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688B1 -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 Google Patents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88B1
KR101976688B1 KR1020180026784A KR20180026784A KR101976688B1 KR 101976688 B1 KR101976688 B1 KR 101976688B1 KR 1020180026784 A KR1020180026784 A KR 1020180026784A KR 20180026784 A KR20180026784 A KR 20180026784A KR 101976688 B1 KR101976688 B1 KR 10197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ladder
falling
horizont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훈
김대훈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06C7/423Ladder stabilis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8Accessories for temporary stabilising a ladder, e.g. temporary atta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사디리의 급작그러운 전도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로서, 작업자가 이용하는 사다리와; 상기 사다리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사다리를 안정되게 고정하는 안전 시설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전 시설물은 상기 사다리를 연결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를 수직 관통하도록 설치 고정되며 길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안전 수직바와; 상기 수평대를 사다리에 걸어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를 갖는 와이어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 수직바의 상단에는 안전 블럭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할 때, 상기 안전 블럭에 안전벨트를 걸어 사다리 전도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ladder safety facilities}
본 발명은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사디리의 급작그러운 전도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두 개의 사이드 레일(Side rail)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가로대(Rung) 또는 계단(Step)을 댄 기구로 높은 곳을 오르내리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특히, 건축공사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다리는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작업 시 사다리 위에서 작업자가 추락할 위험뿐 아니라, 전도, 미끄러짐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A형 사다리는 한 쌍의 사다리가 힌지(Hinge)에 의해 결합된 것이기 때문에 전도, 미끄러짐에 의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A형 사다리를 이용한 고소작업 시 사다리가 전도되지 않도록 사다리의 하부를 잡아주는 작업자가 필요하지만, 인력의 낭비를 이유로 한 명의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실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이러한 사다리의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전도 방지 장치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790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563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38784호 등 많은 특허문헌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특허문헌들의 전도방지 장치는 아우트리거 레그가 레일들의 하부에 접철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아우트리거 레그들은 사다리를 바닥에 지지하여 사다리의 전도를 방지하고 있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Y1 20-0479669 (2016. 02. 23)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사다리의 급작스러운 전도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층의 렌탈 및 B/T발판을 사용하여 작업이 불가능한 협소한 구역에서 2인1조의 사다리작업을 불가피하게 되고, 2인1조 작업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경우 기존 아웃트리거로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자 길이조절이 되는 봉을 바닥과 상부 사이에 세워서 사다리를 결속함으로써, 사다리 전도 사고를 예방하고 조절봉 상단에 매단 안전블록에 안전벨트를 걸고 승강하여 근로자의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로서, 작업자가 이용하는 사다리와; 상기 사다리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사다리를 안정되게 고정하는 안전 시설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전 시설물은 상기 사다리를 연결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를 수직 관통하도록 설치 고정되며 길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안전 수직바와; 상기 수평대를 사다리에 걸어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를 갖는 와이어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 수직바의 상단에는 안전 블럭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할 때, 상기 안전 블럭에 안전벨트를 걸어 사다리 전도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수평대는 상기 사다리가 세워지는 수평 방향으로 걸쳐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 수평봉과; 상기 고정 수평봉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전 수직바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수평대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대 고정구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대와 안전 수직바를 밀착 고정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잠금핀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대는 원형의 파이프로서, 상기 와이어락의 와이어가 상기 수평대의 원형 파이프를 관통하여 걸어 잠금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수직바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단계별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 연결봉과; 상기 수직 연결봉의 단계별 연결 구간을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시트클램프와; 상기 수직 연결봉 중에서 천정과 바닥 단부에 끼움 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안전 수직바를 안정되게 거치하도록 설치되는 상하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 받침대 중, 상부 받침대는 어느 하나의 수직 연결봉의 단부와 고정핀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 받침대 중, 하부 받침대는 어느 하나의 수직 연결봉의 단부와 나사핀으로 나사 결합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받침대의 나사핀에 의해 수직 연결봉과 하부 받침대의 높낮이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수직바의 상단에 설치되는 안전 블럭은 상기 상하 받침대 중, 상부 받침대와 수직 연결봉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핀에 고리로 결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경우 사다리의 급작스러운 전도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 설비 작업반의 사다리 작업시 기존 전도 방지 장치인 아웃트리거는 전도 사고를 방지할 수 없어서 2인1조 작업을 부담시키지만 인건비 부담으로 2인1조 작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는 사다리 전도 및 근로자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적 작업반의 조적 작업시 작업발판 상부 난간의 높이가 배관 등의 간섭으로 법적 높이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로 작업하다가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소부위 견출 작업시 작업발판의 부실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의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을 보인 전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에 따른 수평대 및 수평대에 결합 체결되는 와이어락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에 따른 수평대에 결합 체결되는 와이어락을 보인 예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에 따른 안전 수직바에서 시트클램프에 의해 연결 고정을 보인 부분 예시도,
도 5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요부 결합단면도,
도 6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요부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의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은 작업자가 이용하는 사다리(100)와; 상기 사다리(1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사다리를 안정되게 고정하는 안전 시설물(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전 시설물(200)은 상기 사다리 본체(100)를 연결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대(210)와; 상기 수평대(210)를 수직 관통하도록 설치 고정되며 길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안전 수직바(220)와; 상기 수평대(210)를 사다리(100)에 걸어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231)를 갖는 와이어락(2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 수직바(220)의 상단에는 안전 블럭(240)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할 때, 상기 안전 블럭(240)에 안전벨트를 걸어 사다리 전도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대(210)는 상기 사다리 본체(100)가 세워지는 수평 방향으로 걸쳐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 수평봉(211)과; 상기 고정 수평봉(211)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전 수직바(220)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12a)을 갖는 수평대 고정구(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수평봉(211)은 양 일곳에 상기 와이어락(230)의 와이어(231)가 관통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21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대 고정구(212)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대(210)와 안전 수직바(220)를 밀착 고정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잠금핀(213)이 더 구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대(210)는 원형의 파이프로서, 상기 와이어락(230)의 와이어(231)가 상기 수평대(210)의 원형 파이프를 관통하여 걸어 잠금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 수직바(220)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단계별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 연결봉(221)과; 상기 수직 연결봉(221)의 단계별 연결 구간을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시트클램프(222)와; 상기 수직 연결봉(221) 중에서 천정과 바닥 단부에 끼움 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안전 수직바(220)를 안정되게 거치하도록 설치되는 상하 받침대(223)(22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 받침대(223)(224) 중, 상부 받침대(223)는 상기 수직 연결봉(221)들 중, 하단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수직 연결봉(221)의 단부와 고정핀(223a)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 받침대(223)(224) 중, 하부 받침대(223)는 상단으로 연결되는 하나의 수직 연결봉(221)의 단부와 나사핀(224a)으로 나사 결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받침대(224)의 나사핀(224a)에 의해 수직 연결봉(221)과 하부 받침대(224)의 높낮이 미세 조절 가능한 것으로서, 지면에서 하부 받침대(224)를 높낮이 조절은 물론, 바닥면과의 압착으로 더욱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 수직바(2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안전 블럭(240)은 상기 상하 받침대(223)(224) 중, 상부 받침대(223)와 수직 연결봉(221)을 연결 고정하는 고정핀(223a)에 고리로 결합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직경 가변구조를 갖는 지향식 수평굴착용 확공기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천장 등과 같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할 경우, 사다리(100)를 바닥 지면에 거치한다.
다음, 상기 사다리(100)의 일측에 수평대(210)를 덧대어 붙인 후, 상기 수평대(210)에 와이어(231)를 걸어 체결하여 사다리(100)에 상기 수평대(210)를 안전하게 고정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수평대(210)의 수평대 고정구(212)의 관통공(212a)에 안전 수직바(220)의 수직 연결봉(221)을 까움 결합한 후, 수평대 고정구(212)와 수직 연결봉(221)을 잠금핀(213)에 의해 조여주는 것으로 상기 수평대(210)에서 안전 수직바(220)를 수직으로 세워 고정한다.
이때 상기 안전 수직바(220)는 천장 및 바닥으로 다수의 수직 연결봉(221)이 길이가 가변되는 형식으로 결합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 연결봉(221)의 상하 연속 결합에 따른 고정은 수직 연결봉*221)의 상호 간의 경계 구간에 시트클램프(222)로 연결 고정한 후 조여주는 것으로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안전 수직바(220)는 천장 및 바닥에 닿는 다수의 수직 연결봉(221)의 단부에 설치되는 상하 받침대(223)(224)의 각 밀착으로 더욱 견고하게 수직으로 세워 고정할 수 있다.
끝으로 작업자는, 안정되게 설치된 사다리의 상측에 올라서서 상기 안전 수직바(220)의 상단에 설치된 안전 블럭(240)에 안전벨트를 걸어 고정하는 것으로 작업 준비를 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사다리를 이용할 때, 상기 안전 블럭(240)에 안전벨트를 걸어 사다리 전도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된 시설 작업 등을 수헹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지하층의 렌탈 및 B/T발판을 사용하여 작업이 불가능한 협소한 구역에서 2인1조의 사다리작업을 불가피하게 되고, 2인1조 작업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경우 기존 아웃트리거로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자 길이조절이 되는 안전 수직바를 바닥과 상부 사이에 세워서 사다리를 결속함으로써, 사다리 전도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 수직바 상단에 매단 안전블록에 안전벨트를 걸고 승강하여 근로자의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사다리
200 : 안전 시설물
210 : 수평대
211 : 고정 수평봉
212 : 수평대 고정
212a : 관통공
213 : 잠금핀
220 : 안전 수직바
221 : 수직 연결봉
222 : 시트클램프
223 : 상부 받침대
223a : 고정핀
224 : 하부 받침대
224a : 나사핀

Claims (9)

  1.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로서,
    작업자가 이용하는 사다리(100)와; 상기 사다리(10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사다리를 안정되게 고정하는 안전 시설물(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전 시설물(200)은
    상기 사다리 본체(100)를 연결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대(210)와;
    상기 수평대(210)를 수직 관통하도록 설치 고정되며 길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안전 수직바(220)와;
    상기 수평대(210)를 사다리(100)에 걸어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231)를 갖는 와이어락(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안전 수직바(220)의 상단에는 안전 블럭(240)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할 때, 상기 안전 블럭(240)에 안전벨트를 걸어 사다리 전도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대(210)는
    상기 사다리 본체(100)가 세워지는 수평 방향으로 걸쳐져 고정되기 위한 고정 수평봉(211)과;
    상기 고정 수평봉(211)의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안전 수직바(220)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공(212a)을 갖는 수평대 고정구(21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대 고정구(212)는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대(210)와 안전 수직바(220)를 밀착 고정하도록 조절하기 위한 잠금핀(213)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대(210)는 원형의 파이프로서,
    상기 와이어락(230)의 와이어(231)가 상기 수평대(210)의 원형 파이프를 관통하여 걸어 잠금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수직바(220)는
    수직 길이방향으로 단계별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 연결봉(221)과;
    상기 수직 연결봉(221)의 단계별 연결 구간을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시트클램프(222)와;
    상기 수직 연결봉(221) 중에서 천정과 바닥 단부에 끼움 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안전 수직바(220)를 안정되게 거치하도록 설치되는 상하 받침대(223)(22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받침대(223)(224) 중, 상부 받침대(223)는 어느 하나의 수직 연결봉(221)의 단부와 고정핀(223a)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받침대(223)(224) 중, 하부 받침대(224)는 어느 하나의 수직 연결봉(221)의 단부와 나사핀(224a)으로 나사 결합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받침대(224)의 나사핀(224a)에 의해 수직 연결봉(221)과 하부 받침대(224)의 높낮이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9. 삭제
KR1020180026784A 2018-03-07 2018-03-07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KR10197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784A KR101976688B1 (ko) 2018-03-07 2018-03-07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784A KR101976688B1 (ko) 2018-03-07 2018-03-07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88B1 true KR101976688B1 (ko) 2019-05-09

Family

ID=6654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784A KR101976688B1 (ko) 2018-03-07 2018-03-07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320B1 (ko) * 2023-06-13 2024-02-27 영전엔지니어링(주) 사다리 전도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753A (ja) * 1998-06-22 2000-01-11 Taiki Shoji Kk 安全囲い装置付転倒防止脚立
KR100984871B1 (ko) * 2010-04-29 2010-10-04 주식회사 헤럴드 공동구 환기구의 접이식 안전 사다리
KR20150001139U (ko) * 2013-09-06 2015-03-16 정종대 비상탈출용 사다리
KR200479669Y1 (ko) 2015-10-29 2016-02-23 전두성 사다리의 전도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753A (ja) * 1998-06-22 2000-01-11 Taiki Shoji Kk 安全囲い装置付転倒防止脚立
KR100984871B1 (ko) * 2010-04-29 2010-10-04 주식회사 헤럴드 공동구 환기구의 접이식 안전 사다리
KR20150001139U (ko) * 2013-09-06 2015-03-16 정종대 비상탈출용 사다리
KR200479669Y1 (ko) 2015-10-29 2016-02-23 전두성 사다리의 전도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320B1 (ko) * 2023-06-13 2024-02-27 영전엔지니어링(주) 사다리 전도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82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planks
KR200483185Y1 (ko) 추락 및 낙하물 방지망이 설치된 조립식 비계
US8245816B2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US4676341A (en) Adjustable roof scaffold jack
KR101826007B1 (ko) 교량점검용 레일형 걸이식 발판보강대
US2201608A (en) Scaffolding
KR101976688B1 (ko)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AU675213B2 (en) Stanchions for steel framed buildings
JP2018193731A (ja) 鉄塔用簡易型足場
JP6281015B1 (ja) 免震建物用仮設足場の耐震施工方法
KR100611532B1 (ko) 거푸집 난간대용 발판지지대
GB2350859A (en) Scaffolding fixtures
KR101559917B1 (ko) 낙하방지장치
KR101559242B1 (ko) 안전난간대
KR101621868B1 (ko) 건축 작업용 작업대
CN107762134B (zh) 一种建筑脚手架支脚加固平稳装置
KR20170124311A (ko)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KR20220075163A (ko) 베란다 안전 코킹작업대
KR200400391Y1 (ko) 추락방지대가 설치되는 비계틀 설치구조
CN218061310U (zh) 一种马凳及一种施工架
KR101307026B1 (ko) 갱폼 멍에재에 이용되는 작업발판용 브라켓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KR20190000480U (ko) 시스템 난간대
KR100262265B1 (ko) 고소 및 교각작업 추락방지용 안전난간대
JP3219521U (ja) 仮設足場における幅木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