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190A -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190A
KR20210107190A KR1020200021360A KR20200021360A KR20210107190A KR 20210107190 A KR20210107190 A KR 20210107190A KR 1020200021360 A KR1020200021360 A KR 1020200021360A KR 20200021360 A KR20200021360 A KR 20200021360A KR 20210107190 A KR20210107190 A KR 20210107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upply
water
supply line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792B1 (ko
Inventor
김완규
Original Assignee
김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규 filed Critical 김완규
Priority to KR1020200021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79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03C1/023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with flow distribution, e.g. diver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워터소켓어셈블리의 구성은,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되고 하방에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배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전면에 위치하고, 하방에 한 쌍의 배관의 연결구가 형성되는 워터소켓본체와, 상기 워터소켓본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홀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연결구가 각각 노출되는 플레이트와,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급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1배관과,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배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2배관과, 상기 제 1배관 및 상기 제 2배관에 설치되어 각각의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액체의 유량, 압력, 온도 및 수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A Water Socket Assembly and A Building Water Managing System }
본 발명은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에서 물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물의 급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부의 스마트 시티 육성방안과 소비자의 생활트렌드 변화 등으로 인하여 새로운 제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의 예가 물 관련된 부분이다.
물 활용의 이전 과정은 대형 설비로 정수하여 씻고 섞거나 먹는 용도로 이용하여 왔지만 시간이 흘러 생활이 안정되면서 보일러, 세탁기, 가습기, 식기세척기, 정수기, 온수매트, 물을 필터화한 공기청정기, 스타일러 등의 가전기기 및 생활용품으로 그 사용 용도가 확대되어 왔다.
물은 전기와 함께 인간의 삶과 늘 공유되고 있고 가정이 모든 부분에서 필요하다.
그러나 물은 정체된 구조에서는 세균들의 번식에 의하여 급속히 오염되어 수시로 물공급, 청소 및 교체 등이 필요하며, 이런 과정이 불편하여 소비자들은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와 세척할 수 있는 약품 들을 사용하여 왔다.
결과적으로 물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기기 주변에 급/배수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시스템적 인프라가 필요하며, 그 대표적 것이 건물 내 자동 수처리 시스템이다. 즉 건물 내 전기콘센트처럼 워터 소켓(물 콘센트)을 구비하여 실내 어디서나 급/배수를 용의하게 하되, 강력한 안전장치를 통해 실내에 물이 새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에 에어컨, 제습기, 정수기 등 기기 작동으로 생성된 물이나 버려지는 물, 또는 외부에서 자연 생성된 물(빗물) 등을 자동 재활용하여 최종적으로 자원을 아끼면서 소비자의 삶을 보다 윤택하게 하는 점 또한 중요한 항목이다.
등록특허 제 10-197938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내 각각의 공간에 물의 급배수를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제어할 수 있는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워터소켓어셈블리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되고 하방에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배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전면에 위치하고, 하방에 한 쌍의 배관의 연결구가 형성되는 워터소켓본체와, 상기 워터소켓본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홀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연결구가 각각 노출되는 플레이트와,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급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1배관과,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배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2배관과, 상기 제 1배관 및 상기 제 2배관에 설치되어 각각의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액체의 유량, 압력, 온도 및 수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되고 하방에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배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전면에 위치하고, 전장부품이 실장되고, 하방에 한 쌍의 배관의 연결구가 형성되는 워터소켓본체와, 상기 워터소켓본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전장부품들의 정보가 나타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조작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며, 하방에 다각형의 홀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연결구가 각각 노출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30)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차폐하는 커버와,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급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1배관과,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배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2배관과, 상기 제 1배관 및 상기 제 2배관에 설치되어 각각의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액체의 유량, 압력, 온도 및 수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상단 또는 양측면에는 전원 및 통신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전선통공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배관은,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 1배관몸체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외부의 장치의 급수관과 연결되는 제 1-1연결구와, 상기 제 1배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급수라인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1-2연결구와, 상기 제 1배관몸체와 상기 제 1-1연결구(54)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의 흐름방향을 변환시키는 제 1연결엘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은, 상술한 워터소켓어셈블리를 이용하고, 원수와 상기 워터소켓어셈블리의 제 1배관 사이에 마련되어, 파이프로 형성되고 원수와 제 1배관을 연결하는 급수라인과,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원수 방향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급수수동밸브와,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급수수동밸브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변과,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감압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급수자동밸브와,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급수자동밸브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급수압력센서와,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급수압력센서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 내부의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급수유량센서와,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급수유량센서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 내부의 유체를 상기 하수구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자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시스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나의 소켓어셈블리 형태의 구조로 구성하여, 건물내 물의 급배수를 위한 파이프라인에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하며, 센싱과 마이컴 제어에 의하여 물의 급배수를 직관적으로 확인 및 조작할 수 있고, 일정시간 동안 물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센서를 통하여 드레인자동밸브를 구동시켜 배관 내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실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실내에 급배수 인프라를 안정적으로 구축함으로써 물과 관련된 가전기기나 장비 등 다양한 형태로의 확대 발전이 예상되며, 이를 통하여 새로운 상품 시장이 가속화되어 신사업에 대한 관련 산업이 성장과 소비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워터소켓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워터소켓어셈블리의 부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워터소켓어셈블리의 부분을 조립한 구성을 보인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워터소켓어셈블리가 이용된 건물의 수처리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워터소켓어셈블리가 이용된 건물의 수처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인 워터소켓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워터소켓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되고 하방에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배관통공(12)이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전면에 위치하고, 전장부품이 실장되고, 하방에 한 쌍의 배관의 연결구가 형성되는 워터소켓본체(20)와, 상기 워터소켓본체(20)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전장부품들의 정보가 나타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조작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며, 하방에 홀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연결구가 각각 노출되는 플레이트(30)와, 상기 플레이트(30)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을 차폐하는 커버(40)와,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30)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급수라인(I)과 연통되는 제 1배관(50)과,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30)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배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2배관(60)과, 상기 제 1배관(50) 및 상기 제 2배관(60)에 설치되어 각각의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액체의 유량, 압력, 온도 및 수분을 감지하는 센싱부(52, 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워터소켓어셈블리에는 하우징(10)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본 발명인 워터소켓어셈블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공간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인 워터소켓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은 개방되고 하방에는 배관통공(12)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워터소켓본체(20) 및 플레이트(30) 등의 각종 부품들이 간단하게 설치되고 교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관통공(12)은 아래에서 설명될 급배수를 위한 배관(50, 6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단, 양측면 또는 후면에는 전선통공(14)이 더 마련된다. 상기 전선통공(14)은 상기 하우징(10) 내의 전장부품에 전원 및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전원케이블(미도시) 및 통신케이블(미도시)이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워터소켓본체(20)가 마련된다. 상기 워터소켓본체(2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전면에 위치되고, 내부에 각종 전장부품이 실장되며, 하방에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배관의 배관소켓(55, 65)을 장착할 수 있는 고정홀(22)이 형성되고, 본 발명인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수처리시스템의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워터소켓본체(20)의 전면에는 플레이트(30)가 마련된다. 상기 플레이트(30)는 상기 워터소켓본체(20)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전장부품들의 정보가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 및 조작을 위한 각종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하방에는 상기 배관의 연결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된 공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커버(40)가 더 마련된다. 상기 커버(4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의 하방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30)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는 제 1배관(50)과 제 2배관(60)이 마련된다. 상기 제 1배관(50)과 상기 제 2배관(60)은 각각 파이프로 형성된다.
상기 제 1배관(50)의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30)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급수라인(I)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하방의 배관통로(12)를 관통하여 위치된다. 즉, 상기 제 1배관(50)을 통하여 상기 제 1배관(50)의 제 1-1연결구(54)로 원수가 급수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배관(60)의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30)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배수라인(O)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하방의 배관통로(12)를 관통하여 위치된다. 즉, 상기 제 2배관(60)을 통하여 상기 2배관(60)의 제 2-1연결구(64)로 배출되는 하수가 배수라인(O)으로 배수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배관(50) 및 상기 제 2배관(60)에는 센싱부(52, 62)가 마련된다. 상기 센싱부(52, 62)는 상기 제 1배관(50) 및 상기 제 2배관(60)을 통하여 이동되는 액체의 유량, 압력, 온도 및 수분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센싱부(52, 62)에서 감지된 정보는 상기 워터소켓본체(20)의 전장부에 전달되어 내부의 마이컴에 의하여 제어되고 플레이트(30)의 디스플레이부로 정보가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제 1배관(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 1배관몸체(53)와, 상기 플레이트(30)의 전면을 관통하여 외부의 장치의 급수관과 연결되는 제 1-1연결구(54)와, 상기 제 1배관몸체(53)의 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급수라인(I)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1-2연결구(56)와, 상기 제 1배관몸체(53)와 상기 제 1-1연결구(54)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의 흐름방향을 변환시키는 제 1연결엘보(5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1연결구(54)의 외경은 상기 워터소켓본체(20)의 전면의 고정홀(22)과 형상이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형체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1연결부(54)아 상기 제 1연결엘보(58) 사이에는 제 1배관소켓(55)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배관소켓(55)의 외주면이 상기 워터소켓본체(20)의 전면의 고정홀(22)의 형상인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형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배관(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 2배관몸체(63)와, 상기 플레이트(30)의 전면을 관통하여 외부의 장치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제 2-1연결구(64)와, 상기 제 2배관몸체(63)의 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배수라인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2-2연결구(66)와, 상기 제 2배관몸체(63)와 상기 제 2-1연결구(64)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의 흐름방향을 변환시키는 제 2연결엘보(6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1연결구(64)의 외경은 상기 워터소켓본체(20)의 전면의 고정홀(22)과 형상이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형체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1연결부(64)아 상기 제 2연결엘보(68) 사이에는 배관소켓(65)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배관소켓(65)의 외주면이 상기 워터소켓본체(20)의 전면의 고정홀(22)의 형상인 다각형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형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워터소켓어셈블리는 건물 등이 내벽이나 바닥의 필요한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건물 등의 내벽에 상기 하우징(10)에 대응되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본 발명을 설치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전 하우징(10), 제 1배관(50) 및 제 2배관(60)을 우선 시공한 후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워터소켓을 장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워터소켓어셈블리를 이용한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에는, 원수와 상기 워터소켓어셈블리의 제 1배관(50) 사이에 마련되고, 파이프로 형성되어 원수와 제 1배관(50)을 연결하는 급수라인(i)과, 하수구와 상기 워터소켓어셈블리의 제 2배관 사이에 마련되는 배수라인(O)과,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원수 방향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급수수동밸브(72)와,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급수수동밸브(72)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변(74)과,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감압변(74)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급수자동밸브(76)와,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급수자동밸브(76)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급수압력센서(77)와,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급수압력센서(77)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 내부의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급수유량센서(78)와,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급수유량센서(78)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 내부의 유체를 상기 하수구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자동밸브(7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에는 급수라인(I)이 마련된다. 상기 급수라인(I)은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술한 워터소켓어셈블의 제 1배관(50)과 원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라인(I)에는 급수수동밸브(72)가 마련된다. 상기 급수수동밸브(72)는 상기 급수라인(I)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수동밸브(72)는 상술한 기능을 하는 밸브의 구성이면 어떤 구성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급수수동밸브(72)는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원수에 가깝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라인(I)에는 감압변(74)이 구비된다. 상기 감압변(74)은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급수수동밸브(72)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라인(I)에는 급수자동밸브(76)가 마련된다. 상기 급수자동밸브(76)는 상기 갑압변(74)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자동밸브(76)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부(미도시)에서 급수를 차단하는 경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급수라인(I)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라인(I)에는 급수압력센서(77)가 마련된다. 상기 급수압력센서(77)는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급수자동밸브(76)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급수압력센서(77)에서 상기 급수라인(I)의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라인(I)에는 급수유량센서(78)가 마련된다. 상기 급수유량센서(78)는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급수압력센서(77)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 내부의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급수유량센서(78)에서 상기 급수라인(I)의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급수라인(I)에는 드레인자동밸브(79)가 마련된다. 상기 드레인자동밸브(79)는 상기 급수라인(I) 중 상기 급수유량센서(78)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I) 내부의 유체를 상기 하수구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급수자동밸브(76)가 닫혀진 경우 상기 급수라인(I)에 잔존하는 유체를 상기 급수압력센서(77)와 상기 급수유량센서(78)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드레인자동밸브(79)를 개폐시켜 상기 하수구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급수라인(I)에는 급수분배기(80)가 더 마련된다. 상기 급수분배기(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실은 물론 안방, 주방, 아이방, 다용도실 등에 물을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확장 부분은 급수라인(I)에 각각의 방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수라인(I)과 배수라인(O)은 금속 및 비금속관을 적용할 수 있으며, 수압에 견디고 고수명인 탄성 재질의 튜브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벽면과 바닥 콘크리트 매립부분에 대해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2연결구(56)와 제 2-2연결구(66)처럼 지름이 더 크고 유연한 합성수지 주름관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이는 제 1-2연결구(56)와 제 2-2연결구(66) 관 내를 통해 상기 급수라인(I)과 배수라인(O)을 인출하는 구조로서 이를 적용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설치와 교환을 쉽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 2배관(60)과 연결된 배수라인(O)에는 저장부(9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90)는 내부에 필터(미도시)가 마련되어 상기 배수라인(O)을 따라 이동하는 배수에서 이물질을 정화한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저장부(90)는 상기 배수라인(O)을 따라 이동하는 배수에서 이물질을 정화한 후 식물 등에 공급하는 재생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90)에 배수분배기(81)를 설치하여 방에 설치된 에어컨이나 제습기 등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물과 드레인자동밸브(79)를 통하여 배수되는 물과 빗물 등을 상기 저장부(90)로 포집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거, 상기 급수자동밸브(76), 압력센서(77), 유량센서(78), 드레인자동밸브(79) 및 분배기(80)를 조절하는 제어부가 마련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건물 내벽면에 설치되는 워터소켓어셈블리의 각 제 1-1연결구 및 제 2-1연결구(54, 64)에 정수기, 에어컨, 제습기 등 물을 사용하거나 배출되는 장치를 설치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급배수가 모두 이루어지는 정수기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장치의 급수구로부터 튜브를 통해 제 1배관(50)의 제 1-1연결구(54)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장치에서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로부터 튜브를 제 2배관(60)의 제 2-1연결구(64)에 연결한다.
즉, 상기 제 1배관(50)을 통하여 외부의 원수의 물이 상기 장치로 공급되고, 상기 장치에서 사용된 물은 다시 제 2배관(60)을 통하여 배수라인(O)로 배출된다.
한편,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으로 외부의 원수에서 유입되고 하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은, 원수와 연결되는 급수라인(I)의 급수수동밸브(72)를 오픈하면, 외부의 원수는 감압변(74)을 통과하면서 필요한 압력만큼 물의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를 통하여 물을 공급하도록 입력하면, 급수자동밸브(76)가 오픈되면서 물이 급수라인(I)을 따라 유입되고, 급수분배기(80)를 통하여 안방배관의 유로를 따라 물이 안내된다.
상기 배관을 통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워터소켓어셈블리에 연결된 장치에 공급되고, 상기 장치에서 사용된 물은 상기 워터소켓어셈블리를 통하여 배출되고, 배수라인(O)을 통하여 하수구로 안내된다.
한편, 제어부에서 상기 급수라인(I)를 차단하는 경우, 상기 급수자동밸브(76)는 닫히게 된다. 그리고, 압력센서(77)와 유량센서(78)는 급수라인(I)에 잔존하는 유체에 관한 정보를 센싱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레인자동밸브(80)를 오픈하여 상기 드레인자동밸브(80)를 통하여 급수라인(I)에 잔존하는 물을 자동으로 배출시켜 결과적으로 급수라인(I) 내부의 압력을 제거하여 실내로 물이 새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서의 압력센서(77)와 유량센서(78)는 도 1에서의 제 1센싱부(52)가 역할을 하고, 상기 급수라인(I)에 드래인밸브를 형성시켜, 각각의 워터소켓어셈블리의 급수라인(I)의 내부의 물을 강제로 제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워터소켓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로,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나 도 4의 안방, 주방, 아이방, 다용도실 등의 예와 같이 워터소켓본체(20)에 전장부품이 장착되지 않고, 플레이트(30)에 디스플레이와 버튼이 구비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12: 배관통공
14: 전선통공 20: 워터소켓본체
22: 고정홀 30: 플레이트
40: 커버 50: 제 1배관
52: 제 1센싱부 54: 제 1-1연결구
55: 제 1배관소켓 56: 제 1-2연결구
58: 제 1연결엘보 60: 제 2배관
62: 제 2센싱부 64: 제 2-1연결구
65: 제 2배관소켓 66: 제 2-2연결구
68: 제 2연결엘보 72: 급수수동밸브
74: 감압변 76: 급수자동밸브
77: 압력센서 78: 유량센서
79: 드레인자동밸브 80: 급수분배기
81: 배수분배기 90: 저장부

Claims (5)

  1.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되고 하방에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배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전면에 위치하고, 하방에 한 쌍의 배관의 연결구가 형성되는 워터소켓본체;
    상기 워터소켓본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홀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연결구가 각각 노출되는 플레이트;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급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1배관;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배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2배관; 및
    상기 제 1배관 및 상기 제 2배관에 설치되어 각각의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액체의 유량, 압력, 온도 및 수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소켓 어셈블리.
  2.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되고 하방에 배관이 통과할 수 있는 배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전면에 위치하고, 전장부품이 실장되고, 하방에 한 쌍의 배관의 연결구가 형성되는 워터소켓본체;
    상기 워터소켓본체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전장부품들의 정보가 나타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조작을 위한 버튼이 구비되며, 하방에 다각형의 홀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연결구가 각각 노출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30)의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차폐하는 커버;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급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1배관;
    파이프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타단은 외부의 배수라인과 연통되는 제 2배관; 및
    상기 제 1배관 및 상기 제 2배관에 설치되어 각각의 배관 내부를 유동하는 액체의 유량, 압력, 온도 및 수분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소켓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건물 내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소켓 어셈블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배관은,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 1배관몸체;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을 관통하여 외부의 장치의 급수관과 연결되는 제 1-1연결구;
    상기 제 1배관몸체의 하단에 연결되어 외부의 급수라인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1-2연결구; 및
    상기 제 1배관몸체와 상기 제 1-1연결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체의 흐름방향을 변환시키는 제 1연결엘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소켓어셈블리.
  5. 제 1항의 워터소켓어셈블리를 이용하고,
    원수와 상기 워터소켓어셈블리의 제 1배관 사이에 마련되어, 파이프로 형성되고 원수와 제 1배관을 연결하는 급수라인;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원수 방향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급수수동밸브;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급수수동밸브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변;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감압변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급수자동밸브;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급수자동밸브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 내부의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급수압력센서;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급수압력센서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 내부의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급수유량센서; 및
    상기 급수라인 중 상기 급수유량센서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급수라인 내부의 유체를 상기 하수구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드레인자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
KR1020200021360A 2020-02-21 2020-02-21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 KR10233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360A KR102337792B1 (ko) 2020-02-21 2020-02-21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360A KR102337792B1 (ko) 2020-02-21 2020-02-21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190A true KR20210107190A (ko) 2021-09-01
KR102337792B1 KR102337792B1 (ko) 2021-12-09

Family

ID=77779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360A KR102337792B1 (ko) 2020-02-21 2020-02-21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79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435A (ja) * 1996-02-28 1997-09-02 Toto Ltd 水栓ジョイントボックス構造
JPH11256631A (ja) * 1998-03-07 1999-09-21 Sanei Faucet Mfg Co Ltd 壁または床取出し用給排水機構
JPH11280127A (ja) * 1998-03-31 1999-10-12 Toto Ltd 水栓装置
JP2002021130A (ja) * 2000-10-25 2002-01-23 Toto Ltd 給排水コンセント
JP2002129605A (ja) * 2000-10-20 2002-05-09 Toto Ltd 住宅用給水システム
US20180051839A1 (en) * 2015-03-03 2018-02-22 Water Socket Ltd. Wall socket
KR101979381B1 (ko) 2017-10-13 2019-05-16 강옥수 급수 배관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435A (ja) * 1996-02-28 1997-09-02 Toto Ltd 水栓ジョイントボックス構造
JPH11256631A (ja) * 1998-03-07 1999-09-21 Sanei Faucet Mfg Co Ltd 壁または床取出し用給排水機構
JPH11280127A (ja) * 1998-03-31 1999-10-12 Toto Ltd 水栓装置
JP2002129605A (ja) * 2000-10-20 2002-05-09 Toto Ltd 住宅用給水システム
JP2002021130A (ja) * 2000-10-25 2002-01-23 Toto Ltd 給排水コンセント
US20180051839A1 (en) * 2015-03-03 2018-02-22 Water Socket Ltd. Wall socket
KR101979381B1 (ko) 2017-10-13 2019-05-16 강옥수 급수 배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792B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19419C (en) Automatic grease interceptor
US5261444A (en) Prefabricated water plumbing station
CN202434114U (zh) 一种给排水实训装置
KR102337792B1 (ko) 워터소켓어셈블리 및 건물내 수처리 시스템
CN216384329U (zh) 一种智慧供热系统
KR101707282B1 (ko) 다용도 제수밸브를 이용한 비굴착형 부단수 측정장치
EP0930492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s and/or inadvertent consumption of a fluid in a pipeline
CN216321993U (zh) 恒温恒湿试验箱设备
CN101126541A (zh) 吸顶全隐藏型电热水器
CN105544705A (zh) 地漏展示装置
JPS6383331A (ja) 住戸内給水・給湯用配管および工法
KR100639901B1 (ko) 옥내용 배수트랩의 자동 급수장치
CN208234652U (zh) 一种方便家用的节水型净水装置
JPH01275813A (ja) 配管設備
CN210946991U (zh) 一种集中分配器
CN212801848U (zh) 一种污水处理在线监测给排水装置
CN213173995U (zh) 食物垃圾处理器用补水控制器及食物垃圾处理器
CN205502156U (zh) 一种防倒灌空气隔断装置
CN210002481U (zh) 一种无负压设备稳流补偿器清洁装置
CN210292032U (zh) 一种集成式撬装式换热机组
CN216361427U (zh) 一种用于空气加湿器水电系统智能控制的组合装置
CN217128468U (zh) 一种兼顾地面散排水和多管道集中排水的组合式防臭排水设施
CN217357594U (zh) 壁挂式锅炉线上检测工装
CN210313739U (zh) 一种居民住宅楼直饮水装置
CN208857888U (zh) 一种化验用补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