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329B1 - 점화 플러그 - Google Patents

점화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329B1
KR101976329B1 KR1020180129835A KR20180129835A KR101976329B1 KR 101976329 B1 KR101976329 B1 KR 101976329B1 KR 1020180129835 A KR1020180129835 A KR 1020180129835A KR 20180129835 A KR20180129835 A KR 20180129835A KR 101976329 B1 KR101976329 B1 KR 101976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rt
electrode
housing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양순
손지헌
한상훈
종식 황보
Original Assignee
손양순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한국동서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양순,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한국동서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양순
Priority to KR102018012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02Details
    • H01T13/08Mounting, fixing or sealing of sparking plugs, e.g. in combustion cham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park Plu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제1 홈과 제1 홈보다 더 큰 내경의 제2 홈을 갖는 제1 단차 홈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부와, 제1 단차 홈부에 결합되도록 제1 돌출부와 제1 돌출부보다 더 큰 외경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1 단차 돌출부가 전방에 형성되고, 중앙에 제1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절연부와, 제1 관통 홀에 삽입되는 중심 전극부와, 제1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제2 돌출부를 제1 하우징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하우징부와, 제2 돌출부와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기밀부와, 제2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제3 하우징부와, 제3 하우징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점화 케이블에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화 플러그{SPARK PLUG}
본 발명은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터빈의 점화설비에 사용되는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화 플러그란 혼합 가스를 점화시키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발전소의 가스 터빈의 점화 설비에 사용되는 점화 플러그는 점화 플러그와 연결된 점화 케이블을 통하여 직류 전압을 인가받아 가스 터빈 점화를 위한 불꽃(Spark)을 발생시킨다.
점화 플러그가 가스 터빈 점화 설비에 설치된 후 장기간 사용되는 경우, 중심 전극부를 고정하는 접착 부재가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기능을 상실하여 중심 전극부가 이탈하거나 점화 플러그의 전단부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5958호(2006.05.25 등록, 발명의 명칭: 가스터빈 점화기의 점화장치 연결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 전극부 주변의 구성들의 결합 구조 및 기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점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내부에 제1 홈과 제1 홈보다 더 큰 내경의 제2 홈을 갖는 제1 단차 홈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부와, 제1 단차 홈부에 결합되도록 제1 돌출부와 제1 돌출부보다 더 큰 외경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1 단차 돌출부가 전방에 형성되고, 중앙에 제1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절연부와, 제1 관통 홀에 삽입되는 중심 전극부와, 제1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제2 돌출부를 제1 하우징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하우징부와, 제2 돌출부와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기밀부와, 제2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제3 하우징부와, 제3 하우징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점화 케이블에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절연부의 후방에는 제3 돌출부와 제3 돌출부보다 더 큰 외경의 제4 돌출부를 갖는 제2 단차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2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제3 홈과 제3 홈보다 더 큰 내경의 제4 홈이 형성되며, 제1 절연부의 제4 돌출부는 제2 하우징부의 제3 홈에 열박음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심 전극부는 제1 절연부의 제1 관통 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1 전극봉과, 제1 전극봉의 후방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제1 전극봉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3 돌출부를 제1 하우징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전극 연결 블록과, 전극 연결 블록에 결합되는 제2 전극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돌출부와 전극 연결 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기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절연부의 제3 돌출부 및 중심 전극부의 전극 연결 블록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구비하고, 중앙에 제2 관통 홀이 형성되는 제2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제2 절연부는 제3 하우징부의 내부에 열박음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하우징부의 제4 홈의 내부로부터 제2 절연부의 내부로 이어지는 공간부 및 틈새에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는 제1 접착 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절연부의 내부에는 중심 전극부의 전극 연결 블록을 제1 하우징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제2 절연부와 연결되고, 중앙에 제3 관통 홀이 형성되는 제3 절연부가 설치되며, 제2 절연부의 제2 관통 홀과 제3 절연부의 제3 관통홀에는 중심 전극부의 제2 전극봉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속부는 제3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4 하우징부와, 제4 하우징부에 결합되고, 점화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중심 전극부의 말단부와 주변 전극부의 말단부가 구비된 제5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하우징부와 제5 하우징부 사이에는 고온용 에폭시 재질을 포함하는 제2 접착 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기밀부는 제1 절연부의 제2 돌출부 및 제2 하우징부와 브레이징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기밀부는 제1 절연부의 제3 돌출부 및 전극 연결 블록과 브레이징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러스(+)극인 상기 중심 전극부와 마이너스(-)극인 제1 하우징부, 제2 하우징부, 제3 하우징부, 제4 하우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 높은 절연성이 확보되도록, 상기 중심 전극부에는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중심 전극부 주변의 구성들의 결합 구조 및 기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에 적용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에 적용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에 적용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와 제3 하우징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에 적용된 접속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에 적용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에 적용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에 적용된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와 제3 하우징부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에 적용된 접속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내부에 제1 홈(111)과 제1 홈(111)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제2 홈(112)이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1 단차 홈부(110)가 형성된 제1 하우징부(100)와, 제1 단차 홈부(110)에 결합되도록 제1 돌출부(211)와 제1 돌출부(211)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2 돌출부(212)가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1 단차 돌출부(210)가 전방에 형성되고, 중앙에 제1 관통 홀(220)이 형성된 제1 절연부(200)와, 제1 관통 홀(220)에 삽입되는 중심 전극부(300)와, 제1 하우징부(100)와 결합되고, 제2 돌출부(212)를 제1 하우징부(100)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하우징부(400)와, 제2 돌출부(212)와 제2 하우징부(40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기밀부(500)와, 제2 하우징부(400)에 결합되는 제3 하우징부(600)와, 제3 하우징부(600)의 후방에 형성되어 점화 케이블(C)에 연결되는 접속부(70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부(100)는 대략의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하우징부(100)의 전방(도 2 기준, 좌측부) 단부에는 중심 전극부(300)가 삽입되어 제1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노츨되는 전극 홀(130)이 형성되고, 제1 하우징부(100)의 후방(도 2 기준, 우측부) 단부에는 제2 하우징부(40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1 나사산(120)이 형성된다.
제1 하우징부(100)와 제2 하우징부(400)를 나사 결합한 뒤, 결합부를 따라 레이저 용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 제1 하우징부(100)와 제2 하우징부(400)의 결합부에 레이저 용접을 함으로써,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제1 하우징부(1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제1 홈(111)과 제1 홈(111)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제2 홈(112)이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1 단차 홈부(1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부(100)의 전방 단부가 가스 터빈 내부의 고온 고압의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제1 하우징부(100)의 제1 홈(111) 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온 고압의 부하에 의한 제1 하우징부(100)의 전방 단부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단으로 형성된 제1 단차 홈부(110)에 제1 절연부(200)의 제1 단차 돌출부(210)가 결합되고, 제1 절연부(200)는 제1 하우징부(100)와 나사 결합되는 제2 하우징부(200)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제1 하우징부(100)의 전방 단부에 고온 고압의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고온 고압의 부하는 제1 절연부(200)를 거쳐 제2 하우징부(400)로 분산되기 때문에 제1 하우징부(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4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대략의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2 하우징부(400)의 전방(도 2 기준, 좌측부) 단부에는 제1 하우징부(100)의 제1 나사산(120)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440)이 형성된다.
제2 하우징부(400)는 제1 하우징부(100)와 결합된 상태일 때, 제1 절연부(200)의 제2 돌출부(212)를 제1 하우징부(100)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절연부(200) 및 제1 절연부(200)에 결합된 제1 하우징부(100)가 고온 고압의 부하에 의해 제2 하우징부(400)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제1 절연부(200) 및 제1 하우징부(100)를 지지한다.
제2 하우징부(400)의 내부 전방(도 3 기준, 좌측부)에는 제3 홈(410)이 형성되고, 제2 하우징부(400)의 내부 후방(도 3 기준, 우측부)에는 제3 홈(410)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제4 홈(420)이 형성되며, 제4 홈(420)의 가장자리에는 제3 하우징부(600)에 형성되는 제4 나사산(610)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제3 나사산(430)이 형성된다.
제2 하우징부(400)와 제3 하우징부(600)를 나사 결합한 뒤, 결합부를 따라 레이저 용접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하우징부(100)와 제2 하우징부(400)의 결합부에 레이저 용접을 함으로써, 나사 결합 부분이 완전한 기밀 상태가 되도록 만들 수 있다.
제3 하우징부(6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대략의 중공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2 하우징부(400)와 나사 결합되며, 내부에 후술할 제2 절연부(800)의 일부와 제3 절연부(900)를 수용한다.
제1 절연부(200)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 절연부(200)의 후방(도 2 기준, 우측부)에는 제3 돌출부(231)와 제3 돌출부(231)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제4 돌출부(232)가 다단으로 이루어진 제2 단차 돌출부(230)가 형성된다.
제1 절연부(200)의 제4 돌출부(232)의 일 부분은 제2 하우징부(4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3 홈(410)에 접촉되고, 제3 홈(410)에 접촉되지 않는 제4 돌출부(232)의 나머지 부분과 제3 돌출부(231)는 제2 하우징부(400)의 제4 홈(420)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제4 홈(420)의 중심부에 위치된다.
제1 절연부(200)의 제4 돌출부(232)는 제2 하우징부(400)의 제3 홈(410)에 열박음에 의해 결합된다. 일반적인 열박음은 250~300℃에서 이루어지는데 비해 세라믹 재질의 제1 절연부(200)와 금속 재질인 제1 하우징부(100)를 800℃이상의 고온에서 열박음함으로써, 고온에서도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러한 기밀성 향상으로 인해 보다 높은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기밀부(500)는 제1 절연부(200)의 제2 돌출부(212)와 제2 하우징부(40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절연부(200)와 제2 하우징부(400)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준다. 이러한 제1 기밀부(500)는 구리(Cu)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절연부(200)의 제2 돌출부(212)에 브레이징(brazing)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밀부(500)는 제2 하우징부(400)에 브레이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브레이징은 이종금속간의 결합이나 금속과 세라믹과 같은 이종소재간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결합 방법이다.
브레이징에 의해 이종금속간의 결합부 또는 이종소재간의 결합부는 구리 합금(Cu-Ag) 등의 금속을 중간접합체로 하여 결합되며, 900℃ 이상의 고온 환경의 진공로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제1 기밀부(500)와 제1 절연부(200)의 제2 돌출부(212) 및 제1 기밀부(500)와 제2 하우징부(400)는 빈틈없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완벽한 기밀성이 확보되어 절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중심 전극부(300)는 제1 절연부(200)의 제1 관통 홀(22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1 전극봉(310)과, 제1 전극봉(310)의 후방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제1 전극봉(310)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절연부(200)의 제3 돌출부(231)를 제1 하우징부(100) 방향으로 가압하는 전극 연결 블록(320)과, 전극 연결 블록(320)에 결합되는 제2 전극봉(330)을 포함한다.
제2 전극봉(330)은 세라믹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전극봉(330)을 세라믹으로 코팅함으로써, 제2 전극봉(330)과 제3 하우징부(600) 사이에 미세하게 수분이 침투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높은 절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중심 전극부(300)는 플러스(+)극을 구성하고, 제1 하우징부(100) 및 제1 하우징부(10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부들은 주변 전극부가 되어 마이너스(-)극을 구성한다.
제2 전극봉(330)에는 전극 연결 블록(320)과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결합부(331)이 형성되고, 전극 연결 블록(320)에는 제2 전극봉(330)의 나사 결합부(331)가 결합되는 나사 결합홈(321)이 형성된다.
제2 기밀부(550)는 제1 절연부(200)의 제3 돌출부(231)와 전극 연결 블록(3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절연부(200)와 전극 연결 블록(320)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준다. 이러한 제2 기밀부(550)는 구리(Cu)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절연부(200)의 제3 돌출부(231)에 브레이징(brazing)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제2 기밀부(550)는 전극 연결 블록(320)과 브레이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 기밀부(550) 또한 앞서 설명한 제1 기밀부(500)와 마찬가지로 구리 합금(Cu-Ag) 등의 금속을 중간접합체로 하여 900℃ 이상의 고온 환경의 진공로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제2 기밀부(550)와 제1 절연부(200)의 제3 돌출부(231) 및 제2 기밀부(550)와 전극 연결 블록(320)은 빈틈없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완벽한 기밀성이 확보되어 절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절연부(800)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1 절연부(220)의 제3 돌출부(231) 및 중심 전극부(300)의 전극 연결 블록(320)을 수용하는 수용 홈(810)을 구비한다.
제2 절연부(800)의 내부에는 중심 전극부(300)의 전극 연결 블록(320)을 제1 하우징부(100)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단부(820)가 형성된다.
중심 전극부(300)가 제2 절연부(800)의 가압 단부(820)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제1 하우징부(100)의 전방 단부에 고온 고압의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고온 고압의 부하는 제1 절연부(200)를 거쳐 제2 하우징부(400) 및 중심 전극부(300)의 전극 연결 블록(320)으로 분산되어 제1 하우징부(10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2 절연부(800)는 제3 하우징부(600)의 내부에 일부가 배치되며, 나머지 일부는 제2 하우징부(4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2 절연부의 중앙에는 제2 전극봉(330)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2 관통 홀(830)이 형성된다.
제2 절연부(800)는 제3 하우징부(600)의 내부에 열박음에 의해 결합된다. 일반적인 열박음은 250~300℃에서 이루어지는데 비해 세라믹 재질의 제2 절연부(800)와 금속 재질인 제3 하우징부(600)를 800℃이상의 고온에서 열박음함으로써, 고온에서도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러한 기밀성 향상으로 인해 보다 높은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3 절연부(900)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3 하우징부(6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3 하우징부(600)의 내부에서 제2 절연부(800)와 결합된다.
제3 절연부(900)의 중앙에는 제2 전극봉(330)이 삽입되는 제3 관통홀(910)이 형성된다.
제3 절연부(900)는 제3 하우징부(600)에 열박음에 의해 결합된다. 일반적인 열박음은 250~300℃에서 이루어지는데 비해 세라믹 재질의 제3 절연부(900)와 금속 재질인 제3 하우징부(600)를 800℃이상의 고온에서 열박음함으로써, 고온에서도 기밀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이러한 기밀성 향상으로 인해 보다 높은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하우징부(400)의 제4 홈(420)의 내부로부터 제2 절연부(800)의 내부로 이어지는 공간부 및 틈새에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는 제1 접착 부재(B1)가 충진된다.
제2 하우징부(400)의 제4 홈(420)의 내부로부터 제2 절연부(800)의 내부로 이어지는공간부 및 틈새는 제2 하우징부(400)의 제4 홈(420)과 제1 절연부(200)의 제4 돌출부(232) 사이와, 제2 하우징부(400)의 제4 홈(420)과 제2 절연부(800) 사이와, 제2 절연부(800)와 제1 절연부(200)의 제3 돌출부(231) 사이와, 제2 절연부(800)와 제1 절연부(200)의 제4 돌출부(232) 사이의 공간부 및 틈새를 의미한다.
제1 접착 부재(B1)가 충진됨으로써, 제2 하우징부(400)와 제1 절연부(200)와 제2 절연부(800)와 제3 하우징부(600) 간의 기밀성 및 결합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접속부(700)는 제3 하우징부(600)의 후방에 형성되어 점화 케이블(C)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제3 하우징부(600)에 연결되는 제4 하우징부(710)와, 제4 하우징부(710)에 결합되고, 점화 케이블(C)과의 연결을 위한 중심 전극부(300)의 말단부(340)와 주변 전극부의 말단부(350)가 구비된 제5 하우징부(720)를 포함한다.
제4 하우징부(710)와 제5 하우징부(720) 사이에는 고온용 에폭시 재질을 포함하는 제2 접착 부재(B2)가 충진된다.
제2 접착 부재(B2)가 충진됨으로써, 제4 하우징부(710)와 제5 하우징부(720) 및 제4 하우징부(710)와 제5 하우징부(720)의 내부에 설치된 구성들 간의 기밀성 및 결합 강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심 전극부 주변의 구성들의 결합 구조 및 기밀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1 하우징부 110: 제1 단차 홈부
111: 제1 홈 112: 제2 홈
120: 제1 나사산 130: 전극 홀
200: 제1 절연부 210: 제1 단차 돌출부
211: 제1 돌출부 212: 제2 돌출부
220: 제1 관통 홀 230: 제2 단차 돌출부
231: 제3 돌출부 232: 제4 돌출부
300: 중심 전극부 310: 제1 전극봉
320: 전극 연결 블록 330: 제2 전극봉
340: 중심 전극부의 말단부 350: 주변 전극부의 말단부
400: 제2 하우징부 410: 제3 홈
420: 제4 홈 430: 제3 나사산
440: 제2 나사산 500: 제1 기밀부
550: 제2 기밀부 600: 제3 하우징부
610: 제4 나나산 700: 접속부
710: 제4 하우징부 720: 제5 하우징부
800: 제2 절연부 810: 수용 홈
820: 가압 단부 830: 제2 관통 홀
900: 제3 절연부 910: 제3 관통 홀
B1: 제1 접착 부재 B2: 제2 접착 부재

Claims (13)

  1. 내부에 제1 홈과 상기 제1 홈보다 더 큰 내경의 제2 홈을 갖는 제1 단차 홈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부;
    상기 제1 단차 홈부에 결합되도록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보다 더 큰 외경의 제2 돌출부를 갖는 제1 단차 돌출부가 전방에 형성되고, 중앙에 제1 관통 홀이 형성된 제1 절연부;
    상기 제1 관통 홀에 삽입되는 중심 전극부;
    상기 제1 하우징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돌출부를 상기 제1 하우징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하우징부;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하우징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기밀부;
    상기 제2 하우징부에 결합되는 제3 하우징부; 및
    상기 제3 하우징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점화 케이블에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연부의 후방에는 제3 돌출부와 상기 제3 돌출부보다 더 큰 외경의 제4 돌출부를 갖는 제2 단차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제3 홈과 상기 제3 홈보다 더 큰 내경의 제4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절연부의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상기 제3 홈에 열박음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중심 전극부는,
    상기 제1 절연부의 상기 제1 관통 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1 전극봉;
    상기 제1 전극봉의 후방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봉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3 돌출부를 상기 제1 하우징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전극 연결 블록; 및
    상기 전극 연결 블록에 결합되는 제2 전극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전극 연결 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기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의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중심 전극부의 상기 전극 연결 블록을 수용하는 수용 홈을 구비하고, 중앙에 제2 관통 홀이 형성되는 제2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부는 상기 제3 하우징부의 내부에 열박음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상기 제4 홈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2 절연부의 내부로 이어지는 공간부 및 틈새에는 세라믹 재질을 포함하는 제1 접착 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부의 내부에는 상기 중심 전극부의 상기 전극 연결 블록을 상기 제1 하우징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절연부와 연결되고, 중앙에 제3 관통 홀이 형성되는 제3 절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절연부의 상기 제2 관통 홀과 상기 제3 절연부의 상기 제3 관통홀에는 상기 중심 전극부의 상기 제2 전극봉이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9.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3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제4 하우징부; 및
    상기 제4 하우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점화 케이블과의 연결을 위한 중심 전극부의 말단부와 주변 전극부의 말단부가 구비된 제5 하우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하우징부와 상기 제5 하우징부 사이에는 고온용 에폭시 재질을 포함하는 제2 접착 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밀부는 상기 제1 절연부의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와 브레이징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밀부는 상기 제1 절연부의 상기 제3 돌출부 및 상기 전극 연결 블록과 브레이징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13. 제 1 항에 있어서,
    플러스(+)극인 상기 중심 전극부와 마이너스(-)극인 제1 하우징부, 제2 하우징부, 제3 하우징부, 제4 하우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사이에 높은 절연성이 확보되도록, 상기 중심 전극부에는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화 플러그.

KR1020180129835A 2018-10-29 2018-10-29 점화 플러그 KR101976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35A KR101976329B1 (ko) 2018-10-29 2018-10-29 점화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835A KR101976329B1 (ko) 2018-10-29 2018-10-29 점화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329B1 true KR101976329B1 (ko) 2019-05-07

Family

ID=6665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835A KR101976329B1 (ko) 2018-10-29 2018-10-29 점화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918A (ko) * 2019-07-31 2021-02-10 (주)고려엔지니어링 펄스타입 점화플러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840A (ja) * 2004-12-09 2006-06-22 Denso Corp スパークプラグ
JP2012164445A (ja) * 2011-02-03 2012-08-30 Ngk Spark Plug Co Ltd 点火プラグ
KR101364380B1 (ko) * 2013-09-03 2014-02-17 (주)두성이앤티 질화규소 압출다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4840A (ja) * 2004-12-09 2006-06-22 Denso Corp スパークプラグ
JP2012164445A (ja) * 2011-02-03 2012-08-30 Ngk Spark Plug Co Ltd 点火プラグ
KR101364380B1 (ko) * 2013-09-03 2014-02-17 (주)두성이앤티 질화규소 압출다이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918A (ko) * 2019-07-31 2021-02-10 (주)고려엔지니어링 펄스타입 점화플러그
KR102220484B1 (ko) * 2019-07-31 2021-02-25 (주)고려엔지니어링 펄스타입 점화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5030B2 (en) Hermetically sealed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KR101976329B1 (ko) 점화 플러그
JP4289273B2 (ja) グロープラグ
JP2016105411A (ja)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3842735B2 (ja) 真空遮断器の容器部品間の接続部と真空遮断器
US20030234115A1 (en) Hermetically sealed current conducting terminal assembly
US4292464A (en) Glass pass through with an additional insulator for lengthening leakage path
JP2002158078A (ja) コンパクトな構造のスパークプラグ及び製作法
JP7044668B2 (ja) ガスセンサ
TW584874B (en) Vacuum switch tube
JP2008053007A (ja) 多芯電流導入端子及びケーブル
KR20040101203A (ko) 전자불꽃 기폭제
JP2014017260A (ja)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179950A1 (en) Method for forming a pressure proof assembly between a component and house and such an assembly
US20080143471A1 (en) Fuse assembly
US577248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halide lamp
JP2018174034A (ja) 点火プラグ
JP6524136B2 (ja) 点火プラグ
JP7272923B2 (ja) ガスセンサ
FI81679B (fi) Taetningstruktur foer en elektrod.
JP2006114478A (ja) 光源の組立構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JPH05326118A (ja) 棒状ヒータ、その製造用治具及び棒状ヒータの製造方法
JP2017227448A (ja) センサ
JP2021086738A (ja) 真空バルブ
JP2020080280A (ja) 点火プラグ及び点火プラ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