orifices and flow nozzles
EP0749058A2 (en) Pressure type flow rate control apparatus
US20060288799A1 (en) Softwar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ariable orifice flow meter
US3805612A (en) Orifice flow meter
KR101980888B1 (ko) 유량계
US6732596B2 (en) Critical gas flow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3779076A (en) Flow metering run with orifice plate
KR101283285B1 (ko) 유체 누설 공급 장치
JP2002228533A (ja) 計測装置、および計測システム
JP7084225B2 (ja) 流量測定装置
US4462258A (en) Pressure sensor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050211000A1 (en) Flowmeter
KR20120041291A (ko) 정적형 유량계를 이용한 소닉 노즐 유출계수 교정 장치 및 방법
KR100805168B1 (ko) 가스미터 교정 시스템
RU2813241C1 (ru) Осредняющая напорная трубка Пито (ОНТ)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схода жидкости и газа методом переменного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N204128604U (zh) 一种奥氏t巴流量计
CN219694239U (zh) 圆楔形流量计
US3521486A (en) Differential pressure-responsive device for measuring fluid flow rate including a shaped spring for square root extraction
JPS60140122A (ja) 面積式流量計
JP6249934B2 (ja) 差圧流量計
CN105973336A (zh) 导流反射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