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732B1 -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732B1
KR101974732B1 KR1020170109892A KR20170109892A KR101974732B1 KR 101974732 B1 KR101974732 B1 KR 101974732B1 KR 1020170109892 A KR1020170109892 A KR 1020170109892A KR 20170109892 A KR20170109892 A KR 20170109892A KR 101974732 B1 KR101974732 B1 KR 101974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motor frame
roof rac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716A (ko
Inventor
최방식
송중무
Original Assignee
최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방식 filed Critical 최방식
Priority to KR1020170109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73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루프패널 상부면에 걸쳐 보트를 선수측부터 뒤집어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루프패널 좌,우측에 제공된 루프랙상에 장착브라켓을 이용하여 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선단측과 후단측에는 와이어로프의 가이드롤러가 배치된 롤러프레임과 와이어로프의 로프드럼이 로딩모터와 함께 배치된 모터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각각 조립 설치하며, 상기 롤러프레임과 모터프레임의 좌,우 양측에는 보트의 선체 가장자리측이 놓여지는 사이드암을 그 돌출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함으로서, 보트를 선수측부터 뒤집어 차량의 루프패널 상부로 끌어 올리는 로딩작업 및 이와 반대되는 언로딩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해당 로딩장치를 차량의 루프랙을 베이스로 하여 누구나 손쉽게 RV 차량을 포함한 각종 승용차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로딩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각의 프레임을 따로 분리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보관이 용이토록 하고, 루프랙과 연결된 메인프레임만으로도 보트 이외의 다양한 물품을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해당 메인프레임을 소형 텐트용 덱크 등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Boat loading device mounted on the roof-rack of a car}
본 발명은 보트를 선수측부터 뒤집어 차량의 루프패널 상부로 끌어 올리는 로딩작업 및 이와 반대되는 언로딩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차량의 루프랙을 베이스로 하여 누구나 손쉽게 RV 차량을 포함한 각종 승용차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야외에서의 레저 활동이 활성화됨에 따라 가족이나 친구 또는 동호회 단위의 캠핑족이 급증하고 있으며, 낚시와 같은 레저 활동에 있어서도 제한된 장소에서 보트를 대여하는 소극적인 방식에서 탈피하여 자신이 구매 및 튜닝한 보트를 요구하는 목적지까지 차량으로 직접 이동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이 보트를 차량으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었던 기존의 방식은, 바퀴가 달린 보트용 캐리어를 별도로 구입하여 해당 캐리어에 보트를 올려 놓은 다음, 캐리어와 보트를 차량으로 견인하는 방식이었는 바, 보트용 캐리어 자체가 매우 고가이므로 소비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주게 됨은 물론이고,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관리나 보관에 있어서도 소비자들이 상당한 곤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트의 선수(船首)측과 선미(船尾)측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감아 들이기 위한 윈치(Winch)를 차량의 전,후방측에 각각 설치하고, 차량의 상부면 좌,우측에는 보트의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시 보트와 접촉 회전하는 다수 개의 적재롤러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한 보트 로딩장치가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4- 0125570호(공개일자: 2014년 10월 29일)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트 로딩장치는 해당 문헌의 도 5에서와 같이, 보트를 선수측부터 뒤집어 차량의 상부면에 끌어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보트용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차량으로 보트를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 장점을 제공하는 반면, 보트의 선체폭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차량, 즉 캠핑카와 같이 비교적 큰 차량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RV 차량을 포함한 승용차에는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롤러와 윈치가 포함된 로딩장치를 차량에 설치하는 작업 역시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차량의 상부에 올려진 보트가 좌,우측 적재롤러상에서 매우 불안정한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보트의 신속하고 안전한 운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것이었으며, 보트를 운반하지 않을 경우에도 해당 로딩장치가 차량에 항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전체적인 외관 및 운행시의 연비를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고, 보트 로딩 이외의 다른 용도로는 전혀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설치비용을 고려할 경우 상당히 비경제적이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4-01255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패널 좌,우측에 제공된 루프랙상에 장착브라켓을 이용하여 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선단측과 후단측에는 와이어로프의 가이드롤러가 배치된 롤러프레임과 와이어로프의 로프드럼이 로딩모터와 함께 배치된 모터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각각 조립 설치하며, 상기 롤러프레임과 모터프레임의 좌,우 양측에는 보트의 선체 가장자리측이 놓여지는 사이드암을 그 돌출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함으로서, 보트를 선수측부터 뒤집어 차량의 루프패널 상부로 끌어 올리는 로딩작업 및 이와 반대되는 언로딩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해당 로딩장치를 차량의 루프랙을 베이스로 하여 누구나 손쉽게 RV 차량을 포함한 각종 승용차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로딩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각의 프레임을 따로 분리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보관이 용이토록 하고, 루프랙과 연결된 메인프레임만으로도 보트 이외의 다양한 물품을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해당 메인프레임을 소형 텐트용 덱크(Deck) 등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로딩장치는, 장착브라켓에 의하여 차량의 루프랙상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롤러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모터프레임과, 상기 롤러프레임과 모터프레임의 좌,우측을 통하여 돌출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총 4개의 사이드암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좌,우측 루프랙마다 최소 2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선단면과 후단면 좌,우 모서리측에 롤러프레임과 모터프레임의 조립을 위한 파이프형 조립구멍이 제공되는 한편, 상기 롤러프레임과 모터프레임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여 좌,우측 자유단 프레임의 끝단부에 메인프레임의 조립구멍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조립단부가 제공되고, 상기 롤러프레임의 좌,우측 선단 모서리 부분과 상기 모터프레임의 좌,우측 후단 모서리 부분에 사이드암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조립구멍이 제공되며, 상기 각각의 파이프형 조립구멍 외측에는 메인프레임에 대한 롤러프레임과 모터프레임의 조립작업 및 롤러프레임과 모터프레임에 대한 사이드암의 돌출길이 조정작업을 위한 조립볼트가 체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사이드암 외측단에는 사각판 형태의 이탈방지대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롤러프레임의 선단면 좌,우 내측에는 가이드롤러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모터프레임의 내측에는 와이어로프를 감아들이기 위한 로프드럼과, 상기 로프드럼의 회전을 위한 로딩모터가 보강대에 의하여 모터프레임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로프드럼은 모터프레임의 중앙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프레임의 후단부 좌,우 상측에는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롤러가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선미측이 차량의 후방측과 마주보도록 놓여진 보트의 선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프레임의 좌,우측 가이드롤러를 거쳐 메인프레임의 상부를 따라 전방측으로 연장된 다음, 롤러프레임의 좌,우측 가이드롤러를 선회하여 메인프레임의 하부를 따라 로프드럼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단절곡부와 중앙돌출부와 하단절곡부에 의하여 "E"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브라켓과, 상기 메인브라켓을 로딩장치의 메인프레임과 함께 루프랙상에 결속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식 클램프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의 결속구멍은 중앙돌출부와 하단절곡부의 사이에 해당하는 메인브라켓의 몸체 중앙부에 절개 형성되며,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단절곡부와 중앙돌출부의 사이에 메인프레임이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중앙돌출부는 루프랙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한편, 상기 하단절곡부가 루프패널의 상부면에 놓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는 메인브라켓의 결속구멍으로부터 루프랙의 하부면과 메인프레임의 측면부와 상단절곡부의 외측면을 에워싸는 형태로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루프랙은 "T"자형 단면을 가지는 레일식 몸체의 바닥면이 차량의 루프패널과 밀착된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레일형 루프랙이 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레일형 루프랙의 몸체 부분이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메인브라켓과, 상기 메인브라켓의 일측 상단에서 "ㄱ"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브라켓과, 상기 메인브라켓의 타측 하단에서 소정의 폭만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루프패널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와, 상기 메인브라켓의 타측 상부에서 소정의 폭만큼 내측 방향을 따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프레임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브라켓의 상단면과 보조브라켓의 사이에 로딩장치의 메인프레임이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조립프레임의 사이에는 레일형 루프랙의 상단돌출부가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메인브라켓의 일측 하부에는 레일형 루프랙상에 장착브라켓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볼트가 체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브라켓의 상측면에는 메인프레임의 고정을 위한 조립볼트가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로프드럼은 롤러프레임의 좌,우측 가이드롤러를 거쳐 연장되는 와이어로프를 개별적으로 감아들일 수 있도록 2개의 권취홈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로프드럼은 전방면이 개구된 구동부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한편, 상기 로딩모터의 구동축은 구동부케이스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로프드럼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케이스의 개구된 전방면 내측에는 각각의 와이어로프를 로프드럼의 해당 권취홈 중앙부로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이드암은 이탈방지대가 연결되는 원형 막대 형상의 메인파이프 몸통 외측을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파이프롤러가 2중관 형태로 덧씌워져 설치된 것이고, 상기 이탈방지대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메인파이프의 단부측에는 파이프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부캡으로서의 조립볼트가 체결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암은 조립볼트와 파이프롤러가 포함된 상태로 롤러프레임과 모터프레임의 조립구멍으로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 각각의 파이프롤러는 메인파이프의 외경보다 0.5±0.1mm 큰 치수의 내경을 가지는 원형 플라스틱 파이프로 하여 메인파이프상에서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모터프레임의 좌,우 내측에는 보트의 선미 좌,우측 부분을 2개의 보조와이어로 모터프레임과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고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롤러프레임과 연결되는 사이드암의 이탈방지대는 보트의 선수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30~45도의 각도만큼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루프패널과 접촉되는 장착브라켓의 바닥면에는 완충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종래기술 문헌의 도 5에서와 같이 선미측이 차량의 후방측과 마주보도록 놓여진 보트의 선수 좌,우측에 와이어로프를 각각 연결시키고, 보트의 선미 좌,우측은 보조와이어에 의하여 모터프레임의 보조고리와 각각 연결시킨 상태에서, 선수측과 연결된 각각의 와이어로프가 롤러프레임의 좌,우측 가이드롤러를 선회하여 로프드럼측으로 감겨 들어가도록 함에 따라, 보조와이어에 의하여 선미측이 크게 요동하지 않는 조건으로 해당 보트를 선수측부터 뒤집어 차량의 상부로 안전하게 끌어 올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보트의 선체 외곽측이 좌,우측 사이드암을 따라 놓여지도록 하는 한편, 각각의 사이드암에 설치된 파이프롤러를 이용하여 보트의 로딩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사이드암의 이탈방지대를 보트의 선체 외곽측으로 밀착시켜 보트가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2개의 권취홈이 형성된 로프드럼을 이용하여 각각의 와이어로프를 정확하게 감아들이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보트의 로딩작업과 차량을 이용한 보트의 운반 및 보트의 언로딩작업을 종래의 경우보다 한층 더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로딩장치의 메인프레임을 루프랙 전용(專用)의 장착브라켓을 이용하여 차량의 루프랙상에 일차적으로 조립 및 고정시켜 놓은 다음, 해당 메인프레임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사이드암이 구비된 롤러프레임과 모터프레임을 끼움식으로 조립하는 매우 간단한 방식을 통하여, RV 차량을 포함한 각종 승용차에 로딩장치를 누구라도 손쉽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로딩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각의 프레임을 따로 분리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롤러프레임과 모터프레임을 분리시켜 메인프레임만을 루프랙상에 남겨둔 상태에서, 해당 메인프레임을 이용하여 보트 이외의 다양한 물품이나 장비를 차량에 실어서 운반시킬 수 있고, 필요시 해당 메인프레임을 소형(1~2인용) 텐트의 덱크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소형의 물품이나 장비는 차량에 기설치된 루프랙을 사용하여서도 운반이 가능토록 하는 등, 그 적용성과 활용성을 광범위하게 확보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의 보트 로딩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로딩장치가 차량의 루프랙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트 로딩장치의 요부 발췌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사이드암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5의 (가) 및 (나)는 구동부케이스의 요부 발췌 평단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착브라켓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조립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착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장착브라켓의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로딩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V 차량이 포함된 승용차의 루프랙(Roof-rack)(2)을 베이스로 하여 설치되는 것이고, 각각의 루프랙(2)은 공지된 바와 같이, 차량(1)의 지붕을 제공하는 루프패널(Roof- panel)의 상부면 좌,우 양측에 걸쳐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 형태의 선반용 부품으로서, 트렁크가 포함된 차량(1)의 내부에 보관하지 못하는 물품이나 장비 등을 차량(1) 위에 실어서 운반시킬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로딩장치(10)는 루프랙(2) 전용의 장착브라켓(20)에 의하여 루프패널의 좌,우측 루프랙(2)과 견고하게 조립 설치되는 것이며, 도면상 각각의 루프랙(2)마다 2개의 장착브라켓(20)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장착브라켓(20)의 적용갯수는 로딩장치(10)의 구조적 강도를 고려하여 하나의 루프랙(2)을 기준으로 최소 2개로부터 4개 이상으로도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로딩장치(10)는 루프랙(2) 전용의 장착브라켓(20)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서두에서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로딩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브라켓(20)에 의하여 차량(1)의 루프랙(2)상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롤러프레임(12)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모터프레임(14)과, 상기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좌,우측을 통하여 돌출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총 4개의 사이드암(Side arm)(17)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선단면과 후단면 좌,우 모서리측에는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조립을 위한 파이프형 조립구멍(11a)이 제공되고, 상기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여 좌,우측 자유단 프레임의 끝단부에 메인프레임(11)의 조립구멍(11a)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조립단부(12a)(14a)가 제공되며, 상기 롤러프레임(12)의 좌,우측 선단 모서리 부분과 상기 모터프레임(14)의 좌,우측 후단 모서리 부분에 사이드암(17)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조립구멍(12b)(14b)이 제공된다.
이와는 달리, 메인프레임(11)의 선단면과 후단면 좌,우 모서리측에 막대형 조립단부를 돌출 형성시키고,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을 이루는 좌,우측 자유단 프레임의 끝단부에 파이프형 조립구멍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분리시 메인프레임(11)으로부터 막대형 조립단부가 돌출되는 것은 외관상이나 기능상 바람직하지 아니하므로, 가급적 도면에 도시된 조립방식을 적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딩장치(10)의 구조적 강도를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의 내측에 보강대(11b)를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파이프형 조립구멍(11a)(12b)(14b)은 메인프레임(11)과 롤러프레임(12) 및 모터프레임(14)을 이루는 파이프형(도면상 사각파이프) 프레임 구조를 그대로 이용하여 해당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조립구멍(11a)(12b)(14b) 외측에는 메인프레임(11)에 대한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조립작업 및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에 대한 사이드암(17)의 돌출길이 조정작업을 위한 조립볼트(18)가 체결 설치되며, 상기 조립볼트(18)는 볼트의 헤드(Head) 부분이 고리 모양의 손잡이를 제공하는 아이볼트(Eye bolt)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롤러프레임(12)의 선단면 좌,우 내측에는 롤러브라켓(13a)에 의하여 가이드롤러(13)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모터프레임(14)의 내측에는 와이어로프(3)를 감아들이기 위한 로프드럼(19)과, 상기 로프드럼(19)의 회전을 위한 로딩모터(15)가 보강대(15b)에 의하여 모터프레임(14)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로프드럼(19)은 모터프레임(14)의 중앙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프레임(14)의 후단부 좌,우 상측에도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롤러(16)가 롤러브라켓(16a)에 의하여 각각 연결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로프(3)는 선미측이 차량(1)의 후방측과 마주보도록 놓여진 보트의 선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된 상태에서, 도 3에서와 같이 모터프레임(14)의 좌,우측 가이드롤러(16)를 거쳐 메인프레임(11)의 상부를 따라 전방측으로 연장된 다음, 롤러프레임(12)의 좌,우측 가이드롤러(13)를 선회하여 메인프레임(11)의 하부를 따라 로프드럼(19)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로프드럼(19)은 롤러프레임(12)의 좌,우측 가이드롤러(13)를 거쳐 연장되는 와이어로프(3)를 개별적으로 감아들일 수 있도록 2개의 권취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각의 사이드암(17)은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막대 형상의 메인파이프(17c) 일측단(도면상 좌측단)에 사각판 형태의 이탈방지대(17a)를 일체로 연결 설치하고, 상기 메인파이프(17c)의 몸통 외측을 따라서는 최소 2개 이상의 파이프롤러(17b)가 2중관 형태로 덧씌워지도록 설치하며, 메인파이프(17c)의 타측단(도면상 우측단)에는 단부캡으로서의 조립볼트(18)를 체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조립볼트(18)의 볼트헤드 부분이 파이프롤러(17b)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부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사이드암(17)은 조립볼트(18)와 파이프롤러(17b)가 포함된 상태로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조립구멍(12b)(14b)으로 삽입되는 것이고, 각각의 파이프롤러(17b)는 메인파이프(17c)의 외경보다 0.5±0.1mm 큰 치수의 내경을 가지는 원형 플라스틱 파이프, 예를 들어 PVC 파이프를 사용함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파이프롤러(17b) 부분은 보트의 로딩 및 언로딩시 선체와 접촉하여 메인파이프(17c)상에서 자전(自轉)되도록 하고, 조립구멍(12b)(14b)의 내부로 삽입된 파이프롤러(17b) 부분은 사이드암(17)의 고정을 위한 조립볼트(18)의 체결시 메인파이프(17c)와 밀착되어 사이드암(17)이 헛돌지 않도록 하게 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도 2와 도 5의 (가) 및 (나)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프드럼(19)은 전방면이 개구된 구동부케이스(15a)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케이스(15a)가 모터프레임(14)의 보강대(15b)와 연결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로딩모터(15)의 구동축은 구동부케이스(15a)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로프드럼(19)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케이스(15a)의 개구된 전방면 내측에는 각각의 와이어로프(3)를 로프드럼(19)의 해당 권취홈 중앙부로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3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하여, 각각의 와이어로프(3)가 로프드럼(19)의 해당 권취홈을 통하여 정확하게 감겨 들어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로프드럼(19)의 특정 위치에 와이어로프(3)가 과도하게 감겨져 들어가는 현상 역시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로딩모터(15)는 감속기 일체형 기어드모터(Geared motor)로 하여 정회전(로딩)과 역회전(언로딩)이 모두 가능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로프드럼(19)의 회전작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케이스(15a)의 내부에 베어링유닛(19a)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프레임(14)의 좌,우 내측에는 보트의 선미 좌,우측 부분을 2개의 미도시된 보조와이어(와이어로프)로 모터프레임(14)과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고리(14c)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조와이어와 보조고리(14c)는 보트의 선수측을 와이어로프(3)로 들어 올려 차량(1)의 상부로 보트를 뒤집어 올리는 과정에서 보트의 선미측이 심하게 요동되지 않도록 단속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롤러프레임(12)과 연결되는 사이드암(17)의 이탈방지대(17a)는 보트의 선수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30~45도의 각도만큼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이루는 상기 장착브라켓(20)은 도 6 및 도 7에 걸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절곡부(21a)와 중앙돌출부(21b)와 하단절곡부(21c)에 의하여 "E"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브라켓(21)과, 상기 메인브라켓(21)을 로딩장치(10)의 메인프레임(11)과 함께 루프랙(2)상에 결속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식 클램프(2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23)의 결속구멍(22)은 중앙돌출부(21b)와 하단절곡부(21c)의 사이에 해당하는 메인브라켓(21)의 몸체 중앙부에 절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브라켓(21)의 상단절곡부(21a)와 중앙돌출부(21b)의 사이에 로딩장치(10)의 메인프레임(11)이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중앙돌출부(21b)는 루프랙(2)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한편, 상기 하단절곡부(21c)가 루프패널(4)의 상부면에 놓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클램프(23)는 메인브라켓(21)의 결속구멍(22)으로부터 루프랙(2)의 하부면과 메인프레임(11)의 측면부와 상단절곡부(21a)의 외측면을 에워싸는 형태로 클램핑되는 것이다.
도면상 상기 클램프(23)는 나선구멍(24a)이 형성된 클램핑밴드(24)를 클램핑볼트(25)로 조이는 방식의 공지된 T-볼트 클램프가 사용되었으나, 로딩장치(10)의 메인프레임(11)을 루프랙(2)상에 신속하고 견고하게 결속 및 고정시킬 수 있고, 필요시마다 루프랙(2)으로부터 메인프레임(11)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의 밴드식 클램프가 사용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밴드식 클램프 이외에도 고리형 클램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밴드식 클램프(23)를 이용한 메인프레임(11)과 루프랙(2)의 결속 및 고정 작업시, 클램핑밴드(24)가 메인프레임(11)과 결착(結着)되는 부위를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로딩장치(10)의 안정적인 장착 측면에서 유리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하여 상단절곡부(21a)가 굴곡되는 부위에도 메인브라켓(21)의 몸체 중앙부를 절개시킨 "ㄱ"자형 결속구멍(2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해당 결속구멍(22)이 클램핑밴드(24)와 메인프레임(11)과의 결착부위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한 보조구멍이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장착브라켓(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루프랙(2)은 "T"자형 단면을 가지는 레일식 몸체의 바닥면이 차량(1)의 루프패널(4)과 밀착된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레일형 루프랙(2)이 되고,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이러한 레일형 루프랙(2)상에 로딩장치(10)의 메인프레임(11)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앞서 설명되어진 장착브라켓(20)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장착브라켓(20)은, 레일형 루프랙(2)의 몸체 부분이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메인브라켓(21)과, 상기 메인브라켓(21)의 일측(도면상 좌측) 상단에서 "ㄱ"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브라켓(28)과, 상기 메인브라켓(21)의 타측(도면상 우측) 하단에서 소정의 폭만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루프패널(4)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26)와, 상기 메인브라켓(21)의 타측 상부에서 소정의 폭만큼 내측 방향을 따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프레임(27)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메인브라켓(21)의 상단면과 보조브라켓(28)의 사이에 로딩장치(10)의 메인프레임(11)이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조립프레임(27)의 사이에는 레일형 루프랙(2)의 상단돌출부(5)가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메인브라켓(21)의 일측 하부에는 레일형 루프랙(2)상에 장착브라켓(20)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볼트(18)가 체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브라켓(28)의 상측면에는 메인프레임(11)의 고정을 위한 조립볼트(18)가 체결 설치되는 것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상기 장착브라켓(20)의 바닥면, 즉 일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20)은 하단절곡부(21c)의 바닥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20)은 받침대(26)의 바닥면상에 루프패널(4)의 손상을 방지하는 완충패드(20a)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완충패드(20a)는 고무패드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외에도 인장강도와 탄력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의 패드(Pad)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위에서 별도로 그 소재나 재질을 언급하지 아니한 부품 즉, 프레임과 파이프 및 브라켓과 조립볼트 등은 내부식성과 강도가 우수한 금속 소재,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앞서 설명된 종래기술 문헌의 도 5에서와 같이 선미측이 차량(1)의 후방측과 마주보도록 놓여진 보트의 선수 좌,우측에 와이어로프(3)를 각각 연결시키고, 보트의 선미 좌,우측은 보조와이어에 의하여 모터프레임(14)의 보조고리(14c)와 각각 연결시킨 상태에서, 선수측과 연결된 각각의 와이어로프(3)가 롤러프레임(12)의 좌,우측 가이드롤러(13)를 선회하여 로프드럼(19)측으로 감겨 들어가도록 함에 따라, 보조와이어에 의하여 선미측이 크게 요동하지 않는 조건으로 해당 보트를 선수측부터 뒤집어 차량(1)의 상부로 안전하게 끌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보트의 선체 외곽측이 좌,우측 사이드암(17)을 따라 놓여지도록 하는 한편, 각각의 사이드암(17)에 설치된 파이프롤러(17b)를 이용하여 보트의 로딩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사이드암(17)의 이탈방지대(17a)를 보트의 선체 외곽측으로 밀착시켜 보트가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하고, 2개의 권취홈이 형성된 로프드럼(19)을 이용하여 각각의 와이어로프(3)를 정확하게 감아들이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보트의 로딩작업과 차량(1)을 이용한 보트의 운반 및 보트의 언로딩작업을 종래의 경우보다 한층 더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로딩장치(10)의 메인프레임(11)을 루프랙(2) 전용(專用)의 장착브라켓(20)을 이용하여 차량(1)의 루프랙(2)상에 일차적으로 조립 및 고정시켜 놓은 다음, 해당 메인프레임(11)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사이드암(17)이 구비된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을 끼움식으로 조립하는 매우 간단한 방식을 통하여, RV 차량(1)을 포함한 각종 승용차에 로딩장치(10)를 누구라도 손쉽게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로딩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각각의 프레임(11)(12)(14)을 따로 분리시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보관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을 분리시켜 메인프레임(11)만을 루프랙(2)상에 남겨둔 상태에서, 해당 메인프레임(11)을 이용하여 보트 이외의 다양한 물품이나 장비를 차량(1)에 실어서 운반시킬 수 있고, 필요시 해당 메인프레임(11)을 소형(1~2인용) 텐트의 덱크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소형의 물품이나 장비는 차량(1)에 기설치된 루프랙(2)을 사용하여서도 운반이 가능토록 하는 등, 그 적용성과 활용성을 광범위하게 확보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의 보트 로딩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1 : 차량 2 : 루프랙 3 : 와이어로프
3a : 가이드봉 4 : 루프패널 5 : 상단돌출부
10 : 로딩장치 11 : 메인프레임 11a,12b,14b : 조립구멍
11b,15b : 보강대 12 : 롤러프레임 12a,14a : 조립단부
13,16 : 가이드롤러 13a,16a : 롤러브라켓 14 : 모터프레임
14c : 보조고리 15 : 로딩모터 15a : 구동부케이스
17 : 사이드암 17a : 이탈방지대 17b : 파이프롤러
17c : 메인파이프 18 : 조립볼트 18a : 체결공
19 : 로프드럼 19a : 베어링유닛 20 : 장착브라켓
20a : 완충패드 21 : 메인브라켓 21a : 상단절곡부
21b : 중앙돌출부 21c : 하단절곡부 22 : 결속구멍
23 : 클램프 24 : 클램핑밴드 24a : 나선구멍
25 : 클램핑볼트 25a : 볼트케이스 26 : 받침대
27 : 조립프레임 28 : 보조브라켓

Claims (8)

  1. 차량(1)의 루프패널(4) 상부면에 걸쳐 보트를 선수측부터 뒤집어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 로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10)는, 장착브라켓(20)에 의하여 차량(1)의 루프랙(2)상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롤러프레임(12)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모터프레임(14)과, 상기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좌,우측을 통하여 돌출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총 4개의 사이드암(17)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좌,우측 루프랙(2)마다 최소 2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선단면과 후단면 좌,우 모서리측에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조립을 위한 파이프형 조립구멍(11a)이 제공되는 한편, 상기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여 좌,우측 자유단 프레임의 끝단부에 메인프레임(11)의 조립구멍(11a)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조립단부(12a)(14a)가 제공되고, 상기 롤러프레임(12)의 좌,우측 선단 모서리 부분과 상기 모터프레임(14)의 좌,우측 후단 모서리 부분에 사이드암(17)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조립구멍(12b)(14b)이 제공되며,
    상기 각각의 파이프형 조립구멍(11a)(12b)(14b) 외측에는 메인프레임(11)에 대한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조립작업 및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에 대한 사이드암(17)의 돌출길이 조정작업을 위한 조립볼트(18)가 체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사이드암(17) 외측단에는 사각판 형태의 이탈방지대(17a)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롤러프레임(12)의 선단면 좌,우 내측에는 가이드롤러(13)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모터프레임(14)의 내측에는 와이어로프(3)를 감아들이기 위한 로프드럼(19)과, 상기 로프드럼(19)의 회전을 위한 로딩모터(15)가 보강대(15b)에 의하여 모터프레임(14)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로프드럼(19)은 모터프레임(14)의 중앙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프레임(14)의 후단부 좌,우 상측에는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롤러(16)가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3)는 선미측이 차량(1)의 후방측과 마주보도록 놓여진 보트의 선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프레임(14)의 좌,우측 가이드롤러(16)를 거쳐 메인프레임(11)의 상부를 따라 전방측으로 연장된 다음, 롤러프레임(12)의 좌,우측 가이드롤러(13)를 선회하여 메인프레임(11)의 하부를 따라 로프드럼(19)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상단절곡부(21a)와 중앙돌출부(21b)와 하단절곡부(21c)에 의하여 "E"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브라켓(21)과, 상기 메인브라켓(21)을 로딩장치(10)의 메인프레임(11)과 함께 루프랙(2)상에 결속 고정시키기 위한 밴드식 클램프(23)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23)의 결속구멍(22)은 중앙돌출부(21b)와 하단절곡부(21c)의 사이에 해당하는 메인브라켓(21)의 몸체 중앙부에 절개 형성되며,
    상기 메인브라켓(21)의 상단절곡부(21a)와 중앙돌출부(21b)의 사이에 메인프레임(11)이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중앙돌출부(21b)는 루프랙(2)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한편, 상기 하단절곡부(21c)가 루프패널(4)의 상부면에 놓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23)는 메인브라켓(21)의 결속구멍(22)으로부터 루프랙(2)의 하부면과 메인프레임(11)의 측면부와 상단절곡부(21a)의 외측면을 에워싸는 형태로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2. 차량(1)의 루프패널(4) 상부면에 걸쳐 보트를 선수측부터 뒤집어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한 로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10)는, 장착브라켓(20)에 의하여 차량(1)의 루프랙(2)상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롤러프레임(12)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후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 설치되는 모터프레임(14)과, 상기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좌,우측을 통하여 돌출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되는 총 4개의 사이드암(17)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브라켓(20)은 좌,우측 루프랙(2)마다 최소 2개 이상의 개수로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선단면과 후단면 좌,우 모서리측에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조립을 위한 파이프형 조립구멍(11a)이 제공되는 한편, 상기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은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하여 좌,우측 자유단 프레임의 끝단부에 메인프레임(11)의 조립구멍(11a)으로 삽입되는 막대형 조립단부(12a)(14a)가 제공되고, 상기 롤러프레임(12)의 좌,우측 선단 모서리 부분과 상기 모터프레임(14)의 좌,우측 후단 모서리 부분에 사이드암(17)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조립구멍(12b)(14b)이 제공되며,
    상기 각각의 파이프형 조립구멍(11a)(12b)(14b) 외측에는 메인프레임(11)에 대한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조립작업 및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에 대한 사이드암(17)의 돌출길이 조정작업을 위한 조립볼트(18)가 체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사이드암(17) 외측단에는 사각판 형태의 이탈방지대(17a)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롤러프레임(12)의 선단면 좌,우 내측에는 가이드롤러(13)가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모터프레임(14)의 내측에는 와이어로프(3)를 감아들이기 위한 로프드럼(19)과, 상기 로프드럼(19)의 회전을 위한 로딩모터(15)가 보강대(15b)에 의하여 모터프레임(14)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로프드럼(19)은 모터프레임(14)의 중앙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프레임(14)의 후단부 좌,우 상측에는 파이프 형태의 가이드롤러(16)가 각각 연결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로프(3)는 선미측이 차량(1)의 후방측과 마주보도록 놓여진 보트의 선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연결된 상태에서, 모터프레임(14)의 좌,우측 가이드롤러(16)를 거쳐 메인프레임(11)의 상부를 따라 전방측으로 연장된 다음, 롤러프레임(12)의 좌,우측 가이드롤러(13)를 선회하여 메인프레임(11)의 하부를 따라 로프드럼(19)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며,
    상기 루프랙(2)은 "T"자형 단면을 가지는 레일식 몸체의 바닥면이 차량(1)의 루프패널(4)과 밀착된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레일형 루프랙(2)이 되고, 상기 장착브라켓(20)은 레일형 루프랙(2)의 몸체 부분이 삽입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메인브라켓(21)과, 상기 메인브라켓(21)의 일측 상단에서 "ㄱ"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브라켓(28)과, 상기 메인브라켓(21)의 타측 하단에서 소정의 폭만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루프패널(4)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받침대(26)와, 상기 메인브라켓(21)의 타측 상부에서 소정의 폭만큼 내측 방향을 따라 상,하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프레임(27)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브라켓(21)의 상단면과 보조브라켓(28)의 사이에 로딩장치(10)의 메인프레임(11)이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조립프레임(27)의 사이에는 레일형 루프랙(2)의 상단돌출부(5)가 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되며, 상기 메인브라켓(21)의 일측 하부에는 레일형 루프랙(2)상에 장착브라켓(20)을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볼트(18)가 체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브라켓(28)의 상측면에는 메인프레임(11)의 고정을 위한 조립볼트(18)가 체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드럼(19)은 롤러프레임(12)의 좌,우측 가이드롤러(13)를 거쳐 연장되는 와이어로프(3)를 개별적으로 감아들일 수 있도록 2개의 권취홈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드럼(19)은 전방면이 개구된 구동부케이스(15a)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로딩모터(15)의 구동축은 구동부케이스(15a)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로프드럼(19)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케이스(15a)의 개구된 전방면 내측에는 각각의 와이어로프(3)를 로프드럼(19)의 해당 권취홈 중앙부로 유도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3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암(17)은 이탈방지대(17a)가 연결되는 원형 막대 형상의 메인파이프(17c) 몸통 외측을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파이프롤러(17b)가 2중관 형태로 덧씌워져 설치된 것이고, 상기 이탈방지대(17a)의 맞은편에 해당하는 메인파이프(17c)의 단부측에는 파이프롤러(17b)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부캡으로서의 조립볼트(18)가 체결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암(17)은 조립볼트(18)와 파이프롤러(17b)가 포함된 상태로 롤러프레임(12)과 모터프레임(14)의 조립구멍(12b)(14b)으로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 각각의 파이프롤러(17b)는 메인파이프(17c)의 외경보다 0.5±0.1mm 큰 치수의 내경을 가지는 원형 플라스틱 파이프로 하여 메인파이프(17c)상에서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프레임(14)의 좌,우 내측에는 보트의 선미 좌,우측 부분을 2개의 보조와이어로 모터프레임(14)과 연결시키기 위한 보조고리(14c)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프레임(12)과 연결되는 사이드암(17)의 이탈방지대(17a)는 보트의 선수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30~45도의 각도만큼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널(4)과 접촉되는 장착브라켓(20)의 바닥면에는 루프패널(4)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패드(20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KR1020170109892A 2017-08-30 2017-08-30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KR101974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892A KR101974732B1 (ko) 2017-08-30 2017-08-30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892A KR101974732B1 (ko) 2017-08-30 2017-08-30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16A KR20190023716A (ko) 2019-03-08
KR101974732B1 true KR101974732B1 (ko) 2019-05-02

Family

ID=6580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892A KR101974732B1 (ko) 2017-08-30 2017-08-30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284A (ko) 2022-06-13 2023-12-20 김정희 차량 루프 설치형 적재물 상하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1333A (ko) 2019-03-19 2020-09-29 한미란 T자형 구조의 고강도 격자지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424B1 (ko) 2003-09-17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간격 조절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6797A (ja) * 1995-02-16 1996-08-27 Osaka Banbaa Seisakusho:Kk 自動車用のルーフレール架台装置
KR100527961B1 (ko) * 2003-09-01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위치 조정 가능한 크로스 레일을 가지는 차량용 루프 랙어셈블리
KR20140125570A (ko) 2013-04-19 2014-10-29 윤성권 수상보트 로딩 수단을 구비한 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424B1 (ko) 2003-09-17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루프랙의 크로스바 간격 조절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284A (ko) 2022-06-13 2023-12-20 김정희 차량 루프 설치형 적재물 상하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716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9009A (en) Load carrying system
US10322662B2 (en) Kayak transport dolly and storage rack
KR101974732B1 (ko)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보트 로딩장치
US7467784B2 (en) Equipment cover lifting device
US8123274B1 (en) Protective cover for trailerable items
US10046711B2 (en) Device for loading two kayaks
US20140110520A1 (en) Trailer Tie-Down Strap Retrieval Spool
KR101881254B1 (ko) 차량의 루프랙에 장착이 가능한 다목적 거치대
US20190241237A1 (en) Bimini top
US11027912B2 (en) Removable container shipping frame for vehicle
US9963329B1 (en) Utility task vehicle (UTV) accessory for a side-by-side UTV having a front-mounted winch
US8833289B2 (en) Bracket for a PWC
US7070196B1 (en) Kayak carrier
US6029598A (en) Trailerable houseboat/camper with removable pontoons
US10843542B2 (en) Retractable trailer enclosure system
US4133577A (en) Boat trailer convertible to tent shelter
GB2470582A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securing a load to a support surface
US6390013B1 (en) Open-trough kayak sail kit
US8998547B2 (en) Cargo catch
US20080093829A1 (en) Trailer
US5172928A (en) Boat bow stop mechanism
JPH0662170B2 (ja) 空輸オートバイの固定装置
JP2003137189A (ja) 気球の繋留装置
US9221377B2 (en) Boat transporting apparatus
FR3040365B1 (fr) Ameliorations de voil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