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339A - 가스 유량계 - Google Patents

가스 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339A
KR20060126339A KR1020050068724A KR20050068724A KR20060126339A KR 20060126339 A KR20060126339 A KR 20060126339A KR 1020050068724 A KR1020050068724 A KR 1020050068724A KR 20050068724 A KR20050068724 A KR 20050068724A KR 20060126339 A KR20060126339 A KR 20060126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as
flow meter
light emitting
gas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온
조기량
Original Assignee
여수대학교산학협력단
김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수대학교산학협력단, 김온 filed Critical 여수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60126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3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01F1/2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variable-area meters, e.g. rot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5Indication of measured value by colour ch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G01D7/04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using a separate indicating element for each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01F3/0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3/2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flexible movable walls, e.g. diaphragms, bellows
    • G01F3/2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flexible movable walls, e.g. diaphragms, bellows for g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오염 측정용 가스 분석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유량계의 튜브 주위에 발광부
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튜브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에 비례하여 튜브 내부에 있는 유동체가 떠 있는 높이를 발광부와 수광부를 통해 검출하여 유입된 가스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유량계는, 가스가 유입되는 튜브; 튜브 내에 삽입되어 가스의 유입량에 비례하여 튜브 내에서 상하로 유동하는 유동체; 튜브의 어느 한쪽 면에는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발광부; 및 발광부와 각각 대향 되는 면에는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가스 유량계에 자동제어기술을 접목한 환경계측장비용 가스 유량계를 제공하여 제어수단을 통해 가스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 내에 유입된 가스 유량의 흐름이 미소한 경우에도 단계별로 감시 또는 측정이 가능하며, 유입된 가스의 양이 상한과 하한 시에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스 유량계, TMS 시스템, 유동체,

Description

가스 유량계{Gas Flow Meter}
도 1은 종래의 부유식 면적 유량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유량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가스 유량계의 측정 구간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가스 유량계를 이용한 대기오염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가스유입구 : 10 튜브 : 20
가스배출구 : 30 발광부 : 40
수광부 : 50 유동체 : 60
하우징 : 70
본 발명은 대기 오염 측정용 가스 분석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유량계의 튜브 주위에 발광부
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튜브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에 비례하여 튜브 내부에 있는 유동체가 떠 있는 높이를 발광부와 수광부를 통해 검출하여 유입된 가스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유량계는 많은 산업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는 각종 공장 등의 굴뚝에서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불러 일으키는 대기오염물질을 측정하는 장비와 관련하는 TMS(Tele Metering System) 장비에 활용되는 가스 유량계로 본다.
여기서, TMS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는 물질로는 SO2, NOX, CO, HCl, HF, NH3 또는 O2 등과 같은 것이다.
TMS 시스템이란, 환경오염정보 자동감시시스템이라고도 불리 우며 환경오염 측정장비와 중앙의 관제 시스템이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원격지에서 환경오염 측정장비를 감시하고 제어하여 측정된 오염 정보를 수집, 분석 및 가공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또한, TMS 시스템은 대기, 굴뚝, 수질 자동측정망 시스템이 있으며 최근에는 그 중요도가 높아져 별도로 분리 운영되고 있는 오존 측정 및 경보 시스템 분야도 있다.
더 나아가 TMS 시스템은 각 측정소 및 업체에서 발생되는 오염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긴급사태 발생시 신속하게 대처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에 전술한 TM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가스 유량계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종래의 가스 유량계를 살펴 보자면 다음과 같다.
유리관 부유식 면적 유량계, 차압 면적식 유량계, 판넬형 부유식 면적 유량계, 금속관 부유식 면적 유량계 또는 터빈 유량계 등 가스 유량계는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스 유량계는 내부에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관로를 형성하여 유입구에 유입된 가스에 비례하여 관로 내부에 있는 유동체가 부유할 때, 가스 유량계를 고정하도록 하는 하우징에 형성된 눈금을 보고 직독, 직해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환경 오염도를 측정하는 TMS 시스템에는 가스 유량계 중 면적식 유량계 또는 부유식 면적 유량계 등이 사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부유식 면적 유량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식 면적 유량계는 하측에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1)가 있고, 가스유입구(1)가 니들밸브(6)와 연결배관 되어 있다.
가스유입구(1)와 니들밸브(6) 사이 중앙부에는 튜브(5)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튜브(5)는 투명한 트래퍼 튜브이고, 튜브(5)의 내부에는 가스의 유입량에 비례하여 수직방향 상하로 부유 이동하는 유동체 즉, 플로트(4)가 튜브(5)의 중앙부에 있는 가이드 바(3)를 축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플로트(4)의 형상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의 형태가 있다.
튜브(5)의 상측에는 하측으로 유입된 가스가 배출되도록 튜브(5)와 연결되는 가스배출구(2)가 형성된다.
여기서, 튜브(5)를 중앙부에 고정하되 튜브(5)의 상측과 하측에는 가스유입구(1)와 가스배출구(2)의 일부가 외부로 나타나도록 하우징(7)으로 고정하여 부유식 면적 가스 유량계가 구현된다.
상술한 종래의 부유식 면적 유량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가스유입구(1)를 통해 들어오는 가스는 튜브(5)로 유입한다.
단, 튜브(5) 내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하는 측정조건을 갖는다.
따라서, 튜브(5) 내에 유입시키고자 하는 가스에 따라 니들밸브(6)를 조정하여 튜브(5) 내에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유입된 가스는 튜브(5)를 따라 유입되고, 가이드 바(3)를 축으로 설치된 플로트(4)가 유입된 가스의 비례하여 튜브(5) 내에서 부유하게 된다.
여기서, 플로트(4)가 부유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튜브(5) 내에 가스가 유입되면 유속에 따라 튜브(5) 내에 있는 플로트(4)의 전·후에 차압이 발생한다.
차압에 의하여 튜브(5) 내로 유입된 가스의 유속은 감소 되고 플로트(4)를 기준으로 한 전·후의 차압과 유효 중량이 균등한 지점에서 플로트(4)는 정지한다.
여기서, 튜브(5) 내에 유입된 가스의 유량은 튜브(5)의 면적과 비례관계이기 때문에 플로트(4)가 정지한 위치에서, 플로트(4) 상측에 위치한 지시 바를 기준으로 하우징(7)에 기입된 눈금을 읽어 유입된 가스의 유량을 직독, 직해한다.
상기 전술한 부유식 면적 유량계는 ON, OFF 동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접점장치를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점장치를 부가하는 이유는 유량계의 부피(크기)에 따른 설치조건의 어려움과 고가인 이유로 환경계측 장비에서는 일반적으로 On-Off 개념의 유량계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On-Off 개념의 유량계는 펌프 고장이나 튜브의 막힘, 유체의 누설로 인한 유량(압력)의 변화가 발생하여 가스가 완전히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만 가스 분석기에서 알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가스 유량계는, 사전 예방 차원의 가스 유량 감시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환경계측장비의 fault 방지를 위한 고효율, 저비용 그리고 설치환경에 구애받지 않는 유량계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유량계에 자동제어기술을 접목한 환경계측장비용 적응형 가스 유량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브 내에 유입된 유량의 흐름이 미소한 경우에도 단계별로 감시가 가능하며, 유입된 가스의 양이 상한과 하한 시에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브의 막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소형 및 경량의 가스 유량계를 제공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갖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유량계는, 대기 오염 측정용 가스 분석시스템에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스가 유입되는 튜브; 튜브 내에 삽입되어 가스의 유입량에 비례하여 튜브 내에서 상하로 유동하는 유동체; 튜브의 어느 한쪽 면에는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발광부; 및 발광부와 각각 대향 되는 면에는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유동체는 원형의 볼 형상을 갖되; 상기 튜브로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그 재질이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광부는 다 수개로 적층 된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수광부는 다 수개로 적층 된 포토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포토센서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광학에너지의 수신여부를 검출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수단은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광학에너지를 상기 포토센서가 수신하지 못하는 구간을 측정값으로 환산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유량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가스 유량계의 측정 구간을 확대한 확대도 이며, 도 4는 가스 유량계를 이용한 대기오염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유량계의 구조는,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10)에 연결 배관 되는 튜브(20)가 있고, 튜브(20)의 상측에는 유입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30)가 형성된다.
튜브(20) 내부에는 가스의 유입량에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유동체(60)가 형성되고, 튜브(20)의 외쪽에는 튜브(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발광부(40)가 형성된다.
또한, 발광부(40)와 각각 대향 되는 면에는 튜브(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광부(50)가 형성된다.
여기서, 튜브(20) 내부에 형성된 유동체(60)는 원형의 볼 형상을 갖되, 튜브(20)로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튜브(20) 내에서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그 재질이 가벼운 것이어야 한다.
한편, 튜브(20)의 바깥쪽에 형성된 발광부(40)는 다 수개로 적층 된 발광다이오드이고, 수광부(50)는 다 수개로 적층 된 포토센서인 것이어야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유량계의 구조에서, 포토센서는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광학에너지의 수신 여부를 검출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수단(80)이 더 구비되어 본 발명을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수단(80)은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광학에너지를 포토센서가 수신하지 못하는 구간을 측정값으로 환산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인 것이어야 한다.
여기서, 가스유입구(10)와 가스배출구(30) 사이에 바이패스단을 달아 가스유입구(10)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튜브(20)를 통하여 가스배출구(30)로 나가지 않고 바이패스단을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니들밸브와 같은 장치를 가스유입구(10) 또는 튜브(20)에 설치하여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스 유량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먼저,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스유입구(10)에 가스를 유입한다.
단, 제어수단(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부(40) 및 수광부(50)는 다음과 같은 조건하에 있어야 한다.
발광부(40)는 제어수단(80)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발광부(40)와 각각 대응되는 면에 위치한 수광부(50)에 광학에너지를 발산한다.
수광부(50)는 발광부(40)에서 발산하는 광학에너지의 수신 여부를 전송하기 위해 제어수단(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모든 수광부(50)는 발광부(40)로 부터 광학에너지를 수신하고 있어야 한다.
즉, 이것은 튜브(20) 내에 가스가 유입이 되지 않은 초기상태와 같다.
유입된 가스의 양과 유속에 따라 튜브(20) 내에 있는 유동체(60)의 전·후에 차압이 발생한다.
차압에 의하여 튜브(20) 내로 유입된 가스의 유속은 감소 되고 유동체(60)를 기준으로 한 전·후의 차압과 유효 중량이 균등한 지점에서 유동체(60)는 정지한다.
여기서, 튜브(20) 내에 유입된 가스의 유량은 튜브의 내 면적과 유동체(60)에 비례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튜브(20) 내에 유입된 가스의 양에 비례하여 유동체(60a)가 특정 지점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참고 적으로, 튜브(20)를 중심으로 양 측면에 대향 된 각각의 발광부(40)와 수광부(50)를 한 개의 그룹으로 정하고, 다 수개만큼 적층 된 발광부(40)와 수광부(50)는 그 한 개의 그룹이 하나의 지시눈금이 된다.
이때, 발광부(40a)로부터 발산되는 광학에너지(E)를 수신하고 있던 수광부(50a)는, 튜브(20) 내의 특정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유동체(60a)에 의해 광학에너지(E)를 수신하지 못하는 수광부(50a)가 발생하는데, 이를 검출부위(90)라 하겠다.
상기 특정 지점에 발생한 검출부위(90)는, 그 지점에 위치한 수광부(50a)가 광학에너지(E)를 수신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제어수단(80)은 그 특정 지점을 가스가 유입된 양으로 인식하고, 가스의 유입 양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산출량은 튜브(20), 유동체(60) 및 제어수단(80)에 의해 산출된다.
단, 산출된 값은 실험을 통한 실험치를 기준으로 설정하되, 실험치에 따라서 발광부(40)와 수광부(50)에 검출된 가스 유입량의 기준 값은 변할 수 있다.
한편, 가스의 유입량(F)와 튜브(20)의 면적(S) 사이의 관계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5041386843-PAT00001
여기서,
K : 유량계수
g : 중력 가속도
Vr : 볼의 체적
Ar : 볼의 최대 직경 부에서의 단면적
ρr : 볼의 밀도
ρ0 : 기체의 밀도를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80)에 검출된 유입량은 제어수단(80)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산출된 가스의 유입량을 볼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제어수단(80)에는 메모리 장치를 구비하여 검출된 가스의 유량을 적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 출력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유량계는 다음과 같이 응용된다.
도 4는 가스 유량계를 이용한 대기오염 측정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일반적으로 TMS 시스템이라 한다.
여기서, 굴뚝(100)에서 배출되는 각종 먼지, 가스등을 프로브(110)를 이용하여 시료 가스를 채취한다.
채취된 시료 가스는 제습기(120)를 통하여 입자상 물질만을 최소한으로 제거한 후 시료 가스는 필터(130)를 통하여 시료 가스를 희석하는 등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펌프(140)에 의해 가스 유량계(300)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시료 가스 유량은 가스 유량계(300)에 의하여 유입된 시료 가스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되고, 이후 가스분석기(150)로 유입되어 유입된 가스의 성분을 분석하거나 굴뚝 내에서 배출되는 가스 등이 환경오염에 끼치는 영향들에 대해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유량계(300)는 튜브(20) 내에 유입된 가스 유량의 흐름이 미소한 경우에도 단계별로 감시 또는 측정이 가능하며, 유입된 가스의 양이 상한과 하한 시에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튜브(20)의 막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소형 및 경량의 가스 유량계(300)를 제공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갖는다.
또한, 가스 유량계(300)가 경량이고 제어수단(80)이 구비되어 TMS 시스템 외의 산업현장 등에서 발생 또는 배출되는 가스 유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가스 유량계에 자동제어기술을 접목한 환경계측장비용 적응형 가스 유량계를 제공하여 제어수단을 통해 가스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 내에 유입된 가스 유량의 흐름이 미소한 경우에도 단계별로 감시 또는 측정이 가능하며, 유입된 가스의 양이 상한과 하한 시에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의 막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미리 방지할 수 있고, 소형 및 경량의 가스 유량계를 제공하여 설치의 용이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대기 오염 측정용 가스 분석시스템에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스가 유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 내에 삽입되어 상기 가스의 유입량에 비례하여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로 유동하는 유동체;
    상기 튜브의 어느 한쪽 면에는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와 각각 대향 되는 면에는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수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원형의 볼 형상을 갖되; 상기 튜브로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그 재질이 가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량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다 수개로 적층 된 발광다이오드이고, 상기 수광부는 다 수개로 적층 된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량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센서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광학에너지의 수신 여부를 검출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가스 유량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산되는 광학에너지를 상기 포토센서가 수신하지 못하는 구간을 측정값으로 환산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유량계.
KR1020050068724A 2005-06-03 2005-07-28 가스 유량계 KR200601263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7581 2005-06-03
KR1020050047581 2005-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339A true KR20060126339A (ko) 2006-12-07

Family

ID=3773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724A KR20060126339A (ko) 2005-06-03 2005-07-28 가스 유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63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888B1 (ko) 2018-01-24 2019-05-22 최운선 유량계
CN112083026A (zh) * 2019-06-12 2020-12-15 株式会社岛津制作所 自燃试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486A (en) * 1984-05-22 1986-12-23 The Boc Group, Inc. Measuring instruments
JPH01180419A (ja) * 1988-01-12 1989-07-18 Denki Kagaku Keiki Co Ltd 面積式流量計及び該流量計による流量測定方法
JP2001153697A (ja) * 1999-11-29 2001-06-08 Tokyo Flow Meter Kenkyusho:Kk 面積式流量計
KR200353005Y1 (ko) * 2004-03-31 2004-06-09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유량 감지용 압력센서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0486A (en) * 1984-05-22 1986-12-23 The Boc Group, Inc. Measuring instruments
JPH01180419A (ja) * 1988-01-12 1989-07-18 Denki Kagaku Keiki Co Ltd 面積式流量計及び該流量計による流量測定方法
JP2001153697A (ja) * 1999-11-29 2001-06-08 Tokyo Flow Meter Kenkyusho:Kk 面積式流量計
KR200353005Y1 (ko) * 2004-03-31 2004-06-09 주식회사 경동네트웍 유량 감지용 압력센서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888B1 (ko) 2018-01-24 2019-05-22 최운선 유량계
CN112083026A (zh) * 2019-06-12 2020-12-15 株式会社岛津制作所 自燃试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473B1 (en) Mass velocity sensor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visual verification of fluid velocity
US3638490A (en) Fluid flow measuring device
BRPI0622163A2 (pt) dispositivo para monitorar a contaminaÇço por partÍculas em fluidos hidrÁulicos escoando e mÉtodo para monitorar a contaminaÇço por partÍculas em fluidos hidrÁulicos escoando
EP2470876A1 (en) Flow monitored particle sensor
TW201432632A (zh) 火災偵測技術
CN104075970A (zh) 一种带自动吹扫的粉尘连续在线监测系统
US10184611B2 (en) Detecting fluid properties of a multiphase flow in a condensate drain
CN103575695B (zh) 一种气体氮氧化物含量检测装置
CN104272102A (zh) 用于监控流体中的腐蚀性污染物的系统和方法
CN107132166A (zh) 一种直插式粉尘浓度测量仪及测量方法
EP166518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operational condition of pollution monitoring equipment
KR20060126339A (ko) 가스 유량계
CN201795972U (zh) 在线粉尘检测仪
Love Flow measurement
RU26148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параметров атмосферы
Skrentner Instrumentation handbook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RU161505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параметров атмосферы
CN210741568U (zh) 一种新型温压流监测分析仪
CN115248071A (zh) 一种流量检测系统及其养护方法
CN102331400A (zh) 烟气在线监测装置
CN207300814U (zh) 一种直插式粉尘浓度测量仪
KR101227807B1 (ko) 누설 위치 감지 장치 및 누설 위치 감지 방법
CN216792262U (zh) 风速检测装置
JP2009168464A (ja) 汚染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JPS5920662Y2 (ja) 水質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