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505B1 -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505B1
KR101979505B1 KR1020170091904A KR20170091904A KR101979505B1 KR 101979505 B1 KR101979505 B1 KR 101979505B1 KR 1020170091904 A KR1020170091904 A KR 1020170091904A KR 20170091904 A KR20170091904 A KR 20170091904A KR 101979505 B1 KR101979505 B1 KR 101979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handle
striker
spr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925A (ko
Inventor
이병열
이춘근
Original Assignee
주령금속(주)
이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령금속(주), 이병열 filed Critical 주령금속(주)
Priority to KR1020170091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5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2001/0076The handle having at least two operating positions, e.g. the bolt can be retracted by moving the handle either upwards or downwards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작동되는 손잡이가 스트라이커에 잠금 또는 해지하는 걸림쇠를 직접 작동시키도록 그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의 편리성 및 생산성 향상으로 경제성을 갖도록 한 한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는 창틀프레임에 고정되면서 걸림홈을 형성한 스트라이커와; 이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에 수용 및 이격되도록 제2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후크를 갖는 걸림쇠와; 이 걸림쇠를 작동시키기 위해 직선 왕복운동을 하고 제1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손잡이와; 창문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와 함께 창문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쇠 및 손잡이를 수용시키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작동공간을 폐쇄하는 외부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지지편의 상하측 모서리부분 직교방향에 형성된 후크에 제2 스프링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지지편의 후방 모서리부분 상하측에 지지축이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는 손가락이 접하는 파지부의 상하측에 직교방향으로 지지편을 돌출 형성하고, 이 지지편의 선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레일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가 직선 왕복운동할 때 경사레일에 접하는 걸림쇠의 지지축이 상하로 위치가 변화하면서 걸림쇠의 후크가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에 수용되거나 이격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 및 해지하도록 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grip type door}
본 발명은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미닫이 도어를 개폐하는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닫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를 쥐는 동작만으로 잠금상태를 바로 해지하여 도어를 매우 손쉽게 개방시킴은 물론 그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의 편리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실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미닫이 도어는 창문을 닫을 때 자동으로 잠금이 이루어지고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 또는 쥐는 동작으로 잠금 상태를 해지시켜 창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도어 손잡이들은 레버형과 그립형 잠금장치로 분류되며, 레버형은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대형 도어에 사용되고, 그립형은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도어에 사용되었다.
한편, 돌출된 긴바 형태의 레버형에서 발생하는 부딪히는 부상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편리한 슬라이딩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대형 도어에도 디자인이 미려하고 외관의 돌출 부분이 적으며 부상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그립형을 선호하는 실정이다.
예컨대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34418호(2006.12.20. 공고) '그립형 개폐 손잡이'와, 등록실용신안 제20-0456819호(2011.11.21. 공고) '창호용 개폐 손잡이'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8308호(2010.08.20. 공개) '창문용 그립핸들' 및 등록특허 제10-1446682호(2014.10.06. 공고)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그립형 잠금장치들은 창문프레임에 손잡이, 락킹기어 및/또는 레버와 걸림쇠를 갖는 본체를 장착하고 창틀프레임에는 스트라이커를 장착하여 이루어지고, 도어를 열기 위하여 손잡이를 쥐면 대부분 락킹기어 및/또는 레버가 작동하여 걸림쇠를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으로부터 이격시켜 잠금 상태를 해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종래의 그립형 잠금장치들은 사용자가 가압력을 제공하는 손잡이 이외에, 별도의 잠금을 위한 락킹기어 및/또는 레버를 마련해야 하므로 부품수가 많고 조립 공수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제품의 제조원가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그립형 손잡이는 좌측용과 우측용이 별도로 구별되는 것도 있어, 창문틀의 좌측과 우측 중 어디에 시공되느냐에 따라서 부품의 작동 방향을 변경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34418호(2006.12.20. 공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56819호(2011.11.21. 공고)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8308호(2010.08.20.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1446682호(2014.10.06.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도어의 개방 방향에 상관없이 장착 가능하면서 미닫이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작동되는 손잡이가 스트라이커에 잠금 또는 해지하는 걸림쇠를 직접 작동시키도록 그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조립의 편리성 및 생산성 향상으로 경제성을 갖도록 한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는 창틀프레임에 고정되면서 상하측에 걸림홈을 형성한 스트라이커와; 이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에 수용 및 이격되어 잠금 또는 해지 상태를 제공하도록 제2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후크를 갖는 걸림쇠와; 이 걸림쇠를 작동시키기 위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손가락이 접하는 파지부의 이면에 제1 스프링이 접하는 손잡이와; 창문프레임에 접하여 고정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와 함께 창문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쇠 및 창문개폐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손잡이를 수용시키고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일측에 상기 손잡이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작동공간을 일부 폐쇄하는 외부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는 지지편의 상하측 모서리부분 직교방향에 형성된 후크에 제2 스프링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지지편의 후방 모서리부분 상하측에 지지축이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는 손가락이 접하는 파지부의 상하측에 직교방향으로 지지편을 돌출 형성하고, 이 지지편의 선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레일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가 직선 왕복운동할 때 경사레일에 접하는 걸림쇠의 지지축이 상하로 위치가 변화하면서 걸림쇠의 후크가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에 수용되거나 이격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 및 해지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 방향에 상관없이 장착 가능하면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본체 및 손잡이를 쥐는 작은 힘이 작용하면 손잡이가 본체 내부로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손잡이의 경사레일에 접촉된 걸림쇠의 지지축이 경사면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걸림쇠의 후크가 스트라이커의 걸림홈으로부터 바로 이격되어 잠금 상태에서 해지 상태로 이어지므로 도어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것이며, 손잡이의 직선운동이 바로 걸림쇠의 상하운동으로 전환되는 구조로서 신속하면서도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고, 부품수가 가장 최소화로 이루어지고 그 구조가 간편하여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의 손잡이와 걸림쇠의 결합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의 잠금 상태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 사시도 및 평면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의 해지 상태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 사시도 및 평면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3b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및 핵심부분인 손잡이와 걸림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부호 10은 창틀프레임, 11은 창문프레임, 2는 스트라이커, 3은 걸림쇠, 4는 손잡이, 51은 제1 스프링, 52는 제2 스프링, 6은 베이스, 7은 본체, 8은 외부커버, 9는 내부커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는 창틀프레임(10)에 고정되면서 상하측에 걸림홈(21)을 형성한 스트라이커(2)와; 이 스트라이커(2)의 걸림홈(21)에 수용 및 이격되어 잠금 또는 해지 상태를 제공하도록 제2 스프링(52)에 d의해 지지되는 후크(31)를 갖는 걸림쇠(3)와; 이 걸림쇠(3)를 작동시키기 위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손가락이 접하는 파지부(41)의 이면에 제1 스프링(51)이 접하는 손잡이(4)와; 창문프레임(11)에 접하여 고정되는 베이스(6)와; 이 베이스(6)와 함께 창문프레임(11)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쇠(3) 및 창문개폐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손잡이(4)를 수용시키고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일측에 상기 손잡이(4)를 노출시키는 개구부(71)가 형성되는 본체(7); 및 상기 본체(7)의 작동공간 일부를 폐쇄하는 외부커버(8)로 이루어지는 기본 구성을 이용하게 되며, 이들에 대한 구성 및 결합 그리고 기본 작동은 상기 특허문헌들에서 확인될 수 있으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은 상기 기본 구성 중 하나인 걸림쇠(3)와 손잡이(4)의 구조를 개량하여 도어의 개방 방향에 상관없이 장착 가능하게 하고, 손잡이(4)의 직선운동을 바로 걸림쇠(3)의 상하운동으로 전환시켜 신속하면서도 잠금 상태를 용이하게 해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부품수의 최소화 및 구조의 간편화를 통해 제조 및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상기 걸림쇠(3)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편(32)의 상하측 모서리부분 직교방향에 형성된 후크(31)에 제2 스프링(52)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11)을 형성하여 제2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31)가 스트라이커(2)의 걸림홈(21)으로 출물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편(32)의 후방 모서리부분 상하측에 지지축(33)이 일체화되도록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손잡이(4)는 손가락이 접하는 파지부(41)의 상하측에 직교방향으로 지지편(42)을 돌출 형성하게 되고, 이 지지편(42)의 선단에는 내측 직교방향으로 서로 대응 돌출되면서 경사면을 제공하는 한 쌍의 경사레일(43)을 일체화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즉, 첨부된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손잡이(4)가 이동거리(T) 만큼 직선 왕복운동할 때 경사레일(43)에 접하는 걸림쇠(3)의 지지축(33)이 높이(H) 만큼 상하로 위치가 변화하면서 걸림쇠(3)의 후크(31)가 스트라이커(2)의 걸림홈(21)에 수용되거나 이격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 및 해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손잡이(4)의 안정적인 이동을 도우면서 지지편(42)의 변경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내부커버(9)를 마련하고, 더욱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손잡이(4) 및 베이스(6)를 개량하게 된다.
상기 내부커버(9)는 걸림쇠(3)를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52)의 타단을 끼워 지지하는 고정핀(91)을 돌출 형성시키고, 손잡이(4)의 지지편(42) 사이로 끼워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편(92)을 직교상태로 돌출 형성하며, 상기 본체(7)의 결합홈(72)으로 끼워져 미도시된 나사못 또는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상하측 날개부(93)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손잡이(4)의 파지부(41) 상하측에 가이드편(44)을 돌출 형성하며 이 가이드편(44)이 끼워져 안내되도록 상기 베이스(6)에 가이드홈(61)을 형성하여 손잡이(4)가 원활하게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2는 걸림쇠(3)의 후크(31)가 통과하도록 베이스(6)에 형성되는 관통공이고, 63은 베이스(6)를 창문프레임(11)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통과하는 다수의 체결공이며, 73은 본체(7)를 창문프레임(11)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볼트의 나사부가 통과하는 다수의 체결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제1 코일스프링(51) 및 제2 코일스프링(52)의 탄성력과 인위적인 손으로 쥐는 동작으로 직선 또는 상하 이동하는 손잡이(4) 및 걸림쇠(3)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개량하여 손잡이(4)의 직선운동이 곧바로 걸림쇠(3)의 상하이동으로 이루어져 도어의 걸림 및 해지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3a 및 3b에서와 같이 제1 코일스프링(51) 및 제2 코일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쇠(3)의 후크(31)가 스트라이크(2)에 끼워지고 손잡이(4)가 본체(7)의 개구부(71)의 선단으로 밀려나와 위치한 상태는 도어의 잠금상태가 된다.
상기 도어의 잠금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도 3b의 상태에서 손잡이(4)를 파지하여 움켜쥐면 손가락이 파지부(41)를 밀어서 도 4b의 이동거리(T) 만큼 본체(7)의 내부로 직선 운동시키게 되고, 이때 손잡이(4)의 경사레일(43)에 접하고 있던 걸림쇠(3)의 지지축(33)은 경사레일(43)을 따라 상승하므로 걸림쇠(3)의 후크(31)의 위치가 도 4a 및 4b에서와 같이 높이(H) 만큼 상승하여 스크라이커(2)의 걸림홈(21)을 벗어나 도어가 신속하게 이동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걸림쇠(3)을 작동시키는 손잡이(4)는 내부커버(9)의 가이드편(92)의 안내와 베이스(6)의 가이드홈(61)에 끼워진 손잡이(4)의 가이드편(44)의 안내에 의해 안정적으로 직선 운동함으로써 걸림쇠(3)의 작동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4)의 직선운동이 바로 걸림쇠(3)의 상하운동으로 전환되는 매우 간결한 구조로서 도어의 개방 방향에 상관없이 장착 가능하면서 신속하면서도 도어의 개방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품수가 가장 최소화로 이루어지므로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여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창틀프레임 11: 창문프레임
2: 스트라이커 21: 걸림홈
3: 걸림쇠 31: 후크
32: 지지편 311: 수용공간
4: 손잡이 41: 파지부
42: 지지편 43: 경사레일
44: 가이드편 51: 제1 스프링
52: 제2 스프링 6: 베이스
61: 가이드홈 7: 본체
71: 개구부 72: 결합홈
8: 외부커버 9: 내부커버
91: 고정핀 92: 가이드편
93: 날개부

Claims (2)

  1. 창틀프레임(10)에 고정되면서 상하측에 걸림홈(21)을 형성한 스트라이커(2)와; 이 스트라이커(2)의 걸림홈(21)에 수용 및 이격되어 잠금 또는 해지 상태를 제공하도록 제2 스프링(52)에 의해 지지되면서 후크(31)를 갖는 걸림쇠(3)와; 이 걸림쇠(3)를 작동시키기 위해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손가락이 접하는 파지부(41)의 이면에 제1 스프링(51)이 접하는 손잡이(4)와; 창문프레임(11)에 접하여 고정되는 베이스(6)와; 이 베이스(6)와 함께 창문프레임(11)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쇠(3) 및 창문개폐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손잡이(4)를 수용시키고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일측에 상기 손잡이(4)를 노출시키는 개구부(71)가 형성되는 본체(7); 및 상기 본체(7)의 작동공간 일부를 폐쇄하는 외부커버(8)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3)는 지지편(32)의 상하측 모서리부분 직교방향에 형성된 후크(31)에 제2 스프링(52)의 일단이 수용되는 수용공간(311)을 형성하고, 지지편(32)의 후면 모서리부분 상하측에 지지축(33)이 돌출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손잡이(4)는 손가락이 접하는 파지부(41)의 상하측에 직교방향으로 지지편(42)을 돌출 형성하고, 이 지지편(42)의 선단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경사레일(4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4)가 직선 왕복운동할 때 경사레일(43)에 접하는 걸림쇠(3)의 지지축(23)이 상하로 위치가 변화하면서 걸림쇠(3)의 후크(31)가 스트라이커(2)의 걸림홈(21)에 수용되거나 이격되어 잠금 상태를 유지 및 해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52)의 타단을 끼워 지지하는 고정핀(91)을 돌출 형성시키고 손잡이(4)의 지지편(42) 사이로 끼워져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편(92)을 직교상태로 돌출 형성하며 상기 본체(7)의 결합홈(72)으로 끼워져 나사결합되는 상하측 날개부(93)를 형성한 내부커버(9)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
KR1020170091904A 2017-07-20 2017-07-20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 KR101979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04A KR101979505B1 (ko) 2017-07-20 2017-07-20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904A KR101979505B1 (ko) 2017-07-20 2017-07-20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25A KR20190009925A (ko) 2019-01-30
KR101979505B1 true KR101979505B1 (ko) 2019-07-10

Family

ID=6527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904A KR101979505B1 (ko) 2017-07-20 2017-07-20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5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36B1 (ko) * 2012-05-16 2014-08-26 (주)성림금속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418Y1 (ko) 2006-09-29 2006-12-20 안건형 그립형 개폐 손잡이
KR200456819Y1 (ko) 2008-11-07 2011-11-21 에이스이노텍 주식회사 창호용 개폐 손잡이
KR20100008308U (ko) 2009-02-12 2010-08-20 장만동 창문용 그립핸들
KR101446682B1 (ko) 2013-07-31 2014-10-06 주식회사 이에스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KR101916103B1 (ko) * 2016-12-07 2018-11-08 김선근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KR101943733B1 (ko) * 2017-05-11 2019-01-31 (주)에스알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136B1 (ko) * 2012-05-16 2014-08-26 (주)성림금속 슬라이딩 창호용 그립형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925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8152A (en) Slam-action latch with ejector spring
US20060255596A1 (en) Flush handle latch mechanism
KR101188995B1 (ko) 도어락
US9103144B2 (en) Door travel limiting device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1916103B1 (ko) 잠금장치를 포함한 창호용 그립 손잡이
US7287787B1 (en) Linear thumb-piece actuation latch mechanism
KR101918592B1 (ko) 창호용 무락핸들
KR101979505B1 (ko) 그립형 도어 잠금장치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KR100803906B1 (ko) 손잡이 당김용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JP2010013904A (ja) 扉開閉装置
KR101115112B1 (ko) 푸시풀형 도어락 모티스
KR100803902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KR101446682B1 (ko)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장치
CN105089347B (zh) 一种移门锁拉手构造
KR20170066195A (ko) 푸쉬 풀 도어락
KR100840141B1 (ko) 미닫이문의 잠금 해제장치
JP4757570B2 (ja) 扉のハンドル装置及びラッチ錠
KR101674167B1 (ko) 무전원 방식 양방향 구동 모티스
JP6645927B2 (ja) 非常扉の開扉装置
KR200196853Y1 (ko) 창문 잠금 장치
KR101531758B1 (ko) 미닫이창용 잠금장치
US11519199B2 (en) Bar handle with incorporated lock
KR200448479Y1 (ko) 도어 쇄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