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818B1 -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818B1
KR101980818B1 KR1020170118444A KR20170118444A KR101980818B1 KR 101980818 B1 KR101980818 B1 KR 101980818B1 KR 1020170118444 A KR1020170118444 A KR 1020170118444A KR 20170118444 A KR20170118444 A KR 20170118444A KR 101980818 B1 KR101980818 B1 KR 101980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plate
coupled
link portion
connection link
interloc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883A (ko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8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인터록장치는 크래들에 대한 차단기의 이동과 투입버튼의 작동을 단속하는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고정홈부에 삽입 및 이탈되는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의 승강이동에 연동되어 승강되는 제1 연결링크부와, 상기 제1 연결링크부의 승강이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제2 연결링크부와, 상기 제2 연결링크부의 회동에 연동되어 승강이동되는 제3 연결링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단기의 인터록장치{INTERLOCK DEVICE OF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차단기의 인터록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링크구조를 통해 부품의 간섭 및 마모가 방지되어 수명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노후된 차단기의 교체시 크래들을 포함하는 배전반을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갖는 차단기의 인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기는 선로상의 정상전류를 통전시키며 과전류사고나 단락사고가 발생될 경우, 계전기류의 신호에 의해 그 사고전류를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차단기의 운전은 원격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원격 조작이 불가능할 때에는 계전기 신호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임의로 차단기의 개폐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갖는다.
또한, 차단기를 유지보수하거나, 기타 다른 목적을 위해 배전함 밖으로 인출 또는 배전함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경우, 투입(On)상태에서 인입되거나 입출되면 전기적 사고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단기에 인터록장치가 장착되고 있으나, 종래기술에 따른 인터록장치는 복잡한 연결구조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의 반복운동에 의해 부품의 마모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부품간의 유격이 발생되고, 결국 제품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차단기는 새로운 타입의 차단기를 개발할 경우, 기존의 배전반내의 노후된 크래들의 브라켓 구조가 상이하여 조립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인터록장치의 동작이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일관점은 간단한 링크구조를 통해 인터록장치를 구현함에 따라 부품의 마모가 방지되고, 이에 따라 기계적 수명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 차단기의 인터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구조를 통해 노후된 차단기와의 호환이 가능한 링크구조를 갖는 차단기의 인터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인터록장치는 크래들에 대한 차단기의 이동과 투입버튼의 작동을 단속하는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고정홈부에 삽입 및 이탈되는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의 승강이동에 연동되어 승강되는 제1 연결링크부와, 상기 제1 연결링크부의 승강이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제2 연결링크부와, 상기 제2 연결링크부의 회동에 연동되어 승강이동되는 제3 연결링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기의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하도록 차단기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조절레버와, 상기 조절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인터락핀과, 상기 조절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이동에 의해 변위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기의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링크부는 상기 조절레버에 연결되는 제1 연동플레이트와, 상기 제1 연동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링크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기의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링크부는 상기 제1 연동플레이트에 연동되도록, 상기 제1 연동플레이트의 이동범위 내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와, 상기 제2 일측 연통플레이트에 연결된 회동바디와, 상기 회동바디에 연결된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바디의 타측에는 상기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차단기의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링크부는 상기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에 결합된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에 결합된 조작부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기의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링크부는 상기 승강봉의 외주부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봉의 상하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싱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단기의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링크부는 상기 승강봉과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싱부는 상기 결합핀의 이동변위에 대응되는 이동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기의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봉과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에는 각각 상기 결합핀이 결합되는 지지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기의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봉은 한 쌍의 상기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에 결합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링크구조를 통해 인터록장치를 구현함에 따라 부품의 마모가 방지되고, 이에 따라 기계적 수명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고,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구조의 연결을 통해 노후된 차단기와의 호환이 가능한 링크구조를 갖는 차단기의 인터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가 장착된 차단기의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가 장착된 차단기의 개략적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인터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제2 연결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가 장착된 차단기의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가 장착된 차단기의 개략적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록장치(1100)는 차단기(1000)에 장착된 상태로 이동된다. 그리고 인터록장치(1100)의 수동 조작에 의해 크래들에 인입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록장치(1100)는 레버조작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되고, 이동시에는 투입버튼 조절링크(1200)에 의해 차단기(1000)의 투입버튼이 차단된다.
즉, 인터록장치(1100)는 차단기의 테스트위치와 서비스위치에서는 투입버튼의 작동이 가능하고, 이동위치에서는 투입버튼이 작동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또한, 크래들의 고정브라켓(2100)에는 인터록장치가 삽입결합되는 위치별 고정홈부(21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인터록장치(1100)의 레버의 조작에 의해 고정홈부(2110)에 인터락핀이 삽입되거나 고정브라켓의 상면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레버의 위치가 설정되고, 레버의 위치에 따라 투입버튼 조절링크(1200)에 의해 투입버튼의 작동이 제한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인터록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록장치(1100)는 레버부(1110), 제1 연결링크부(1120), 제2 연결링크부(1130) 및 제3 연결링크부(1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레버부(1110)의 조작에 의해 제1 연결링크부(1120), 제2 연결링크부(1130) 및 제3 연결링크부(1140)가 연동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1 연결링크부(1120), 제2 연결링크부(1130) 및 제3 연결링크부(1140)를 통해 레버부(1110)로부터 투입버튼 조절링크(1200)까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크구조로 구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부(1110)는 조절레버(1111), 인터락핀(1112) 및 탄성부재(1113)를 포함한다.
또한, 조절레버(1111)는 사용자가 레버부(1110)를 조작하기 위한 것이고, 인터락핀(1112)이 일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부재(1113)는 조절레버(1111)의 이동방향에 따라 변위되도록 조절레버(1111)에 결합된다.
즉, 조절레버(1111)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차단기의 외부로 돌출되고, 인터락핀(1112)은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고정홈부(도 1에 2110으로 도시함)에 삽입되거나 고정홈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조절레버(1111)에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절레버(1111)와 인터락핀(1112)의 결합에 의해 “ㄱ”자 형상이 되고, 탄성부재는 조절레버(1111)의 이동에 따라 의해 압축 및 팽창되도록 조절레버(1111)에 결합되고 인터락핀(1112)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제1 연결링크부(1120)는 레버부(1110)의 이동에 의해 연동된다.
이를 위해 제1 연결링크부(1120)는 제1 연동플레이트(1121) 및 링크바디(11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연동플레이트(1121)는 레버부(1110)의 조절레버(1111)에 결합된다.
또한 제1 연동플레이트(1121)의 일측단부는 인터락핀(1112)에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링크바디(1122)에 결합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1 연동플레이트(1121)는 조절레버(1111)의 이동에 따라 연동된다.
다음으로, 제2 연결링크부(1130)는 제1 연결링크부(1120)의 이동에 회동연동되어 제3 연결링크부(1140)에 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2 연결링크부(1130)는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 및 회동바디(1132),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는 제1 연결링크부(1120)의 제1 연동플레이트(1121)에 연동되도록 제1 연동플레이트(1121)가 이동되는 범위내에 위치된다. 즉,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는 제1 연동플레이트(1121)의 상승에 따라 연동되도록 이동방향에 대하여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연동플레이트(1121)의 상승에 의해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가 연동되도록,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는 제1 연동플레이트(1121)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의 이동에 의해 회동바디(1132) 및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가 연동된다.
이를 위해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에 회동바디(1132)가 연결되고, 회동바디(1132)에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의 일측은 제1 연동플레이트와 대향되고,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의 타측에는 회동바디(1132)가 결합된다.
또한, 회동바디(1132)의 일측에는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가 결합되고, 회동바디(1132)의 타측에는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는 제1 연동플레이트(1121)가 상승될 경우, 상향회동되고,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에 결합된 회동바디(1132)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회동바디(1132)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바디(1132)에 일측에 결합된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의 타측은 상향회동된다.
또한,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연결링크부(1140)와의 결합 및 연동을 위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동바디(1132)는 회동전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지지될 수 있다. 즉, 제1 연동플레이트(1121)에 의해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의 일측이 상향회동되어 회동바디가 정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제1 연동플레이트(1121)가 하강될 경우 다시 역방향으로 회동바디가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복귀 탄성부재(미도시)가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방향회동시 탄성부재가 인장되고, 제1 연동플레이트(1121)가 하강될 경우, 복귀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회동바디는 역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연결링크부(1140)는 제2 연결링크부(1130)의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에 결합되고 제2 연결링크부(1130)의 이동에 따라 연동된다.
이를 위해, 제3 연결링크부(1140)는 승강봉(1141) 및 조작부바디(11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봉(1141)은 제2 연결링크부(1130)의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에 결합되고,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의 회동에 따라 연동된다.
또한,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는 일측이 회동바디(1132)에 결합되고 타측이 승강봉(1141)에 결합됨에 따라 회동바디(1132)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는 상향 회동되면서, 승강봉(1141)을 상승시킨다.
또한, 승강봉(1141)의 수직왕복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해 제3 연결링크부(1140)는 승강봉(1141)의 외주부에 위치되는 가이드 부싱부(1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봉(1141)과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의 결합과, 승강봉(1141)의 가이드 부싱부(1143) 내부 가이드 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제3 연결링크부(1140)는 승강봉(1141)과 한 쌍의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에 결합되는 결합핀(1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봉(1141)에는 결합핀(1144)이 삽입되는 결합홀(1141a)이 형성되고, 가이드 부싱부(1143)에는 결합핀(1144)이 이동되는 이동슬릿(1143a) 형성되고, 한 쌍의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에는 각각 결합핀(1144)이 결합되는 지지홀(1133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봉(1141)은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가 상향회동될 경우 가이드 부싱부(1143)에 가이드되고 결합핀(1144)에 의해 상승된다.
또한, 조작부바디(1142)는 승강봉(1141)에 결합되고, 승강봉(1141)의 이동에 따라 승강된다.
그리고, 승강봉(1141)은 투입버튼 조절링크(도 1 및 도 2에 1200으로 도시함)와 연동되도록 위치되어 승강봉(1141)의 승강위치에 따라 투입버튼의 조작이 제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록장치의 테스트 위치에서 조절레버(1111)는 고정브라켓의 고정홈부(도 1에 2110으로 도시함)에 삽입되어 하강된 상태이고, 조작부바디(1142)에 연동되는 투입버튼 조절링크가 하강되어 투입버튼의 작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인터록장치가 서비스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레버부(1110)의 조절레버(1111)를 상승시켜 고정브라켓의 고정홈부로부터 상승 및 이탈시킬 경우, 탄성부재(1113)는 인장되고, 제1 연동플레이트(1121)는 조절레버(1111)의 상승에 연동되어 상승된다.
그리고 제1 연동플레이트(1121)의 상승에 연동되어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의 일측은 상향회동되고,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의 타측에 연결된 회동바디(1132)는 정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회동바디(1132)의 정방향 회동에 연동되어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의 타측은 상향 회동된다. 그리고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의 상향 회동에 연동되어 승강봉(1141) 및 조작부바디(1142)는 상승한다.
그리고 조작부바디(1142)의 상승에 연동되어 투입버튼 조절링크가 상승되어 투압버튼의 작동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인터록장치(1100)의 이동상태에서는 인터락핀(1112)이 상승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투입버튼이 작동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인터록장치(1100)가 서비스 위치로 이동될 경우, 탄성부재(1113)의 복원력에 의해 조절레버(1111)는 고정브라켓의 고정홈부(1311)에 삽입되고 조절레버(1111)는 다시 하강된다.
그리고 제1 연동플레이트(1121)의 하강에 연동되어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의 일측은 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1131)의 타측에 연결된 회동바디(1132)는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회동바디(1132)의 역방향 회동에 연동되어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는 하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1133)의 하방향 회동에 연동되어 승강봉(1141) 및 조작부바디(1142)는 하강된다.
그리고 조작부바디(1142)의 하강에 연동되어 투입버튼 조절링크가 하강되어 투입버튼의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차단기 1100: 인터록장치
1110: 레버부 1111: 조절레버
1112: 인터락핀 1113: 탄성부재
1120: 제1 연결링크부 1121: 제1 연동플레이트
1122: 링크바디 1130: 제2 연결링크부
1131: 연동플레이트 1132: 회동바디
1133a: 지지홀 1133: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
1140: 제3 연결링크부 1141a: 삽입되는 결합홀
1141: 승강봉 1142: 조작부바디
1143: 가이드 부싱부 1143a: 이동슬릿
1144: 결합핀 1200: 투입버튼 조절링크
1311: 고정브라켓의 고정홈부
2100: 고정브라켓 2110: 고정홈부

Claims (9)

  1. 크래들에 대한 차단기의 이동과 투입버튼의 작동을 단속하는 인터록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고정브라켓에 형성된 고정홈부에 삽입 및 이탈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에 연결되고, 상기 레버부의 승강이동에 연동되어 승강되는 제1 연결링크부;
    상기 제1 연결링크부의 승강이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제2 연결링크부; 및
    상기 제2 연결링크부의 회동에 연동되어 승강이동되는 제3 연결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링크부는
    상기 제1 연결링크부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와, 상기 제2 일측 연통플레이트에 연결된 회동바디와, 상기 회동바디에 연결된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회동바디의 타측에는 상기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3 연결링크부는
    상기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에 결합된 승강봉과, 상기 승강봉에 결합된 조작부바디와,
    상기 승강봉의 외주부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봉의 상하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부싱부와, 상기 승강봉과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싱부는 상기 결합핀의 이동변위에 대응되는 이동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봉과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에는 각각 상기 결합핀이 결합되는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봉은 한 쌍의 상기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타측 연동플레이트에 결합된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사용자가 조작가능하도록 차단기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조절레버와, 상기 조절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부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인터락핀과, 상기 조절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조절레버의 이동에 의해 변위되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링크부는
    상기 조절레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일측 연동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제1 연동플레이트와,
    상기 제1 연동플레이트가 결합되는 링크바디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18444A 2017-09-15 2017-09-15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KR101980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444A KR101980818B1 (ko) 2017-09-15 2017-09-15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444A KR101980818B1 (ko) 2017-09-15 2017-09-15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83A KR20190030883A (ko) 2019-03-25
KR101980818B1 true KR101980818B1 (ko) 2019-05-21

Family

ID=6590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444A KR101980818B1 (ko) 2017-09-15 2017-09-15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8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8000A (ja) * 2012-06-12 2013-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遮断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671A (ja) * 1994-04-04 1995-10-27 Fuji Electric Co Ltd 遮断器の操作機構
KR200224238Y1 (ko) * 1997-12-27 2001-07-19 이종수 진공차단기의재투입방지장치
KR101793549B1 (ko) * 2016-03-03 2017-1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8000A (ja) * 2012-06-12 2013-12-26 Mitsubishi Electric Corp 引出形遮断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83A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818B1 (ko)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CN102509661B (zh) 一种抽出式开关电器的操作联动安全互锁联动装置
JP2013258000A (ja) 引出形遮断器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KR101981635B1 (ko) 차단기의 인터록장치
KR101068759B1 (ko) 회로차단기
KR10169342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CN208656280U (zh) 一种小型高压柜活门机构
CN203826789U (zh) 高压开关柜的联锁机构
CN106505459A (zh) 一种sf6全绝缘环网柜下门联锁机构
KR100357697B1 (ko) 폐쇄배전반의셔터장치
CN112701002B (zh) 一种三工位操动机构
KR200208223Y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CN102306909B (zh) 金属封闭开关设备的活门自锁机构
CN104370239A (zh) 一种无机房电梯制动器的机械松闸装置
CN106783291A (zh) 断路器与隔离开关操作联锁机构
CN203690776U (zh) 一种联锁装置的推压结构
CN204720805U (zh) 开关柜活门打开机构
CN220189464U (zh) 三工位隔离开关、断路器与柜门的联锁机构
CN202721048U (zh) 一种开关电器的机械及电气联锁装置
CN204332804U (zh) 两台真空断路器的机械联锁机构
CN219534333U (zh) 一种35kV高压柜手动操作优先装置
CN102956381B (zh) 开关电器的机械及电气联锁装置
CN210379990U (zh) 开关柜活门机构
CN211266248U (zh) 一种抽屉装置
CN110165596B (zh) 配电开关设备及其航空插联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