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381B1 - 급수 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급수 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381B1
KR101979381B1 KR1020170133271A KR20170133271A KR101979381B1 KR 101979381 B1 KR101979381 B1 KR 101979381B1 KR 1020170133271 A KR1020170133271 A KR 1020170133271A KR 20170133271 A KR20170133271 A KR 20170133271A KR 101979381 B1 KR101979381 B1 KR 101979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main pipe
pipe
inner diamete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716A (ko
Inventor
강옥수
Original Assignee
강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옥수 filed Critical 강옥수
Priority to KR102017013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3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Abstract

급수배관 시스템이 개시된다. 급수배관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메인급수가 통과하는 메인배관과,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급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분기배관과, 상기 다수의 분기배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유입 지점에서 분기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설정된 내경을 가진 관부를 가진 다수의 유량조절부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급수배관 시스템은 유속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간단한 방법으로 분기되어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수 배관 시스템{A water feeding pipe system}
본 발명은 급수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에 설치된 급수 배관 시스템은 외부에서 수도계량기를 거친 물은 부엌, 화장실, 베란다, 보일러실 등의 사용처로 직렬 또는 병렬로 분배한다. 이때, 사용처에서 배출되는 물은 초기 유입된 메인배관에서 거리가 멀수록 배출되는 사용처가 많을수록 압력이 낮아져 배출되는 양이 줄어든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7-4759호는 중앙에 물 유입구가 있는 판형부와 상기 판형부보다 소경의 일단이 개방된 통형부를 통형부의 개구부에 연속 설치하여 물의 통로를 형성하고, 통형부의 통로부터 외주에 복수의 수흡출부를 형성한 정유량 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다른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10-1737023호는 배출부 내부에 삽입되고, 상부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방향전환턱에 부딪혀 상기 방향전환공간에서 S자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며 하부유출공 입구로 안내되고, 상기 하부유출공에서 상기 소음방지유로를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유속량 조절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배출통로의 구조를 복잡하게 함으로써 유속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에서 장기적으로 이물질 등이 축적되어 위생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7-4759호
(특허문헌 0002) 한국등록특허 10-1737023호
(특허문헌 0003)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135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간단한 방법으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급수 배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급수 배관 시스템이 제공된다. 급수배관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메인급수가 통과하는 메인배관과,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급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분기배관과, 상기 다수의 분기배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유입 지점에서 분기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설정된 내경을 가진 관부를 가진 다수의 유량조절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량조절부싱은 분기배관 내에 설치하여 분기급수 통로를 간단하게 거리에 따라 설정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유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싱은 상기 분기배관의 수에 따라 내경이 설정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분기급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급수 배관시스템은 상기 메인배관과 분기배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메인배관을 결합하는 대구경부와 상기 대구경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축소된 소구경부를 가진 배관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량조절부싱은 상기 소구경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 및 상기 설정된 내경을 가진 관부 및 상기 관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하여 상기 대구경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부는 내벽부에 걸림턱을 제공함으로써 소구경부에 삽입된 상기 유량조절부싱을 편리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싱은 상기 설정된 내경에 대응하는 식별부호를 포함함으로써 삽입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유속을 감소시키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이물질 축적이 없는 간단한 구조로 메인배관으로 부터 분기되는 분기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급수 배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분배기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량조절부싱이 배관조인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급수 배관 시스템(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급수 배관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 배관 시스템(1)은 메인배관(110), 메인배관(110)에서 분기된 다수의 분기배관(120a~120f), 메인배관(110)과 분기배관(120a~120f)를 연결하는 다수의 분배기(130a~130f), 및 다수의 분기배관(120a~120f)과 다수의 분배기(130a~130f)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다수의 유량조절부싱(140a~140f)를 포함한다.
메인배관(110)의 외부로부터 유입지점(S)을 지나 제1분기지점(B1) 까지의 제1메인배관(110a), 제1분기지점(B1)에서 제2분기지점(B2)까지의 제2메인배관(110b), 제2분기지점(B2)에서 제3분기지점(B3)까지의 제3메인배관(110c), 제3분기지점(B3)에서 제4분기지점(B4)까지의 제4메인배관(110d), 제4분기지점(B4)에서 제5분기지점(B5)까지의 제5메인배관(110e), 및 제5분기지점(B5)에서 제6분기지점(B6)까지의 제6메인배관(110f)를 포함한다. 물론, 분기지점은 상술한 6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현장에 따라 적거나 많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6분기배관(120a~120f)은 제1 내지 제6메인배관(110a~f)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급수가 각각 흐르며, 사용처 예를 들면 씽크대, 샤워기 욕조, 세면기, 세탁기, 손빨래 및 발코니의 수도꼭지 또는 밸브로 배출된다.
분배기(130a)는 분기지점(B1)에서 제1메인배관(110a)와 제2메인배관(110b)을 연결하는 유입공(132a)과 유출공(134a), 및 제1분기배관(120a)이 연결되는 분기공(l36a)을 포함한다. 즉, 제1메인배관(110a)을 흐르는 메인급수는 분배기(130a)의 유입공(132a)으로 들어가 유출공(134a)으로 배출되어 제2메인배관(110b)을 흐르고, 분배기(130a) 내에서 분기공(136a)을 통해 분기급수로 분기되어 분기배관(120a)로 흐른다. 마찬가지로 나머지 분배기(130b~130f)는 분배기(130a)와 유사한 구조로서 나머지 제2 내지 제6메인배관(110b~110f), 제2 내지 제6분기배관(120b~120f) 사이에 개재되어 메인급수를 연결하고 분기급수를 배출한다.
제1 내지 제6분기배관(120a~120f)은 각각 제1 내지 제6분배기(130a~130f) 사이에 개재된 제1 내지 제6배관조인트(122a~122f)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배관조인트(122a~122f)는 분배기(130a~130f)의 분기공(136a~136f)에 체결되는 소구경부(122-1) 및 소구경부(122-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분기배관에 연결되는 대구경부(122-2)로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조인트(122)는 연결캡(123), 'O'링(124), 와셔(125) 및 그랩링(126)을 통하여 분배기(130)의 분기공(136)에 결합된다.
제1 내지 제6유량조절부싱(140a~140f)은 각각 제1 내지 제6분기배관(120a~120f) 또는 제1 내지 제6배관조인트(122a~122f)에 장착된다. 제1 내지 제6유량조절부싱(140a~140f)은 각각 상기 유입지점(S)에서 제1 내지 제6분기지점(B1~B6)까지의 거리에 따라 설정된 내경을 가진다. 즉, 제1 내지 제6유량조절부싱(140a~140f)은 각각 제1 내지 제6분기배관(120a~120f) 또는 제1 내지 제6배관조인트(122a~122f)를 통과하는 분기급수의 통로를 유입지점(S)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조절한다. 예를 들면 유입지점(S)에서 제1분기지점(B1,씽크대)까지의 거리를 5m, 제2분기지점(B2:샤워기욕조)까지의 거리를 8m, 제3분기지점(B3:세면기)까지의 거리를 9m, 제4분기지점(B4:세탁기)까지의 거리를 13m, 제5분기지점(B5:손빨래)까지의 거리를 14m, 제6분기지점(B6:발코니)까지의 거리를 18m라 하고, 메인급수의 초기수압을 100으로 가정할 때, 제1 내지 제6유량조절부싱(140a~140f)의 내경을 각각 8mm, 9mm, 9mm, 10mm, 10mm, 11mm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약 거리 5m당 내경 1mmdml 차이로 설정한 것이다. 이러한 설정은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황(전체적인 분기지점의 수가 매우 많거나, 특정 장소에 몰려있는 경우)에 따라 차이를 더 크게 설정하거나 더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유량조절부싱(140a~140f)은 각각 내경의 종류, 즉 유입지점(S)에서 분기지점(B)까지의 거리에 따라 설정된 식별부호를 포함한다. 식별부호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거리가 5m이면 5.0D, 7.5m면 7.5D, 10m면 10.0D, 12.5면 12.5D, 15m면 15.0D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D는 유량조절부싱(140a~140f)의 내경이 아닌 유입지점(S)에서 분기지점(B)까지의 거리이다. 작업자는 설계상 유입지점(S)에서 분기지점(B)이 정해지면 그에 가장 가까운 유량조절부싱(140a~140f)을 장착하여 설치하면 된다.
유량조절부싱(140a~140f)은 도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관조인트(122a~122f)의 소구경부(122-1)에 삽입되며, 유입지점(S)에서 제1 내지 제6분기지점(B1~B6)까지의 거리에 따라 설정된 내경을 가진 관부(142) 및 관부(14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부(144)를 포함한다. 유량조절부싱(140a~140f)은 일단 배관조인트(122a~122f)의 소구경부(122-1)에 삽입되면 수선 또는 교체를 위해 빼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유량조절부싱(140a~140f)의 관부는 내벽부에 걸림턱(146)을 포함한다. 배관조인트(122a~122f)에 삽입된 유량조절부싱(140a~140f)은 걸림턱(146)을 이용하여 인출부재(160)에 의해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인출부재(160)는 긴 막대상의 봉(162)과 봉(162)의 끝에 단차(166)를 갖도록 확장된 머리(164)를 포함한다. 삽입된 유량조절부싱(140a~140f)는 인출부재(160)의 봉(162)과 머리(164) 사이의 단차(166)를 걸림턱(146)에 걸어 잡아 당기므로써 쉽게 인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예시적 실시예와 도면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급수배관 시스템
110: 메인배관
110a~110f: 제1 내지 제6메인배관
120: 분기배관
120a~120f: 제1 내지 제6분기배관
122: 배관조인트
122a~122f: 제1 내지 제6배관조인트
130: 분배기
130a~130f: 제1 내지 제6분배기
140: 유량조절부싱
140a~140f: 제1 내지 제6유량조절부싱
160: 인출부재

Claims (5)

  1. 급수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메인급수가 통과하는 메인배관과;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급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분기배관과;
    상기 다수의 분기배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유입 지점에서 분기지점까지의 거리에 따라 설정된 내경을 가진 관부를 가진 다수의 유량조절부싱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배관과 분기배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메인배관을 결합하는 대구경부와 상기 대구경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축소된 소구경부를 가진 배관조인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량조절부싱은 상기 소구경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과 상기 설정된 내경을 가진 관부 및 상기 관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하여 상기 대구경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긴 막대상의 봉과 상기 봉의 끝에 단차를 갖도록 확장된 머리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를 걸림턱에 걸어 상기 유량조절부싱을 잡아 당겨 인출하는 인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싱은 상기 분기배관의 수에 따라 내경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부는 내벽부에 걸림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 시스템.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싱은 상기 설정된 내경에 대응하는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배관 시스템.
KR1020170133271A 2017-10-13 2017-10-13 급수 배관 시스템 KR101979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71A KR101979381B1 (ko) 2017-10-13 2017-10-13 급수 배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271A KR101979381B1 (ko) 2017-10-13 2017-10-13 급수 배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716A KR20190041716A (ko) 2019-04-23
KR101979381B1 true KR101979381B1 (ko) 2019-05-16

Family

ID=6628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271A KR101979381B1 (ko) 2017-10-13 2017-10-13 급수 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9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190A (ko) 2020-02-21 2021-09-01 김완규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11Y1 (ko) * 2004-11-19 2005-03-09 (주) 에타 커플링 결합구조
JP2015009317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ディスコ 流量調整器具
KR101737023B1 (ko) * 2016-10-13 2017-05-17 대림산업 주식회사 유량 균등형 다단 분기식 절수 수전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5487A (ko) * 2005-01-24 2006-07-27 홍성화 적정한 유량 배분수단을 갖는 온수분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11Y1 (ko) * 2004-11-19 2005-03-09 (주) 에타 커플링 결합구조
JP2015009317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ディスコ 流量調整器具
KR101737023B1 (ko) * 2016-10-13 2017-05-17 대림산업 주식회사 유량 균등형 다단 분기식 절수 수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190A (ko) 2020-02-21 2021-09-01 김완규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716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167740T3 (en) Forbindelsesarmatur, water supply systems
US20030042736A1 (en) Extendible p-trap dishwasher waste port
KR101979381B1 (ko) 급수 배관 시스템
CN110607825A (zh) 排水管道结构
CN101970126B (zh) 喷水器水流的通风设备
US8020581B1 (en) Secondary drainage funnel for a laundry box
US10633845B2 (en) Plumbing trap with top access
JP6655946B2 (ja) 横配管接続構造、及び、トイレ設備
KR101737023B1 (ko) 유량 균등형 다단 분기식 절수 수전구
US20060001260A1 (en) Fluid vortex manifold
US20200318859A1 (en) Water heater fitting for draining a water heater
KR101535984B1 (ko) 보수세척 일체형 밸브
US4121914A (en) Piping systems for drainage and piping members therefor
US6241024B1 (en) Parallel-fed nonstagnant integrated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sprinkler application
KR101791642B1 (ko)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KR101703241B1 (ko) 용수의 분기 단속이 가능한 다단분기용 급수분배기의 벽체 매립 설치구조
CN100334378C (zh) 用在供水系统中的定比减压阀
KR101703239B1 (ko) 다단분기용 급수분배기의 벽체 매립 설치구조
KR20210001872U (ko) 실내 생활용수의 균등 분배구조
US20170254466A1 (en) Coupling apparatus for a floor drain and method of use
RU220869U1 (ru) Эксцентричный фитинг для систем внутренней канализации
US11644122B2 (en) Anti-siphon/regulator valve
JP6504521B2 (ja) 定流量弁内蔵給水配管及び給水弁装置
CN220286778U (zh) 一种压差进液阀芯
CN110043701B (zh) 流体管路插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