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859B1 - 모재와 와이어의 터치를 센싱하는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모재와 와이어의 터치를 센싱하는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859B1
KR101978859B1 KR1020170091721A KR20170091721A KR101978859B1 KR 101978859 B1 KR101978859 B1 KR 101978859B1 KR 1020170091721 A KR1020170091721 A KR 1020170091721A KR 20170091721 A KR20170091721 A KR 20170091721A KR 101978859 B1 KR101978859 B1 KR 10197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supply
welding
sen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652A (ko
Inventor
김진수
정계수
이재민
조병훈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8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9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6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sensing means, e.g. 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4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making use of a mov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6Accessories for electrodes, e.g. ignition t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용접 장치는, 전원 공급 (+) 단자, 전원 공급 (-) 단자,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및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출력 저항 및 출력 저항 스위치, 및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전원 공급 (+)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 공급 (-) 단자와 연결되는 모재와 용착 금속의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싱부는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및 센싱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용접의 수행이 종료된 후에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가 개방(open)되고,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가 폐쇄(close)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면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접촉을 센싱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재와 와이어의 터치를 센싱하는 용접 장치{An Apparatus For Sensing A Touch Between Work Piece And Wire}
본 발명은 자동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와이어와 모재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용접 터치 센싱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화된 용접기, 예를 들어 로봇 용접기 등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서, 자동화된 용접 장비에 대한 개발이 활성화 되고 있다.
자동화된 용접 장비에서는 용접 종료 후 모재와 와이어가 접촉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동으로 작업자가 용접을 할 경우에는 용접을 종료한 후, 모재와 와이어가 접촉되지 않았는지 직접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었지만, 자동화 장비에서는 작업자가 상기와 같은 접촉 유무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자동화 장비를 이용하여 용접을 종료한 후 용접 와이어를 원위치 상태로 움직일 때, 용접 불량으로 와이어와 모재가 접촉하고 있게 되면 모재 및 자동화 장비에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 완료 후, 모재와 와이어가 계속 접촉된 상태에서는 자동화 장비 이동 시 움직이지 않는 현상, 모터 과부하, 모터 축이 틀어지는 현상 등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 장비를 사용하여 용접을 진행할 경우 모재와 와이어의 접촉 유무를 판단하는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 용접기에서 출력저항과 연결된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류가 흐르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용접 와이어와 모재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용접 장치는 전원 공급 (+) 단자, 전원 공급 (-) 단자,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및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출력 저항 및 출력 저항 스위치, 및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전원 공급 (+)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 공급 (-) 단자와 연결되는 모재와 용착 금속의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싱부는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및 센싱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용접의 수행이 종료된 후에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가 개방(open)되고,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가 폐쇄(close)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면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접촉을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센서는 코일 및 상기 터치 센서의 코일의 상태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터치 센서의 코일을 통해 흐르면 상기 터치 센서의 스위치가 폐쇄되면서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었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었다는 신호는 MCU 또는 CPU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었다는 신호가 MCU 또는 CPU에 전달되면, 상기 MCU 또는 상기 CPU는 상기 용접 와이어의 송급을 정지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싱 용접 장치는 상기 용접 와이어를 수용하며, 자동으로 이동하는 용접 토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었다는 신호가 MCU 또는 CPU에 전달되면, 상기 MCU 또는 상기 CPU는 상기 용접 토치의 이동을 정지 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 및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는 코일 및 스위치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 (+) 단자에 전원을 스위칭하는 토치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에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치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에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가 폐쇄되고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치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접촉을 센싱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는 코일 및 상기 터치 센서의 코일의 상태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토치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용접 와이어(230)과 모재(270) 사이에 접촉이 있는 경우에 상기 센싱 전원, 상기 터치 센서의 코일,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및 전원 공급 (-) 단자에 순차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재와 상기 용착 금속의 용접이 수행되는 중에는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가 개방되며,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접촉을 센싱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용접 장치는 출력저항 및 릴레이를 통하여 용접 와이어와 모재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전류패스를 감지하여 용접 와이어와 모재의 접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터치 센싱 용접 장치는 용접후, 용접 와이어(230)와 모재(270)가 단선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릴레이 스위치와 같은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도 모재와 와이어의 접촉 유무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화된 장비를 이용하여 용접을 진행하는 경우에 모재와 와이어의 접촉 유무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 장비 이동시 접촉에 의하여 장비가 움직이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와이어 송급 장치의 모터 과부하나 모터 축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터치 센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터치 센싱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회로의 릴레이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방법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등가 회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용접 장치의 동작을 요약한 표이다.
도 11은 종래의 용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를 구비한 용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 용접 장치는 터치 센싱 전원 공급 장치(100), 용접와이어 공급 장치(210, 220), 용접와이어(230) 및 용접 토치(250)를 구비한다.
터치 센싱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전원 공급 단자(140 및 150), 출력 저항(160), 출력 저항 스위치(120) 및 터치 센싱부(130)를 포함하며, 터치 센싱부(130)는 센싱 전원(110)에 연결된다.
전원 공급 단자(140 및 150)는 전원 공급 (+) 단자(140) 및 전원 공급 (-) 단자(150)를 포함하며, 토치 스위치(600, 도 6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전원 공급 단자(140 및 150)는 토치 스위치(600)가 턴온(turn-on)되면 용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 경우, 전원 공급 (+) 단자(140)는 용접 와이어(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공급 (-) 단자(150)는 모재(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전원 공급 (+) 단자(140)와 전원 공급 (-) 단자(150) 사이에는 출력 저항(160) 및 출력 저항 스위치(120)가 연결된다.
종래의 용접 장치는 전원 공급 (+) 단자(140)와 전원 공급 (-) 단자(150) 사이에 별도의 출력 저항 스위치(120)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용접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도 전원 공급 (+) 단자(140)와 전원 공급 (-) 단자(150)가 출력 저항(160)을 통하여 항상 연결되어 있었다. 따라서, 용접 수행 후, 용접 와이어(230)가 모재(270) 또는 용착 금속(280)과 계속 접촉(터치)되어도 용접 작업자가 확인하지 않은 이상 접촉 여부를 자동으로 센싱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이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공급 (+) 단자(140)와 전원 공급 (-) 단자(150)는 출력 저항(160) 및 출력 저항 스위치(1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용접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되며, 출력 저항 스위치(120)를 개방하여 별도의 전류 경로를 만들어서 터치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싱부(130)는 전원 공급 (+) 단자(140) 및 센싱 전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터치 센싱부(130)의 터치 센싱 원리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후술한다.
용접와이어 공급 장치(210, 220)는 와이어 스풀(210) 및 송급 장치(2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송급 장치(220)는 와이어 스풀(210)에 감겨있는 용접 와이어(230)를 용접 토치(250)로 전달하게 된다.
용접 토치(250)는 상기 용접 와이어(23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며, 전달된 용접 와이어(230)에는 전원 공급 (+) 단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모재(270)에는 전원 공급 (-) 단자가 연결되어 있다. 토치 스위치(600)가 턴-온되고, 용접 토치(250)가 용접될 부위인 모재(270)와 용착금속(280)에 근접하면, 용접 와이어(230)와 모재(270) 사이에 걸린 고전압으로 인하여 아크가 발생하면서 용융된 와이어(247)가 용융 접합한다. 이 경우, 상기 용접 토치는 예컨대, 로봇 등의 자동화된 이동 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동하여, 모재(270)과 용착금속(280)에 근접할 수 있다.
이 때, 예컨대, 불활성 기체 또는 CO2 등의 용접 가스(247)가 용접 토치(250)의 노즐을 통해 고르게 분사되면서 용접부 용융금속 전체 부위를 균일하게 보호한다.
이 경우, 용융된 와이어(260)가 냉각되면서 용접이 종료된 후에도 모재(270)와 용접 와이어(230)이 계속 접촉(터치)를 유지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용접 토치(250)가 모재(270)에 로봇 장치 등을 통하여 자동으로 이동하는 자동화된 용접 장치들이 많이 사용되는데, 자동화된 용접 장치에서 용접 와이어(230)와 모재(270)가 접촉을 유지하고 계속 붙어 있는 상태에서 용접 토치(250)가 이동하게 되면, 용접 장치 또는 용접된 제품의 파손 또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용접 와이어 송급 모터의 과부하, 모터 축의 뒤틀림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는 이러한 모재(230)와 용접 와이어(270)의 접촉 유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파손이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전원 공급 장치(100)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 단자(140)는 출력 저항(160) 및 출력 저항 스위치(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저항 스위치(120)는 다시 전원 공급 (-) 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출력 저항 스위치(120)는 릴레이 스위치로 구현된다(도 3의 (a) 참조). 출력 저항 스위치(120)는 토치 스위치(600)가 턴-온되어 전원 공급 단자(140, 150)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서 용접이 시작되면, 릴레이 스위치의 코일부(120-1)에 의하여 스위치(120-2)가 폐쇄(close)된다.
한편, 전원 공급 (+) 단자(140)는 터치 센싱부(130)와도 연결되어 있다.
터치 센싱부(130)는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되는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및 터치 센서(135)를 포함한다. 이 경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는 출력 저항 스위치(120)와는 반대로, 토치 스위치(600)가 턴-온되어 전원 공급 단자(140, 150)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면서 용접이 시작되면,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의 코일부(133-1)에 의하여 스위치(133-2)가 개방(open)된다.
이 때, 터치 센서(135)는 전원 공급 단자(140, 150)의 터치(접촉, 단선(short))되면, 센싱 전원(110)으로부터 터치 센서(135)의 코일(135-1) 및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터치 센서(135)의 코일(135-1)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터치 센서(135)의 스위치(135-2)가 폐쇄(close) 되면서 연결된 MCU나 CPU(미도시)에 터치 되었다는 신호를 주게 된다. 상기 MCU나 CPU는 자동으로 이동하는 용접 토치가 이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용접 와이어 송급 장치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용접 후, 전원 공급 (+) 단자와 전원 공급 (-) 단자가 정상적으로 용접이 종료되어 용접 와이어(230)와 모재(270) 사이에 터치가 없는 경우에는 출력 저항 스위치(120)가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별도의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치 센서(135)의 코일(135-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터치가 센싱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5를 참조하면, 용접 후, 전원 공급 (+) 단자와 전원 공급 (-) 단자가 정상적으로 용접이 종료되지 않고 용접 와이어(230)와 모재(270) 사이에 터치가 발생한 경우에는 출력 저항 스위치(120)가 개방된 상태라도, 용접 와이어(230)과 모재(270)를 통하여 별도의 전류 패스(700)이 형성된다. 이 경우, 따라서, 터치 센서(135)의 코일(135-1)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터치 센서(135)의 스위치(135-2)가 폐쇄(close) 되면서 연결된 MCU나 CPU(미도시)에 터치 되었다는 신호를 주게 된다.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용접 장치의 등가 회로이며, 이하에서는 본 등가 회로를 활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용접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따르면, 터치 센싱 전원 공급 장치(100)에서 센싱 전원(110)은 터치 센서(135)의 코일,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2), 다이오드(115), 전원 공급 (+) 단자(140), 출력 저항(160), 출력 저항 스위치(120-2), 전원 공급 (-) 단자와 순차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토치 스위치(600),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의 코일(133-1) 및 출력 저항 스위치의 코일(120-1)이 순차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토치 스위치(600)가 개방(open)되고, 용접 와이어(230)과 모재(270)가 단선되지 않은 상황(open)일 경우에는, 출력 저항 스위치(120-2)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센싱 전원(110), 터치 센서(135)의 코일,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2), 다이오드(115), 전원 공급 (+) 단자(140), 출력 저항(160), 출력 저항 스위치(120-2), 전원 공급 (-) 단자가 순차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회로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토치 스위치(600)가 개방(open)되고, 용접 와이어(230)과 모재(270)가 단선(short)일 경우에는 전원 공급 (+) 단자(140)와 전원 공급 (-) 단자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므로, 센싱 전원(110), 터치 센서(135)의 코일,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2), 다이오드(115), 전원 공급 (+) 단자(140), 및 전원 공급 (-) 단자에 순차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토치 스위치(600)가 폐쇄(close)되고, 용접 와이어(230)과 모재(270)가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는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2)가 개방되어 센싱 전원(110), 터치 센서(135)의 코일,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2), 다이오드(115), 전원 공급 (+) 단자(140), 출력 저항(160), 출력 저항 스위치(120-2), 전원 공급 (-) 단자가 순차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회로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토치 스위치(600)가 폐쇄(close)되고, 용접 와이어(230)과 모재(270)가 단선(short)된 경우는, 일반적인 용접 상황으로,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2)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센싱 전원(110), 터치 센서(135)의 코일,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133-2), 다이오드(115), 전원 공급 (+) 단자(140), 출력 저항(160), 출력 저항 스위치(120-2), 전원 공급 (-) 단자가 순차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회로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황을 정리하면 도 10과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토치 스위치(600)가 오프되고, 용접 와이어(230)와 모재(270)가 단선(short)된 상황에만, 터치 센서의 스위치(135-2)가 폐쇄(Close)되므로, 용접 후, 터치가 발생한 상황을 센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용접 장치는 용접후, 용접 와이어(230)와 모재(270)가 단선된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릴레이 스위치와 같은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도 모재와 와이어의 접촉 유무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화된 장비를 이용하여 용접을 진행하는 경우에 모재와 와이어의 접촉 유무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 장비 이동시 접촉에 의하여 장비가 움직이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와이어 송급 장치의 모터 과부하나 모터 축이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치 센싱 전원 공급 장치
110: 센싱 전원
120: 출력 저항 스위치
130: 터치 센싱부
140: 전원 공급 (+) 단자
150; 전원 공급 (-) 단자
160: 출력 저항
230: 용접 와이어
270: 모재
600: 용접 토치 스위치

Claims (10)

  1. 전원 공급 (+) 단자, 전원 공급 (-) 단자,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및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출력 저항 및 출력 저항 스위치, 및 터치 센싱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싱 전원 공급 장치;
    상기 전원 공급 (+)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전원 공급 (-) 단자와 연결되는 모재와 용착 금속의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싱부는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및 센싱 전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용접의 수행이 종료된 후에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가 개방(open)되고,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가 폐쇄(close)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면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접촉을 센싱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코일 및 상기 터치 센서의 코일의 상태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터치 센서의 코일을 통해 흐르면 상기 터치 센서의 스위치가 폐쇄되면서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었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센싱 용접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었다는 신호는 MCU 또는 CPU에 전달되는,
    터치 센싱 용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었다는 신호가 MCU 또는 CPU에 전달되면, 상기 MCU 또는 상기 CPU는 상기 용접 와이어의 송급을 정지 시키도록 제어하는,
    터치 센싱 용접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와이어를 수용하며, 자동으로 이동하는 용접 토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재와 상기 용접 와이어가 접촉되었다는 신호가 MCU 또는 CPU에 전달되면, 상기 MCU 또는 상기 CPU는 상기 용접 토치의 이동을 정지 시키도록 제어하는,
    터치 센싱 용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 및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는 코일 및 스위치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전원 공급 (+) 단자에 전원을 스위칭하는 토치 스위치가 턴온되는 경우에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는 폐쇄되는,
    터치 센싱 용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 스위치가 오프되는 경우에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가 폐쇄되고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출력 저항 스위치는 개방되는,
    터치 센싱 용접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치 스위치가 온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접촉을 센싱하지 않는,
    터치 센싱 용접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코일 및 상기 터치 센서의 코일의 상태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토치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용접 와이어(230)과 모재(270) 사이에 접촉이 있는 경우에 상기 센싱 전원, 상기 터치 센서의 코일,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 상기 전원 공급 (+) 단자 및 전원 공급 (-) 단자에 순차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는,
    터치 센싱 용접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와 상기 용착 금속의 용접이 수행되는 중에는 상기 센싱 전류 인가 스위치가 개방되며,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접촉을 센싱하지 않는,
    터치 센싱 용접 장치.

KR1020170091721A 2017-07-19 2017-07-19 모재와 와이어의 터치를 센싱하는 용접 장치 KR101978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21A KR101978859B1 (ko) 2017-07-19 2017-07-19 모재와 와이어의 터치를 센싱하는 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721A KR101978859B1 (ko) 2017-07-19 2017-07-19 모재와 와이어의 터치를 센싱하는 용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52A KR20190009652A (ko) 2019-01-29
KR101978859B1 true KR101978859B1 (ko) 2019-05-15

Family

ID=6532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721A KR101978859B1 (ko) 2017-07-19 2017-07-19 모재와 와이어의 터치를 센싱하는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8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810B1 (ko) * 1996-10-29 2000-09-01 김덕중 터치 센서를 이용한 용착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KR101196659B1 (ko) * 2010-10-21 2012-11-02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장치용 터치센서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용접대상물의 위치 및 형상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52A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1146B2 (en) Automatic wire feeding system
US200400748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lift-start welding
JP4422729B2 (ja) 溶接プロセスを制御する方法
KR101978859B1 (ko) 모재와 와이어의 터치를 센싱하는 용접 장치
US3662147A (en) Welding gun trigger control circuit
KR101196659B1 (ko) 용접장치용 터치센서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용접대상물의 위치 및 형상 측정방법
EP0390933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failure in automatic wire extension
US3637973A (en) Arc welding apparatus
CA3218651A1 (en) Welding device and welding method
EP1738853B1 (en) Welding apparatus with a robot and a controller
JPH08118018A (ja) 溶接電源
JPH06269941A (ja) アーク溶接ロボット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3070302B2 (ja) 溶接電極及び工作物間のアークギャップ設定方法及び装置
JPH06246450A (ja) 溶接ロボットにおける溶接トーチ接触感度切換装置
CN114340827B (zh) 用于实施多重焊接方法的方法和焊接设备
KR100264810B1 (ko) 터치 센서를 이용한 용착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JP2973711B2 (ja) 自動アーク溶接方法
WO2018120211A1 (zh) 一种弧焊控制方法、控制系统及弧焊机器人
JP2002137060A (ja) 溶着検出方法
JPH04220171A (ja) アーク溶接用トーチの走行制御装置
KR101644566B1 (ko) 아크 안정화를 위한 용접 파형 제어방법
JPH06126454A (ja) 溶接異常検出装置
JP3264741B2 (ja) フィラワイヤ供給tig溶接装置
CN113000983A (zh) 电弧焊接机器人系统
KR20170049874A (ko) 타점 누락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