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361B1 - 접이식 섬유 제품 - Google Patents

접이식 섬유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361B1
KR101974361B1 KR1020180167058A KR20180167058A KR101974361B1 KR 101974361 B1 KR101974361 B1 KR 101974361B1 KR 1020180167058 A KR1020180167058 A KR 1020180167058A KR 20180167058 A KR20180167058 A KR 20180167058A KR 101974361 B1 KR101974361 B1 KR 101974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abric
oblique
patterns
diag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345A (ko
Inventor
임성묵
Original Assignee
임성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묵 filed Critical 임성묵
Priority to KR102018016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3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4Foldable garment carrier 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접이식 섬유 제품은 유연성을 가진 원단 및 원단 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턴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패턴 중 제 1 패턴에 따라 원단을 접으면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이 제작되고, 복수개의 패턴 중 제 2 패턴에 따라 원단을 접으면 제 1 형상과는 상이한 제 2 형상의 섬유 제품이 제작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섬유 제품{Origami textile goods}
본 발명은 접이식 섬유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제품(예컨대, 가방, 전등 갓, 옷, 쿠션 등)은 용도나 기능, 디자인의 유행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방은 용도에 따라 토트백, 숄더백, 클러치백, 백팩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가방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중에 판매중인 섬유 제품들은 사용목적 또는 용도에 따라 특화된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용도 또는 취향에 따라 적합한 섬유 제품을 매번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 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6-0147078호에는 캠핑 또는 여행 시에 필요한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가방으로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가방을 앞치마 또는 돗자리로 변경할 수 있는 형태 가변 가방이 개시되어 있다.
접이식 섬유 제품의 원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섬유 제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접이식 섬유 제품은 유연성을 가진 원단; 및 상기 원단 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턴 중 제 1 패턴에 따라 상기 원단을 접으면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이 제작되고, 상기 복수개의 패턴 중 제 2 패턴에 따라 상기 원단을 접으면 상기 제 1 형상과는 상이한 제 2 형상의 섬유 제품이 제작될 수 있다.
일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원단이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안감, 스펀지, 겉감을 순서대로 겹쳐서 구성되고, 상기 패턴은 상기 원단에 금형을 눌러서 제작될 수 있다.
일예에 있어서, 상기 원단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단이 접힌 상태에서 맞닿아지는 제 1 홀과 제 2 홀에 연결부재를 관통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일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턴은 복수개의 사선을 포함하고, 각각의 사선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홀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에 있어서, 상기 원단에 연결된 복수개의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섬유 제품은 가방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리 중 제 1 고리에 가방끈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리 중 제 2 고리에 상기 가방끈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일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리 중 제 3 고리에 장식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일예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사각형의 형상이고, 상기 복수개의 고리는 상기 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연결된 4개의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접이식 섬유 제품의 가공 방법은 유연성을 가진 원단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원단에 금형으로 열과 힘을 가해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원단의 모서리에 복수개의 고리를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원단에 복수개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패턴은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을 접어 만들기 위해 이용되고, 상기 제 2 패턴은 제 2 형상의 섬유 제품을 접어 만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금형을 고주파 웰딩 방식으로 상기 원단에 누르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은 CNC 가공으로 생산된 알루미늄 금형일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접이식 섬유 제품은, 유연성을 가진 원단; 및 상기 원단 내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패턴 중 제 1 패턴에 따라 상기 원단을 접으면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패턴 중 제 2 패턴에 따라 상기 원단을 접으면 상기 제 1 형상과는 상이한 제 2 형상의 섬유 제품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원단은 안감, 충전재, 겉감을 순서대로 겹쳐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상기 순서대로 겹쳐진 안감, 충전재, 겉감에 금형을 눌러서 상기 원단을 일체화시키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패턴은 복수개의 사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단에는 상기 사선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홀들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들은 상기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 및 상기 제 2 형상의 섬유 제품을 고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원단에 연결된 복수개의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리 중 제 1 고리에 가방끈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리 중 제 2 고리에 상기 가방끈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복수개의 고리 중 제 3 고리에 장식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접이식 섬유 제품은, 서로 다른 복수의 패턴 세트가 형성된 하나의 사각형 원단을 이용하여 여러 형상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접이식 섬유 제품으로서, 상기 원단은 안감, 충전재 및 겉감을 순서대로 겹쳐서 구성되고, 상기 각 패턴 세트는 상기 원단을 용이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오목한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패턴 세트는, 상기 원단의 제1 대각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1 사선 패턴과 제2 사선 패턴; 상기 원단의 제2 대각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3 사선 패턴과 제4 사선 패턴; 상기 제1 사선 패턴과 상기 제3 사선 패턴의 교차점으로부터 이에 인접한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 상기 제2 사선 패턴과 상기 제3 사선 패턴의 교차점으로부터 이에 인접한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2 연결 패턴; 상기 제2 사선 패턴과 상기 제4 사선 패턴의 교차점으로부터 이에 인접한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연결 패턴; 및 상기 제1 사선 패턴과 상기 제4 사선 패턴의 교차점으로부터 이에 인접한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4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각 사선 패턴의 끝단에는 상기 각 사선 패턴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원단이 상기 각 연결 패턴을 기준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각 연결 패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홀들에 연결부재를 관통시켜 고정되고, 별도의 접착제 없이 각 패턴 세트마다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홀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상의 제품으로 조립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각 패턴 세트를 접어서 제품으로 조립할 때, 상기 제1 내지 제4 사선 패턴은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 패턴과는 접는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제1 사선 패턴은 상기 제2 사선 패턴과 평행하고, 상기 제3 사선 패턴은 상기 제4 사선 패턴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각 사선 패턴 사이의 교차점으로 이루어진 면은 제품의 밑판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원단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접이식 섬유 제품의 원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섬유 제품을 다양하게 접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섬유 제품을 조립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을 이용하여 복수의 패턴으로 섬유 제품을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섬유 제품의 구성요소를 가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패턴에 기초한 다양한 형태의 접이식 섬유 제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섬유 제품을 조립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이식 섬유 제품은 기정의된 복수개의 패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종이접기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황 또는 취향 등에 따라 접이식 섬유 제품의 모양과 크기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이식 섬유 제품에는 예를 들어, 가방, 전등 갓, 옷, 쿠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이식 섬유 제품이 가방이라고 가정하고, 다양한 형태의 가방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후술할 실시예는 가방 외의 모든 섬유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접이식 섬유 제품의 원단(100)은 유연성을 가진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이식 섬유 제품의 원단(100)은 섬유 제품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단단한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고, 원단(100)에 형성된 복수의 패턴에 따라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을 만큼 유연성 좋은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잠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원단(1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원단(100)은, 예를 들어, 안감(102), 스펀지(104), 겉감(106)을 순서대로 겹쳐서 구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스펀지(104) 대신에 손쉽게 접힐 수 있는 합성 섬유, 가죽 등과 같은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b와 같이 원단(100)은 스펀지(10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안감(102)과 겉감(106)으로 스펀지(104)를 감싼 후, 안감(102), 스펀지(104), 겉감(106)이 일체가 되도록 고정시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오면, 원단(100)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 각각에 4개의 고리(10, 12, 14, 16)가 연결될 수 있다.
원단(100)에는 접이식 섬유 제품의 다양한 형태로의 변환을 위한 복수개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원단(100)은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예컨대, 숄더 백)을 제작하기 위한 제 1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형상의 섬유 제품(예컨대, 박스 케이스)을 제작하기 위한 제 2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제 3 형상의 섬유 제품(예컨대, 클러치 백)을 제작하기 위한 제 3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단(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턴은 원단(100)이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다. 잠시, 도 5를 참조하여, 종이접기식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형태의 섬유 제품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패턴 각각에 따라 원단(100)을 접게 되면, 다양한 형상의 섬유 제품(501 내지 506)을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패턴 중 제 1 패턴에 따라 원단(100)을 접으면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501)이 제작되고, 제 2 패턴에 따라 원단(100)을 접으면 제 1 형상과는 상이한 제 2 형상의 섬유 제품(502)이 제작되고, 제 3 패턴에 따라 원단(100)을 접으면 제 1 형상 및 제 2 형상과는 상이한 제 3 형상의 섬유 제품(503)이 제작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 4 패턴, 제 5 패턴 및 제 6 패턴에 따라 원단(100)을 접어 각각 제 4 형상의 섬유 제품(504), 제 5 형상의 섬유 제품(505) 및 제 6 형상의 섬유 제품(506)을 제작할 수 있다. 복수의 패턴을 따라 만들어지는 섬유 제품의 형태 및 개수는 도 5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단(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턴은 원단(100)에 금형으로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단(100)에 복수개의 패턴을 형성할 금형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CNC 가공으로 생산된 동판 금형, 알루미늄 금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금형은 동판이나 알루미늄판에 소정의 무늬(원단(100)에 형성될 복수개의 패턴과 동일한 무늬)가 조각되어 있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금형의 하부면에는 소정의 무늬에 따라 음각 홈이 복수개 형성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면에는 상부 금형의 음각 홈에 대응하는 양각 홈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에 원단(100)을 위치시킨 후, 상부 금형을 하강시켜 소정의 시간 동안 원단(100)을 고주파 방식(고주파 유전 가열 원리를 이용하여 고주파 전압을 원단(100)에 가함으로써 원단(100)이 발열하게 하는 방식)으로 가열하고 가압하면, 원단(100)에 복수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변형 예로, 상부 금형의 하부면에 소정의 무늬에 따라 양각 홈이 복수개 형성되고, 하부 금형의 상부면에는 상부 금형의 양각 홈에 대응하는 음각 홈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 사이에 원단(100)을 위치시킨 후, 상부 금형을 하강시켜 소정의 시간 동안 원단(100)을 고주파 방식으로 가열하고 가압하면, 원단(100)의 양면에 복수의 오목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변형 예로, 단일 금형을 고주파 웰딩 방식으로 원단(100)에 누름으로써 복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일 금형을 50톤의 무게와 150℃의 온도로 눌러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원단(100)의 재질 및 두께에 따라 금형의 무게, 압력 온도 및 압력 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원단에 대해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예로, 금형에는 금형에 음각된 홈을 따라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 프레스(예컨대, 고주파, 초음파 등을 주사시키는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금형은 일정 압력으로 원단(100)을 압착한 상태에서 가열 프레스 장치를 가동시킬 수 있다. 금형은 가열 프레스로 원단(100)에 열을 가함으로써 원단(100)의 내피와 외피를 복수의 패턴에 따라 열융착시켜 일체화시키면서 원단(100)에 복수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형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면, 불량율을 낮출 수 있고, 결과적으로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오면, 원단(100)의 테두리 주변에는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고, 원단(100)에 형성된 복수개의 패턴에는 복수개의 사선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사선들 사이에 한 쌍의 홀들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잠시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특정 패턴에 따라 접이식 섬유 제품을 만드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210)을 제작하기 위하여 제 1 패턴에 따라 원단(100)을 접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a를 함께 참조하여, 원단(100)을 접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패턴에 따라 원단(100)의 제 1 영역(200)을 밑판으로 두고, 제 1 영역(200)을 중심으로 제 2 영역(202)을 절곡시켜 수직으로 세우는 한편, 제 3 영역(204) 역시 절곡시켜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 이 때, 제 2 영역(202)과 제 3 영역(204)이 겹쳐지는 제 4 영역(206)을 안쪽으로 접게 되면, 제 1 홀(18)과 제 2 홀(20)이 서로 맞닿게 된다. 이 때, 제 1 홀(18)과 제 2 홀(20)에 연결 부재(110)를 관통시켜 제 1 홀(18)과 제 2 홀(20)을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단(100)의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접은 다음 원단이 서로 접힌 상태에서 맞닿아지는 홀들을 연결 부재(110)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가방끈(120)을 연결하기 위한 제 1 고리(10)와 제 2 고리(12)가 연결된 면을 안쪽으로 접을 때 맞닿게 되는 홀들을 연결 부재(110)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원단(100)의 제 5 영역(208)에서 제 3 고리(14)가 연결된 일부의 영역을 안쪽으로 절곡시키고, 제 4 고리(16)가 연결된 제 2 영역(202)의 일부가 전면을 향하도록 절곡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1 고리(10)에 가방끈(120)의 일단을 연결하고, 제 2 고리(12)에 가방끈(120)의 타단을 연결하면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210)이 만들어진다. 이 때,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210)의 제 4 고리(16)에 장식 부재(미도시)(예컨대, 로고가 음각된 장식 등)를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 2 패턴에 따라 원단(100)을 접어서 만들 수 있는 제 2 형상의 섬유 제품(212)의 제작 방법은 상기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210)의 제작 방법과 일부 유사하다. 다만, 제 2 형상의 섬유 제품(212)은 원단(100)에 연결된 4개의 고리(10, 12, 14, 16)를 결합 부재(미도시)을 통해 동시에 연결시킴으로써 완성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섬유 제품의 구성요소를 가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01에서 접이식 섬유 제품을 조립하기 위한 유연성을 가진 원단(100)을 준비한다.
단계 S303에서 원단(100)에 금형으로 열과 힘을 가해 제 1 패턴 및 제 2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은 제 1 형상의 섬유 제품을 접어 만들기 위해 이용되고, 제 2 패턴은 제 2 형상의 섬유 제품을 접어 만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형을 고주파 웰딩 방식으로 원단(100)에 누름으로써 복수개의 패턴을 원단(100)에 형성시킬 수 있다. 금형은 예를 들면, CNC 가공으로 생산된 알루미늄 금형일 수 있다.
단계 S305에서 원단(100)의 모서리에 복수개의 고리(10, 12, 14, 16)를 부착할 수 있다.
단계 S307에서 원단(100)에 복수개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원단
110: 연결 부재
120: 가방끈

Claims (5)

  1. 서로 다른 복수의 패턴 세트가 형성된 하나의 사각형 원단을 이용하여 여러 형상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접이식 섬유 제품으로서,
    상기 원단은 안감, 충전재 및 겉감을 순서대로 겹쳐서 구성되고,
    상기 각 패턴 세트는 상기 원단을 용이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오목한 패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패턴 세트는, 상기 원단의 제1 대각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1 사선 패턴과 제2 사선 패턴; 상기 원단의 제2 대각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제3 사선 패턴과 제4 사선 패턴; 상기 제1 사선 패턴과 상기 제3 사선 패턴의 교차점으로부터 이에 인접한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1 연결 패턴; 상기 제2 사선 패턴과 상기 제3 사선 패턴의 교차점으로부터 이에 인접한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2 연결 패턴; 상기 제2 사선 패턴과 상기 제4 사선 패턴의 교차점으로부터 이에 인접한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연결 패턴; 및 상기 제1 사선 패턴과 상기 제4 사선 패턴의 교차점으로부터 이에 인접한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4 연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각 사선 패턴의 끝단에는 상기 각 사선 패턴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원단이 상기 각 연결 패턴을 기준으로 접힌 상태에서 상기 각 연결 패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홀들에 연결부재를 관통시켜 고정되고,
    별도의 접착제 없이 각 패턴 세트마다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홀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형상의 제품으로 조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섬유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턴 세트를 접어서 제품으로 조립할 때, 상기 제1 내지 제4 사선 패턴은 상기 제1 내지 제4 연결 패턴과는 접는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섬유 제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선 패턴은 상기 제2 사선 패턴과 평행하고, 상기 제3 사선 패턴은 상기 제4 사선 패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섬유 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선 패턴 사이의 교차점으로 이루어진 면은 제품의 밑판을 구성하는 접이식 섬유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고리를 더 포함하는 접이식 섬유 제품.
KR1020180167058A 2018-12-21 2018-12-21 접이식 섬유 제품 KR101974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58A KR101974361B1 (ko) 2018-12-21 2018-12-21 접이식 섬유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058A KR101974361B1 (ko) 2018-12-21 2018-12-21 접이식 섬유 제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242U Division KR20180002305U (ko) 2018-05-24 2018-05-24 접이식 섬유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45A KR20190000345A (ko) 2019-01-02
KR101974361B1 true KR101974361B1 (ko) 2019-05-02

Family

ID=6502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058A KR101974361B1 (ko) 2018-12-21 2018-12-21 접이식 섬유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3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832A (ja) 2002-12-03 2004-01-29 Chie Inagaki 小袋つき手さげ袋の作成方法
KR101118233B1 (ko) 2011-09-30 2012-03-16 한성민 접이식 형상변형 핸드백
JP2013124438A (ja) 2011-12-16 2013-06-24 Nakajima Press Co Ltd 布生地の形状記憶方法
KR101471290B1 (ko) 2013-05-20 2014-12-10 권민서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832A (ja) 2002-12-03 2004-01-29 Chie Inagaki 小袋つき手さげ袋の作成方法
KR101118233B1 (ko) 2011-09-30 2012-03-16 한성민 접이식 형상변형 핸드백
JP2013124438A (ja) 2011-12-16 2013-06-24 Nakajima Press Co Ltd 布生地の形状記憶方法
KR101471290B1 (ko) 2013-05-20 2014-12-10 권민서 놀이 매트를 겸한 놀이완구 정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45A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9313B2 (ja) 装飾物作製用補助具、および装飾物作製方法
KR20170122396A (ko) 자동차용 시트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1974361B1 (ko) 접이식 섬유 제품
US4324004A (en) Method for making fused collars and product resulting therefrom
KR20180002305U (ko) 접이식 섬유 제품
US3435463A (en) Alteration of permanently pressed garments
KR100970320B1 (ko) 입체감을 갖도록 한 장식밴드.
JP4286811B2 (ja) テープ付きファスナ
US3783156A (en) Method of making beaded article
WO2018135680A1 (ko) 접이식 섬유 제품 및 접이식 섬유 제품의 가공 방법
US4610899A (en) Rosette ribb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157957B1 (ko) 싸개 단추의 제조 방법
US10618347B2 (en) Film three-dimensional mesh fabri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19214296A (ja) シート
JP6389111B2 (ja) 帽子の製造方法
KR102077170B1 (ko) 의류용 인쇄 장치
JP7227599B2 (ja) 包装材の製造方法
KR101480319B1 (ko) 장식용 끈 및 그 제조방법
JP3068254U (ja) 多目的装飾品
KR100462280B1 (ko) 섬유원단의 주름 성형장치
RU216156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тексти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KR101946558B1 (ko) 엠보디자인 주름원단 제조방법
KR200315994Y1 (ko) 섬유원단의 주름 성형장치
TWI604102B (zh) Hot pressing forming method of embossed pattern on clothing
KR20070097161A (ko) 의류 접이용 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