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870B1 - 다단 분배용 수전구 - Google Patents

다단 분배용 수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870B1
KR101601870B1 KR1020150054607A KR20150054607A KR101601870B1 KR 101601870 B1 KR101601870 B1 KR 101601870B1 KR 1020150054607 A KR1020150054607 A KR 1020150054607A KR 20150054607 A KR20150054607 A KR 20150054607A KR 101601870 B1 KR101601870 B1 KR 10160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let
outlet
compartmen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경
임승용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호
주식회사 아이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호, 주식회사 아이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호
Priority to KR102015005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3Connecting the supply lines to the tap bod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구에 관한 것으로서, 용수의 수압을 일정범위 내로 유지하면서도 유입된 용수의 흐름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유입된 용수가 분배되는 분배구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내부가 격실에 의해 외부유로와 내부유로로 구획되며, 상기 외부유로는 유입구 및 분배구와 연통되고 상기 내부유로는 배출구와 연통되는 한편, 상기 격실에는 외부유로와 내부유로가 연통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개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로 개방된 조절구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구를 관통하여 개방구를 개폐하는 조절나사에 의해 배출구로의 용수배출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배용 수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 분배용 수전구{Water supply unit}
본 발명은 수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시 다단 분배용 급수 시스템에 적용하여 상수도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다단으로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는 다단 분배용 수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상수도나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용수를 욕실이나 베란다 및 싱크대 등으로 공급하는 급수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배관이 필요한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는 하나의 분배기를 통해 목적하는 지점까지 용수를 공급하는 일대일 방식이 있다.
상기 일대일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처로부터 공급된 용수가 분배기를 통해 분배기와 직접 연결된 최종 급수처인 싱크대, 세탁기, 욕조, 세면기, 변기 등으로 분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에는 분배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분배기를 사용하는 경우 분배기와 각각의 최종 급수처가 서로 직접 연결되게 배관되므로 최종 급수처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 배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공사비의 상승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을 방해하거나 다른 시설물 시공을 간섭할 우려가 있다. 나아가 배관이 집중되는 지점에서는 충분한 양의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못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강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분배기에서 최종 급수처까지 거리가 먼 지점일수록 수압이 낮아지게 되므로 여러 지점에서 한꺼번에 용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활한 급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단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 분배용 급수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특허출원 제10-2012-0132185호 "급수시스템"(이하, '인용발명' 이라 함)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인용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를 공급하는 공급부(M)으로부터 다수의 수전구(200a, 200b, 200c)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다단으로 연결되게 배치되어 용수를 다단으로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급수처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배관의 지름이 순차적으로 줄어들게 함으로써 수압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인용발명과 같은 다단 분배용 급수 시스템은 용수를 다단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구의 구성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를 달성하기 위한 종래의 수전구는 유입된 용수의 수압에 따라 분배되거나 배출되는 용수의 수압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유입된 용수의 흐름을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수의 수압을 일정범위 내로 유지하면서도 유입된 용수의 흐름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다단 분배용 수전구를 제안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다단 분배용 수전구는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유입된 용수가 분배되는 분배구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내부가 격실에 의해 외부유로와 내부유로로 구획되며, 상기 외부유로는 유입구 및 분배구와 연통되고 상기 내부유로는 배출구와 연통되는 한편, 상기 격실에는 외부유로와 내부유로가 연통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개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로 개방된 조절구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구를 관통하여 개방구를 개폐하는 조절나사에 의해 배출구로의 용수배출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실을 통해 분배구와 배출구로의 용수의 흐름을 분리시킴으로써 분배되거나 배출되는 용수의 수압을 일정범위 내로 유지시킴은 물론, 조절나사를 통해 유입된 용수가 분배 또는 분배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급수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다단 분배용 급수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배용 수전구와 함체가 결합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배용 수전구와 함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배용 수전구의 내부구조와 용수의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배용 수전구와 함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단 분배용 수전구가 적용된 급수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용수의 수압을 일정범위 내로 유지하면서도 유입된 용수의 흐름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유입된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와, 유입된 용수가 분배되는 분배구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내부가 격실에 의해 외부유로와 내부유로로 구획되며, 상기 외부유로는 유입구 및 분배구와 연통되고 상기 내부유로는 배출구와 연통되는 한편, 상기 격실에는 외부유로와 내부유로가 연통되도록 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개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로 개방된 조절구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구를 관통하여 개방구를 개폐하는 조절나사에 의해 배출구로의 용수배출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배용 수전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다단 분배용 수전구는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다단 분배용 수전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유입된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0)를 비롯하여 유입된 용수가 분배되는 분배구(130)가 형성된 몸체(100)를 포함하는바,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공급된 용수의 일부는 분배구(130)를 통해 다른 급수처로 분배되고, 일부는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120)에는 수도꼭지나 샤워기 등이 연결됨으로써 생활용수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몸체(1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격실(10)이 형성되며, 상기 격실(10)에 의해 외부유로(1)와 내부유로(2)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외부유로(1)는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와 연통되고, 상기 내부유로(2)는 배출구(120)와 연통되며, 상기 격실(10)에는 외부유로(1)와 내부유로(2)가 연통되도록 개방구(1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격실(10) 및 개방구(11)를 이용하여 유입된 용수에서 상기 배출구(120)로 배출될 용수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10)를 통해 외부유로(1)로 유입된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개방구(11)를 통과하여 상기 배출구(120)가 형성된 격실(10) 내의 내부유로(2)로 유입된다. 즉, 격실(10) 내로 유입되는 용수의 양과 그 수압은 일정범위를 유지하게 되므로,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용수의 수압이 일정범위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에는 개방구(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외부로 개방된 조절구(140)가 형성되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구(140)를 관통하여 개방구(11)를 개폐하는 조절나사(150)가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나사(150)가 개방구(11)를 막는 경우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용수는 격실(10) 내인 내부유로(2)로 유입되지 않는바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외부유로(1)를 따라 분배구(130)를 통한 분배만 이루어진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나사(150)가 개방구(11)를 개방시키는 경우 용수가 격실(10) 내로 유입이 가능한바 배출구(120)를 통한 외부로의 배출과, 분배구(130)를 통한 분배가 모두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조절나사(150)를 조작하여 개방구(11)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유입된 용수가 분배 또는 분배 및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구(140)와 조절나사(15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나사(150)가 조여져 몸체(100) 내로 얼마만큼 들어가는지에 따라 격실(10) 내로 유입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격실(10) 내로 유입되는 용수의 양과 그 수압은 일정범위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배출되는 용수의 수압이 일정범위 내로 유지되는바, 상기 조절나사(150)를 통해 그 일정범위 내에서 수압을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유입된 용수가 외부유로(1)를 통해 원활히 흐르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는 몸체(100)의 횡방향 중심축보다 상부에 상기 격실(10)을 중심으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구(11)는 격실(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에는 용수의 흐름이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외부유로(1)에는 평상시 일정높이의 용수가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유입구(110)를 통해 용수가 유입되는 경우 외부유로(1)에 수용된 용수가 없는 상태에 비해 분배구(130)를 통한 분배와 배출구(120)를 통한 배출이 보다 즉각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더욱이, 상기 개방구(11)는 격실(10)의 타 지점이 아닌 상단에 형성됨으로써 용수가 외부수로(1)에서 내부수로(2)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유입되는 양과 그 수압을 보다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개방구(11)는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용수는 외부유로(1)의 하부를 지나 우선적으로 분배구(130)를 통해 분배되고 상기 개방구(11)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내부유로(2)로 유입되어 배출구(120)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조절나사(150)에 의한 개방구(11)의 개폐여부와 관계없이 분배구(130)로의 용수흐름을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다만, 상기 몸체(100) 내에 용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일부 용수는 분배구(130)를 지나지 않고 직접 격실(10) 내로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20)는 격실(10) 내 하부에 형성될 수 있어 상기 격실(10) 내로 유입된 용수가 격실(10) 내에 수용되지 않고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에는 외측을 감싸며 나사결합된 조임너트(16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다단 분배용 수전구의 후방에는 상기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에 용수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용수관(20)을 연결하는 연결구(210)가 포함된 함체(200)가 벽면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함체(200)의 외측을 향해 상기 조임너트(160)를 조임으로 상기 몸체(10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체(200)의 외측에는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가 관통하는 이음판(2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임너트(160)를 조여 이음판(220)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용수가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를 통해 유출입하더라도 본 발명인 다단 분배용 수전구는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다단 분배용 수전구(1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하나의 수도꼭지를 통해 온수와 냉수가 배출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온수와 냉수 모두 타 급수처로 분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분배용 수전구를 다수 개 마련하여 다수의 급수처마다 배치하고, 일측 급수처에 설치된 몸체(100a)의 분배구(120)를 인접한 급수처에 설치된 몸체(100b)의 유입구(110)와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급수 시스템을 구현하게 되며, 이를 통해 용수를 다수의 급수처에 다단으로 공급하여 줄 수 있게 된다.
1 : 외부유로 2 : 내부유로
10 : 격실 11 : 개방구
20 : 용수관
100 : 몸체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분배구
140 : 조절구 150 : 조절나사
160 : 조임너트
200 : 함체 210 : 연결구
220 : 이음판

Claims (5)

  1. 내부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유입된 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0)와, 유입된 용수가 분배되는 분배구(130)를 구비하여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00)는 내부가 격실(10)에 의해 외부유로(1)와 내부유로(2)로 구획되어 상기 외부유로(1)는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와 연통되는 한편 상기 내부유로(2)는 배출구(120)와 연통되되, 상기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는 몸체(100)의 횡방향 중심축보다 상부에서 상기 격실(10)을 중심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격실(10)의 상단에는 외부유로(1)와 내부유로(2)가 연통되도록 개방구(11)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100)에는 상기 개방구(11)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부로 개방된 조절구(140)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구(140)를 관통하여 개방구(11)를 개폐하는 조절나사(150)에 의해 배출구(120)로의 용수배출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배용 수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140)와 조절나사(150)는 나사결합되어 격실(10) 내로 유입되는 용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배용 수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11)는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120)는 격실(10) 내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분배용 수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에는 외측을 감싸며 나사결합된 조임너트(160)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110) 및 분배구(130)를 용수관(20)과 연결하며 벽면에 매립된 함체(200)의 외측을 향해 상기 조임너트(160)를 조임으로 상기 몸체(10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을 다단 분배용 수전구.
  5. 삭제
KR1020150054607A 2015-04-17 2015-04-17 다단 분배용 수전구 KR10160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607A KR101601870B1 (ko) 2015-04-17 2015-04-17 다단 분배용 수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607A KR101601870B1 (ko) 2015-04-17 2015-04-17 다단 분배용 수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870B1 true KR101601870B1 (ko) 2016-03-10

Family

ID=5553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607A KR101601870B1 (ko) 2015-04-17 2015-04-17 다단 분배용 수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8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370B1 (ko) * 2013-05-20 2014-08-28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KR101456616B1 (ko) * 2013-10-30 2014-10-31 (주)동성이엔지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용 수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370B1 (ko) * 2013-05-20 2014-08-28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관 연결부가 벽 외부로 노출되는 수전구
KR101456616B1 (ko) * 2013-10-30 2014-10-31 (주)동성이엔지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용 수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803B2 (en) Extendible p-trap dishwasher waste port
US10138620B2 (en) Faucet assembly including a thermostatic mixing cartridge
KR101456616B1 (ko) 다단 분기식 급수 시스템용 수전구
US8602051B2 (en) Trap-primer system for floor drains
US9464416B1 (en) Unibody thermostatic rim or deck mount faucet assembly
KR101601870B1 (ko) 다단 분배용 수전구
WO1990005029A1 (en) Shower rose assembly
JP2006077404A (ja) 流量制御弁
KR101737023B1 (ko) 유량 균등형 다단 분기식 절수 수전구
KR101794926B1 (ko) 유량 균등형 급수 시스템
KR101703241B1 (ko) 용수의 분기 단속이 가능한 다단분기용 급수분배기의 벽체 매립 설치구조
KR20120034343A (ko) 수전금구의 배관이음장치
KR100478083B1 (ko) 보조공급수 연결용 튜브가 접속되는 수도꼭지 연결구
KR101791642B1 (ko) 다단 분기식 절수형 수전구
KR101703239B1 (ko) 다단분기용 급수분배기의 벽체 매립 설치구조
KR20110134046A (ko) 멀티 밸브
US20170073945A1 (en) Tub faucet
US20070074341A1 (en) System controlling shower water flow
US12072033B2 (en) Pressure balance valve with reversible check stops
AU2019100670A4 (en) Shower Diverter Assembly
GB2516897A (en) A Thermostatic Mixing Valve
CN106122523A (zh) 一种侧分水式浴缸龙头
US10921832B2 (en) Hot water valve with integral thermostatic mixing cartridge
KR200312668Y1 (ko) 절수용 수도밸브 플레이트
JP6485752B2 (ja) 配管用取付け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