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642B1 -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 Google Patents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642B1
KR101791642B1 KR1020160099023A KR20160099023A KR101791642B1 KR 101791642 B1 KR101791642 B1 KR 101791642B1 KR 1020160099023 A KR1020160099023 A KR 1020160099023A KR 20160099023 A KR20160099023 A KR 20160099023A KR 101791642 B1 KR101791642 B1 KR 101791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inflow hole
discharge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경
김종우
Original Assignee
이도경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경, 김종우 filed Critical 이도경
Priority to KR102016009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642B1/ko
Priority to PCT/KR2017/008402 priority patent/WO201802621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본체부에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과한 용수가 분기되는 분기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 내측에는 유입되는 용수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유속과 유량을 조절하는 유속량조절기가 장착되어 절수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Water supply unit}
본 발명은 수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상수도나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욕실이나 베란다, 싱크대 등으로 공급하는 급수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배관이 필요한 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는 배관에 설치된 하나의 분배기를 통해 목적하는 지점까지 용수를 공급하는 일대일 방식이 있다.
일대일 방식은 급수처로부터 공급된 용수가 하나의 분배기를 통해 분배기와 직접 연결된 최종 급수처인 싱크대, 세탁기, 욕조, 세면기, 변기 등으로 분배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일대일 방식의 분배기를 사용하는 경우, 분배기와 각각의 최종 급수처가 서로 직접 연결되게 배관되므로 최종 급수처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 배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사비의 상승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을 방해하거나 다른 시설물 시공을 간섭할 우려가 있고, 나아가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 지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일대일 방식의 급수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단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를 공급하는 공급부(M)로부터 복수의 수전구(10a, 10b, 10c)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다단으로 연결되게 배치되어 용수를 다단으로 분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56616호(공고일자 2014년 10월 31일)
여기서, 상기와 같은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은 다단으로 연결된 수전구에서 두 개 이상의 수전구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공급부에 멀리 떨어진 수전구 일수록 배출되는 용수의 양이 적어지게 된다. 더불어 사용되는 수전구의 수가 늘수록 배출되는 용수의 양은 급격히 줄어들 수 있다. 이는 공급되는 용수의 양은 일정한 반면 배출되는 지점은 많고 수압에 차이가 있음에 따른 것인바, 이를 해소하여 모든 급수처에서 비교적 균일하게 수압이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사용 빈도에 따라 용수의 배출 양을 조절하여 세면기와 같이 사용빈도가 높은 수전구는 배출되는 용수의 양이 충분토록 하고 사용빈도가 낮은 세탁기 등에 용수를 공급하는 수전구에서는 배출되는 용수의 양이 적어지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사용 빈도가 높은 수전구에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이 줄어들지 않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바, 본 발명은 그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측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본체부에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과한 용수가 분기되는 분기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부 내측에 유속량조절기가 장착되어 유입되는 용수의 유속과 유량을 조절하여 절수기능을 구현하게 되는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따르면, 절수효과와 아울러 용수의 사용이 필요한 지점에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절수효과가 유발되고, 아울러 용수가 배출되는 지점이 다단 분기식으로 연결되는 급수 시스템에서 각각의 지점마다 배출되는 용수의 양이 달라지도록 설정할 수 있는바, 각 지점의 특성과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용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급수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다단 분기식 급수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전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로서 배관이 연결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로서 수도배관이 연결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전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전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로서 배관이 연결된 사용 상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로서 수도배관이 연결된 사용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절수형 수전구(1)는 용수를 다단으로 분기할 수 있도록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절수형 수전구(1)는 본체부(100), 유입부(200), 배출부(400), 분기부(300), 유속량조절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일측으로 유입된 용수가 적어도 어느 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타측으로 분기되도록 하는 내측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는 일정한 양의 용수가 머무를 수 있는 내측공간이 형성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체부(100)의 외측에는 나사체결 등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200)는 본체부(10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200)는 내부 단면적이 원형 형상의 유입구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짧은 파이프 형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입부(200)는 본체부(100)와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본체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분기부(300)는 본체부(100)의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용수가 분기되는 분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분기부(300)는 내부 단면적이 원형 형상의 분기구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짧은 파이프 형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기부(300)는 본체부(100)와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본체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부(200)와 분기부(300) 및 본체부(100)는, 각각의 내측에 형성된 유입구, 내측공간, 분기구가 U자 형태를 가지며 상호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형상은 예시일 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배출부(400)는 전술한 본체부(100)에 형성되어 유입부(200)를 통해 유입되는 용수가 배출되는 부분을 이룬다. 배출부(400)는 다양한 급수처인 싱크대, 세탁기, 욕조, 세면기, 변기 등에 연결될 수 있도록 내측에 체결나사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출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홈(411)에 수도 배관이 체결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급수처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400)는 마찬가지로 내부 단면적이 원형 형상의 배출구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짧은 파이프 형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배출부(400)는 본체부(100)와 별도로 제작되어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본체부(100)의 일정한 위치에 오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배출부(400)는 유입부(200)와 분기부(300)의 사이에 오도록 본체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유속량조절기(420)는 배출부(400) 내측에 장착되어 유입되는 용수의 유속과 유량을 조절하여 배출부(400)에 공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 내부는 비어 있고 용수의 방향을 전환시켜 저항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유속과 유량을 조절하게 된다.
유속량조절기(420)는 절수효과와 아울러 분기되는 용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분기 및 배출될 수 있어 배관 시공을 단순하게 할 수 있고,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속량조절기(420)는 상부유입공(421), 하부유출공(423), 방향전환턱(422), 소음방지유로(423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유입공(421)은 배출구의 단면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며 배출부(400)의 상부에서 용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부유입공(421)은 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작은 크기의 구멍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부유입공(421)은 배출구 쪽으로 유입되는 용수의 단면적을 줄이면서 유속을 빠르게 하고 유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하부유출공(423)은 일정한 길이를 이루고 배출구의 단면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며 배출부(400)의 하부에서 용수가 유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부유입공(421)은 원형의 단면적을 갖는 작은 크기의 구멍일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수평방향으로는 상기 상부유입공(421)과 일정 간격을 이루는 한편 수직 방향으로는 높이 차를 두고 하부에 형성된다. 하부유출공(423)은 배출구 쪽으로 유출되는 용수의 단면적을 줄이면서 유속을 빠르게 하고 유량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방향전환턱(422)은 하부유출공(423) 수직 상부에서 상부유입공(421)과 일정 간격을 이루고 상부유입공(42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부유입공(421)을 통해 유입되어 직진하는 용수의 방향을 전환시켜 하부유출공(423)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방향전환턱(422)에 의해 상부유입공(421)으로 유입된 용수가 직선방향으로 하부유출공(423)으로 이동하지 않고, 방향을 전환하면서 'S'자 형태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향전환턱(422)에 의해 상부유입공(421)과 하부유출공(423) 사이에는 와류가 형성되고, 와류에 의해 상부유입공(421)과 하부유출공(423) 사이에는 적절한 압력과 유속이 유지된다. 따라서 상부유입공(421)과 하부유출공(423) 사이에 위치한 방향전환턱(422)에 의해 과도한 용수가 배출부(400)로 한꺼번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소음방지유로(423a)는 하부유출공(423)의 내측 외벽에 형성되어 용수가 회전하면서 이동되게 함으로써 용수의 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유입공(421), 하부유출공(423) 등 단면적이 작아진 구멍으로 용수가 이동하고 방향전환턱(422)을 거치면서 압력에 의하거나 용수 입자간의 충돌로 소음이 발생될 우려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소음방지유로(423a)는 하부유출공(423)으로 배출되는 용수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방지유로(423a)는 하부유출공(423)의 내측 외벽에 형성되는 나선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유출공(423)으로 배출되는 용수는 소음방지유로(423a)의 나선홈을 따라서 유동하면서 배출되어 소음이 감소되며 배출구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소음방지유로(423a)는 전술한 나선홈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유로를 포함하도록 변형실시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한 지점에서 배출되는 용수의 양을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절수효과가 유발되고, 아울러 용수가 배출되는 지점이 다단 분기식으로 연결되는 급수 시스템에서 각 지점마다 배출되는 용수의 양이 달라지게 설정할 수 있는바, 각 지점의 특성과 사용빈도 등을 고려하여 급수 시스템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수전구(1)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절수형 수전구(1a)에서 배출부(400a)는 유입부(200)와 분기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란한 위치에 오도록 본체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배출부(400a)는 유입부(200)와 나란한 위치에 오도록 본체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배출부(400)에 공급되는 유량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출부(400)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분기부(300)로 유동하는 유량을 필요에 따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써 배출부(400)가 분기부(300)와 나란한 위치에 오도록 배출부(400)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미설명부호 220, 320은 수전구(1,1a)가 배관(P1,P2)에 각각 체결되도록 하는 배관체결구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수전구 100 : 본체부
200 : 유입부 210 : 배관체결구
300 : 분기부 310 : 배관체결구
400 : 배출부 411 : 체결나사홈
420 : 유속조절부 421 : 상부유입공
422 : 방향전환턱 423 : 하부배출공
423a : 소음방지유로 P1, P2 : 배관

Claims (6)

  1. 내측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본체부에 하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과한 용수가 분기되는 분기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고 배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용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 내측에는 유입되는 용수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유속과 유량을 조절하는 유속량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속량조절기는 몸체 내부가 비어 있는 형상을 이루되, 상기 배출구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용수가 상기 배출부의 상부에서 유입되도록 하는 상부유입공과, 상기 배출구보다 작은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고 일정한 길이로 되어 입구가 수평방향으로는 상기 상부유입공과 일정 간격을 이루고 수직 방향으로는 높이 차를 두고 하부에 형성되어 배출부의 하부로 용수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하부유출공, 그리고 상기 하부유출공 수직 상부에서 상부유입공과 일정 간격을 이루고 상부유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방향전환턱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유출공의 내벽에는 소음방지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용수가 방향전환턱에 부딪혀 S자 형태로 방향이 전환되며 하부유출공 입구로 안내되고, 상기 하부유출공에서 상기 소음방지유로를 따라 회전되면서 이동하여 소음이 감소되게 배출되는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분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나란한 위치에 오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와 상기 분기부의 사이에 오도록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99023A 2016-08-03 2016-08-03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KR101791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023A KR101791642B1 (ko) 2016-08-03 2016-08-03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PCT/KR2017/008402 WO2018026213A1 (ko) 2016-08-03 2017-08-03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023A KR101791642B1 (ko) 2016-08-03 2016-08-03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642B1 true KR101791642B1 (ko) 2017-10-30

Family

ID=6030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023A KR101791642B1 (ko) 2016-08-03 2016-08-03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1642B1 (ko)
WO (1) WO20180262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293A (ko) * 2021-12-08 2023-06-15 김종우 세면기 하부 설치용 용수 분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59A (ja) * 1995-06-21 1997-01-07 Kiyobumi Hioki 定流量弁
KR200413566Y1 (ko) * 2006-01-19 2006-04-07 (주)상신 씽크수전용 수분배장치
KR100854469B1 (ko) * 2007-05-22 2008-09-03 나은기술 주식회사 급수 분기구
KR101456616B1 (ko) * 2013-10-30 2014-10-31 (주)동성이엔지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용 수전구
KR101703241B1 (ko) * 2014-12-31 2017-02-13 주식회사 아이딘랩 용수의 분기 단속이 가능한 다단분기용 급수분배기의 벽체 매립 설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6293A (ko) * 2021-12-08 2023-06-15 김종우 세면기 하부 설치용 용수 분배기
KR102610768B1 (ko) * 2021-12-08 2023-12-07 김종우 세면기 하부 설치용 용수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6213A1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616B1 (ko)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용 수전구
US9518681B2 (en) Fixture for a sink
KR101737023B1 (ko) 유량 균등형 다단 분기식 절수 수전구
FI86098C (fi) Luftventil foer sanitetsanordningar speciellt foer att monteras vid sanitetsarmatur.
KR101791642B1 (ko)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US2065523A (en) Method of uniting fluid streams and device therefor
KR890002590A (ko) 수격 흡수기
US11198996B2 (en) Flush toilet
US20180155913A1 (en) Flush toilet bowl
EP2954122B1 (en) Toilet bowl washing system
US20150211218A1 (en) Combined inflow and overflow bathtub plumbing device
ITBO20030007A1 (it) Erogatore di fluido in particolare per doccia
KR101794926B1 (ko) 유량 균등형 급수 시스템
KR101979381B1 (ko) 급수 배관 시스템
US1653956A (en) Combination spottt and spray fixture
US20100101673A1 (en) Aerator fitting having curved baffle
KR101834444B1 (ko) 유속량 조절장치
JP2015531438A (ja) 改善された流れ特性を有する水栓
CN116528987A (zh) 节水喷嘴和包括该喷嘴的淋浴头
KR101703241B1 (ko) 용수의 분기 단속이 가능한 다단분기용 급수분배기의 벽체 매립 설치구조
RU2299953C2 (ru) Сантехнический арматурный блок
KR101703239B1 (ko) 다단분기용 급수분배기의 벽체 매립 설치구조
US3107359A (en) Anti-siphoning device
KR101601870B1 (ko) 다단 분배용 수전구
KR100952957B1 (ko) 온수분배기용 헤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