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616B1 -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616B1
KR101980616B1 KR1020180109609A KR20180109609A KR101980616B1 KR 101980616 B1 KR101980616 B1 KR 101980616B1 KR 1020180109609 A KR1020180109609 A KR 1020180109609A KR 20180109609 A KR20180109609 A KR 20180109609A KR 101980616 B1 KR101980616 B1 KR 101980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position fixing
ship
ball join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식
오준석
신상봉
나희승
조원정
전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80109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두와 선박 사이에 설치되어,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부가 사용되면서, 해상의 선박이 파도에 의해 흔들릴시 이로 인해 컨베이어부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베이어부 양측의 개별높이 조절 및 전, 후 이동조절 및 선박에 고정된 컨베이어부 타단 양측의 승, 하강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컨베이어부가 항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하고 안정된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토록 한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Cargo conveying conveyor devic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에서 부두로 화물을 운반할시, 항시 수평을 유지하며 안전하고 용이하게 운반이 가능토록 하는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으로부터 적하물을 하역하거나 또는 부두에서부터 선박으로 적하물을 적재하는 경우, 기중기 암을 통해 적하물을 화물칸(화물칸에서 부두로)으로부터 들어올려 운반하거나, 컨베이어와 같은 육상에 설치된 하역장치가 사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컨베이어는 비교적 고가이며, 적하물이 하역되어야 할 모든 항만에 제공되고 있지는 않은 경우도 많다.
선박의 화물칸으로부터 적하물을 하역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은 선박 자체에 컨베이어나 리프팅장치 등의 하역장치를 장착하여 적하물을 하역하는 것인데, 화물칸에 장착되는 이러한 하역장치 들은 매우 복잡하고 서로 유기적으로 연동되는 가운데, 이러한 하역장치들 간의 조화가 필수적이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이러한 선박과 부두 상호간의 적하물의 적재 및 하역에 사용되면서, 사용이 손쉽고 선박의 파도 흔들림에도 유동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98390호(2005.10.06.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두와 해상의 선박사이에 설치되어, 화물을 손쉽고 용이하게 적재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되, 파도에 의해 컨베이어부 양측이 각도변경 및 수평/수직 방향으로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높이 및 전, 후진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항시 수평을 이루며 위치고정된 상태로 선박용 화물이 운반이 용이토록 한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해상의 선박(B)으로부터 인접해있는 부두(A) 상호간에 화물(W)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해, 부두(A)와 선박(B)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10);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컨베이어부(10)의 일측이 부두(A)의 설치면에 상, 하 높이 및 전, 후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도록 하는 제 1위치고정부(20);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타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타측이 선박(B)의 설치위치면에 상, 하 높이조절 및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제 2위치고정부(30); 상기 부두(A)와 선박(B)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80)에 전달하는 제 1센서(40); 상기 제 1, 2위치고정부(20, 3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가 수평설치된 사전설정위치에서, 수직/수평방향으로 위치변경되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각도변경될시, 측정된 변경신호를 제어부(80)에 전달하는 제 1, 2가속도 센서(25, 36)로 이루어지는 제 2센서(50); 상기 부두(A)에서부터 제 2위치고정부(30)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2센서(40, 50)의 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10)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컨베이어부(10) 양측을 개별적으로 승, 하강 위치조절하는 제 3위치고정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파도에 영향에도 컨베이어 장치가 항시 수평을 유지하여, 원할하고 안정된 화물 적재 및 하역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 장치의 승, 하강 높이 조절, 전, 후진 위치조절이 가능하며, 컨베이어부가 좌, 우로 각도변경되며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컨베이어 양측을 승, 하강 시키며 항시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m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해상의 선박(B)으로부터 인접해있는 부두(A) 상호간에 화물(W)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해, 부두(A)와 선박(B)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10);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컨베이어부(10)의 일측이 부두(A)의 설치면에 상, 하 높이 및 전, 후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도록 하는 제 1위치고정부(20);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타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타측이 선박(B)의 설치위치면에 상, 하 높이조절 및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제 2위치고정부(30); 상기 부두(A)와 선박(B)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80)에 전달하는 제 1센서(40); 상기 제 1, 2위치고정부(20, 3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가 수평설치된 사전설정위치에서, 수직/수평방향으로 위치변경되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각도변경될시, 측정된 변경신호를 제어부(80)에 전달하는 제 1, 2가속도 센서(25, 36)로 이루어지는 제 2센서(50); 상기 부두(A)에서부터 제 2위치고정부(30)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2센서(40, 50)의 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10)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컨베이어부(10) 양측을 개별적으로 승, 하강 위치조절하는 제 3위치고정부(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위치고정부(20)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일측 하단에 수직연장되는 제 1축(21); 상기 제 1축(21)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1 볼조인트(22); 상기 제 1 볼조인트(22)가 상단에 연결설치되며, 상/하로 길이조절되는 제 1실린더(23); 상기 제 1실린더(23)의 하단부가 내설된 상태에서, 함몰형성된 길이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토록 하여, 선박(B)과 부두(A)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컨베이어부(10)가 전, 후진 슬라이딩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슬라이딩 홈(24); 상기 제 1 볼조인트(22)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볼조인트(22)의 각도변경, 수직 위치변경, 수평 위치변경을 측정하는 제 1가속도센서(25);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위치고정부(30)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타측 하단에 수직 연장되는 제 2축(31); 상기 제 2축(31)의 하단에 컨베이어부(10)와 교차되는 형태로 수평 설치되는 설치판(32); 상기 설치판(32)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 2 볼조인트(33); 상기 제 2 볼조인트(33)가 상단에 연결설치되며, 상/하로 길이조절되는 제 2실린더(34); 상기 제 2실린더(34)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 2실린더(34)가 선박(B)의 설치면에 착탈가능토록 하는 진공 흡착판(35); 상기 제 2 볼조인트(33)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볼조인트(33)의 각도변경, 수직 위치변경을 측정하는 제 2가속도센서(3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위치고정부(60)는 상기 부두(A)의 설치되는 제 1, 2모터(61a, 61b); 상기 제 1, 2모터(61a, 61b)의 상부에 이격설치되는 제 1, 2도르레(62a, 62b); 상기 제 1모터(61a)와 제 1도르레(62a), 제 2모터(61b)와 제 2도르레(62b)에 일단이 각각 권취되고, 타단은 선박(B)에 설치된 제 2위치고정부(30)의 설치판(32)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2와이어(63a, 63b); 로 구성되어, 파도에 흔들리는 컨베이어부(10)의 타측 양단 각각이, 상기 제 1, 2모터(61a, 61b)에 의해 제 1, 2와이어(63a, 63b)가 권취 또는 풀림작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10)가 항시 수평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2위치고정부(30)의 양측 제 2실린더(34)가 각각 승, 하강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박(B)은 LNG 선박인 경우, 내부에 적재된 LNG가스를 부두(A)의 공급처에 공급하는 LNG공급라인(70); 이 더 구비되며, LNG 공급시 발생되는 가스압력은 상기 제 3위치고정부(60)의 제 1, 2모터(61a, 61b) 또는 컨베이어부(10)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는 컨베이어부(10), 제 1위치고정부(20), 제 2위치고정부(30), 제 1센서(40), 제 2센서(50), 제 3위치고정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부(1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대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11)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11) 중 하나에 구동수단(모터 등)이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설치되며, 이러한 복수개의 회전축(11)은 일정폭을 가지는 이송벨트(12) 등이 외주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송벨트(12) 상면에 올려놓은 화물(W)이 일방향으로 이송되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컨베이어부(10)의 이송벨트(12) 저면에는 회전가능한 다수의 지지봉(13)을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며 동일수평선상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벨트(12)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송벨트(12)의 이송면이 쳐지지 않으면서 수평을 이루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즉, 이러한 컨베이어부(10)는 부두(A)와 선박(B)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부두(A)의 설치면에 위치되고, 타단은 선박(B)의 설치면에 설치되어, 선박(B)과 부두(A) 상호간에 화물(W)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 1위치고정부(20)는 컨베이어부(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컨베이어부(10)의 일측이 부두(A)의 설치면에 상, 하 높이 및 전, 후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제 1위치고정부(20)는 제 1축(21), 제 1 볼조인트(22), 제 1실린더(23), 슬라이딩 홈(24), 제 1가속도 센서(2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축(21)은 컨베이어부(10)의 지지대 일측 하단에 직립으로 수직 연장되어 일체를 이루는 축이며, 상기 제 1 볼조인트(22)는 전술된 제 1축(21)의 하단에 위치되는 볼 형태의 조인트이다. (제 1위치고정부(20)의 경우, 후술될 제 2위치고정부(30)의 경우와 같이, 제 1축(21)의 하단에 별도의 설치판(32)을 컨베이어부(10)의 일단과 교차되는 형태로 수평 설치한 후, 이러한 설치판(32)의 하단 중앙에 제 1 볼조인트(22)를 단일개 설치하거나, 또는 설치판(32) 하단 양측에 제 1 볼조인트(22)를 각각 복수개 설치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러한 제 1 볼조인트(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움직이는 제 1실린더(23)의 상단에 연결설치되어(제 1실린더(23)의 상단부분은 볼 형태의 제 1 볼조인트(22)가 대응되며 결합되도록, 원호 형태의 함몰형성된 결합홈을 형성하고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제 1실린더(23)의 피스톤이 상부로 인장되면 컨베이어부(10)의 일측도 상승되고, 제 1실린더(23)의 피스톤이 하강하면 컨베이어부(10)의 일측도 하강되는 승, 하강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 홈(24)은 부두(A)의 설치면에 함몰형성된 홈으로써, 부두(A)의 설치면에 직선형태로 함몰형성된다. 이로써, 전술된 제 1실린더(23)의 하단부가 이러한 슬라이딩 홈(24)에 내설되어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되, 선박(B)과 부두(A)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함몰형성된 길이방향을 향해 제 1실린더(23)의 하단부(결론적으로는 컨베이어부(10))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토록 하여, 컨베이어부(10)가 전, 후진 슬라이딩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즉, 컨베이어부(10)는 후술될 제 2위치고정부(30)에 의해 선박(B)에 고정된 상태를 가지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부두(A)에 이격되어 해상에 위치되는 선박(B)이, 파도 등에 의해 부두(A)측으로 더 가깝게 이동될 경우, 제 1위치고정부(20)가 부두(A)에 고정되어 있게되면, 컨베이어부(10) 자체가 파손되기에, 선박(B)이 부두(A)에서 사전설정간격을 유지하며 위치되어 있다가, 파도 등에 의해 사전설정간격보다 더 가까워지거나 더 멀어지게 되는 경우, 제 1위치고정부(20)를 이루는 최하단의 제 1실린더(23) 하단 부분이 슬라이딩 홈(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홈(24)을 따라 전, 후로 이동하면서 컨베이어부(1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 1가속도센서(25)는 전술된 제 1 볼조인트(22) 외주연 등에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0)가 수평으로 설치된 사전설정위치에서, 파도에 의해 또는 화물(W)이 일측으로 치우치며 이송벨트(12)에 올려져 기울어지는 등에 의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이러한 제 1 볼조인트(22)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얼마인지, 수평에서 얼마만큼 각도변경되었는지를 측정하거나, 그 높이가 얼마나 변경이 되었는지의 수직방향으로 위치변경을 측정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최초 사전설정위치에서 얼마나 위치변경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 1위치고정부(20)가 컨베이어부(10)의 일측 중앙에 단일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컨베이어부(10) 일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복수개가 설치되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상기 제 2위치고정부(30)는 컨베이어부(10)의 타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타측이 선박(B)의 설치위치면에 상, 하 높이조절 및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대체적으로 전술된 제 1위치고정부(20)와 그 구성과 작동이 동일하다.
상기 제 2위치고정부(30)는 제 2축(31), 설치판(32), 제 2 볼조인트(33), 제 2실린더(34), 진공 흡착판(35), 제 2가속도센서(3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축(31)은 컨베이어부(10)의 타측 하단에 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축이며, 상기 설치판(32)은 이러한 제 2축(31)의 하단에서, 컨베이어부(10)와 '+'와 같이 십자형태로 교차되면서 수평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볼조인트(33)는 이러한 설치판(32)의 양측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진다.
상기 제 2실린더(34)는 제 2 볼조인트(33)가 상단에 연결설치되며, 제 1위치고정부(20)의 제 1실린더(23)와 마찬가지로 피스톤의 토출, 압축에 의해 상/하로 길이조절되어, 컨베이어부(10)의 타측도 승, 하강 높이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제 위치2고정부는 설치판(32)을 통해 컨베이어부(10)의 타단 양측에 제 2축(31), 제 2실린더(34), 제 2 볼조인트(33), 진공 흡착판(35), 제 2가속도센서(36)가 각각 설치되어, 컨베이어부(10)의 타단 양측이 개별적으로 승, 하강 높이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진공 흡착판(35)은 전술된 제 2실린더(34)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 2실린더(34)가 선박(B)의 설치면에 착탈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가속도센서(36)는 제 2 볼조인트(33)에 설치되어, 전술된 제 1가속도센서(25)의 기능과 마찬가지로, 수평설치된 컨베이어부(10)가 파도 등에 의해 최초사전설정위치에서 일측으로 기울어질시 제 2 볼조인트(33) 각도가 어느측으로 어느정도의 각도로 변경되었는지를 측정하거나, 수직방향으로 어느정도 승, 하강 위치가 위치변경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 1센서(40)는 부두(A)와 선박(B)에 수신부와 송신부가 각각 설치되어, 상호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80)에 전달하는 레이져 센서이다. 이러한 부두(A)와 선박(B)의 이격거리는 사전에 사전설정거리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센서(50)는 전술된 제 1위치고정부(20)의 제 1가속도 센서(25)와, 제 2위치고정부(30)의 제 2가속도 센서(36)로써, 상기 제 1, 2위치고정부(20, 3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가 수평설치된 사전설정위치에서, 수직/수평방향으로 위치변경되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각도변경될시, 측정된 변경신호를 제어부(80)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로써, 제어부(80)에서는 제 1센서(40)를 통해 사전설정거리에서, 제 1, 2위치고정부(20, 30)의 수평, 수직 위치 및 제 1, 2 볼조인트(22, 33)의 최초 위치도 사전설정이 되어 있어야 하며, 각종 외부 영향에 의해 (파도에 의해 또는 컨베이어부(10)에 의해 운송되는 화물(W)이 일측으로 치우쳐짐에 의해, 또는 바람의 영향에 의해) 컨베이어부(10)의 일측 또는 양측의 위치가 사전설정된 수평, 수직위치 및 제 1, 2볼 조인트(22, 33) 최초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또는 수직방향으로 또는 각도변경되어지는 경우, 이를 비교하여 컨베이어부(10)가 항시 수평을 유지하도록, 제 1위치고정부(20)의 제 1실린더(23), 제 2위치고정부(30)의 제 2실린더(34), 후술될 제 3위치고정부(60)의 제 1, 2모터(61a, 61b)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3위치고정부(60)는 부두(A)에서부터 제 2위치고정부(30)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2센서(40, 50)의 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10)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컨베이어부(10) 양측을 개별적으로 승, 하강 위치조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제 3위치고정부(60)는 제 1, 2모터(61a, 61b), 제 1, 2도르레(62a, 62b), 제 1, 2와이어(63a, 63b)로 구성된다. 즉, 각 제 1, 2와이어(63a, 63b)가 각각의 제 1모터(61a)와 제 1도르레(62a), 제 2모터(61b)와 제 2도르레(62b)에 연결된 후, 선박(B)의 제 2위치고정부(30)의 설치판(32)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컨베이어부(10)의 원활한 수평 조절 및 유지를 위해, 상기 제 1, 2와이어(63a, 63b)는 제 1, 2도르레(62a, 62b)에서부터 컨베이어부(10)의 타단을 향할수록 사전소정각도(α)로 벌어지는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이로써, 파도에 컨베이어부(10) 타측이 흔들리는 경우, 제어부(80)에서는 사전설정위치에서 측정된 위치를 비교한 후, 상기 제 1, 2모터(61a, 61b)에 의해 제 1, 2와이어(63a, 63b)가 권취 또는 풀림작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10)가 항시 수평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2위치고정부(30)의 양측 제 2실린더(34)가 각각 승, 하강 위치조절하면서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즉, 제 3위치고정부(60)는 컨베이어부(10)의 타단 양측을 각각 개별적으로 승, 하강 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로 잡아당기거나 하강시키거나 하는 것이며, 이때, 승, 하강되는 컨베이어부(10)의 타단 양측(더욱 자세히는 설치판(32)의 양측)에는 제 2위치고정부(30)의 제 2실린더(34)가 설치되어 있기에, 이러한 제 2실린더(34)의 피스톤이 토출되거나 삽입되는 작동을 하게 되어, 원활한 승, 하강이 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제 1, 2모터(61a, 61b)는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작동이 가능하고, 제 1, 2모터(61a, 61b) 중 어느하나가 작동되면, 이와 대응되는 복수개의 제 2실린더(34) 중 어느 하나도 동반으로 승, 하강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 1, 2모터(61a, 61b)가 작동되어 제 2실린더(34)가 움직이는 작동이 될 수도 있지만, 이와 반대로 우선적으로 제 2실린더(34)가 작동되면, 해당 제 2실린더(34)에 대응되는 제 1, 2모터(61a, 61b) 중 하나가 동시에 동반작동되도록, 제어부(80)에서 선택이 가능할 수 있음이다.
더불어, 상기 선박(B)은 화물 운반용 선박에 해당되는 것이지만, LNG 선박인 경우, 내부에 적재된 LNG가스를 부두(A)의 공급처에 공급하는 LNG공급라인(70)이 더 구비되며, LNG 공급시 발생되는 가스압력은 상기 제 3위치고정부(60)의 제 1, 2모터(61a, 61b) 동력원, 제 1위치고정부(20)의 제 1실린더(23), 제 2위치고정부(30)의 제 2실린더(34), 컨베이어부(10)의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컨베이어부 11: 회전축
12: 이송벨트 13: 지지봉
20: 제 1위치고정부 21: 제 1축
22: 제 1 볼조인트 23: 제 1실린더
24: 슬라이딩 홈 25: 제 1가속도 센서
30: 제 2위치고정부 31: 제 2축
32: 설치판 33: 제 2 볼조인트
34: 제 2실린더 35: 진공 흡착판
36: 제 2가속도 센서 40: 제 1센서
50: 제 2센서 60: 제 3위치고정부
61a: 제 1모터 61b: 제 2모터
62a: 제 1도르레 62b: 제 2도르레
63a: 제 1와이어 63b: 제 2와이어
70: LNG 공급라인
A: 부두 B: 선박
W: 화물

Claims (5)

  1. 해상의 선박(B)으로부터 인접해있는 부두(A) 상호간에 화물(W)을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해, 부두(A)와 선박(B) 사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10);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일측 하단에 형성되어, 컨베이어부(10)의 일측이 부두(A)의 설치면에 상, 하 높이 및 전, 후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도록 하는 제 1위치고정부(20);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타측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타측이 선박(B)의 설치위치면에 상, 하 높이조절 및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제 2위치고정부(30);
    상기 부두(A)와 선박(B)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80)에 전달하는 제 1센서(40);
    상기 제 1, 2위치고정부(20, 3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부(10)가 수평설치된 사전설정위치에서, 수직/수평방향으로 위치변경되거나, 일측으로 기울어지며 각도변경될시, 측정된 변경신호를 제어부(80)에 전달하는 제 1, 2가속도 센서(25, 36)로 이루어지는 제 2센서(50);
    상기 부두(A)에서부터 제 2위치고정부(30)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2센서(40, 50)의 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10)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컨베이어부(10) 양측을 개별적으로 승, 하강 위치조절하는 제 3위치고정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위치고정부(20)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일측 하단에 수직연장되는 제 1축(21);
    상기 제 1축(21)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 1 볼조인트(22);
    상기 제 1 볼조인트(22)가 상단에 연결설치되며, 상/하로 길이조절되는 제 1실린더(23);
    상기 제 1실린더(23)의 하단부가 내설된 상태에서, 함몰형성된 길이방향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토록 하여, 선박(B)과 부두(A)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컨베이어부(10)가 전, 후진 슬라이딩 위치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슬라이딩 홈(24);
    상기 제 1 볼조인트(22)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볼조인트(22)의 각도변경, 수직 위치변경, 수평 위치변경을 측정하는 제 1가속도센서(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위치고정부(30)는
    상기 컨베이어부(10)의 타측 하단에 수직 연장되는 제 2축(31);
    상기 제 2축(31)의 하단에 컨베이어부(10)와 교차되는 형태로 수평 설치되는 설치판(32);
    상기 설치판(32)의 양측 하단에 설치되는 제 2 볼조인트(33);
    상기 제 2 볼조인트(33)가 상단에 연결설치되며, 상/하로 길이조절되는 제 2실린더(34);
    상기 제 2실린더(34)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 2실린더(34)가 선박(B)의 설치면에 착탈가능토록 하는 진공 흡착판(35);
    상기 제 2 볼조인트(33)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볼조인트(33)의 각도변경, 수직 위치변경을 측정하는 제 2가속도센서(36);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위치고정부(60)는
    상기 부두(A)의 설치되는 제 1, 2모터(61a, 61b);
    상기 제 1, 2모터(61a, 61b)의 상부에 이격설치되는 제 1, 2도르레(62a, 62b);
    상기 제 1모터(61a)와 제 1도르레(62a), 제 2모터(61b)와 제 2도르레(62b)에 일단이 각각 권취되고, 타단은 선박(B)에 설치된 제 2위치고정부(30)의 설치판(32)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 1, 2와이어(63a, 63b); 로 구성되어,
    파도에 흔들리는 컨베이어부(10)의 타측 양단 각각이, 상기 제 1, 2모터(61a, 61b)에 의해 제 1, 2와이어(63a, 63b)가 권취 또는 풀림작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부(10)가 항시 수평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2위치고정부(30)의 양측 제 2실린더(34)가 각각 승, 하강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B)은
    LNG 선박인 경우, 내부에 적재된 LNG가스를 부두(A)의 공급처에 공급하는 LNG공급라인(70); 이 더 구비되며,
    LNG 공급시 발생되는 가스압력은 상기 제 3위치고정부(60)의 제 1, 2모터(61a, 61b) 또는 컨베이어부(10)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장치
  5. 삭제
KR1020180109609A 2018-09-13 2018-09-13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 KR101980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09A KR101980616B1 (ko) 2018-09-13 2018-09-13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09A KR101980616B1 (ko) 2018-09-13 2018-09-13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616B1 true KR101980616B1 (ko) 2019-05-21

Family

ID=6667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609A KR101980616B1 (ko) 2018-09-13 2018-09-13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4373A (zh) * 2020-05-22 2020-09-08 赵燕秋 一种船舶转运临时停靠收卷式快速下料滑梯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857A (ko) * 2000-09-04 2002-03-09 이구택 가역벨트컨베이어용 벨트면의 에지부 승강 장치
KR200398390Y1 (ko) 2005-05-30 2005-10-12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선박용 컨베이어의 적하물 정량 이송장치
JP2010143298A (ja) * 2008-12-17 2010-07-01 Mitsui Miike Mach Co Ltd ブームコンベアの搬出位置調整手段
KR20160112428A (ko) * 2015-03-19 2016-09-28 이호상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
KR101777146B1 (ko) * 2016-09-27 2017-09-2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Lng 선박용 언로딩 장치의 실시간 위치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857A (ko) * 2000-09-04 2002-03-09 이구택 가역벨트컨베이어용 벨트면의 에지부 승강 장치
KR200398390Y1 (ko) 2005-05-30 2005-10-12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선박용 컨베이어의 적하물 정량 이송장치
JP2010143298A (ja) * 2008-12-17 2010-07-01 Mitsui Miike Mach Co Ltd ブームコンベアの搬出位置調整手段
KR20160112428A (ko) * 2015-03-19 2016-09-28 이호상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
KR101777146B1 (ko) * 2016-09-27 2017-09-27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Lng 선박용 언로딩 장치의 실시간 위치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4373A (zh) * 2020-05-22 2020-09-08 赵燕秋 一种船舶转运临时停靠收卷式快速下料滑梯结构
CN111634373B (zh) * 2020-05-22 2021-04-23 嵊州市观东机械厂 一种船舶转运临时停靠收卷式快速下料滑梯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9233A (en) Vertical motion compensated crane apparatus
AU20122856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and skew of crane grappling member
KR101115367B1 (ko) 해양 선박용 넉클 크레인의 요동 보상장치
KR100895604B1 (ko) 해양수송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이송 방법
KR101291101B1 (ko) 반목장치
KR101980616B1 (ko) 선박용 화물운반 컨베이어 장치
KR20120091816A (ko) 부유체의 계류 안정화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9290241B2 (en) Vessel comprising a crane
JP2006220436A (ja) マルチビーム音響測深装置の動揺影響軽減装置又はこれを備えた海底探査船
KR101320124B1 (ko) 부두용 선박 이송장치
CN109378774A (zh) 可调节式内河航道岸电至船电的智能化电缆连接系统
CA1100447A (en) Hook-mounted vertical motion compensation apparatus
KR101777146B1 (ko) Lng 선박용 언로딩 장치의 실시간 위치제어 방법
KR20210051841A (ko) 무인 예인장치
JP2013147173A (ja) バルク貨物積み替え方法、バルク貨物積み替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
KR101933969B1 (ko) 액체화물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화 천연가스 운반선
JP5336833B2 (ja) ばら物運搬船の陸揚げ時における船体の位置調整システム
KR20110016685A (ko) 크레인용 스프레더의 자동랜딩, 위치이동, 체결장치 및 방법
CN104003212A (zh) 龙门移动料斗式过驳装船机
KR101903757B1 (ko) 해상 벙커링 터미널 및 벙커링 선박의 계류 방법
CN116133941A (zh) 具有内部相对移动补偿的海上传送系统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101857867B1 (ko) 선박 화물 및 원료 하역 작업의 계측을 위한 카고 홀더 표면 측정 장치 및 카고 홀더 표면 측정 방법
KR20170000778U (ko) 벙커링 선박의 계류 장치 및 계류 시스템
KR20140107033A (ko) 선회식 추진기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