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434B1 -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 Google Patents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434B1
KR101979434B1 KR1020170124134A KR20170124134A KR101979434B1 KR 101979434 B1 KR101979434 B1 KR 101979434B1 KR 1020170124134 A KR1020170124134 A KR 1020170124134A KR 20170124134 A KR20170124134 A KR 20170124134A KR 101979434 B1 KR101979434 B1 KR 10197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otation
space
rotational forc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190A (ko
Inventor
김용철
홍응표
김지혜
허윤
남기태
권칠용
장윤희
이석민
류제청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17012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4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보조 휠체어용 전동휠 핸드림 복귀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핸드 림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핸드 림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 림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모듈; 상기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이스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동작이 구현되고,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상태 및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는 제2 상태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ROTATING DEVICE AND WHEELCHAI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력보조 휠체어용 전동휠 핸드림 복귀장치(이하, '회전장치'로 명칭될 수도 있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핸드 림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보조 휠체어용 전동휠 핸드림 복귀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 재활보조 장치인 휠체어는 크게 수동형과 전동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형 휠체어는 사용자(휠체어 탑승자를 의미하며,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임)가 직접 바퀴를 손으로 굴려가며 사용하는 것으로, 여성 또는 노인과 같은 근력이 저하된 사용자에게는 과도한 피로를 줄 수 있으며, 나아가 근육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전동형 휠체어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그 자체의 중량 및 부피가 커 사용 편의성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양 휠체어의 장점을 취하는 파워어시스트 휠체어(POWER ASSISTED WHEELCHAIR, 핸드 림 구동형 근력보조 휠체어 혹은 동력보조 휠체어라고도 함)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핸드 림 구동형 근력보조 휠체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휠체어의 바퀴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바퀴에 구비되는 핸드 림을 잡고 힘을 가하면, 핸드 림에 장착된 센서부에서 상기 핸드 림에 가해진 힘을 측정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모터를 제어하여 바퀴의 회전속도를 컨트롤하는 휠체어를 말한다.
즉 사용자의 수동조작을 기본으로 하되, 모터를 통해 사용자의 구동을 보조함으로써 기존의 수동형 휠체어 및 전동형 휠체어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최근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근력보조 휠체어에서는 핸드 림에 가해진 힘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대표적으로는 토크 센서)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센서는 상기 핸드 림에 가해지는 사용자 입력 토크(사용자에 의해 발생한 힘)를 감지하고 신호를 출력하여 모터제어수단으로 전송한다.
상기 모터제어수단은 상기 신호를 기반으로 모터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모터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축된 기존의 센서의 경우, 핸드 림에 장착된 센서에 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생성된 신호를 전송받기 위해서는 슬립링(Slip-Ring)이나 원형 커넥터(Circular Connector)와 같은 특수한 장치들이 필요하다.
핸드 림이 휠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단순 유선 방식으로는 전력 및 신호의 전달이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핸드 림의 회전으로 인해 선이 꼬이거나 하는 문제 발생의 우려가 높음).
이러한 특수 장치들은 근력보조 휠체어의 구조를 보다 복잡하게 할뿐더러 제작비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갖는 근력보조 휠체어가 필요한 이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한 구조로 핸드 림의 회전을 센싱하며, 사용자가 빠르게 전진할 것인지 여부 등의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동력보조 휠체어용 전동휠 핸드림 복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동력보조 휠체어용 전동휠 핸드림 복귀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핸드 림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기 핸드 림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 림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모듈; 상기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이스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동작이 구현되고,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상태 및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는 제2 상태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회전 장치, 핸드 림 및 바퀴를 포함하는 휠체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보조 휠체어용 전동휠 핸드림 복귀장치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로 핸드 림의 회전을 센싱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가 빠르게 전진할 것인지 여부 등의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휠체어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이 베이스모듈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센서모듈 및 회전모듈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도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완충부재의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제1 완충부재 및 회전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제1 완충부재, 회전모듈 및 커버모듈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회전 이동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및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제2 완충부재 및 회전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제2 완충부재, 회전모듈 및 커버모듈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제3 완충부재, 회전모듈 및 커버모듈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이 완충모듈에 의해 변화되는 회전변위를 나타내는 개략 그래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회전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핸드 림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핸드 림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 림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모듈 상기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이스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동작이 구현되고,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상태 및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는 제2 상태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상태가 구현되는 상기 센서모듈이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잇다.
또, 상기 위치유도부는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모듈이 상기 소정의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위치유도부는 상기 센서모듈에 배치되는 제1 위치유도부 및 상기 제1 위치유도부와 자력을 생성하며 상기 베이스모듈에 배치되는 제2 위치유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배치되는 센서몸체부 및 상기 센서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센서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위치유도부는 상기 센서연장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연장부는 상기 센서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센서연장 바닥부 및 상기 제1 위치유도부가 배치되는 제1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센서연장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센서연장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연장 바닥부는 상기 제1 위치유도부와 상기 제2 위치유도부 간에 자력이 발생되도록 제1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제2 위치유도부가 배치될 수 있는 제2 배치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배치공간이 상기 제1 배치공간과 연통되도록 제2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제1 배치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위치유도부가 상기 제1 배치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배치공간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제2 배치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위치유도부가 상기 제2 배치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배치공간을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회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고 회전된 상기 회전모듈이 소정의 초기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제1 완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1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2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에 의해 일단이 상기 회전모듈에 의해 가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모듈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완충연장부 및 상기 완충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완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상기 제1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2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상기 제2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2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완충연장부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완충연장부가 상기 제2-1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2-2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2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3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상기 제3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3-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3-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모듈 상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제2 완충연장부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완충연장부가 상기 제2-1 수용공간 및 상기 제3-1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2-2 수용공간 및 상기 제3-2 수용공간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2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제2 완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2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1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제2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2 안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완충부재가 상기 제1 안착공간 및 상기 제2 안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안착공간 및 상기 제2 안착공간을 커버하며 상기 제2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제3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안착공간, 상기 제2 안착공간 및 상기 제3 안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에 의해 일단이 상기 회전모듈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타단이 상기 베이스모듈 및 상기 커버모듈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제3 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 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모듈과의 연결을 구현하는 커버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커버연결부를 포위하도록 커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3 완충부재는 상기 커버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3 완충부재는 상기 커버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상기 회전 장치, 핸드 림 및 바퀴를 포함하는 휠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베이스모듈; 상기 베이스 모듈 상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모듈을 기준으로 외력에 의해 위치 이동되는 센서모듈; 및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기 센서모듈이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준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유도부;를 포함하는 회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장치를 포함하는 휠체어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을 외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을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을 외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을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모듈을 외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모듈을 내측에서 바라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이 베이스모듈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센서모듈 및 회전모듈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유도부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완충부재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제1 완충부재 및 회전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제1 완충부재, 회전모듈 및 커버모듈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회전 이동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의 회전 이동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제2 완충부재 및 회전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제2 완충부재, 회전모듈 및 커버모듈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모듈, 제3 완충부재, 회전모듈 및 커버모듈이 연결된 것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모듈이 완충모듈에 의해 변화되는 회전변위를 나타내는 개략 그래프.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종래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되거나 간략화 하였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핸드 림(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3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드 림(20)은 사용자(휠체어(1)의 이용자)가 파지하여 회전력을 가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핸드 림(20)은 소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회전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퀴(30)는 휠체어(1)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지면 상에서 회전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장치(10)는 상기 핸드 림(20)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 림(20)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핸드 림(20)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본체부(110) 및 상기 회전본체부(110)와 상기 핸드 림(20)을 연결하는 회전연결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드 림(20)이 사용자가 인가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본체부(110)는 상기 회전연결부(120)를 통해 상기 핸드 림(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핸드 림(20)과 연동하여 상기 시계방향 및/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장치(10)는 상기 바퀴(30)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바퀴(3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이스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베이스모듈(200)은 상기 바퀴(3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베이스본체부(210) 및 상기 베이스본체부(210)와 상기 바퀴(30)를 연결하는 베이스연결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본체부(210)는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본체부(21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바퀴(30)는 상기 베이스연결부(220)를 통해 상기 베이스본체부(2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시계방향 및/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장치(10)는 상기 회전모듈(100)을 커버하는 커버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에 안착된 상기 회전모듈(1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커버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회전모듈(1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커버본체부(310) 및 상기 커버본체부(310) 상에 체결된 체결부재(T2, 볼트, 나사 등)를 커버하는 커버머리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베이스모듈(2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베이스모듈(200)이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베이스모듈(200)과 연동하여 상기 시계방향 및/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커버본체부(310)로부터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향하여 돌출된 커버연결부(33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연결부(330) 및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연결하는 체결부재(T2)에 의해 상기 베이스모듈(2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핸드 림(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기 전의 소정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핸드 림(2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시계방향 또는/및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동작은 상기 소정의 범위 내에서 오로지 상기 회전모듈(100)만 회전되며 상기 베이스모듈(200)이 회전되지 않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모듈(300)의 상기 커버본체부(310)는 상기 회전모듈(100)의 상기 회전연결부(120)가 관통할 수 있는 커버관통공(A)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연결부(120)는 상기 커버관통공(A) 상에서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시계방향으로 상기 커버본체부(310)와 접촉되는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회전연결부(120)는 상기 커버관통공(A) 상에서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상기 커버본체부(310)와 접촉되는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커버관통공(A)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기 회전연결부(120)가 상기 커버본체부(310)에 접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회전연결부(120)가 상기 커버관통공(A) 상에서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커버본체부(310)에 접촉되고 상기 커버본체부(3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경우, 상기 커버본체부(310)는 상기 회전연결부(120)로부터 상기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본체부(310)와 연결된 상기 베이스모듈(200) 역시 상기 커버본체부(310)와 연동하여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연결부(120)가 상기 커버관통공(A) 상에서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커버본체부(310)에 접촉되고 상기 커버본체부(310)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경우, 상기 커버본체부(310)는 상기 회전연결부(120)로부터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본체부(310)와 연결된 상기 베이스모듈(200) 역시 상기 커버본체부(310)와 연동하여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장치(10)는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회전동작 상의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회전동작 상의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411)가 배치되는 센서몸체부(410) 및 상기 센서몸체부(41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센서연장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센서모듈(400)은 체결부재(T1, 볼트, 나사 등)에 의해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에 연결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시계방향 및/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모듈(400)은 외력을 전달받지 않는 위치인 소정의 기준위치에서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상에서 상기 체결부재(T1)를 기준으로 상기 시계방향 및/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모듈(200)은 상기 센서모듈(400)의 상기 센서부(411)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모듈(400)이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에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위치감지부(230)는 상기 센서부(411)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센서모듈(400)의 위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411)는 마그네틱 또는 전도성 물체일 수 있으며, 상기 위치감지부(230)는 마그네틱의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거나 전도성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감지부(230)는 상기 센서부(411)가 상기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는지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었는지 여부 및/또는 상기 소정의 기준위치로부터 회전된 거리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230)로부터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바퀴(30)의 회전을 구현하는 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상기 바퀴(30)를 상기 시계방향 또는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어시스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바퀴(30)의 회전을 어시스트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이 떨어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모듈(200)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베이스모듈(200) 및 상기 센서모듈(400)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듈(100)은 회전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에서 상기 회전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회전모듈(100)의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상태 및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아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는 제2 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회전모듈(100)을 가압하는 회전가압부(13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가압부(130)는 상기 센서모듈(40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포위공간(M)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위공간(M)에 배치된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회전모듈(100)의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 및 상기 센서모듈(400)의 상기 소정의 기준위치에서 상기 회전가압부(130)와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듈(100)이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회전가압부(130)가 상기 센서모듈(400)의 상기 센서연장부(420)와 접촉되기 전에는 오로지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모듈(100)만 회전되며, 상기 센서모듈(400)은 회전되지 않는 상기 제2 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모듈(100)이 상기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되는 경우,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듈(100)의 상기 회전가압부(130)는 상기 센서모듈(400)의 상기 센서연장부(420)를 상기 시계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모듈(100)이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회전모듈(100)의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가압부(1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에서 위치 이동되는 상기 제1 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400)의 상기 제2 상태는 사용자의 의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100)은 사용자의 의도치 않는 외력에 의해 미세하게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제2 상태가 구현됨으로 인해 상기 회전모듈(100)이 회전되어도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으므로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듈(100)이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미세하게 회전되더라도 상기 센서모듈(400)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상기 위치감지부(230)는 상기 센서모듈(400)의 위치 이동을 감지하지 않는다.
여기서,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장치(10)는 상기 제2 상태가 구현되는 상기 센서모듈(400)이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상기 소정의 기준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유도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위치유도부(600)는, 상기 센서모듈(400)이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경우 또는 상기 회전모듈(100)이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 즉, 상기 회전모듈(100)이 상기 센서모듈(400)을 가압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센서모듈(400)이 상기 포위공간(M) 상에서 상기 소정의 기준위치에 위치되도록 유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위치유도부(600)는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모듈(400)이 상기 소정의 기준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위치유도부(600)는 상기 센서모듈(400)에 배치되는 제1 위치유도부(610) 및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와 자력을 생성하며 상기 베이스모듈(200)에 배치되는 제2 위치유도부(62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와 상기 제2 위치유도부(620)간의 자력에 의해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 및 상기 제2 위치유도부(620)는 자석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 및 상기 제2 위치유도부(620)는 상호 에 대해 자력(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는 상기 센서연장부(4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유도부(620)는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례로, 상기 센서연장부(420)는 상기 센서몸체부(410)로부터 연장되는 센서연장 바닥부(421) 및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가 배치되는 제1 배치공간(H1)을 형성하도록 상기 센서연장 바닥부(421)로부터 연장되는 센서연장 측벽부(4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는 상기 제1 배치공간(H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연장 바닥부(421)는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와 상기 제2 위치유도부(620) 간에 자력이 발생되도록 제1 개구(F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베이스모듈(200)은 상기 제2 위치유도부(620)가 배치될 수 있는 제2 배치공간(H2)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배치공간(H2)이 상기 제1 배치공간(H1)과 연통되도록 제2 개구(F2)를 형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배치공간(H1)에 배치된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와 상기 제2 배치공간(H2)에 배치된 상기 제2 위치유도부(620)는 상기 제1 개구(F1) 및 상기 제2 개구(F2)를 통해 더욱 많은 양의 자력을 상호 주고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제1 배치공간(H1)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가 상기 제1 배치공간(H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배치공간(H1)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45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모듈(200)은 상기 제2 배치공간(H2)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위치유도부(620)가 상기 제2 배치공간(H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배치공간(H2)을 커버하는 제2 커버부(2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버부(450)가 상기 제1 배치공간(H1)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는 상기 제1 배치공간(H1) 상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제2 커버부(250)가 상기 제2 배치공간(H2)을 커버함으로써, 상기 제2 위치유도부(620)는 상기 제2 배치공간(H2) 상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배치공간(H1)에 배치된 상기 제1 위치유도부(610)와 상기 제2 배치공간(H2)에 배치된 상기 제2 위치유도부(620)에 의해, 상기 센서모듈(400)은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가압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상기 소정의 기준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 장치(10)는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하는 완충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12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 완충부재(500)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완충부재(500)는 상기 회전모듈(100)의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500)는 상기 회전모듈(100)의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하고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시계방향 또는/및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회전모듈(100)이 다시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제1 완충부재(51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완충부재(510)는 상기 회전모듈(100)이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여기서 상기 회전모듈(100)이 회전력이 더 이상 전달되지 않는 경우, 회전된 상기 회전모듈(100)을 다시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로 되돌리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제1 완충부재(51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1 삽입공간(B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모듈(200)은 상기 제1 완충부재(51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2 삽입공간(B2)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제1 완충부재(51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3 삽입공간(B3)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완충부재(510)는 상기 제1 삽입공간(B1), 상기 제2 삽입공간(B2) 및 상기 제3 삽입공간(B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완충부재(510)는 가스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삽입공간(B1), 상기 제2 삽입공간(B2) 및 상기 제3 삽입공간(B3) 상에서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완충부재(510)는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기 회전모듈(100) 및 상기 커버모듈(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삽입공간(B1), 상기 제2 삽입공간(B2) 및 상기 제3 삽입공간(B3) 상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완충부재(510)는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에 의해 일단이 상기 회전모듈(100)에 의해 가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모듈(200)에 구속되어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례로, 상기 제1 완충부재(510)는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하는 완충부(511), 상기 완충부(511)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완충연장부(513) 및 상기 완충부(511)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완충연장부(515)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완충부(511)의 내부에는 가스가 충진되어 있으며, 외력에 의해 완충부(511)는 신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제1 완충부재(510)가 상기 제1 삽입공간(B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1 수용공간(D1-1) 및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2 수용공간(D1-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모듈(200)은 상기 제1 완충부재(510)가 상기 제2 삽입공간(B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1 수용공간(D2-1) 및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2 수용공간(D2-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완충부재(510)가 상기 제1 삽입공간(B1) 및 상기 제2 삽입공간(B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삽입공간(B1) 및 상기 제2 삽입공간(B2)을 커버하는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제1 완충부재(510)가 상기 제3 삽입공간(B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3-1 수용공간(D3-1) 및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3-2 수용공간(D3-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듈(100)이 상기 베이스모듈(200)을 기준으로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는 상기 제2-1 수용공간(D2-1)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5)는 상기 제2-2 수용공간(D2-2)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2 수용공간(D1-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가 상기 회전모듈(100)에 의해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는 상기 완충부(511)의 수축에 의해 상기 제1-1 수용공간(D1-1) 상에서 상기 제1-1 수용공간(D1-1)을 규정하는 상기 회전모듈(100)에 의해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5)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5)는 상기 제2-2 수용공간(D2-2) 상에서 상기 제2-2 수용공간(D2-2)을 규정하는 상기 베이스모듈(200)에 의해 구속되어 위치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듈(100)에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완충부(511)는 수축된 상태에서 신장하며, 상기 완충부(511)의 신장에 의해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는 상기 회전모듈(100)을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베이스모듈(200)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모듈(200) 상에 위치 고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5)는,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가 상기 제2-1 수용공간(D2-1) 및 상기 제3-1 수용공간(D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2-2 수용공간(D2-2) 및 상기 제3-2 수용공간(D3-2)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2 수용공간(D1-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1 수용공간(D2-1)을 규정하는 상기 베이스모듈(200) 및 상기 3-1 수용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가 상기 시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를 구속하며, 상기 제2-2 수용공간(D2-2)을 규정하는 상기 베이스모듈(200) 및 상기 제3-2 수용공간(D3-2)을 규정하는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5)가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3)를 구속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모듈(200) 및 상기 커버모듈(300)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회전동작에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 및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5)를 가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를 가압하여 상기 제1 완충연장부(513)를 상기 반 시계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키고,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3)를 가압하여 상기 제2 완충연장부(513)를 상기 시계방향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500)는 상기 회전모듈(100)의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하는 제2 완충부재(5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제2 완충부재(52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1 안착공간(C1)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모듈(200)은 상기 제2 완충부재(52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2 안착공간(C2)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제2 완충부재(520)가 상기 제1 안착공간(C1) 및 상기 제2 안착공간(C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안착공간(C1) 및 상기 제2 안착공간(C2)을 커버하며, 상기 제2 완충부재(520)가 배치될 수 있는 제3 안착공간(C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완충부재(520)는 상기 제1 안착공간(C1), 상기 제2 안착공간(C2) 및 상기 제3 안착공간(C3)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에 의해 일단이 상기 회전모듈(10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타단이 상기 베이스모듈(200) 및 상기 커버모듈(300)에 구속되어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완충부재(520)는 스폰지,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회전모듈(100)의 가압에 따른 형상변형으로 인해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듈(100)이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로 복원되는 경우, 상기 제2 완충부재(520)는 상기 회전모듈(100)이 가압하기 전인 초기형상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또한,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500)는 상기 회전모듈(100)의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하는 제3 완충부재(5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완충부재(530)는 상기 커버연결부(33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커버연결부(330)를 포위하도록 커버공간(E)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커버연결부(330)가 상기 커버본체부(3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베이스모듈(200)로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연결부(330)가 삽입될 수 있는 상기 커버공간(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연결부(330)에 연결되는 상기 체결부재(T2)는 상기 커버연결부(330) 및 상기 커버공간(E)을 지나 상기 베이스모듈(2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커버모듈(300)은 상기 베이스모듈(2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회전동작에서 회전되어 상기 커버연결부(330)를 기준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완충부재(530)는 상기 커버연결부(330)에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커버공간(E)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완충부재(530)는 링 형상의 고무, 스폰지,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일 수 있으며, 형상변형으로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여 상기 완충부재(500)가 구현하는 기능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21에서, Y축은 사용자가 상기 회전모듈(100)에 회전력을 가하는 힘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고, X축은 Y축의 변화에 따라 상기 회전모듈(100)이 회전되는 변위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사용자가 상기 회전모듈(100)에 k이하의 회전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회전모듈(100)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일례로, k이하의 회전력을 받은 상기 회전모듈(100)이 상기 제1 완충부재(510) 및 상기 제2 완충부재(520)의 형상을 변형시킬 정도의 힘을 상기 제1 완충부재(510) 및 상기 제2 완충부재(520)로 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제1 완충부재(510) 및 상기 제2 완충부재(520)는, 상기 회전모듈(100)이 k초과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경우 상기 회전모듈(100)의 가압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모듈(100)이 k이하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경우 상기 회전모듈(100)로부터 가압되더라도 재질의 특성 등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k이하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모듈(100)로 가해지는 경우, 상기 회전모듈(100)은 회전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센서모듈(400)도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k이하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모듈(100)로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완충부재(510) 및 상기 제2 완충부재(520)에 의해 상기 회전모듈(100)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k초과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모듈(100)로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완충부재(510) 및 상기 제2 완충부재(520)는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며, a구간까지 소정의 회전변위를 구현하기 위해 가해지는 회전력은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완충부재(510) 및 상기 제2 완충부재(520)의 형상 변형이 커지기 위해 더 많은 외력이 가해져야 하는 상기 제1 완충부재(510) 및 상기 제2 완충부재(520)의 특성에 기인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변위가 소정의 초기위치로부터 a에 도달된 경우,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제3 완충부재(530)와 접촉될 수 있다.
그 결과, a구간부터 b구간까지에서의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제1 완충부재(510), 상기 제2 완충부재(520) 및 상기 제3 완충부재(530)를 동시에 가압함을 의미한다.
즉, 일례로, 0구간부터 a구간까지에서의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제1 완충부재(510) 및 상기 제2 완충부재(520)를 가압함을 의미할 수 있고, a구간부터 b구간까지에서의 상기 회전모듈(100)은 상기 제1 완충부재(510), 상기 제2 완충부재(520) 및 상기 제3 완충부재(530)를 동시에 가압함을 의미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완충부재(510), 상기 제2 완충부재(520) 및 상기 제3 완충부재(530)는 단순히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을 완충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재질, 배치 등이 조절되어, 상기 회전모듈(100)의 회전 감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체어(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 장치(10), 상기 핸드 림(20) 및 상기 바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회전모듈
200: 베이스모듈
300: 커버모듈
400: 센서모듈
500: 완충부재

Claims (13)

  1.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핸드 림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휠체어의 회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 림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 림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모듈;
    상기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이스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동작이 구현되고,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상태 및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아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위치 이동되지 않는 제2 상태가 구현되며,
    상기 제2 상태가 구현되는 상기 센서모듈이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소정의 기준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위치유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유도부는,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모듈이 상기 소정의 기준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위치유도부는,
    상기 센서모듈에 배치되는 제1 위치유도부 및 상기 제1 위치유도부와 자력을 생성하며 상기 베이스모듈에 배치되는 제2 위치유도부를 구비하는,
    회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가 배치되는 센서몸체부 및 상기 센서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센서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위치유도부는,
    상기 센서연장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연장부는,
    상기 센서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센서연장 바닥부 및 상기 제1 위치유도부가 배치되는 제1 배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센서연장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센서연장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연장 바닥부는,
    상기 제1 위치유도부와 상기 제2 위치유도부 간에 자력이 발생되도록 제1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제2 위치유도부가 배치될 수 있는 제2 배치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배치공간이 상기 제1 배치공간과 연통되도록 제2 개구를 형성하는,
    회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제1 배치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위치유도부가 상기 제1 배치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배치공간을 커버하는 제1 커버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제2 배치공간 상에 배치된 상기 제2 위치유도부가 상기 제2 배치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배치공간을 커버하는 제2 커버부를 더 구비하는,
    회전 장치.
  6. 삭제
  7.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핸드 림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휠체어의 회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 림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 림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모듈;
    상기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이스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동작이 구현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고 회전된 상기 회전모듈이 소정의 초기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제1 완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1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2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에 의해 일단이 상기 회전모듈에 의해 가압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모듈에 구속되는
    회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완충부, 상기 완충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완충연장부 및 상기 완충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완충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상기 제1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2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상기 제2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2-2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완충연장부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완충연장부가 상기 제2-1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2-2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2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회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삽입공간 및 상기 제2 삽입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3 삽입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제1 완충부재가 상기 제3 삽입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3-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완충연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3-2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모듈 상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제2 완충연장부는,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완충연장부가 상기 제2-1 수용공간 및 상기 제3-1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상기 제2-2 수용공간 및 상기 제3-2 수용공간상에 배치되되 상기 제1-2 수용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회전 장치.
  10.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핸드 림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휠체어의 회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 림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 림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모듈;
    상기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이스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동작이 구현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제2 완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제2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1 안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제2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인 제2 안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완충부재가 상기 제1 안착공간 및 상기 제2 안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안착공간 및 상기 제2 안착공간을 커버하며 상기 제2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제3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완충부재는,
    상기 제1 안착공간, 상기 제2 안착공간 및 상기 제3 안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에 의해 일단이 상기 회전모듈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타단이 상기 베이스모듈 및 상기 커버모듈에 구속되는,
    회전 장치.
  11. 사용자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핸드 림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휠체어의 회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 림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 림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회전모듈;
    상기 바퀴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듈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이스모듈; 및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동작이 구현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며,
    상기 회전모듈을 커버하는 커버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회전동작에서,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을 완충하는 제3 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 상에 위치 고정되도록 상기 베이스모듈과의 연결을 구현하는 커버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커버연결부를 포위하도록 커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3 완충부재는,
    상기 커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공간에 배치되는
    회전 장치.
  12. 제1항, 제4항, 제5항, 제7항 내지 제11항에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 장치, 핸드 림 및 바퀴를 포함하는 휠체어.
  13. 삭제
KR1020170124134A 2017-09-26 2017-09-26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KR10197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34A KR101979434B1 (ko) 2017-09-26 2017-09-26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34A KR101979434B1 (ko) 2017-09-26 2017-09-26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90A KR20190035190A (ko) 2019-04-03
KR101979434B1 true KR101979434B1 (ko) 2019-05-16

Family

ID=6616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134A KR101979434B1 (ko) 2017-09-26 2017-09-26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820A (ko) * 2020-09-08 2022-03-15 근로복지공단 근력보조 휠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888B1 (ko) * 2020-09-08 2022-07-15 근로복지공단 휠체어 운전특성 분석 시스템
KR102442019B1 (ko) * 2020-09-23 2022-09-08 (주)다우테크놀로지 근력보조 휠체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571B1 (ko) 2013-03-06 2014-04-15 근로복지공단 전동보조형 휠체어용 구동장치
JP2014073356A (ja) 2012-09-14 2014-04-24 Yamaha Motor Co Ltd 車椅子用車輪、車椅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5372B2 (ja) * 1994-10-31 2005-10-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補助動力式ビークル
KR101738398B1 (ko) * 2015-08-26 2017-05-29 근로복지공단 비접촉 토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보조 휠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356A (ja) 2012-09-14 2014-04-24 Yamaha Motor Co Ltd 車椅子用車輪、車椅子
KR101385571B1 (ko) 2013-03-06 2014-04-15 근로복지공단 전동보조형 휠체어용 구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2820A (ko) * 2020-09-08 2022-03-15 근로복지공단 근력보조 휠체어
KR102422446B1 (ko) 2020-09-08 2022-07-20 근로복지공단 근력보조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90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434B1 (ko)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체어
TW450823B (en) Power-driven skateboard
US10975926B2 (en) Haptic operating device with a rotating el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equipment with the haptic operating device
US10481631B2 (en) Haptic operating device with a rotating el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technical equipment
CN109415922A (zh) 具有用于识别调节期望的传感器装置的车门装置
US9925034B2 (en) Stabilizing unintentional muscle movements
JP7397530B2 (ja) 磁気粘性制動デバイス、特に操作デバイス
JP6040316B2 (ja) 回転力の調節が可能な走行補助システムが備えられた移動式リフティング装置
EP3725273B1 (en) Motion assistance apparatus
KR20220111229A (ko) 버튼형 액추에이터, 이를 포함하는 버튼형 액추에이터 피드백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22517380A (ja) フリーハブトルク速度誘導装置
KR101738398B1 (ko) 비접촉 토크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보조 휠체어
JP2020143930A (ja) ジャーク測定システム
KR101176476B1 (ko) 전기자전거 키트
CN104081162A (zh) 操作设备和用于运行操作设备的方法
KR20140118166A (ko)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차량
KR20130071175A (ko) 홀센서를 적용한 동작의도 파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보조장치
TW400230B (en) Motor-driven wheelchairs
EP3670945B1 (en) Magnetic floating device and a vehicle
JP2004229757A (ja) マッサージ機
KR102307586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저항력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04567B1 (ko) 완전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및 방법
CN110613600A (zh) 按摩设备、体感操控方法、体感控制器
JP4216360B2 (ja) 昇降式収納装置
JP5328684B2 (ja) 車椅子の補助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