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599B1 -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599B1
KR101975599B1 KR1020180059573A KR20180059573A KR101975599B1 KR 101975599 B1 KR101975599 B1 KR 101975599B1 KR 1020180059573 A KR1020180059573 A KR 1020180059573A KR 20180059573 A KR20180059573 A KR 20180059573A KR 101975599 B1 KR101975599 B1 KR 101975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mor
skog
group
control group
ginse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세광
구성민
구태훈
정철종
백경연
이상수
조윤영
서정균
김남오
정희윤
최은식
Original Assignee
(주)옥천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천당 filed Critical (주)옥천당
Priority to KR1020180059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599B1/ko
Priority to US16/249,501 priority patent/US112350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4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
    • A61K36/342Adenopho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4Orobanchaceae (Broom-rap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및 악액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양의 성장을 보다 억제하고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며 종양에 의한 악액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존 항암제와 병용투여하는 경우 동반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rotecting or Treating Cancer}
본 발명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피티닙 (gefitinib)은 유방암과 폐암을 포함한 다양한 악성 종양의 치료제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EGFR 억제제 경구용 항암제이다. 제피티닙은 주로 EGFR 티로신 키나아제 도메인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domain)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표적 지향적 항암제로 기존의 세포 독성 항암제에 비해 독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피부발진, 설사, 오심, 구토, 식욕부진, 위염, 탈수, 손톱 주위염, 간 독성, 무력감, 결막염, 안검염, 간질성 폐질환, 각막 미란 및 속눈썹 탈락 등의 의도하지 않은 다양한 부작용 및 제피티닙 자체 또는 조성 성분에 대한 과민반응이 발생되어, 간에서 형성된 대사체에 의한 지질 과산화의 증가와 이에 따른 항산화 방어 시스템의 손상에 의한 간 독성이 문제시되어 왔다. 또한, 근래에 들어 EGFR의 돌연변이에 의한 내성 악성 종양 세포의 출현 등이 문제되어 왔다.
따라서, 천연물과 다양한 항산화제를 포함한 약물의 병용 투여로 제피티닙의 독성 및 내성 문제를 해결하면서 항암 치료의 동반상승 효과를 갖는 신규한 병용투여 조합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979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113246호
Hyun DS et al. Effects of Bojungikkitang (a Polyherbal Formula), on Gefitinib Pharmacokinetics in Rat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logy 2015;11(6):604-10 Song J et al. Combined treatment with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 and gefitinib overcomes drug resistance caused by T790M muta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Nutrition and Cancer 2014;66(4):682-9
본 발명자들은 기존 항암제와 병용투여 시 동반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인삼, 잔대, 복령, 지황 및 봉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을 다양한 악성 종양 치료제인 제피티닙과 병용투여하는 경우에, 제피티닙을 단독투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종양의 성장을 보다 억제하고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며 종양에 의한 악액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악액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삼(Panax ginseng), 잔대(Adenophorae triphylla), 복령(Wolfiporia extensa), 지황(Rehmannia glutinosa) 및 봉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 항암제와 병용투여 시 동반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인삼, 잔대, 복령, 지황 및 봉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복합 천연물을 다양한 악성 종양 치료제인 제피티닙과 병용투여하는 경우에, 제피티닙을 단독투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종양의 성장을 보다 억제하고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며 종양에 의한 악액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인삼은 두릅나무과(Arali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60 cm 정도이고, 삼대(줄기)는 해마다 1개가 곧게 자라며 그 끝에 1개의 꽃대(화경)가 이어지고, 3~6개의 잎자루가 돌려난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잎몸은 3~5개로 갈라져서 장상복엽을 이룬다. 잎 앞면의 맥 위에는 털이 있다. 여름에 1개의 가는 꽃줄기가 나와서 그 끝에 4~40개의 담황록색의 작은 꽃이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5개이며 암술은 1개로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는 핵과로 편구형이고 성숙하면 선홍색으로 된다. 본 발명에서 인삼은 인삼의 뿌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잔대는 초롱꽃과(Campanul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50-100 cm 정도이고 꺾으면 흰색의 액이 나온다. 잎은 긴 타원형 으로 4-5개가 돌려나기 하며 줄기와 잎에는 털이 있다. 7~10월에 줄기 끝에 담자색의 꽃이 여러 개 돌려 달린다. 꽃부리는 종 모양이고 길이 13~22 mm이다.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지며 꽃부리보다 다소 길고 수술은 5개이며 꽃통으로부터 떨어지며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고 털이 있다.
본 발명에서 복령은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의 담자균류 버섯으로, 균핵은 지하 10-30 cm의 소나무 뿌리에 형성되고 부정형이다. 표면은 흑색을 띄는 적갈색으로 주름이 있고 내부는 백색 또는 홍색이다.
본 발명에서 지황은 열당과(Orobanch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높이는 30cm 정도이다. 잎은 타원형으로 뿌리에서 나오고, 6-7월에 홍자색의 꽃이 핀다. 본 발명에서 지황은 지황의 뿌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봉밀은 꿀벌 또는 양꿀벌이 꽃의 밀선에서 빨아내어 모은 당분(벌꿀)이다.
본 발명의 인삼, 잔대, 복령, 지황 및 봉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암'이란, 세포주기가 정상적으로 조절되지 않아 세포분열을 계속하는 질병을 의미한다. 상기 암은 '악성종양(malignant tumor, malignant neoplasm)'과 동의어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췌장암, 비소세포성폐암, 간암, 결장암, 골암, 피부암, 두부암, 경부암, 피부 흑색종, 안구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직장암, 간암, 뇌종양, 방광암, 혈액암, 위암, 항문부근암, 결장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질암,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수뇨관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system)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또는 뇌하수체 선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암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암은 폐암 또는 유방암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암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암의 발전의 억제; 암의 경감; 및 암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삼, 잔대, 복령, 지황 및 봉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인삼 4 내지 5 중량%, 잔대 4 내지 5 중량%, 복령 8 내지 10 중량%, 지황 43 내지 48 중량%, 봉밀 35 내지 40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인삼, 잔대, 복령 및 지황은 각각 분쇄체, 분쇄체의 현탁액, 착즙액 또는 추출물 일 수 있다.
상기 분쇄체는 다양한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삼, 잔대, 복령 또는 지황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가공과정 후 분말화된 상태, 균질화(homogenization)된 상태, 저민(slicing) 상태, 으깬(mash) 상태 등 다양한 상태의 분쇄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인삼, 잔대 및 복령은 동결 건조 과정 후 분말화된 상태 또는 균질화된 상태이다.
상기 분쇄체의 현탁액은 다양한 용액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증류수, 완충액[예컨대, Tris 완충액, HEPES 완충액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착즙액은 다양한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압착 효과를 이용한 기어식 착즙, 프레스식 착즙, 마쇄식 착즙 또는 효소 분해식 착즙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지황은 착즙액 상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지황은 10-20 브릭스(brix) 및 10-20% 고형분을 포함하는 착즙액이다.
상기 추출물은 다양한 과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용매 조추출물을 냉침 추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삼, 잔대, 복령, 지황 및 봉밀의 배합물을 숙성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숙성은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10 내지 100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84 내지 100℃, 88 내지 100℃, 92 내지 100℃, 94 내지 100℃, 80 내지 99℃, 80 내지 98℃, 80 내지 97℃, 84 내지 99℃, 88 내지 98℃, 92 내지 97℃ 또는 94 내지 97℃일 수 있다. 상기 시간은 10 내지 90시간, 20 내지 90시간, 30 내지 90시간, 40 내지 90시간, 50 내지 90시간, 60 내지 90시간, 10 내지 80시간, 20 내지 80시간, 30 내지 80시간, 40 내지 80시간, 50 내지 80시간, 60 내지 80시간 또는 65 내지 75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숙성은 1회 이상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숙성을 2회 이상 실시하는 경우, 2차 숙성 전에 냉각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은 0 내지 30℃의 온도에서 10 내지 100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 치료의 동반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기존 항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피티닙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제피티닙'은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의 티로신 카이나제(tyrosine kinase) 활성을 선택적으로 저해하여 EGFR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EGFR로부터의 신호전달을 차단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하기 화학식 1의 N-(3-클로로-4-플루오로페닐)-7-메톡시-6-(3-모르포리노프로폭시)퀴아졸린-4-아민[N-(3-Chloro-4-fluorophenyl)-7-methoxy-6-(3-morpholinopropoxy)quinazolin-4-amine]을 의미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051402296-pat00001
본 발명의 조성물과 제피티닙을 병용투여 하는 경우, 각각의 단독투여와 비교하여 동반상승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인삼, 잔대, 복령, 지황 및 봉밀을 포함하는 복합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발명은 상기 복합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정맥내 투여, 피하 투여, 근육내 투여, 복강내 투여, 국소 투여, 비강 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 내 투여, 경막 내 투여, 안구 투여, 피부 투여 및 경피 투여 등의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01-1000 ㎎/㎏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젤(예컨대, 하이드로젤)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삼, 잔대, 복령, 지황 및 봉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면역기능'은 인간 및 동물의 체내에서 외래성 및 내인성 항원을 생리적으로 인식하여 배제하고,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작을 의미한다. 상기 항원에 대한 최초의 인식은 주로 대식세포(macrophage)가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사이토카인이 생산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은 혈중 IFN-γ, 비장내 TNF-α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인터루킨(Interleukin, IL)은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여러 단계에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인체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은 비장 내 IL-1β 및 IL-10의 생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은 암 환자의 면역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피티닙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제피티닙을 병용투여 하는 경우, 각각의 단독투여와 비교하여 동반상승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인삼, 잔대, 복령, 지황 및 봉밀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인삼, 복령, 지황 및 봉밀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면역기능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제조 시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으로서 인삼, 잔대, 복령, 지황 및 봉밀 이외에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을 추가 성분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및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을 포함한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린,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인삼, 잔대, 복령, 지황 및 봉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악액질'은 결핵, 암 또는 당뇨와 같은 만성 질환에 의해 칼로리를 보충해도 영양학적으로 비가역적인 체질량의 소실이 이루어지는 전신적인 영양부족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악액질은 암에 의한 악액질이다.
본 발명의 악액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과 유효성분이 동일하므로,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및 악액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양의 성장을 보다 억제하고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며 종양에 의한 악액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존 항암제와 병용투여하는 경우 동반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 및 1b는 각각 표준용액 및 SKOG의 UPLC(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SKOG 0.01 내지 40 mg/ml 처리에 대한 NCI-H20의 세포 생존능 결과이다.
도 3은 제피티닙 0.001 내지 50 mg/ml 처리에 대한 NCI-H20의 세포 생존능 결과이다.
도 4는 실험동물의 종양세포 피하이식 및 면역 스케줄을 나타낸다.
도 5는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tumor cell xenograft mice)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체중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은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종양 크기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7은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종양 부피를 나타낸다.
도 8은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혈중 IL-6 및 IFN-γ 농도를 나타낸다.
도 9는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비장 및 복강 내 NK 세포 활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종괴 단면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15에서, A는 NCI-H520 종양세포 이식 후 멸균 증류수 투여군, B는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단독 조성물 투여군, C는 SKOG400: 종양세포 이식 후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D는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병용 투여군, E는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200 mg/kg 병용 투여군, F는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100 mg/kg 병용 투여군을 의미한다.
도 11은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종괴 내 caspase 면역반응세포의 분석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2는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종괴 내 PARP 면역반응세포의 분석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3은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종괴 내 COX-2 면역반응세포의 분석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4는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종괴 내 iNOS 면역반응세포의 분석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5는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종괴 내 TNF-α 면역반응세포의 분석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6은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비장 내 RP(red pulps), WP(white pulp) 및 G(secondary follicle)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6 내지 18에서 A는 정상 매체 대조군, B는 NCI-H520 종양세포 이식 후 멸균 증류수 투여군, C는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단독 조성물 투여군, D는 SKOG400: 종양세포 이식 후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E는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병용 투여군, F는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200 mg/kg 병용 투여군, G는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100 mg/kg 병용 투여군을 의미한다.
도 17은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악하임파절 내 CO(cortex), ME(medullar) 및 FO(follicle)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18은 종양세포 이식 마우스의 SKOG 또는 제피티닙의 단독투여, 및 SKOG 및 제피티닙의 병용투여에 따른 난소주위지방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복합 천연물의 제조
(1) 실험 재료
잔대(Adenophora triphylla Radix, AR, 경북 안동), 인삼(Panax ginseng, 충남 금산), 복령(Poria cocos Wolf, 중국 안휘성), 지황(Rehmannia glutinosa, 경북 안동 및 군위) 및 봉밀(蜂蜜, Mel, 충북 옥천)은 ㈜옥천당 제약(대한민국, 영천)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일부 실험물질은 대구한의대학교 방제글로벌 센터(Medical Research center for Globalization of Herbal Formul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san, 대한민국)에 보관하였다(Code No. 잔대- AR2016Ku01, KOG - KOG2016Ku01, SKOG - SKOG2016Ku01). AR은 사용 전까지 4℃ 냉장 보관하였다.
(2) SKOG의 제조 방법
잔대는 흙과 같은 불순물을 세척하여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90-120℃의 온도로 5-8 시간이상 열풍 건조 혹은 기타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하여 최종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였다. 이 건조물을 핀밀, 볼밀, 로드밀, 에어밀, 제트밀 등의 분쇄 장비를 사용하여 입도 80 mesh 이상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복령은 흙과 같은 불순물을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표면을 완전히 건조하였다. 인삼은 흙과 같은 불순물을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90℃에서 120℃의 온도로 5~8 시간을 열풍 건조 혹은 기타 건조 방법에 의해 건조하여 최종 수분함량 5% 이하로 건조하였다. 건조된 복령과 인삼을 핀밀, 볼밀, 로드밀, 에어밀, 제트밀 등의 분쇄 장비를 사용하여 입도 80 mesh 이상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지황은 흙과 같은 불순물을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믹서기와 같은 기계적 마쇄기를 통해 마쇄 한 후, 다시 유압프레서 등의 기계적 착즙 장치를 통해 70-80 mesh의 망이나 필터를 통과시켜 그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착즙액은 15~18 brix의 당도와 13~16 %의 고형분을 함유하고 있어야 하며 분쇄하여 착즙을 얻는 과정에서 70% 이상의 수율을 가져야 한다. 봉밀은 80~85℃에서 가열하여 수분함량 22~24% 수준으로 가공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인삼분말 4 내지 5 중량%, 복령분말 8 내지 10 중량%, 잔대분말 4 내지 5 중량%, 봉밀 35 내지 40 중량% 및 지황즙 43 내지 48 중량%를 혼합(표 1)하여 94.5~96.5℃에서 72시간 동안 1차 숙성하고 8~12℃에서 24시간 동안 1차 냉각 후 94.5~96.5℃에서 24시간 동안 2차 숙성하여 상온에서 72시간 이상 2차 냉각 과정을 거쳐 제조하였다.
천연물 학명 생산지 양(g)
인삼 Panax ginseng C. A. Meyer 대한민국 4,500
복령 Poria cocos Wolf 중국 9,000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Hara 대한민국 4,500
봉밀 - 대한민국 39,000
지황 Rehmannia glutinosa(Gaertner) Liboschitz ex Steudel 대한민국 47,000
- - - 104,000
실시예 2: SKOG 내 지표성분 분석
(1) 기기 및 시약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UPLC)는 Waters ACQUITYTM ultra performance LC system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 USA)을 사용하였으며, Waters ACQUITYTM photodiode array detector (PDA;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 USA)와 HPLC 컬럼은 Waters ACQUITYTM BEH C18 column (1.7 μm, 2.1×100;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 USA)을 사용하였고, Software 는 Empower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 USA)를 사용하였다. 또한, 시료 추출에 사용된 추출기는 초음파파쇄기 모델 8210R-DHT (Branson Ultrasonics, Danbury, CT)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은 메탄올 (HPLC 용, Junsei Chemical Co., Ltd., Tokyo, Japan), 아세토니트릴 (HPLC 용, JT BAKER, Center Valley, PA, USA), 물 (3 차 증류수)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표준품은 시그마-알드리치(St. Louise, MO, USA) 또는 Extrasynthese (Genay Cedex, France)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표준용액의 조제
잔대의 함유물질인 루페올(lupeol)은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 시켜 1 μg/ml 농도의 표준 원액을 제조하였으며, 잔대 함유 물질인 로베티올린(lobetyolin) 및 시링 알데히드(syring aldehyde), 지황의 함유 물질인 액티오사이드(acteoside), 카탈포사이드(catalposide) 및 5-하이드록시 메틸-2-퍼프랄(5-hydroxymethyl-2-furfural,5H2F)과 인삼의 함유물질인 진세노사 이드 Rg3(ginsenoside Rg3, Rg3)은 각각을 메탄올에 용해 시켜 1 μg/ml 농도의 표준원액을 제조하였고, 이후 표준원액 적당량 취하고, 메탄올로 ml 당 1, 5 및 10 ng이 함유되도록 희석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표준곡선의 결정계수 (R2) 값은 위 표준물질 모두에서 0.999 이상이었다.
(3) 정량용 검액의 조제
정량용 검액은 시료를 균질하게 혼합하여 1 g을 정밀하게 달아, 30% 메탄올 10 ml을 첨가하여 1 시간 초음파 추출하였다. 위 검액을 공경 0.2 μm 이하의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해 검액으로 하였다.
(4) 시료의 정량
UPLC(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는 워터스 ACQUITYTM 울트라 퍼포먼스 LC 시스템(USA)을 사용하고, PDA(photodiode array detector) 및 BEH(bridged ethylene hydrid) C18 컬럼 이 장착된 UPLC 를 사용하여, 지표물질을 분석하고, 엠파워(Empower)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루페올, 액티오사이드, 카탈포사이드 및 5H2F 은 280 nm 에서, 로베티올린 및 시링 알데히드는 각각 310 nm 및 254 nm에서 PDA 파장을 분석하였고, 컬럼의 온도는 실온에서 분석하였다. 이동상으로는 0.1% 포름산을 함유한 아세토 니트릴과 물의 혼합액을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2에 나타낸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Figure 112018051402296-pat00002
Rg3는 203 nm에서 분석하였고, 이동상으로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의 혼합액 을 사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Figure 112018051402296-pat00003
시료는 2 μl를 주입하였으며, 유속은 0.4 ml/min이었다. 분석결과로, 머무름 시간에 의해 정성확인을 하였으며, 피크 면적법으로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1a 내지 1b에 나타내었다.
성분 농도(mg/kg)
루페올 224.52±12.5
로베티올린 -
시링 알데히드 0.14±0.01
5H2F 559.50±1.70
액티오사이드 0.31±0.01
카탈포사이드 0.33±0.01
Rg3 4.42±0.02
도 1a 내지 1b는 각각 표준용액 및 SKOG의 UPLC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표 4 및 도 1a 내지 1b에서 보듯이, UPLC 분석 결과, SKOG는 루페올, 시링 알데히드, 5H2F, 액티오사이드, 카탈포사이드 및 Rg3를 각각 224.52±12.5, 0.14±0.01, 559.50±1.70, 0.31±0.01, 0.33±0.01 및 4.42±0.02 mg/kg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3: 항암 효과
(1) 실험 재료
흑갈색 점조성의 잔대, 인삼, 복령, 지황 및 봉밀이 배합된 조성물 (SKOG)을 ㈜옥천당 (Okchundang, Korea)에서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일부 실험물질은 대구한의대학교 방제글로벌센터 (Medical Research center for Globalization of Herbal Formulation,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san, Korea)에 보관하였다 (Code No. SKOG2017Ku01). 연 노란색의 제피티닙 (gefitinib) 분말을 Suzhou Huihe Pharm Co., Ltd. (Suzhou, China; ANNEX IV)로 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NCI-H520 폐암 세포(ATCC HTB-182)는 10% 우태아혈청 (FBS;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 100 U/ml 페니실린 (Sigma-Aldrich, St. Louise, MO, USA)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Sigma-Aldrich, St. Louise, MO, USA)이 첨가된 RPMI 1640 media (Gibco BRL, Grand Island. NY, USA)를 이용하여 37℃의 5% CO2 조건(Model 311, Thermo Forma, Marietta, OH, USA)에서 배양하였다. 일반적으로 제피티닙은 민감성 EGFR expressed 종양 세포주에 대하여 IC50가 0.1 μM 전후로 알려져 있으나, EGFR 변이를 동반한 내성 세포주에서는 1 μM 이상의 IC50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n et al., 2012]. 본 실험에 사용한 NCI-H520은 제피티닙에 대한 IC50은 4.56±1.46 μM (2.00± 0.64 μg/ml)이다.
NCI-H520 폐암 세포(2x107 cells/mouse) 이식 15일후부터, 잔대, 인삼, 복령, 지황 및 봉밀이 배합된 조성물(SKOG)을 40, 20 및 10 mg/ml의 농도로 각각 멸균증류수에 현탁시켜, 10 ml/kg의 용량 (400, 200 및 100 mg/kg)으로 제피티닙 120 mg/kg을 경구투여한 마우스에, 5분이내 간격으로 매일 1회씩 35일간 병용 경구 투여하였으며, 제피티닙 역시 멸균 증류수에 12 mg/ml 농도로 용해시켜 10 ml/kg의 용량 (120 mg/kg)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동일한 투여 및 보정에 따른 스트레스를 제공하기 위해, 각 단독투여군에서는 잔대, 인삼, 복령, 지황 및 봉밀이 배합된 조성물 또는 제피티닙 투여시 동일 용량의 멸균증류수만 투여하였고, 정상 및 종양 이식 매체 대조군에서는 매체인 멸균증류수만 각각 5분 이내 간격으로 2회 투여하였다.
(2) 세포 독성 평가
SKOG (0, 0.01, 0.1, 0.5, 1, 5, 10 및 40 mg/kg) 및 제피티닙 (0, 0.001, 0.01, 0.1, 1, 5, 10 및 50 μM)이 NCI-H520 세포 (1×104 cell)의 생존율을 50% 억제하는 농도인 IC50를 일반적인 MTT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매체 대조군 (0 mg/ml 처리군)과 비교하여 NCI-H520세포 생존률이 SKOG 1 mg/ml 처리군에서부터 유의적으로 감소되어 (p<0.01), IC50이 17.21±7.28 mg/ml 로 산출되었다 (도 2). SKOG 0.01, 0.1, 0.5, 1, 5, 10 및 40 mg/ml 농도 처리군에서는 무처리 매체 대조군 (0 mg/ml 처리군)에 비해 각각 2.10, 0.30, -5.72, -20.61, -27.03, -50.53 및 -62.23%의 NCI-H520 세포 생존률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매체 대조군 (0 μM 처리군)과 비교하여 NCI-H520세포 생존률이 제피티닙 0.1 μM 처리군에서부터 유의성 있는 (p<0.01) 감소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IC50이 4.56±1.46 μM (2.00±0.64 μg/ml) 로 산출되었다 (도 3). 제피티닙 0.001, 0.01, 0.1, 1, 5, 10 및 50μM 농도 처리군에서는 무처리 매체 대조군 (0 μM 처리군)에 비해 각각 2.81, -3.53, -16.05, -26.95, -48.01, -66.29 및 -76.96%의 NCI-H520 세포 생존률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3) 실험동물
총 140마리의 SPF/VAF Hsd:Athymic Nude-Foxn1nu 마우스 (6 주령 암컷, Harlan Lab., Udine Italy) [ANNEX I , II]를 입수하여, 7일 동안 순화 후 체중이 일정한 동물을 선정하여, 우측 둔부 피하부위에 NCI-H520 세포(2x107 cells/mouse)를 이식한 다음, 종양세포 이식 14일 후 종양 부피가 500.14±125.31 mm3 (314.87~771.33 mm3) 이상 되는 이식 마우스를 다시 선정하여, 군 당 8마리씩 본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체중을 기준으로 별도의 8마리의 정상 매체 대조군 역시 준비하였다 (체중: 정상군 - 21.34±1.20 g, 19.80~23.20 g; 종양 이식군 - 21.35±1.15 g, 19.40~23.60 g). 본 동물실험은 대구한의대학교 동물실험윤리 위원회의 사전 승인 하에 실시하였다 [Approval No. DHU2017-098, September 25, 2017; ANNEX III] (도 4).
< 군 분리 (총 7개군; 군 당 8마리) >
① Intact control: 정상 매체 대조군
② TB(tumor bearing) control: NCI-H520 종양세포 이식 후 멸균 증류수 투여군
③ G120: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단독 조성물 투여군
④ SKOG400: 종양세포 이식 후 잔대, 인삼, 복령, 지황 및 봉밀이 배합된 조성물 400 mg/kg 단독투여군
⑤ GSK400: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및 잔대, 인삼, 복령, 지황 및 봉밀이 배합된 조성물 400 mg/kg 병용 투여군
⑥ GSK200: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및 잔대, 인삼, 복령, 지황 및 봉밀이 배합된 조성물 200 mg/kg 병용 투여군
⑦ GSK100: 종양세포 이식 후 제피티닙 120 mg/kg 및 잔대, 인삼, 복령, 지황 및 봉밀이 배합된 조성물 100 mg/kg 병용 투여군
(4) 종양세포의 이식
NCI-H520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Center, Manassas, VA, USA) 세포를 10% fetal bovine serum (FBS)이 첨가된 RPMI 1640 (Gibco, Grand Island, NY,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계대 배양하여 유지하였으며, 1.0×108 cell/ml 이 되도록 종양세포 부유액을 만들어, 마우스의 우측 등쪽 둔부 피하에 NCI-H520 종양세포 부유액 0.2 mL (2×107 cell/mouse) 씩을 이식하여, 고형 종괴를 형성시켰다. 본 실험에서는 NCI-H520 폐암 세포 주 이식 21일 (종양 부피; 500.14±125.31 mm3, 314.87~771.33 mm3) 후부터 제피티닙 또는 실험식이를 경구 투여하였다.
(5) 체중 및 증체량의 변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종양이식 대조군에서 전 실험 기간 동안 유의적인 체중의 변화는 없었으나,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종양 중량을 제외한 실제 체중 (actual body weight)의 감소와 실제 체중을 바탕으로 한 투여기간 동안의 증체량의 감소가 유의적으로 (p<0.01) 나타났다.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서도 체중의 유의성 있는 (p<0.01) 감소가 투여 시작 28일 후부터 나타났으며, 종양이식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제 체중 및 체중을 바탕으로 한 투여기간 동안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p<0.01 또는 p<0.05) 감소되었다. 한편, 잔대, 인삼, 복령, 지황 및 봉밀이 배합된 조성물(SKOG) 단독투여군, 제피티닙 120 mg/kg 과 잔대, 인삼, 복령, 지황 및 봉밀이 배합된 조성물 400, 200 및 100 mg/kg 병용 투여군(GSK 400, 200 및 100 mg/kg) 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실제 체중 및 증체량의 유의성 있는 (p<0.01 또는 p<0.05) 증가가 각각 나타났으며, 특히 제피티닙 120 mg/kg 과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제피티닙 120 mg/kg 단독투여군에 비해 투여 시작 28일후부터 유의적인 (p<0.01) 체중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단독투여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실제 체중 및 증체량의 증가 역시 각각 인정되었다 (표 5 및 도 5).
체중 (g) 증체량(g)
투여 시작 희생 시 실제 체중
대조군 - - - -
Intact 19.45±1.31 23.04±0.88 23.04±0.88 3.59±0.56
TB 19.43±1.24 22.58±0.47 19.77±0.63a 0.34±0.90a
단일 물질 투여군 - - -
제피티닙 19.29±1.29 20.13±0.76fg 18.46±0.77ad - 0.83±0.98ac
SKOG 19.38±1.39 23.03±1.65gh 20.99±1.59ade 1.61±0.67ace
제피티닙 및 SKOG의 병용 투여군 (5분 이내) - -
400 mg/kg 19.33±1.34 23.40±1.37h 22.93±1.44ce 3.60±0.71ce
200 mg/kg 19.23±1.41 22.65±1.42h 21.94±1.42ce 2.72±0.45bc
100 mg/kg 19.20±0.64 22.45±0.85h 21.19±0.90ade 1.99±0.65ace
최종 희생일에서 종양 중량을 제외한 실제 체중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14.20%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과 제피티닙 120 mg/kg 병용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6.61, 6.18, 15.99, 11.01 및 7.20%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실제 체중을 바탕으로 한 투여기간 동안의 증체량 (35일; 최종 희생일의 종양 중량을 제외한 실제 체중 - 투여 시작일의 체중)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90.47%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41.95, 372.28, 954.35, 695.50 및 482.41%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6) 종양 부피의 변화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서는 투여시작 14일 후부터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종양의 부피가 유의적으로 (p<0.01) 감소되었고, 투여기간 동안의 종양 부피의 변화량 역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p<0.01) 감소되었으며,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에서도 투여시작 21일 후부터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종양 부피의 감소를 보였다. 투여기간 동안의 종양 부피의 변화량 역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도 투여시작 14일 후부터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p<0.01 또는 p<0.05) 종양 부피의 감소를 나타내어, 투여기간 동안의 종양 부피의 변화량 역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p<0.01) 감소되었다. 특히, GSK 400 mg/kg 투여군에서는 투여시작 14 일 후부터, GSK 200 mg/kg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투여시작 21일 후부터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 종양 부피가 유의적으로 (p<0.01 또는 p<0.05) 감소되었으며, 투여기간 동안의 종양 부피의 변화량 역시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인 (p<0.01) 감소를 각각 나타내었다 (표 6, 도 6 및 7).
종양 부피 (mm3) 변화량 (mm3)
[B-A]
투여 시작 [A] 희생 시 [B]
대조군 - - -
TB 469.02±102.47 6487.36±862.66 6018.34±774.83
단일 물질 투여군 - -
제피티닙 462.10±105.87 2858.51±377.01a 2396.41±329.84 a
SKOG 472.89±141.15 3972.27±655.53ab 3499.37±557.32ab
제피티닙 및 SKOG의 병용 투여군 (5분 이내) -
400 mg/kg 473.39±137.02 1209.50±335.04ab 736.11±235.75ab
200 mg/kg 477.76±161.99 1670.83±471.94ab 1193.07±375.71ab
100 mg/kg 475.73±122.90 2125.75±442.71ab 1650.02±431.10ab
약물 투여기간 동안의 종양 부피의 변화량 (5주; 최종 희생일의 종양 부피 - 투여 시작일의 종양 부피)은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60.18, -41.85, -87.77, -80.18 및 -72.58%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7) 종양 중량의 변화
모든 약물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종양의 상대 및 절대 중량이 유의적으로 (p<0.01) 감소되었으며,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군에서는 각각 제피티닙 120 mg/kg 단독투여군에 비해서 종양의 절대(표 7) 및 상대 중량(표 8)의 유의적인 (p<0.01 또는 p<0.05) 감소를 나타내었다 (표 7 및 8, 도 6).
종양 중량 비장 악하림프절 난소주위 지방
대조군 - - - -
Intact - 0.110±0.011 0.013±0.004 0.050±0.013
TB 2.808±0.282 0.054±0.005a 0.004±0.001d 0.008±0.002d
단일 물질 투여군 - - -
제피티닙 1.664±0.292f 0.051±0.007a 0.004±0.001d 0.007±0.002d
SKOG 2.036±0.249f 0.080±0.008abc 0.008±0.002dfg 0.024±0.004dfg
제피티닙 및 SKOG의 병용 투여군 (5분 이내) - -
400 mg/kg 0.472±0.130fg 0.103±0.011bc 0.011±0.002fg 0.033±0.007dfg
200 mg/kg 0.706±0.278fg 0.097±0.008abc 0.010±0.002fg 0.028±0.006dfg
100 mg/kg 1.260±0.198fh 0.082±0.012abc 0.009±0.001efg 0.024±0.005dfg
종양 중량 비장 악하림프절 난소주위 지방
대조군 - - - -
Intact - 0.479±0.060 0.057±0.017 0.216±0.051
TB 12.453±1.378 0.241±0.028a 0.019±0.007e 0.037±0.008e
단일 물질 투여군 - - -
제피티닙 8.274±1.443g 0.251±0.036a 0.019±0.006e 0.036±0.011e
SKOG 8.857±1.042g 0.347±0.043acd 0.034±0.009egh 0.104±0.020egh
제피티닙 및 SKOG의 병용 투여군 (5분 이내) - -
400 mg/kg 2.037±0.632gh 0.440±0.050cd 0.048±0.010gh 0.140±0.035egh
200 mg/kg 3.123±1.208gh 0.430±0.029bcd 0.044±0.005gh 0.125±0.031egh
100 mg/kg 5.623±0.961gh 0.365±0.042acd 0.039±0.005fgh 0.105±0.020egh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40.73, -27.50, -83.20, -74.85 및 -55.15%의 종양 절대 중량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33.56, -28.88, -83.64, -74.92 및 -54.84%의 종양 상대 중량의 변화를 각각 나타내었다.
(8) 비장 중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비장의 절대 및 상대 중량이 유의적으로 (p<0.01) 감소되었으나, SKPG 400 mg/kg 단독투여군과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 비장의 절대 및 상대 중량이 유의적으로 (p<0.01) 증가되었다. 한편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과 비교하여 비장의 절대 및 상대 중량의 변화는 없었다 (표 7 및 8).
비장 절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0.62%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7.13, 46.44, 88.74, 79.08 및 51.03%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장의 상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49.67%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4.11, 43.99, 82.15, 78.32 및 51.23%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9) 악하임파절 중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악하임파절의 절대 및 상대 중량의 감소가 각각 인정되었으나, SKOG 단독 조성물 400 mg/kg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악하 임파절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 악하 임파절 절대 및 상대 중량의 유의성 있는 (p<0.01) 증가가 나타났다. 한편 제피티닙 120 mg/kg 단독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는 악하임파절 중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표 7 및 8).
악하임파절의 절대 및 상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각각 -67.92 및 -67.03%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8.82, 85.29, 161.76, 132.35 및 105.88%의 악하임파절의 절대 중량의 변화를 나타내었고, 악하임파절의 상대 중량은 각각 1.85, 81.72, 151.99, 130.57 및 106.38%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10) 난소주위 지방 중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난소주위 지방의 절대 및 상대 중량이 각각 유의적으로 (p<0.01) 감소되었으나, SKOG 단독 및 모든 세 용량의 SKOG와 제피티닙 병용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난소주위 지방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고,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성 있는 (p<0.01) 난소주위 지방 중량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제피티닙 120 mg/kg 단독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난소주위 축적 지방의 절대 및 상대 중량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표 7 및 8).
난소주위 지방의 절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83.21%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13.43, 183.58, 288.06, 237.31 및 182.09%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난소주위 지방의 상대 중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82.80%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79, 178.96, 277.38, 237.62 및 183.23%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11) 혈중 IL-6 및 IFN-γ 함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혈중 IL-6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 (p<0.01) 되었고, IFN-γ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 (p<0.01) 되었으나, SKOG 400 mg/kg 단독 조성물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p<0.01) 혈중 IL-6 함량의 감소와 IFN-γ 함량의 증가가 나타났고,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은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적인 (p<0.01) 혈중 IL-6 함량의 감소 및 IFN-γ 함량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한편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는 혈중 IL-6 및 IFN-γ 함량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 8).
혈중 IL-6 함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825.11%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6.25, -53.28, -76.52, -70.72 및 -60.87%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혈중 IFN-γ 함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71.06%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85, 118.57, 151.53, 142.93 및 121.95%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12) NK cell 활성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비장 및 복강 NK cell 활성이 유의적으로 (p<0.01) 감소 되었으나, SKOG 400 mg/kg 단독 조성물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비장 및 복강 NK cell 활성이 유의적으로 (p<0.01) 증가되었고, 특히 SKOG 400 mg/kg 단독 조성물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서도 유의적인 (p<0.01) 비장 및 복강 NK cell 활성의 증가가 발견되었다. 한편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비장 및 복강 NK cell 활성의 변화가 유의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도 9).
비장 NK cell 활성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서 -82.17%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6.32, 110.42, 207.47, 157.93 및 116.80%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복강 NK cell 활성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81.83%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7.43, 151.48, 279.65, 207.54 및 149.50%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13) 비장 사이토카인 함량의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비장 TNF-α, IL-1
Figure 112018051402296-pat00004
및 IL-10함량이 유의적으로 (p<0.01) 감소되었으나, SKOG 400 mg/kg 단독 조성물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비장 사이토카인 함량이 유의적으로 (p<0.01) 증가되었고,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서 비장 TNF-α, IL-1
Figure 112018051402296-pat00005
및 IL-10함량이 유의성 있는 (p<0.01) 증가를 나타내었다. 한편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비장 사이토카인 함량은 유의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9).
TNF- α
(Tumor necrosis factor-α)
IL-1
Figure 112018051402296-pat00006

(Interleukin-1
Figure 112018051402296-pat00007
)
IL-10
(Interleukin-10)
대조군 - -
Intact 142.83±49.08 48.33±19.26 122.81±34.71
TB 26.29±10.73a 8.64±3.05a 26.52±12.47a
단일 물질 투여군 - -
제피티닙 26.23±10.81a 8.36±1.96a 25.58±11.94a
SKOG 70.03±38.12acd 30.26±12.78bcd 73.46±19.50acd
제피티닙 및 SKOG 병용투여군(5분 이내) -
400 mg/kg 98.80±26.02cd 44.35±10.11cd 97.56±26.24cd
200 mg/kg 81.62±24.83acd 37.41±12.06cd 82.83±22.96bcd
100 mg/kg 71.75±25.06acd 29.51±12.75bcd 72.39±12.62acd
비장 TNF-α 함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81.5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0.24, 166.39, 275.84, 210.48 및 172.94%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장 IL-1
Figure 112018051402296-pat00008
함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82.12%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18, 250.31, 413.34, 333.05 및 241.56%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장 IL-10 함량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78.41%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53, 177.04, 267.95, 212.40 및 173.00%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14) 조직학적 변화
① 종괴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비교적 잘 분화된 NCI-H520 폐암 세포로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었으며, 일부 세포에서 아폽토시스(apoptosis)에 의한 세포질의 호산성 증가 및 핵 농축이 발견되었고, 유사분열 역시 빈번히 관찰되었다. 한편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사멸(apoptotic) 세포가 유의적으로 (p<0.01) 증가되었고, NCI-H520 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유의적으로 (p<0.01) 감소되었다.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서 유의적인 (p<0.01) 종양세포 부피의 감소 및 사멸 세포의 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표 10 및 도 10).
Figure 112018051402296-pat00009
또한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을 포함한 모든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 비해 종괴내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세포의 수가 유의적으로 (p<0.01) 증가되었으며,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제피티닙(제피티니브) 단독투여군에 비해서 caspase-3 및 PARP 면역반응세포의 수가 유의적으로 (p<0.01 또는 p<0.05) 증가되었다 (표 10, 도 11 및 12). SKOG 400 mg/kg 단독 또는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종괴내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유의성 있는 (p<0.01) 수적 증가와 함께 COX-2 면역반응세포의 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서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수는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p<0.01), COX-2 면역반응세포의 수는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p<0.05). 한편 제피티닙 120 mg/kg 단독 조성물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과 비교하여 COX-2 면역반응세포의 유의적인 (p<0.01) 수적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iNOS 및 TNF-α 면역반응세포의 수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표 10, 도 13 내지 15).
종양 조직에서 종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9.01, -16.44, -63.26, -51.32 및 -42.29%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종양 조직에서 사멸 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560.23, 307.89, 1046.61, 895.25 및 765.22%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종양 조직에서 caspase-3 면역반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68.77, 161.29, 585.11, 514.17 및 415.79%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종양 조직에서 PARP 면역반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23.59, 146.88, 494.32, 406.88 및 333.67%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종양 조직에서 COX-2 면역반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5.00, -34.80, -80.15, -65.41 및 -51.92%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종양 조직에서 iNOS 면역반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0.50, 206.23, 510.97, 425.71 및 243.25%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종양 조직에서 TNF-α면역반응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6.19, 377.65, 702.00, 602.72 및 441.11%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② 비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 비해 비장 백색수질 부분의 현저한 임파구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위축이 나타나, 비장 두께, 백색수질 직경 및 수의 유의적인 (p<0.01) 감소를 각각 나타내었다. 한편 SKOG 400 mg/kg 단독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비장 두께, 백색수질 직경 및 수의 유의적으로 (p<0.01) 증가되었음을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인하였고, 특히 SKOG 400 mg/kg 단독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서 비장 두께, 백색수질 직경 및 수의 각각 유의성 있는 (p<0.01) 증가가 인정되었다. 한편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과 유사한 비장 두께, 백색수질 직경 및 수의 변화가 각각 인정되었다 (표 11 및 도 16).
비장 전체 두께
(mm/중심부)
비장 백색수질 수 (/mm2) 비장 백색수질 직경 (μm/white pulp)
대조군 - - -
Intact 1749.75±190.38 14.75±2.92 645.75±127.16
TB 989.25±135.20a 4.88±1.13a 188.75±69.98e
단일 물질 투여군 - -
제피티닙 993.38±131.85a 4.63±1.85a 187.63±73.54e
SKOG 1281.50±123.37acd 8.25±1.67acd 323.00±66.08efg
제피티닙 및 SKOG 병용투여군 (5분 이내) -
400 mg/kg 1489.75±136.36acd 13.88±2.64cd 449.50±38.91efg
200 mg/kg 1340.38±77940acd 12.75±1.28bcd 404.75±50.76efg
100 mg/kg 1276.13±201.59acd 8.63±1.30acd 352.50±75.45efg
비장 전체 두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43.46%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0.42, 29.54, 50.59, 35.49 및 29.00%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장 백색수질의 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66.95%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5.13, 69.23, 184.62, 161.54 및 76.92%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비장 백색수질의 직경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70.77%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 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0.60, 71.13, 138.15, 114.44 및 86.75%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③ 악하 임파절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종양 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 비해 임파절 피질의 임파구의 현저한 감소에 따른 위축이 관찰되어, 악하 임파절 전체 및 피질 두께, 피질내 모낭(follicle) 수의 유의적인 (p<0.01)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임파절 전체 및 피질 두께, 피질내 모낭의 수가 조직병리학적으로 유의적인 (p<0.01) 증가를 나타내었다.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서도 임파절 전체 및 피질 두께, 피질내 모낭의 수가 유의적으로 (p<0.01) 증가되었다. 한편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임파절 전체 및 피질 두께, 피질내 모낭 수의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표 12 및 도 17).
악하임파절 전체 두께
(μm/중심부)
피질 내 모낭의 수 (/mm2) 피질 두께
(μm/lymph node)
대조군 - - -
Intact 1127.63±131.38 16.00±3.93 540.50±113.31
TB 514.63±101.14a 5.75±1.28d 224.38±41.00d
단일 물질 투여군 -
제피티닙 501.50±106.64a 5.38±2.39d 215.75±43.93d
SKOG 744.00±111.81abc 8.63±1.30dfg 306.88±25.76dfg
제피티닙 및 SKOG 병용투여군 (5분 이내) -
400 mg/kg 843.50±113.09abc 13.00±2.73fg 423.25±46.48efg
200 mg/kg 868.63±113.53abc 10.50±1.93dfg 380.75±43.65dfg
100 mg/kg 727.51±103.85abc 8.88±1.25dfg 328.38±49.75dfg
악하임파절 전체 두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4.36%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2.55, 44.57, 63.91, 49.36 및 41.37%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악하임파절 피질내 모낭의 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64.06%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6.52, 50.00, 126.09, 82.61 및 54.35%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악하임파절 피질 두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58.49%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및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3.84, 36.77, 88.64, 69.69 및 46.35%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④ 난소주위 지방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종양이식 대조군에서는,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백색 지방세포의 크기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위축이 관찰되어, 축적 지방 두께 및 백색 지방세포 평균 직경의 유의성 있는 (p<0.01) 감소를 보였다. 한편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조직병리학적으로 축적 지방 두께 및 백색 지방세포 평균 직경이 유의적으로 (p<0.01) 증가되었고, 특히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각각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 비해서도 축적 지방 두께 및 백색 지방세포 평균 직경의 유의적인 (p<0.01) 증가가 나타났다. 한편 제피티닙 단독투여군에서는 난소주위 축적 지방 조직 두께 및 백색 지방세포 평균 직경이 종양 이식 대조군과 유사한 변화를 각각 나타내었다 (표 13 및 도 18).
축적 지방 두께
(mm/central regions)
백색 지방세포 평균 직경
(μm)
대조군 - -
Intact 1752.13±201.31 52.11±5.21
TB 409.25±103.05a 13.20±2.61d
단일 물질 투여군 -
제피티닙 375.75±91.45a 12.36±1.95d
SKOG 650.00±121.29abc 21.85±3.14def
제피티닙 및 SKOG 병용투여군 (5분 이내) -
400 mg/kg 1453.00±192.34abc 37.95±10.89def
200 mg/kg 1096.00±128.90abc 32.51±11.42def
100 mg/kg 965.00±192.82abc 25.10±6.62def
난소주위 축적 지방의 두께는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76.64%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8.19, 58.83, 255.04, 167.81 및 135.80%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난소주위 백색 지방세포의 평균 직경은 종양 이식 대조군의 경우, 정상 매체 대조군에 비해 -74.67%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며, 제피티닙 120 mg/kg, SKOG 400 mg/kg 단독투여군 및 GSK 400, 200 및 100 mg/kg 병용 투여군에서는 종양이식 대조군에 비해 각각 -6.37, 68.51, 187.53, 146.30 및 90.11%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Claims (7)

  1. 인삼(Panax ginseng), 잔대(Adenophorae triphylla), 복령(Wolfiporia extensa), 지황(Rehmannia glutinosa), 봉밀 및 제피티닙(gefitinib)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삼 4 내지 5 중량%, 잔대 4 내지 5 중량%, 복령 8 내지 10 중량%, 지황 43 내지 48 중량%, 봉밀 35 내지 4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삭제
  4. 인삼(Panax ginseng), 잔대(Adenophorae triphylla), 복령(Wolfiporia extensa), 지황(Rehmannia glutinosa), 봉밀 및 제피티닙(gefitinib)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5. 삭제
  6. 인삼(Panax ginseng), 잔대(Adenophorae triphylla), 복령(Wolfiporia extensa), 지황(Rehmannia glutinosa), 봉밀 및 제피티닙(gefitinib)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악액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삭제
KR1020180059573A 2018-05-25 2018-05-25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5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73A KR101975599B1 (ko) 2018-05-25 2018-05-25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6/249,501 US11235018B2 (en) 2018-05-25 2019-01-16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73A KR101975599B1 (ko) 2018-05-25 2018-05-25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749A Division KR20190134448A (ko) 2018-11-23 2018-11-23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599B1 true KR101975599B1 (ko) 2019-05-07

Family

ID=6665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73A KR101975599B1 (ko) 2018-05-25 2018-05-25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35018B2 (ko)
KR (1) KR101975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6305A (zh) * 2019-06-28 2019-09-03 远大医药黄石飞云制药有限公司 一种应用于肥儿宝颗粒中党参炔苷含量的分析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9861B2 (en) * 2017-02-01 2021-09-28 Okchundang Co., Ltd.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N111557928A (zh) * 2020-05-15 2020-08-21 南通大学 治疗脊髓损伤载党参炔苷的普鲁兰多糖纳米微球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167A (ko) * 2004-05-31 2005-12-05 박명환 경옥고의 신규한 의약적 용도
CN106511864A (zh) * 2016-09-21 2017-03-22 深圳市得道中医馆管理有限责任公司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治疗宫颈癌的应用
KR101719790B1 (ko) 2015-10-30 2017-03-24 재단법인 통합의료진흥원 귀비탕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3246A (ko) 2016-03-29 2017-10-1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Egfr 표적 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4167A (ko) * 2004-05-31 2005-12-05 박명환 경옥고의 신규한 의약적 용도
KR101719790B1 (ko) 2015-10-30 2017-03-24 재단법인 통합의료진흥원 귀비탕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3246A (ko) 2016-03-29 2017-10-1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Egfr 표적 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CN106511864A (zh) * 2016-09-21 2017-03-22 深圳市得道中医馆管理有限责任公司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治疗宫颈癌的应用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yun DS et al. Effects of Bojungikkitang (a Polyherbal Formula), on Gefitinib Pharmacokinetics in Rat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ology 2015;11(6):604-10
Song J et al. Combined treatment with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 and gefitinib overcomes drug resistance caused by T790M muta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Nutrition and Cancer 2014;66(4):682-9
신동훈 외. 사삼의 면역조절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Kor J Herbology. Vol. 15(1), 2000, pp. 31-43* *
이은숙 외. 경옥고와 경옥고 가미방의 면역활성에 관한 연구. Kor J Herbology. Vol. 17(2), 2002, pp. 95-100* *
함영안 외. 잔대 추출물들의 항돌연변이 및 항종양 효과.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37(1), 2009, pp. 25-3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6305A (zh) * 2019-06-28 2019-09-03 远大医药黄石飞云制药有限公司 一种应用于肥儿宝颗粒中党参炔苷含量的分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58283A1 (en) 2019-11-28
US11235018B2 (en)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599B1 (ko)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929954B2 (ja) モリンガ葉抽出物及び杜仲抽出複合物の抗菌、抗酸化、抗炎症、歯槽骨消失の抑制及び再生による歯肉炎及び歯周炎の改善方法
US8747917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udrania tricuspidata and Coix lachryma-jobi for suppressing obesity or lowering blood sugar, and use thereof
KR101392204B1 (ko)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6347A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식품 조성물
KR20190045057A (ko) 비만 개선용 다이어트 한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7443A (ko) 동백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20200036521A (ko) 회화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액상 식품 조성물
KR102092509B1 (ko) 치매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331317B1 (ko)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549510B1 (ko) 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86035B1 (ko) 인삼 지상부에서 초단파를 이용한 인삼 프로사포게닌 성분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1400368B1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2577B1 (ko) 극저온 초미세분쇄를 이용한 한약재 혼합물의 제조방법
KR20190134448A (ko)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3653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63834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372441B1 (ko) 한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EP4026552A2 (en) Composition for amelior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including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KR10108829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장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6646B1 (ko) 겹삼잎국화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9783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손상 억제,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496864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