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575B1 -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575B1
KR101976575B1 KR1020170158684A KR20170158684A KR101976575B1 KR 101976575 B1 KR101976575 B1 KR 101976575B1 KR 1020170158684 A KR1020170158684 A KR 1020170158684A KR 20170158684 A KR20170158684 A KR 20170158684A KR 101976575 B1 KR101976575 B1 KR 101976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daily
medicine case
case uni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빈
남궁예림
Original Assignee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보건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27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direct interaction with a dispensing or delive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pills or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과,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을 거치하도록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상측에 설치된 감지부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이 상기 감지부에 의해 소정시간 경과후에도 거치부에 거치된 것이 감지되면, 약 복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전파하는 전파부와, 상기 전파부에서 발생하는 경고신호를 약 복용자에게 전파하는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적층되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의 높이와 같거나 크도록 기둥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기둥에 결합된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일결합모듈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제2감지센서는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제2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듈형으로 형성되어, 약 복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조립할 수 있고, 약 복용자가 약을 휴대하지 않을 경우 약 복용자의 모바일기기를 통해 경고신호를 전파하여 약 복용자가 약을 휴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Daily medicine case and medicine supply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으로 관리되는 복용스케줄에 대응하여 정확한 약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개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으며, 인간의 건강한 삶을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기존의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제공되었던 건강관리 서비스가 최근에는 개인 또는 가정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점차 평균수명이 늘면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약 복용 인구가 늘고 있다. 이러한 약 복용은 의사 및 약사에 의해 처방된 대로 정해진 시간에 정량의 약을 복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정확한 약 복용을 위해 환자 또는 가족(간병인)에게 약 복용을 알리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복약 관리를 위해 개발된 기술로는 약상자들에 약 복용 시간을 알리는 형태 즉, 여러 약을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환자들을 위해 약상자를 여러 칸으로 구별하여 각 칸에 일 회에 먹어야 할 약들을 미리 채워놓고, 지정된 시간에 복용 시간을 알리는 방식의 약상자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고혈압약을 복용하는 사람이나 결핵환자와 같이 장기간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은 한 달 이상의 약을 처방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자들은 복용해야 하는 약의 종류도 많고,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해야 하는데, 약을 장기간에 걸쳐 복용해야 하므로 환자의 병의 악화 및 호전됨에 따라 도중에 복용해야 하는 약의 개수가 달라져서 그 처방이 바뀌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약상자를 사용하는 경우 각 칸에 약을 일일이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장기간 약을 복용해야 하는 환자들의 처방이 바뀌는 경우 복용해야 할 약의 개수에 맞게 다시 각 칸에 일일이 약을 넣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근래에는 의사 또는 약사로부터 입력된 처방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약 복용스케줄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복용 시간을 알리고, 사용자의 약 복용 의사에 따라 처방된 약을 배출하기 위한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약 복용 지원 방법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약 공급 시스템으로는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한국 등록특허 제10-1016438호)" 및 "복합용도(봉지약, 알약)의 지능형 알리미 약상자(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3255호)" 등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원격으로 관리되는 복용스케줄에 동적으로 대응하여 정확한 약 복용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약 복용 지원 장치는 서버로부터 동적으로 변하는 복용 스케줄 및 처방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복용 스케줄을 이용하여 복용 시간을 확인하여 저장하며, 사용자 및 상기 서버로 확인된 복용 시간을 알리고, 상기 확인된 복용 시간 시 사용자의 약 복용 의사에 따라 상기 복용 스케줄을 이용하여 해당 약병에서 해당 개수만큼의 약을 배출하며, 상기 사용자가 배출된 약의 복용 / 미복용을 확인하여 확인된 결과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 이 경우, 복용 시간에 따라 약을 배출할 수는 있지만, 배출된 약들이 분실되거나 다른 약품들과 뒤섞일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2는 지능형 약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최대 한달 정도의 약을 수납하게 될 복용 시간대별 약수납부(아침, 점심, 저녁, 취침 전, 기타)와 각각의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약상자와 상기 뚜껑표면에 양각의 문자를 새겨 넣어 시각장애인들도 구분 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약복용에 관한 시간을 세팅하고 약 복용을 음성으로 알려준다. 이 경우, 복용 시간을 알려주는 별도의 수단이 존재하지만 약 복용자가 외출하면 알림을 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16438호 (2008. 09. 10)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13255호 (2008. 06. 2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듈형으로 형성되어, 약 복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조립할 수 있고, 약 복용자가 약을 휴대하지 않을 경우 약 복용자의 모바일기기를 통해 경고신호를 전파하여 약 복용자가 약을 휴대하도록 하는 약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은 약을 수용하도록 상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약수용부와, 상기 약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각각의 약들이 혼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할 수 있게 상기 약수용부의 내측에 형성된 칸막이와, 상기 약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약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약수용부의 개방된 상측이 개폐되도록 구비된 덮개와, 상기 약수용부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약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약케이스는 인접한 약케이스의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약수용부의 외부 일측에 각각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약수용부의 외부 타측에 상기 제1결합부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덮개가 상기 약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결합부와 상호 대응되게 고정부재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의 상기 약케이스는 인접한 약케이스의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약케이스들이 환형의 결합면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약케이스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호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과,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을 거치하도록 형성된 거치부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상측에 설치된 감지부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이 상기 감지부에 의해 소정시간 경과후에도 거치부에 거치된 것이 감지되면, 약 복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전파하는 전파부와, 상기 전파부에서 발생하는 경고신호를 약 복용자에게 전파하는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적층되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의 높이와 같거나 크도록 기둥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기둥에 결합된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일결합모듈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제2감지센서는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제2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의 상기 거치부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이 상기 감지부로 이송되도록 형성된 모듈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듈이동수단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을 받치도록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일측에 설치된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에 받쳐진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을 구동하도록 상기 이송판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이 상기 거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에 구비된 분리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둥의 내측에 수용되게 형성된 스프링이 마련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기둥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 후진되도록 형성된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를 구동하도록 전자석개폐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듈형으로 형성되어, 약 복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조립할 수 있다.
아울러, 약 복용자가 약을 휴대하지 않을 경우 약 복용자의 모바일기기를 통해 경고신호를 전파하여 약 복용자가 약을 휴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주요부가 분리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이 결합된 상태를 표현한 평면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이 결합된 상태를 표현한 평면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예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또 다른 형태의 결합부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 공급 시스템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 공급 시스템의 주요부를 확대 도시한 측단면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 공급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케이스(100)를 표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케이스(100)는 약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약수용부(110)와, 상기 약수용부(110)의 수용공간(111)을 구획하는 칸막이(120)와, 상기 약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된 약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130)와,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약수용부(110)는 수용공간(111)과 칸막이홈(112)과 덮개홈(113)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공간(111)은 약을 수용하도록 상기 약수용부(1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홈(112)은 상기 칸막이(120)가 상하방향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11)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덮개홈(113)은 상기 덮개(130)가 상기 약수용부(11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11)의 개방된 상측에 상기 덮개(13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게 형성된다.
상기 칸막이(120)는 상기 약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된 각각의 약들이 혼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111)을 구획할 수 있게 상기 약수용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칸막이홈(112)에 의해 상기 약수용부(110)에 지지된다.
상기 덮개(130)는 상기 약수용부(110)의 내부에 수용된 약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약수용부(110)의 개방된 상측이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덮개홈(113)에 의해 상기 약수용부(110)에 지지된다.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약케이스(100)가 인접한 약케이스(100)의 결합부(140)와 상호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형성되며, 제1결합부(141)와 제2결합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141)는 상기 약수용부(110)의 외부 일측에 각각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142)는 상기 제1결합부(141)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약수용부(110)의 외부 타측에 상기 제1결합부(141)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10)을 표현한 평면상태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약케이스(100)는 인접한 약케이스(100)의 상기 제1결합부(141) 및 제2결합부(142)가 상호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142) 또는 보조결합부(150)에는 고정부재(7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700)는 상기 덮개(130)가 상기 약수용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결합부(142) 또는 상기 보조결합부(150)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며, 약 복용자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일측에 걸이홈(710)이 형성되고, 약의 종류 및 복용시간을 메모할 수 있도록 상측에 메모면(720)이 마련된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약케이스(200) 및 이를 이용한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을 표현한 도면이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약케이스(200)는 인접한 약케이스(200)의 결합부(240)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약케이스(200)들이 환형의 결합면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약케이스(200)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호형으로 형성된다.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약케이스(200)는 인접한 약케이스(200)의 상기 제1결합부(241) 및 제2결합부(242)가 상호 결합되어 환형의 결합면을 가진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로 형성된다. 이때, 환형의 중심부에는 원형의 기둥수용부(20a)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이실시예예 따른 약케이스(100, 200)의 자성결합부(160, 260)를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제1자성결합부(161, 261)와 제2자성결합부(162, 262)의 어느 한 쪽은 자성체이고, 다른 한 쪽은 자성체 또는 자성체와 결합되는 금속재질이다. 상기 제1자성결합부(161, 261)와 제2자성결합부(162, 262)가 상호 인접되어 대응되게 자성결합을 하여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10, 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 공급 시스템(1)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 공급 시스템(1)은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과,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들을 거치하도록 형성된 거치부(30)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들을 감지하는 감지부(40)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이 상기 감지부(40)에 의해 소정시간 경과후에도 거치부(30)에 거치된 것이 감지되면, 약 복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전파하는 전파부(50)와, 상기 전파부(50)에서 발생하는 경고신호를 약 복용자가 수신하도록 구비된 모바일기기(M)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30)는 기둥(31)과 받침대(32)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31)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의 기둥수용부(20a)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형성되고, 적층되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들의 높이와 같거나 크도록 상방으로 연장형성돤다.
상기 받침대(32)는 상기 기둥(31)에 결합된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들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둥(31)의 하단에 구비된다.
상기 감지부(40)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일결합모듈(20)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제1감지센서(41) 및 제2감지센서(42)가 구비되되, 상기 제2감지센서(42)는 상기 제1감지센서(41)에서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제2감지센서(42)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감지센서(41)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일결합모듈(20)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일결합모듈(20)의 부재시 악 복용자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일결합모듈(20)듈을 공급하도록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2감지센서(42)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이 소정시간 경과후에도 거치부(30)에 거치된 것이 감지될 경우, 악 복용자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일결합모듈(20)을 인출하도록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거치부(30)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들이 상기 감지부(40)로 이송되도록 형성된 모듈이동수단(31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모듈이동수단(310)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을 이송하도록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의 일측에 이송판(311)이 구비되고, 상기 이송판(311)에 안착된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을 구동하도록 상기 이송판(311)이 지지되게 구동부(312)가 설치되며,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20)이 상기 거치부(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리부(313)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부(312)는 상기 기둥(31)의 내측에 수용되게 형성된 스프링이 마련된다. 도면에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동부는 공압실린더 또는 볼스크류가 구비된 모터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313)는 상기 기둥(31)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 후진되도록 형성된 스토퍼(313a)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313a)를 구동하도록 상기 스토퍼(313a)의 일측에 전자석개폐부재(313b)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듈형으로 형성되어, 약 복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조립할 수 있고, 약 복용자가 약을 휴대하지 않을 경우 약 복용자의 모바일기기를 통해 경고신호를 전파하여 약 복용자가 약을 휴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약 공급 시스템
1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케이스
11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수용부
111 : 수용공간
112 : 칸막이홈
113 : 덮개홈
120 : 칸막이
13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
14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
14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
14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
15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결합부
16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성결합부
16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자성결합부
16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자성결합부
20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
20a : 기둥수용부
200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약케이스
210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약수용부
230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덮개
240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결합부
241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
242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
250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보조결합부
260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자성결합부
261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제1자성결합부
262 :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제2자성결합부
30 : 거치부
31 : 기둥
310 : 모듈이동수단
311 : 이송판
312 : 구동부
313 : 분리부
313a : 스토퍼
313b : 전자석개폐부재
32 : 받침대
40 : 감지부
41 : 제1감지센서
42 : 제2감지센서
50 : 전파부
60 : 제어부
700 : 고정부재
710 : 걸이홈
720 : 메모면
M : 모바일기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을 거치하도록 형성된 거치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의 상측에 설치된 감지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이 상기 감지부에 의해 소정시간 경과후에도 거치부에 거치된 것이 감지되면, 약 복용자에게 경고신호를 전파하는 전파부;
    상기 전파부에서 발생하는 경고신호를 약 복용자가 수신하도록 구비된 모바일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은 약을 수용하도록 상측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약수용부와,
    상기 약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각각의 약들이 혼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을 구획할 수 있게 상기 약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된 칸막이와,
    상기 약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약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약수용부의 개방된 상측이 개폐되도록 구비된 덮개와,
    상기 약수용부의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약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약케이스는 인접한 약케이스의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약수용부의 외부 일측에 각각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약수용부의 외부 타측에 상기 제1결합부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덮개가 상기 약수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결합부와 상호 대응되게 고정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약케이스는 인접한 약케이스의 결합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약케이스들이 환형의 결합면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약케이스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각각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적층되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의 높이와 같거나 크도록 기둥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기둥에 결합된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둥의 하단에 받침대가 구비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제2감지센서는 상기 제1감지센서에서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이격되게 제2감지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들이 상기 감지부로 이송되도록 형성된 모듈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듈이동수단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을 이송하도록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의 일측에 설치된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에 안착된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을 구동하도록 상기 이송판이 지지되게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이 상기 거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거치부에 구비된 분리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둥의 내측에 수용되게 형성된 스프링이 마련되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기둥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 후진되도록 형성된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를 구동하도록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전자석개폐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일리 약케이스 단위결합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
  5. 삭제
KR1020170158684A 2017-11-24 2017-11-24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 KR101976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84A KR101976575B1 (ko) 2017-11-24 2017-11-24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84A KR101976575B1 (ko) 2017-11-24 2017-11-24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575B1 true KR101976575B1 (ko) 2019-08-28

Family

ID=6777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684A KR101976575B1 (ko) 2017-11-24 2017-11-24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6519A (zh) * 2021-02-09 2022-08-16 成都宇亨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多格药盒纠偏装置及调剂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817Y1 (ko) * 2001-02-14 2001-07-19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약품 포장용기
JP2002291840A (ja) * 2001-03-30 2002-10-08 Yoshino Kogyosho Co Ltd 薬用集合容器
KR20090013255U (ko) 2008-06-23 2009-12-31 장수명 복합용도(봉지약,알약)의 지능형 알리미 약상자
KR101016438B1 (ko) 2008-09-10 2011-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817Y1 (ko) * 2001-02-14 2001-07-19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약품 포장용기
JP2002291840A (ja) * 2001-03-30 2002-10-08 Yoshino Kogyosho Co Ltd 薬用集合容器
KR20090013255U (ko) 2008-06-23 2009-12-31 장수명 복합용도(봉지약,알약)의 지능형 알리미 약상자
KR101016438B1 (ko) 2008-09-10 2011-0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6519A (zh) * 2021-02-09 2022-08-16 成都宇亨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多格药盒纠偏装置及调剂设备
CN114906519B (zh) * 2021-02-09 2023-12-05 成都宇亨智能科技有限公司 多格药盒纠偏装置及调剂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917B1 (ko) 센서-기반 투약 시스템들
US7451876B2 (en) Universal medication carrier
ES2440486T3 (es) Envase blíster personalizado
KR101584541B1 (ko) 알림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약통 및 세트
US20180068087A1 (en) Automated Medication Adherence System
CA2752772C (en) Medical reminder and dispensing device
AU2007351001B2 (en) Tablet dispenser system
US10292906B1 (en) Contactless automatic pill dispenser with blister-pack support
WO2013127564A1 (en) System for monitoring drug compliance using high resolution force sensing
TWM528748U (zh) 智慧型個人藥盒管理系統
KR101938150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KR101016438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약 복용 지원 방법
US9785750B2 (en) Medicine organizer
JP2017527362A5 (ko)
US20180000692A1 (en) Connected Pill Box
US20190228852A1 (en) Automated Medication Adherence System
KR20200141737A (ko) 스마트 약통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약복용 모니터링 방법
KR101976575B1 (ko) 데일리 약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약 공급 시스템
JP2017529924A (ja) ソート用錠剤ボックス
JP2015062438A (ja) 服用管理支援装置、及び、服用管理システム
KR102414259B1 (ko) 약 복용 관리 장치 및 방법
Sather Evolution of smart pillbox: History and reasons for a need to design a smart pillbox
Nurse IoT and the Future of Signal Reporting, Medication Management, Clinical Research and Drug Safety with New Tools and Process
KR102650916B1 (ko) 스마트 용기
WO2016051397A1 (en) A device for administrering med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