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170B1 - 의류용 인쇄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용 인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170B1
KR102077170B1 KR1020170145065A KR20170145065A KR102077170B1 KR 102077170 B1 KR102077170 B1 KR 102077170B1 KR 1020170145065 A KR1020170145065 A KR 1020170145065A KR 20170145065 A KR20170145065 A KR 20170145065A KR 102077170 B1 KR102077170 B1 KR 10207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printing
clothing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005A (ko
Inventor
이승금
채형덕
Original Assignee
이승금
채형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금, 채형덕 filed Critical 이승금
Priority to KR102017014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1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4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combined with embossing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는 하부 플레이트, 상부 플레이트, 연결부, 및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고,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에 엠보싱 패턴의 인쇄시 상기 엠보싱 패턴이 디자인된 금형을 가열할 수 있는 열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직하게 연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 수직하게 기립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 수직하게 기립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용 인쇄 장치{Apparatus for printing on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용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에 올록볼록한 형태의 엠보싱 패턴을 인쇄하기 위한 의류용 인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을 수 있는 의류에 올록볼록한 형태의 엠보싱(embossing) 패턴은 의류의 바깥쪽에 스크린 인쇄를 수행한 후, 스크린 인쇄된 의류의 안쪽에 실리콘을 접착시켜 압착 성형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엠보싱 패턴을 형성할 때에는 의류의 바깥쪽 및 안쪽에서 인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의류를 뒤집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엠보싱 패턴의 인쇄시 의류는 의류가 신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쇄 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사각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엠보싱 패턴의 인쇄시 의류는 사각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의류를 뒤집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에는 엠보싱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다만,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를 만들기 위한 원단의 경우에는 뒤집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엠보싱 패턴을 어렵지 않게 인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종래에는 원단에 엠보싱 패턴을 인쇄한 후 엠보싱 패턴이 인쇄된 원단을 사용하여 의류를 만들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에 원하는 엠보싱 패턴을 자유롭게 인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에 원하는 엠보싱 패턴을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는 의류용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는 하부 플레이트, 상부 플레이트, 연결부, 및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고,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에 엠보싱 패턴의 인쇄시 상기 엠보싱 패턴이 디자인된 금형을 가열할 수 있는 열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직하게 연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 수직하게 기립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 수직하게 기립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엠보싱 패턴의 인쇄시 상기 의류의 인쇄 부분이 상기 열판 쪽을 향하도록 상기 의류를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입히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가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기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의류는 상기 인쇄 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사각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사각 프레임은 상기 의류를 접은 상태에서 뒤집을 수 있게 어느 일 방향으로 접을 수 있거나 휘어질 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부분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수직하게 기립하는 단부의 안쪽 일부분이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패턴의 인쇄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열판 상에 양각 구조 또는 음각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열판을 가열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입혀지는 상기 의류의 인쇄 부분을 향해서 상기 양각 구조 또는 음각 구조 중 다른 하나의 금형으로 가압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열판을 가열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의류에 스크린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는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를 상부 플레이트에 입힌 상태에서 스크린 인쇄 및 엠보싱 패턴의 형성을 위한 압착 성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를 사용하는 인쇄에서는 양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접을 수 있거나 휘어질 수 있는 사각 프레임에 의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는 사각 프레임을 접거나 휘어지게 하여 의류를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고,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에 의류를 입힌 상태에서 스크린 인쇄 및 엠보싱 패턴의 형성을 위한 압착 성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에 원하는 엠보싱 패턴을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는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에 원하는 엠보싱 패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코디가 가능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의류용 인쇄 장치에서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의류용 인쇄 장치를 사용하는 인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사각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1)(이하, '의류'라고 한다)로서 의류의 앞면에 올록볼록한 형태의 엠보싱 패턴(3)이 인쇄되어 있다. 의류(1)는 원단을 앞장과 뒷장으로 하여 재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류(1)는 속옷, 셔츠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의 의류(1)는 원단 자체가 아닌 의류 자체에 인쇄를 통하여 엠보싱 패턴(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의류용 인쇄 장치에서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에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100)(이하, '인쇄 장치'라 한다)는 엠보싱 패턴을 인쇄하는 공정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크린 인쇄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장치(100)는 스크린 인쇄 및/또는 엠보싱 패턴의 인쇄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100)는 하부 플레이트(11), 상부 플레이트(13), 연결부(17), 지지부(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1)는 바닥면 등에 놓이는 것으로서, 인쇄 장치(100) 전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3)는 하부 플레이트(11)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3)에는 금형을 가열할 수 있는 열판(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부 플레이트(13)는 열판(15)을 사용하여 의류에 엠보싱 패턴을 인쇄할 때 엠보싱 패턴이 디자인된 금형을 가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부 플레이트(13)는 의류에 엠보싱 패턴의 인쇄시 상부 플레이트(13)의 열판(15) 상에 엠보싱 패턴이 디자인된 금형을 안착시켜서 가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엠보싱 패턴의 인쇄시 상부 플레이트(13)에 의류가 입혀져야 하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엠보싱 패턴의 인쇄뿐만 아니라 스크린 인쇄를 수행할 때에도 상부 플레이트(13)에 의류가 입혀져야 하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 즉,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장치(100)를 사용하는 스크린 인쇄 및/또는 엠보싱 패턴의 인쇄에서는 의류의 인쇄 부분이 열판(15) 쪽을 향하도록 의류를 상부 플레이트(13)에 입혀야 하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앞장과 뒷장으로 이루어지는 의류가 상부 플레이트(13)에 끼워져야 하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에, 연결부(17)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연결부(17)는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를 수직하게 연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상부 플레이트(13)에 의류가 입혀지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의류를 상부 플레이트(13)에 입힐 때 연결부(17)가 방해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연결부(17)는 상부 플레이트(13) 및 하부 플레이트(11) 단부 각각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9)는 연결부(17)의 맞은편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연결부(17)가 상부 플레이트(13) 및 하부 플레이트(1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경우 지지부(19)는 상부 플레이트(13) 및 하부 플레이트(11)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9)는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연결부(19) 쪽에서는 상부 플레이트(13)로 의류를 입힐 수 없을 것이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9) 쪽에서 상부 플레이트(13)로 의류를 입힐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지부(19)는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부 플레이트(13)로부터 하부 플레이트(11)로 수직하게 기립하거나 또는 하부 플레이트(11)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3)로 수직하게 기립하여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부(19)는 상부 플레이트(13)에 의류를 입힐 때에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크린 인쇄 및/또는 엠보싱 패턴의 인쇄의 수행시에는 상부 플레이트(13)로부터 하부 플레이트(11)로 수직하게 기립하거나 또는 하부 플레이트(11)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3)로 수직하게 기립하여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3)에 의류가 입혀질 때 지지부(19) 쪽에는 의류의 목 부분이 위치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19)는 상부 플레이트(13)의 일부분 및 하부 플레이트(11)의 일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부(19)는 상부 지지부(23) 및 하부 지지부(21)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그리고 하부 지지부(21)가 상부 지지부(23) 쪽으로 기립하여 스크린 인쇄 및/또는 엠보싱 패턴의 인쇄를 수행할 때 상부 플레이트(13) 및 하부 플레이트(11)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9)는 수직하게 기립하는 단부의 안쪽 일부분이 경사진 구조(25)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19)의 단부 일부분을 경사진 구조(25)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은 지지부(19)가 상부 플레이트(13) 또는 하부 플레이트(11)를 지지하도록 수직하게 기립할 때 상부 플레이트(13) 또는 하부 플레이트(11)에 가할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지지부(19)가 경사진 구조(25)를 갖지 않고 상부 플레이트(13) 또는 하부 플레이트(11)와 수평한 평면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지지부(19)가 상부 플레이트(13) 또는 하부 플레이트(11)에 스크레치를 만들면서 수직하게 기립할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에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지지부(19)는 하부 지지부(21)의 단부 안쪽 일부분을 경사진 구조(25)를 갖도록 형성하여 하부 지지부(21)가 상부 지지부(23) 쪽으로 별다른 손상 없이 수직하게 기립하여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언급한 인쇄 장치를 사용하여 의류에 스크린 인쇄 및 엠보싱 패턴의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의류용 인쇄 장치를 사용하는 인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의류(1)에 스크린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류(1)를 상부 플레이트(13)에 입힌다. 즉, 의류(1)를 상부 플레이트(13)에 끼우는 것이다. 의류(1)의 목 부분이 지지부(19) 쪽을 향하도록 의류(1)를 상부 플레이트(13)에 입힌다.
또한, 스크린 인쇄를 위한 의류(1)의 스크린 인쇄 부분이 상부 플레이트(13)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의류(1)를 상부 플레이트(13)에 입힌다.
그리고 지지부(19)를 수직하게 기립시켜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를 지지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하부 지지부(21)를 상부 지지부(23) 쪽으로 수직하게 기립시켜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를 지지한다.
이어서 의류(1)를 상부 플레이트(13)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의류(1)의 바깥쪽 부분에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특히, 스크린 인쇄의 수행에서는 가열이 필요 없기 때문에 상부 플레이트(13)의 열판(15)을 가동시키지 않는다. 즉, 상부 플레이트(13)의 열판(15)을 가열하지 않는 상태에서 의류(1)에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의류(1)는 원단 자체의 상, 하, 좌, 우 신축성으로 인하여 스크린 인쇄할 위치와 엠보싱 패턴을 인쇄할 위치를 핀을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의류(1)를 고정시키는 별도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원단 자체의 신축성을 최대한 방지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사각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1에서의 인쇄 장치(100)를 사용하는 스크린 인쇄 및/또는 엠보싱 패턴의 인쇄시 의류를 고정시키기 위한 사각 프레임(40, 60)으로서, 의류의 인쇄 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언급한 바와 같이 신축성을 최대한 방지하고자 사각 프레임(40, 60)에 고정시킨 의류를 상부 플레이트에 입힌 후 스크린 인쇄 및/또는 엠보싱 패턴의 인쇄를 수행하는 것이다. 사각 프레임(40, 60)에서의 의류는 접착제, 벨크로(velcro), 양면 테이트 등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스크린 인쇄를 수행한 후 상부 플레이트(13)로부터 의류(1)를 벗겨낸다. 그리고 스크린 인쇄가 이루어진 의류(1)의 안쪽에 실리콘을 인쇄해야 한다. 이에, 스크린 인쇄가 이루어진 의류(1)를 뒤집어야 한다.
그러나 의류(1)가 사각 프레임(40, 60)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사각 프레임(40, 60)의 크기 등을 고려할 때 스크린 인쇄가 이루어진 의류(1)를 용이하게 뒤집을 수가 없을 것이다.
이에,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의류를 접을 상태에서 뒤집을 수 있게 사각 프레임(40)을 양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사각 프레임(40)이 접혀지는 부분은 그 개수에 제한이 없다. 또한, 사각 프레임(40)은 경첩, 핀 등과 같은 접혀지는 구조물(41)을 적용함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의류를 돌돌 말아진 상태에서 뒤집을 수 있게 사각 프레임(60)을 양 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사각 프레임(60) 중 휘어지는 일 방향에는 휘어질 수 있는 밴드(61) 및 펴졌을 때 수평을 지탱할 수 있는 받침대(63)가 일체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사각 프레임(40, 60)을 접거나 휘어지게 하여 의류(1)를 접은 상태 또는 휘어진 상태를 갖도록 함으로서 의류(1)를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스크린 인쇄가 이루어진 의류(1)가 사각 프레임(40, 60)에 고정되어 있어도 사각 프레임(40, 60)을 접거나 또는 휘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의류(1)를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스크린 인쇄가 이루어진 의류(1)를 뒤집은 후 스크린 인쇄가 이루어진 의류(1)의 안쪽 부분에 실리콘을 인쇄한다.
여기서, 실리콘의 인쇄 또한 의류(1)의 바깥쪽에 스크린 인쇄와 동일한 공정을 수행함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즉, 실리콘을 인쇄하기 위한 의류(1)를 상부 플레이트(13)에 입힌 후 스크린 인쇄를 수행함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실리콘의 인쇄에서는 의류(1)의 안쪽 부분이 상부 플레이트(13)의 바깥쪽을 향하도록 한다. 즉, 실리콘의 인쇄가 이루어지는 의류(1)의 안쪽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실리콘의 인쇄가 이루어진 의류의 안쪽 부분에 별도의 원단을 인쇄 크기만큼 덧대어 접착시킨다.
이어서, 다시 상부 플레이트(13)로부터 의류를 벗겨낸 후 다시 의류(1)를 뒤집어서 의류(1)의 바깥쪽에 스크린 인쇄가 이루어진 부분이 노출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부 플레이트(13)에 스크린 인쇄가 이루어진 부분이 노출되면서 실리콘 및 원단이 덧대어진 부분이 열판(15)을 향하도록 의류(1)를 상부 플레이트(13)에 입힌다. 또한, 지지부(19)를 사용하여 상부 플레이트(13)와 하부 플레이트(11) 사이를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의류(1)에 올록볼록한 형태의 엠보싱 패턴이 형성되도록 엠보싱 패턴의 인쇄를 수행한다.
엠보싱 패턴의 인쇄는 상부 플레이트(13)의 열판(15) 상에 양각 구조 또는 음각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금형(3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13)의 열판(15)을 가열함과 아울러 상부 플레이트(13)에 입혀지는 의류(11)의 인쇄 부분을 향해서 양각 구조 또는 음각 구조 중 다른 하나의 금형(33)으로 가압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3)의 가압은 다른 금형(33)을 탑재하는 프레싱 부재(35)에 의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장치(100)는 사각 프레임(40, 60)을 접거나 휘어지게 하여 의류(1)를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고, 그리고 상부 플레이트(13)에 의류(1)를 입힌 상태에서 스크린 인쇄 및 엠보싱 패턴의 형성을 위한 압착 성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1)에 원하는 엠보싱 패턴을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장치(100)는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1)에 원하는 엠보싱 패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코디가 가능할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의류용 인쇄 장치는 기성복에 충분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류를 제조하는 산업 부분보다는 의류를 코디하는 산업 부분에 보다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 : 의류 3 : 엠보싱 패턴
11 : 하부 플레이트 13 : 상부 플레이트
15 : 열판 17 : 연결부
19 : 지지부 21 : 하부 지지부
23 : 상부 지지부 25 : 경사진 구조
31, 33 : 금형 35 : 프레싱 부재
40, 60 : 사각 프레임 41 : 접혀지는 구조물
61 : 밴드 63 : 받침대
100 : 인쇄 장치

Claims (5)

  1.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고, 입을 수 있는 형태의 의류에 엠보싱 패턴의 인쇄시 상기 엠보싱 패턴이 디자인된 금형을 가열할 수 있는 열판이 구비되는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수직하게 연결시키도록 구비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 수직하게 기립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상부 플레이트로 수직하게 기립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엠보싱 패턴의 인쇄시 상기 의류의 인쇄 부분이 상기 열판 쪽을 향하도록 상기 의류를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입히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가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기동시키고,
    상기 의류는 상기 인쇄 부분이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사각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사각 프레임은 상기 의류를 접은 상태에서 뒤집을 수 있게 어느 일 방향으로 접을 수 있거나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인쇄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일부분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일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인쇄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수직하게 기립하는 단부의 안쪽 일부분이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인쇄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패턴의 인쇄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열판 상에 양각 구조 또는 음각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금형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열판을 가열함과 아울러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입혀지는 상기 의류의 인쇄 부분을 향해서 상기 양각 구조 또는 음각 구조 중 다른 하나의 금형으로 가압시킴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열판을 가열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의류에 스크린 인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용 인쇄 장치.
KR1020170145065A 2017-11-02 2017-11-02 의류용 인쇄 장치 KR10207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065A KR102077170B1 (ko) 2017-11-02 2017-11-02 의류용 인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065A KR102077170B1 (ko) 2017-11-02 2017-11-02 의류용 인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005A KR20190050005A (ko) 2019-05-10
KR102077170B1 true KR102077170B1 (ko) 2020-04-07

Family

ID=6658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065A KR102077170B1 (ko) 2017-11-02 2017-11-02 의류용 인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2670B (zh) * 2019-11-08 2021-08-10 杨至博 压花印色纺织品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7934A (ja) * 2003-03-17 2004-10-07 Shiga Pref Gov 絹織物表面賦型方法及び絹布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1251A (ja) * 1995-07-28 1997-02-10 Kyodo Kumiai Zou Shudan 撥水布に合成樹脂立体模様の形成付着方法
KR101067898B1 (ko) * 2008-12-26 2011-09-27 덕 희 홍 바지용 열 전사 장치
KR20180114645A (ko) * 2017-04-11 2018-10-19 덕 희 홍 직물지 원단의 엠보싱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7934A (ja) * 2003-03-17 2004-10-07 Shiga Pref Gov 絹織物表面賦型方法及び絹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005A (ko)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71927B (zh) 一种折叠式熨烫板组件及熨烫装置
KR20090094024A (ko)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한 의류인쇄방법 및 의류인쇄 시스템
JP2004504913A (ja) 半製品の靴,衣類及び装身具の防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並びにその方法による半製品製造物
KR102077170B1 (ko) 의류용 인쇄 장치
ITVE20070036A1 (it) Macchina decoratrice di placchette metalliche.-
CN113524890B (zh) 一种服装面料印花方法及装置
US5840153A (en) Transfer sheet assembly for wrap around design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US20130081212A1 (en) Clothing press apparatus and method
CA2329202A1 (en) Fabric product fixing device
KR20100060987A (ko) 의류의 전사장치및 전사방법
CN109515011B (zh) 台板结构及打印系统
KR101415675B1 (ko) 기능성 의류의 전사 인쇄 방법
JP2002191900A (ja) 生地の整形仕上げ方法および装置
KR101609728B1 (ko) 셔츠 프레스 및 이의 제어 방법
JP6115657B2 (ja) 熱転写プリント加工品の転写方法
KR101915218B1 (ko) 셔츠 프레스
KR101067898B1 (ko) 바지용 열 전사 장치
JP2015040368A (ja) 転写用縫製品
CN115627648A (zh) 一种服装的印花工艺
KR100826034B1 (ko) 칼라의 신장 기능이 구비된 셔츠 마무리기
CN209346151U (zh) 印有预定图案的衣服
KR20080114436A (ko) 바지 주름펴는 도구
JP4409536B2 (ja) カラーの伸張機能付きシャツ仕上げ機
CN107304519B (zh) 熨衣板
JP3097947U (ja) 縦型プレス仕上げ機の袖タックプレ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