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350B1 -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350B1
KR101976350B1 KR1020180099246A KR20180099246A KR101976350B1 KR 101976350 B1 KR101976350 B1 KR 101976350B1 KR 1020180099246 A KR1020180099246 A KR 1020180099246A KR 20180099246 A KR20180099246 A KR 20180099246A KR 101976350 B1 KR101976350 B1 KR 101976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unit
exhaust pipe
main body
hous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서현
Original Assignee
임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서현 filed Critical 임서현
Priority to KR102018009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4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napkins, handkerchiefs, towels, doili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003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flattening or rim-rolling; Shaping by bending, folding or rim-rolling combined with joining; Apparatus therefor
    • B31F1/0006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 B31F1/0009Bending or folding; Folding edges combined with joining; Reinforcing edges during the folding thereof of plates,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26Construction of ink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10Arrangements for effecting positive rotation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4Napkins or tissues, e.g. dressings, toweling, serviettes, kitchen paper and com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되는 칵테일 냅킨 외면에 인쇄는 물론, 문양부를 형성하여 높은 품질의 칵테일 냅킨을 제공하며, 해당 칵테일 냅킨을 제조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밀성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다수 결합하되 원지가 일 방향으로 권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원지 표면에 문양을 인쇄하고, 상기 원지가 이중으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하는 권출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구비되되 이중으로 겹쳐진 상기 원지가 반복적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원지절첩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원지절첩부를 통해 서로 접첩된 상기 원지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되 이동하거나 절단되는 상기 원지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정화하며, 상기 필터를 교체시에 흡입된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순환시켜 해당 이물질이 정화대기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화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되 상기 권출부, 상기 원지절첩부, 상기 절단부, 상기 정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권출부는 상기 원지가 두루마리 형상을 갖게 감겨지되 양측이 상기 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상기 원지절첩부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원지가 풀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출롤러, 상기 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다수 구비되되 상기 권출롤러에서 풀어진 상기 원지가 상기 원지절첩부 방향으로 팽팽함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원지절첩부로 진입하기 이전의 상기 원지가 두 겹으로 겹쳐져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롤러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원지절첩부로 진입하기 이전의 상기 원지 표면에 원액으로 문양을 인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인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원지절첩부 일측에 설치되어 판 형상의 상기 원지가 접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삼각플레이트, 상기 삼각플레이트를 통해 접어진 상기 원지를 가압하여 상기 칵테일 냅킨 외면에 문양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COCKTAIL NAPKINS}
본 발명은 제조되는 칵테일 냅킨 외면에 인쇄는 물론, 문양부를 형성하여 높은 품질의 칵테일 냅킨을 제공하며, 해당 칵테일 냅킨을 제조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지나 주방용 키친 타월, 티슈, 냅킨(칵테일 냅킨 포함) 등은 통상적으로 냅킨(napkin)으로 불리우며, 매우 얇은 종이를 사용하므로 흡수성과 부피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2겹 또는 그 이상으로 접합된 상태로 생산되며, 필요에 따라 세척력과 종이 상호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엠보싱 무늬를 성형할 수 있게 제조된다.
이러한 종래의 냅킨을 제조하는 장치로 국내공개특허 제10-1993-4062호, 제10-2001-56336호,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68962호 및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6210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이러한 종래기술은 두루마리 형상으로 말린 원지를 풀어 이동시키며 2겹 이상으로 접을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되어 상품으로 출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모두 작업장에 노출된 상태로 냅킨의 제조가 이루지기에 해당 작업장 내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는 모두 마스크 등으로 호흡기를 보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마스크로 호흡기를 보호한다고 하더라도 장시간에 걸쳐 사용된 해당 마스크는 더 이상 그 기능을 유지하기가 힘들어 자주 교체하거나 일부 먼지가 호흡기로 유입되어 작업자의 안전사고에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냅킨 제조장치는 그 제조된 냅킨 표면에 인쇄는 가능하나 입체적인 느낌을 주는 문양의 형성이 어려워 고품질의 냅킨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냅킨을 제조시에 발생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조된 냅킨 외면에 인쇄 및 입체적인 문양을 형성하여 고품질의 냅킨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밀성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다수 결합하되 원지가 일 방향으로 권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원지 표면에 문양을 인쇄하고, 상기 원지가 이중으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하는 권출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구비되되 이중으로 겹쳐진 상기 원지가 반복적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원지절첩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원지절첩부를 통해 서로 접첩된 상기 원지를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되 이동하거나 절단되는 상기 원지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정화하며, 상기 필터를 교체시에 흡입된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순환시켜 해당 이물질이 정화대기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화부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되 상기 권출부, 상기 원지절첩부, 상기 절단부, 상기 정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권출부는 상기 원지가 두루마리 형상을 갖게 감겨지되 양측이 상기 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상기 원지절첩부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원지가 풀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출롤러, 상기 프레임부재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다수 구비되되 상기 권출롤러에서 풀어진 상기 원지가 상기 원지절첩부 방향으로 팽팽함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원지절첩부로 진입하기 이전의 상기 원지가 두 겹으로 겹쳐져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롤러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원지절첩부로 진입하기 이전의 상기 원지 표면에 원액으로 문양을 인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인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원지절첩부 일측에 설치되어 판 형상의 상기 원지가 접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삼각플레이트, 상기 삼각플레이트를 통해 접어진 상기 원지를 가압하여 상기 칵테일 냅킨 외면에 문양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수직브라켓, 수평브라켓, 플레이트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 외면에 투명재질의 격벽패널이 결합하여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 내부와 연통되게 관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정화부와 관 연결되어 상기 본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배기관, 일단이 상기 본체와 관 연결된 상기 배기관과 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정화부와 관 연결된 상기 배기관과 관 연결되는 바이패스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바이패스관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관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크밸브,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권출부에 두루마지 형태로 감겨진 상기 원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화부는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 내부에 발생한 이물질을 상기 정화부 방향으로 강제 흡입하는 흡입펌프,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상기 필터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흡입펌프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정화하는 정화통, 상기 흡입펌프와 상기 정화통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관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흡입펌프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상기 바이패스관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이물질이 상기 바이패스관과 상기 배기관을 통해 순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부재, 상기 본체 외부에 구비될 수 있게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통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정화통의 개방된 상부가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배기관 내부를 차단시에 상기 바이패스관을 개방할 수 있게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음롤러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게 회전하되 상기 원지의 진행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제1접음부와 제2 접음부로 구비되어 상기 원지를 순차적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1접음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접음롤러의 간격은 상기 제2접음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접음롤러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하며, 상기 제2접음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접음롤러 외면에는 서로 치(齒) 결합하되 상기 간격 내측으로 진입한 상기 칵테일 냅킨 외면을 가압하여 음각이나 양각의 상기 문양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문양형성돌기와 문양형성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본체가 그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부재 및 해당 프레임부재 외면에 판 형상을 갖도록 결합하여 상기 본체 내부가 기밀성을 갖도록 유지하여 원지의 이동, 절첩, 절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이 흡입펌프에 의해 배기관을 따라 강제 흡입되어 필터가 구비된 정화부를 통해 정화될 수 있어 상기 본체 외부로 유출되는 이물질이 없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하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정화부에 구비된 필터를 교체시에 개폐부재로 배기관을 차단함과 동시에 해당 배기관에 연결된 바이패스관을 통해 해당 필터를 교체하는 일정시간동안 흡입된 이물질을 순환시켜 본 발명인 냅킨제조장치를 오프(OFF) 상태로 만들지 않고도 지속적인 이물질 흡입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생성된 칵테일 냅킨에 인쇄 및 음각이나 양각의 문양부를 형성하여 높은 품질의 칵테일 냅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칵테일냅킨 제조용 절첩장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칵테일냅킨 제조용 절첩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의 하우징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의 탄성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의 권출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의 인쇄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의 원액공급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의 원지절첩부를 나타낸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도 11에 대한 원지절첩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의 절단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의 정화부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5에 대한 개폐부재의 동작에 의한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5에 대한 필터의 교체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를 통해 생산된 칵테일 냅킨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이하, 간략하게 '냅킨제조장치'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제어부(600)는 후술하는 하우징부(100) 외면에 고정설치되거나 상기 하우징부(100) 외부에 설치되어 원격으로 권출부(200), 원지절첩부(300), 절단부(400), 정화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원격 등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스위치나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통상의 제어부(600)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냅킨제조장치(1)는 크게 하우징부(100), 권출부(200), 원지절첩부(300), 절단부(400), 정화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부(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권출부(200)의 회전을 통해 두루마리 형상으로 권출롤러(210)에 감겨진 원지(P)가 풀리면서 이동시에 파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프레임부재(111)와 격벽패널(1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본체(110), 배기관(120) 및 탄성부재(130)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레임부재(111)는 전체적으로 속이 빈 육면체의 함체 형상을 갖는 하우징부(100) 즉, 본체(110)의 골조를 이루는 구성으로 다수의 수평브라켓(113) 및 수직브라켓(117)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판 형상의 플레이트(119)가 더 구비되어 후술하는 원지절첩부(300)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거나 절단부(400)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플레이트(119)는 필요에 따라 절곡 형성되어 원지절첩부(300) 또는 절단부(4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수평 및 수직브라켓(117)은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설치되며, 그 외면에는 격벽패널(112)이 설치되어 하우징부(100) 내부가 기밀 상태를 유지하여 후술하는 정화부(500)의 강제 흡입을 통해 해당 하우징부(100)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흡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아울러 수평 및 수직브라켓(117)은 다수의 롤러들에 구성으로 이루어진 권출부(20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제어부(600)의 제어를 통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격벽패널(112)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외부에서 작업자 등이 육안으로 내부에서 동작하는 권출부(200), 원지절첩부(300) 및 절단부(400) 등의 동작을 식별할 수 있게 투명성을 갖는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격벽패널(112)은 하우징부(100)의 골조를 이루는 다수의 프레임부재(111) 외면에 체결수단으로 고정설치되어 해당 하우징부(100) 내부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외면에는 후술하는 배기관(120)이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정화부(500)에 의해 이물질이 강제 흡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격벽패널(112)은 프레임부재(111) 일측에 형성된 절단부(400)를 통해 냅킨의 형상을 갖도록 절단된 원지(P)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도어(1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도어(114)와 근접하게는 다수의 흡입관(미도시)이 격벽패널(112) 내면에 고정설치되어 개방된 도어(114)를 통해 하우징부(100) 내부에서 확산되는 이물질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게 상기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어 정화부(5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기관(120)은 격벽패널(112) 외면 특히, 공기보다 가벼운 이물질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하우징부(100)의 천정을 이루는 격벽패널(112)에 적어도 하나 이상 해당 하우징부(100)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정화부(500)와 서로 관 연결되어 정화부(500)의 강제 흡입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정화부(500)와 관 연결된 배기관(120)은 필터(521)의 교체를 위해 상기 정화부(500)가 폐쇄된 이후에 흡입된 이물질이 상기 배기관(120) 내에서 일정시간동안 순환할 수 있게 바이패스관(12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바이패스관(121)에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가능한 체크밸브(123)가 해당 바이패스관(121)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필터(521)를 교체하는 시간에만 배기관(120)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바이패스관(121)의 개방을 통해 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6 참조).
또한 탄성부재(130)는 권출롤러(210) 외면에 두루마리 형상으로 감겨진 원지(P) 외면을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해당 원지(P)가 회전시에 안정적으로 풀려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가압롤러(131), 지지대(135) 및 탄성체(137)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압롤러(131)는 양측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지지대(135)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그 외면은 권출롤러(210) 외면에 구비된 원지(P) 외면을 탄성체(137)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하여 해당 원지(P)가 회전시에 용이하게 풀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압롤러(131) 외면에는 접촉하는 원지(P)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패드(133)가 해당 가압롤러(131)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35)는 권출롤러(210) 하부에 위치하되 서로 마주보게 한 쌍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하부는 수직 또는 수평브라켓(113)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고, 그 상부는 가압롤러(131)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한 쌍의 지지대(1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방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체(137) 상부가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13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가압롤러(131) 외면이 항시 원지(P)를 상방 또는 사선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체(137)는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하부는 수평브라켓(113)에 고정설치되며, 상부는 한 쌍의 지지대(135)를 이어주는 보강바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35)를 상방으로 동시에 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되며, 그 탄성력을 통해 지지대(135)를 항시 밀어내어 가압롤러(131)가 권출롤러(210) 외면에 감겨진 원지(P)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권출부(2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0) 내부에 서로 이웃하게 다수의 롤러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부(100)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원지(P)를 후술하는 원지절첩부(300) 및 절단부(400)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하는 원지(P) 표면에 인쇄를 하기 위한 구성으로 권출롤러(210), 다수의 안내롤러(220) 및 인쇄부재(230)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권출롤러(210)는 양측이 수직 또는 수평브라켓(113)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할 수 있도록 본체(110) 내부에 설치된다(도 4 참조).
아울러 권출롤러(210) 외면에는 원지(P)가 두루마리 형상을 갖도록 감겨지되 회전하는 원지절첩부(300)의 당김에 의해 해당 원지(P)가 당겨져 권출롤러(210)가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권출롤러(210)는 수직브라켓(117)과 회전가능하게 탈착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필요에 따라 해당 권출롤러(210)의 결합 높이를 서로 달리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수직브라켓(117)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조절공(115)이 천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참조).
나아가 회전하는 권출롤러(210)는 사이클(예를 들어 권출롤러가 360도 회전하는 것을 1사이클로 함) 횟수에 따라 원지(P)의 소모 여부를 제어부(600)가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권출롤러(21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회전감지센서(2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안내롤러(220)는 상술한 권출롤러(210)에서 이동하는 원지(P)가 후술하는 원지절첩부(300)까지 펼쳐진 상태에서 그 팽팽함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권출롤러(210)와 상기 원지절첩부(300) 사이에 하나 또는 한 쌍이 프레임부재(111)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원지(P)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8 및 도 18을 참조하면, 안내롤러(220)는 원지(P)가 겹쳐진 완성된 칵테일 냅킨(N/C)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원지(P)를 접어주는 삼각플레이트(221)와 상기 삼각플레이트(221)에 의해 접어진 원지(P) 표면에 양각과 음각의 문양부(P/T)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음롤러(22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해당 삼각플레이트(221)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원지절첩부(300) 일측에 설치되어 판 형상으로 펼쳐지게 다수의 안내롤러(220)를 거쳐 이동하는 원지(P)가 두 겹으로 서로 겹쳐져 접음롤러(223)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삼각플레이트(2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삼각플레이트(221)와 가장 근접하게 설치된 안내롤러(220) 하면을 통해 판 형상으로 이동하는 원지(P) 상기 삼각플레이트(221)의 상면을 통해 두 겹으로 겹쳐져 한 쌍의 접음롤러(223) 사이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삼각플레이트(221) 끝단은 호(弧) 형상을 갖는 굴곡부를 형성하여 서로 겹쳐지게 이동하는 원지(P)가 손상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음롤러(223)는 삼각플레이트(221)를 통해 두 겹으로 겹쳐진 원지(P)를 가압하여 그 겹쳐짐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플레이트(221)와 후술하는 원지절첩부(300) 사이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이때, 접음롤러(223)는 삼각플레이트(221)에서 원지절첩부(300) 방향(원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한 쌍의 접음롤러(223)를 유닛으로 하는 제1접음부와 제2접음부 복수의 구성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접음롤러(223) 각각의 간격(D1,D2)은 원지(P)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게 간격(D1,D2)을 서로 달리하도록 형성하여 두 겹으로 겹쳐진 원지(P)가 원지절첩부(300)로 진입하게 이전에 안정적으로 완전하게 접어진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접음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접음롤러(223) 각각의 외면에는 서로 치(齒) 결합하되 그 간격(D2)로 진입하는 원지(P) 외면을 가압하여 음각이나 양각의 문양부(P/T)를 형성하는 문양형성돌기(223a)와 문양형성홈(223b)가 상기 접음롤러(223)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교번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인쇄부재(230)을 통해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이 인쇄된 원지(P) 외면에 문양부(P/T)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더욱 고급스러운 칵테일 냅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도 18 참조).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문양부는 물결무늬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문양의 형성도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자명하다.
인쇄부재(230)는 상술한 권출롤러(210)와 원지절첩부(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게 하우징부(100) 내부에 설치되되 문양롤러(231), 마감롤러(233) 및 인쇄에 필요한 원액을 해당 문양롤러(231) 표면에 공급하는 원액공급부(240)를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문양롤러(231)는 양측이 프레임부재(111)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할 수 있게 설치되며, 그 상부에는 원액공급부(240)가 설치되어 해당 문양롤러(231) 표면에 원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문양롤러(231) 표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으로 원지(P) 표면에 인쇄하고자 하는 문양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롤러(233)는 상술한 문양롤러(231)와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할 수 있게 양측이 프레임부재(111)와 서로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할 수 있게 설치되며, 원지(P)에 인쇄된 원액 즉, 문양롤러(231)의 문양부에 의해 원지(P)에 인쇄된 이후에 해당 원지(P)에 흡수되지 못한 액상의 원액을 일부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마감롤러(233)는 원지(P)에 인쇄된 원액의 흡수가 용이할 수 있게 그 표면이 스펀지 등과 같은 흡수성이 강한 재질의 것이 사용되며, 해당 원지(P)가 접촉하는 마감롤러(233)의 표면이 동일하게 접촉하지 못하도록 프레임부재(11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양측이 유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다수의 안내롤러(220) 중 어느 하나는 문양롤러(231)와 마감롤러(233) 사이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프레임부재(111)에 결합하여 상기 문양롤러(231)를 통해 인쇄된 원지(P)가 안정적으로 마감롤러(233)를 통해 해당 원지(P)의 원액이 흡수될 수 있도록 흡수체(2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문양롤러(231)와 마감롤러(233) 사이에 구비된 안내롤러(220)는 그 상면으로 원지(P)가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해당 원지(P)에 인쇄된 원액이 안내롤러(220) 표면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액공급부(240)는 상술한 문양롤러(231) 상부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부재(111)에 고정 및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문양롤러(231) 표면에 원액이 묻을 수 있게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원액수용함(241) 및 원액공급롤러(247)를 포함한다.
원액수용함(241)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액상의 원액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부에는 수용된 액상이 스며들게 공급되되 원액공급롤러(247) 표면과 접촉하여 해당 원액이 상기 원액공급롤러(247) 표면에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원액공급롤러(247)는 상술한 마감롤러(233) 표면에 구비된 흡수체(235)와 동일한 재질의 것이 사용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체(235)는 원지(P)에 인쇄된 문양부의 원액을 흡수하는 구성이고, 원액공급롤러(247)는 원액수용함(241)에 수용된 원액을 흡수하여 문양롤러(231)의 문양부에 해당 원액을 공급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이때, 원액수용함(241)의 하부에는 내부에 수용된 원액이 원액공급롤러(247)에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게 다수의 토출공(245)이 형성되어 상기 원액공급롤러(247)에 수용된 원액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원액수용함(241) 내부에는 직진성을 갖는 레이저의 반사를 이용하여 해당 원액수용함(241) 내부에 수용된 원액의 수용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센서(24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수위센서(242)는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센서(244)와 해당 제1센서(244)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를 감지하는 제2센서(246)를 포함한다.
제1센서(244)와 제2센서(246)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원액수용함(241)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1센서(244)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상기 원액수용함(241) 내부에 수용된 원액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게 설치되며, 원액수용함(241)에 수용된 원액이 어늦 jd도 소진되면 해당 제1센서(244)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를 제2센서(246)가 감지하여 원액의 존재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원액수용함(241) 내부에 수용되는 원액은 대체적으로 레이저가 투과되지 못하는 투명하지 않은 색을 갖는 액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원액수용함(241) 상부에 구비된 제1센서(244)의 레이저는 원액을 투과하여 상기 원액수용함(241) 하부에 구비된 제2센서(246)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어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반면, 수용된 원액이 소진되어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원액수용함(241) 바닥면이 보여지게 되면 제1센서(244)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제2센서(246)에 감지되게 되고, 그 감지값은 제어부(600)에 전송되어 램프나 음향으로 작업자에게 신호를 제공하여 원액의 리필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물론, 제2센서(246)에 의해 감지가 이루어진 이후에 제어부(600)는 일정시간동안 작업자에 의해 원액의 리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동으로 원지(P)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전원을 오프(OFF)시켜 생산하고자 하는 냅킨의 불량이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때, 제1센서(244)와 제2센서(246)는 각각 복수의 구성으로 서로 이웃하게 프레임부재(111)에 설치되어 원액의 소진 여부를 여러 곳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원액수용함(241)의 바닥면은 일 방향(토출공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경사면(243)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원액수용함(241)에 수용된 원액이 일정량 존재하는 상태에서 수위센서(242)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지절첩부(30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속도로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31)를 포함하는 한 쌍의 인접하는 회전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1회전체(21)는 원형의 외주면(22)을 갖는 다수의 원판(21a)들과, 상기 원판(21a)들 사이에 형성되는 활주홈(21b)들과, 상기 원판(21a)들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홈(24)들과, 상기 원판(21a)들의 회전중심축(23)을 기준으로 상기 제1홈(24)들에 대하여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제2홈(2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홈(24) 내에는 제1선회축(26)을 중심으로 상기 제1홈(24) 내부에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나이프(27)와, 상기 제2홈(25) 내에는 제2선회축(28)을 중심으로 상기 제2홈(25) 내부에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나이프(29)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체(31)는 원형의 외주면(32)을 갖는 다수의 원판들과, 상기 원판들 사이에 형성되는 활주홈들과, 상기 원판들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3홈(34)들과, 상기 원판들의 회전중심축(33)을 기준으로 상기 제3홈(34)들에 대하여 대칭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제4홈(3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3홈(34) 내에는 제3선회축(36)을 중심으로 상기 제3홈(34) 내부에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3나이프(37)와, 상기 제4홈(35) 내에는 제4선회축(38)을 중심으로 상기 제4홈(35) 내부에서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4나이프(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1회전체(21)의 상기 제2나이프(29)에는 상기 제2나이프(29)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제2선회축(28)의 반대방향의 단부에 상기 제1회전체(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걸림턱(41)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2회전체(31)의 상기 제4나이프(39)에는 상기 제4나이프(39)가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제4선회축(38)의 반대방향의 단부에 상기 제2회전체(3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걸림턱(42)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제2나이프(29)에 형성된 상기 제1걸림턱(41) 및 상기 제4나이프(39)에 형성된 상기 제2걸림턱(42)에 의하여 원지(P)가 빠지지 않도록 눌려지게 작동한다.
즉, 제1회전체(21) 및 제2회전체(31)들이 서로 맞물려 들어가는 방향쪽에서 그 반대의 맞물려 나오는 방향인 도 1에 나타난 A-A'의 화살표 방향으로 원지의 길이방향의 축과 평행한 제1절첩선(12)을 따라 반으로 절첩된 원지(P)가 공급되며, 도 1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31) 사이로 공급된 원지(P)는 상기 제1회전체(21)의 제1홈(24) 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제1나이프(27)에 의하여 상기 제1회전체(21)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상기 제2회전체(31)의 상기 제4홈(35) 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제4나이프(39)와 상기 제2회전체(31)의 상기 제4홈(35)의 내벽 사이의 틈으로 밀어 넣어지며, 그에 따라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제4나이프(39)와 상기 제1나이프(27) 및 상기 제4홈(35)의 내벽 사이에 끼워져서 물리게 된다.
이후, 상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31)들이 맞물려서 계속 회전함에 따라,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제4나이프(39)와 상기 제1나이프(27)의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이들 사이에 물려있던 상기 원지(P)는 물려진 상태에서 벗어나기는 하나, 상기 원지(P)가 상기 제1회전체(21)와 상기 제2회전체(31)의 지속적인 회전에 따라 계속 A-A'의 방향으로 전진하는 추진력을 갖기 때문에 상기 제2회전체(31)의 상기 외주면(32)의 방향으로 계속 밀리게 된다.
이후, 상기 원지(P)는 상기 제2회전체(31)의 제3홈(34) 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제3나이프(37)에 의하여 상기 제2회전체(31)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상기 제1회전체(21)의 상기 제2홈(25) 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제2나이프(29)와 상기 제1회전체(21)의 상기 제2홈(25)의 내벽 사이의 틈으로 밀어넣어지며, 그에 따라 상기 제2나이프(29)와 상기 제3나이프(37) 및 상기 제2홈(25)의 내벽 사이에 끼워져서 물리게 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31)들이 맞물려서 계속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나이프(29)와 상기 제3나이프(37)의 사이가 벌어짐에 따라 이들 사이에 물려있던 상기 원지(P)는 물려진 상태에서 벗어나기는 하나, 상기 원지(P)가 상기 제1회전체(21)와 상기 제2회전체(31)의 지속적인 회전에 따라 계속 A-A'의 방향으로 전진하는 추진력을 갖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상기 제2회전체(31)의 상기 외주면(32)의 방향으로 계속 밀리게 되는 것과는 반대 방향, 즉 상기 제1회전체(21)의 상기 외주면(22)의 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원지(P)는 상기 제2회전체(31)의 상기 외주면(32)의 방향으로 전진하는 것과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정지되고, 상기 원지(P)는 반대방향으로 절첩되게 되며, 상기 제1회전체(21)와 상기 제2회전체(31)의 지속적인 회전 및 상기 원지(P)의 지속적인 공급에 따라 상기한 과정이 반복되며, 상기 원지(P)는 반복적으로 절첩하게 된다.
이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첩된 원지(P')를 수직방향에서 절단함에 따라 2회 절첩된 칵테일냅킨이 적층된 다발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제1나이프(27), 제2나이프(29), 제3나이프(37) 및 제4나이프(39)는 각각 그의 선회축 즉, 제1선회축(26), 제2선회축(28), 제3선회축(36) 및 제4선회축(38)의 캠(도시하지 않음) 운동에 의하여 상기 각 축들을 기준으로 요동운동을 하여 상기 원지(P)의 절첩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한 요동운동은 상기 제1나이프(27), 제2나이프(29), 제3나이프(37) 및 제4나이프(39)들이 수용되는 상기 제1홈(24), 제2홈(25), 제3홈(34) 및 제4홈(35)들 이내의 범위로 한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31)들이 서로 맞물려 회전됨에 따라 이들 사이로 원지의 길이방향의 축과 평행한 제1절첩선(12)을 따라 반으로 절첩된 원지(P)가 공급되어 상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31)들에 형성된 나이프들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절첩되며, 특히 상기 제1회전체(21)의 제1홈(24) 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제1나이프(27)에 의하여 상기 제1회전체(21)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상기 제2회전체(31)의 상기 제4홈(35) 내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된 제4나이프(39)와 상기 제2회전체(31)의 상기 제4홈(35)의 내벽 사이의 틈으로 밀어 넣어지며, 그에 따라 상기 제4나이프(39)와 상기 제1나이프(27) 및 상기 제4홈(35)의 내벽 사이에 끼워져서 물려져서 회전될 때, 이들 나이프들 사이에서의 물림상태에서 원지(P)가 임의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제1회전체(21)의 상기 제2나이프(29)에 형성되는 상기 제1걸림턱(41)과 상기 제2회전체(31)의 상기 제4나이프(39)에 형성되는 상기 제2걸림턱(42)들의 구성에 의하여 정확한 절첩공정을 반복적으로 수 행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제2나이프(29)의 단부에서 원지(P)가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1걸림턱(41)과 상기 제4나이프(39)의 단부에서 원지(P)가 접촉하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제2걸림턱(42)들에 의하여 이들 나이프들과 다른 나이프들에 의하여 절첩되는 원지(P)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물린 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토록 하여 원지(P)가 정확하게 반복적으로 절첩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원판들은 2 내지 8개,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개가 상기 활주홈들을 사이에 두고 적층된 것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원판들로 구성되며, 따라서 각 원판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1회전체(21)의 제1나이프(27)와 제2회전체(31)의 제3나이프(37)의 개수는 상기 5개의 원판들 사이에 형성되는 활주홈과 마찬가지로 4개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이들 4개의 돌출된 구조의 나이프들에 의하여 원지(P)가 파손 즉 찢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제1회전체(21)와 제2회전체(31)들 사이에서 잘 절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400)는 도 4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원지절첩부(300)에 의해 절첩된 원지(P')를 절단하여 냅킨의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고정체(410), 블레이드(420) 및 이송가이드(430)를 포함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고정체(410)는 원지절첩부(300) 후방 상부에 위치할 수 있게 체결수단을 통해 프레임부재(11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블레이드(420)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고정설치된다.
블레이드(420)는 절첩된 원지(P')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날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되 상부는 고정체(410) 하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며, 하부는 이송가이드(430)에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블레이드(420)는 원지절첩부(300)에 의해 서로 절첩된 원지(P)가 밀어내는 힘에 의해 절단될 수 있도록 하며, 도시한 바와 같이, 절첩된 원지(P')의 면적 중앙부에 해당 블레이드(420)의 날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절단이 이루어진 상기 원지(P)가 정확하게 이등분으로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송가이드(430)는 원지절첩부(300)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소정길이를 갖게 설치되며, 그 상면에는 상기 원지절첩부(300)를 통해 서로 절첩된 다수의 원지(P')가 안착하여 이동과 동시에 블레이드(42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이송가이드(430)의 상부는 절첩이 이루어진 원지(P)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안착홈(431)을 갖도록 형성하여 해당 원지(P')가 삐뚤어짐 없이 안정적으로 이송가이드(43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이송가이드(430)는 블레이드(420)가 관통할 수 있게 관통공(433)이 길이방향으로 천공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433)을 통해 이송가이드(430)를 관통한 블레이드(420) 하부는 상기 이송가이드(430) 하부에 구비된 결합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송가이드(430)는 원지절첩부(300)에 의해 접첩이 이루어진 원지(P')가 진행하는 방향에 저항력이 발생하여 해당 원지(P')가 충분하게 압축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저항체(4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저항체(440)는 안착홈(431)을 가로지르게 이송가이드(430)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안착홈(431) 내부로 판 형상의 압축판(441)이 삽입되어 절첩된 원지(P')가 해당 압축판(441)과 면 접촉하여 상기 원지(P')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저항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저항체(440) 양측은 이송가이드(430) 양측에 각각 형성된 삽입공(435)에 삽입되어 원지(P')가 이동하려는 힘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저항체(44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압축판(441)이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약 1 ~ 5kg) 금속재질의 것이 사용되어 원지(P)가 밀어내는 힘에 저항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저항체(440)는 블레이드(420)에 간섭을 주지않게 상기 블레이드(420) 후방에서 원지(P)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저항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술한 삽입공(435) 일단은 블레이드(420) 후방에서 시작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부(500)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부(100) 내에서 이동, 절첩 및 절단시에 원지(P)에서 발생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강제 흡입 후, 정화하여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화에 사용되는 필터(521)를 교체시에 정화하고자 하는 이물질을 하우징부(100) 내에서 순환시켜 해당 필터(521)를 교체하는 시간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이물질을 강제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흡입펌프(510), 정화통(520), 개폐부재(530) 및 회전부재(540)를 포함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흡입펌프(510)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게 후술하는 정화통(520) 내부와 연통되게 관 연결되는 배기관(120)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관(120)을 통해 본체(110) 내부의 이물질이 강제 흡입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배기관(120)에 설치되는 흡입펌프(5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121)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후술하는 개폐부재(530)의 폐쇄에 의해 정화통(520)과 해당 배기관(120)의 이동로가 차단되면 흡입된 이물질이 상기 바이패스관(121)으로 강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흡입펌프(510)가 오프(OFF) 되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도 16 참조).
정화통(520)은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그 상부는 해당 정화통(520) 내부가 개폐될 수 있게 탈착 가능한 덮개(529)가 구비되며, 해당 덮개(529) 상부는 배기관(120)과 관 연결되어 상기 배기관(120)을 통해 이물질이 정화통(5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정화통(520) 내부에는 흡입된 이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521)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화통(520) 외면에는 상기 필터(521)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덕트(미도시)와 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배기관(120)과 관 연결되는 덮개(529) 상부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관 형상의 자바라관이 설치되어 해당 덮개(529)가 개방된 이후에 정화통(520) 내부의 필터(521)를 교체시에 정화통(520)이 후술하는 회전부재(540)에 의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부재(540)에 의해 회전하는 정화통(520) 하부에는 완충체(523)가 더 구비되어 상기 정화통(520)이 회전시에 프레임부재(111)와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재(530)는 정화통(520)과 흡입펌프(5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게 배기관(120) 내부에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해당 배기관(120)과 관 연결되는 바이패스관(121) 하부에 위치할 수 있게 설치되며, 설치판(531) 및 실린더(533)를 포함한다.
설치판(531)은 배기관(120) 외면과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에 실린더(533)가 인장/수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실린더(533)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로드가 인장/수축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로드 일단에는 배기관(120)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개폐판(535)이 형성되어 배기관(120)과 정화통(520) 간의 이동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개폐판(535)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관(120) 일부를 절개하되 그 절개한 끝단 중 어느 한 부분을 해당 배기관(1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실린더(533)에 의해 상기 배기관(120) 내부에 형성된 개폐공(125)이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물론, 개폐판(535)에는 개폐공(125)을 차단(또는 개방)한 이후에 배기관(120) 외부로 이물질이 유출되지 않게 기밀이 용이하도록 가스킷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개폐부재(530)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정화통(520)의 덮개(529)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와 연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해당 덮개(529)의 오픈(OPEN)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530)가 작동하여 배기관(120)과 정화통(520) 간의 이동로를 차단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해당 센서의 동작과 동시에 상술한 체크밸브가 동시에 작동하여 흡입펌프(510)에 의해 강제 흡입된 이물질이 배기관(120)과 바이패스관(121)을 통해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부재(540)는 격벽패널(112) 외부에 위치할 수 있게 프레임부재(111)에 고정설치되며, 정화통(520) 외면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여 상기 정화통(520) 내부에 구비된 필터(521)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판(541) 및 회전공(543)을 포함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회전판(541)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되 정화통(520)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프레임부재(111)에 고정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회전공(543)이 형성되어 상기 정화통(520) 외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525)가 삽입되어 상기 정화통(520)이 회전시에 상기 회전공(543)의 형상을 따라 돌출부(525)가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정화통(520) 하부는 각각의 회전판(541)과 서로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할 수 있는 회전축(527)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냅킨제조장치(1)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본체(110)가 그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부재(111) 및 해당 프레임부재(111) 외면에 판 형상을 갖도록 결합하여 상기 본체(110) 내부가 기밀성을 갖도록 유지하여 원지(P)의 이동, 절첩, 절단시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이 흡입펌프(510)에 의해 배기관(120)을 따라 강제 흡입되어 필터(521)가 구비된 정화부(500)를 통해 정화될 수 있어 상기 본체(110) 외부로 유출되는 이물질이 없이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실시하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정화부(500)에 구비된 필터(521)를 교체시에 개폐부재(530)로 배기관(120)을 차단함과 동시에 해당 배기관(120)에 연결된 바이패스관(121)을 통해 해당 필터(521)를 교체하는 일정시간동안 흡입된 이물질을 순환시켜 본 발명인 냅킨제조장치(1)를 오프(OFF) 상태로 만들지 않고도 지속적인 이물질 흡입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
12: 제1절첩선 13: 제2절첩선
14: 인쇄영역 21: 제1회전체
22: 외주면 23: 회전중심축
24: 제1홈 25: 제2홈
26: 제1선회축 27: 제1나이프
28: 제2선회축 29: 제2나이프
31: 제2회전체 32: 외주면
33: 회전중심축 34: 제3홈
35: 제4홈 36: 제3선회축
37: 제3나이프 38: 제4선회축
39: 제4나이프 41: 제1걸림턱
42: 제2걸림턱 100: 하우징부
110: 본체 120: 배기관
130: 탄성부재 200: 권출부
210: 권출롤러 220: 안내롤러
230: 인쇄부재 240: 원액공급부
300: 원지절첩부 400: 절단부
410: 고정체 420: 블레이드
430: 이송가이드 440: 저항체
500: 정화부 510: 흡입펌프
520: 정화통 530: 개폐부재
540: 회전부재 600: 제어부
D: 간격 N/C: 칵테일 냅킨
P,P': 원지 P/T: 문양부

Claims (4)

  1. 칵테일 냅킨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밀성을 갖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다수 결합하되 원지(P)가 일 방향으로 권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원지(P) 표면에 문양을 인쇄하고, 상기 원지(P)가 이중으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하는 권출부(200);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에 구비되되 이중으로 겹쳐진 상기 원지(P)가 반복적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하는 원지절첩부(300);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원지절첩부(300)를 통해 서로 절첩된 상기 원지(P)를 절단하는 절단부(400);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되 이동하거나 절단되는 상기 원지(P)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100) 내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필터(521)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정화하며, 상기 필터(521)를 교체시에 흡입된 이물질을 상기 하우징부(100) 내에서 순환시켜 해당 이물질이 정화대기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화부(500); 및
    상기 하우징부(100)에 설치되되 상기 권출부(200), 상기 원지절첩부(300), 상기 절단부(400), 상기 정화부(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부(100)는 수직브라켓(117), 수평브라켓(113), 플레이트(119)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재(111) 외면에 투명재질의 격벽패널(112)이 결합하여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는 본체(110), 일단이 상기 본체(110) 내부와 연통되게 관 연결되되 타단은 상기 정화부(500)와 관 연결되어 상기 본체(110)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배기관(120), 일단이 상기 본체(110)와 관 연결된 상기 배기관(120)과 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정화부(500)와 관 연결된 상기 배기관(120)과 관 연결되는 바이패스관(121),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바이패스관(121)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패스관(121)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체크밸브(123),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권출부(200)에 두루마지 형태로 감겨진 상기 원지(P)를 가압하는 탄성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권출부(200)는 상기 원지(P)가 두루마리 형상을 갖게 감겨지되 양측이 상기 프레임부재(111)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상기 원지절첩부(30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원지(P)가 풀려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권출롤러(210), 상기 프레임부재(111)와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 내부에 다수 구비되되 상기 권출롤러(210)에서 풀어진 상기 원지(P)가 상기 원지절첩부(300) 방향으로 팽팽함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상기 원지절첩부(300)로 진입하기 이전의 상기 원지(P)가 두 겹으로 겹쳐져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롤러(220) 및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원지절첩부(300)로 진입하기 이전의 상기 원지(P) 표면에 원액으로 문양을 인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인쇄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롤러(220)는 상기 원지절첩부(300) 일측에 설치되어 판 형상의 상기 원지(P)가 접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삼각플레이트(221), 상기 삼각플레이트(221)를 통해 접어진 상기 원지(P)를 가압하여 상기 칵테일 냅킨(N/C) 외면에 문양부(P/T)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500)는
    상기 배기관(120)에 설치되되 상기 본체(110) 내부에 발생한 이물질을 상기 정화부(500) 방향으로 강제 흡입하는 흡입펌프(510),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에는 상기 필터(521)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흡입펌프(510)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을 정화하는 정화통(520), 상기 흡입펌프(510)와 상기 정화통(520)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배기관(120)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흡입펌프(510)에 의해 흡입된 이물질이 상기 바이패스관(12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이물질이 상기 바이패스관(121)과 상기 배기관(120)을 통해 순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개폐부재(530), 상기 본체(110) 외부에 구비될 수 있게 상기 프레임부재(111)에 설치되되 상기 정화통(520)과 회전가능하게 축 결합하며,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정화통(520)의 개방된 상부가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회전부재(540)를 포함하되,
    상기 체크밸브(123)는 상기 개폐부재(530)가 상기 배기관(120) 내부를 차단시에 상기 바이패스관(121)을 개방할 수 있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
  4. 삭제
KR1020180099246A 2018-08-24 2018-08-24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 KR101976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46A KR101976350B1 (ko) 2018-08-24 2018-08-24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246A KR101976350B1 (ko) 2018-08-24 2018-08-24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350B1 true KR101976350B1 (ko) 2019-05-08

Family

ID=6658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246A KR101976350B1 (ko) 2018-08-24 2018-08-24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4415A (zh) * 2020-04-02 2020-07-17 刘金红 一种无纺布生产分割、卷绕一体化加工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062B1 (ko) * 1989-06-14 1993-05-19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쇼오까이 더어멀프린터
KR101899861B1 (ko) * 2018-05-04 2018-11-08 임서현 정화기능이 강화된 냅킨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062B1 (ko) * 1989-06-14 1993-05-19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도야쇼오까이 더어멀프린터
KR101899861B1 (ko) * 2018-05-04 2018-11-08 임서현 정화기능이 강화된 냅킨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4415A (zh) * 2020-04-02 2020-07-17 刘金红 一种无纺布生产分割、卷绕一体化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861B1 (ko) 정화기능이 강화된 냅킨제조장치
US7934287B2 (en) Head for a cleaning implement having a removable dirt bin
EP2373203B1 (en) Vacuum cleaner and filter bag insert for a vacuum cleaner
KR101976350B1 (ko) 문양을 갖는 칵테일 냅킨 제조장치
JP2001270087A (ja) 印刷機の胴、特に版胴及びゴム胴用の消去兼クリーニング装置
KR101770542B1 (ko) 용접 플럭스 회수 및 공급 장치
JP2015214155A (ja) 乾式フレキソ印刷版清掃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34437B1 (ko) 텍스타일 전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76349B1 (ko) 냅킨 절단이 용이한 냅킨제조장치
KR101945973B1 (ko) 펄 효과를 갖는 칵테일 냅킨제조장치
KR101976351B1 (ko) 이물질 흡수가 용이한 냅킨제조장치
ITTO20120403A1 (it) Apparecchiatura per il trattamento di materiale polverulento.
JPH09193366A (ja) 印刷機の胴外套面を清掃する装置
ES2348960T3 (es) Sistema de procedimiento para impregnar rollos de material absorbente para su uso en la limpieza de maquinas a imprimir.
JP5325007B2 (ja) クリーンブース
CN108330638B (zh) 一种沙发套生产拉毛机用拉毛装置
KR100635643B1 (ko) 물걸레가 구비된 로봇 청소기
JPH0640082Y2 (ja) 錠剤包装装置
JP6346836B2 (ja) 版胴交換用のリフターを備えた印刷装置
JP5086859B2 (ja) 電気掃除機
JP2005067202A (ja) 加工機内コーティングユニット用洗浄装置
JP2015031407A (ja) 作業用キャビネット及びシート材
ITMI20000909A1 (it) Cabina per verniciatura, preferibilmente del tipo a verniciatura elettrostatica, avente migliorate funzionalita'.
CN113208818A (zh) 刚性脱模成型装置
JP2003267301A (ja) 自動充填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