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116B1 -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116B1
KR101974116B1 KR1020190007388A KR20190007388A KR101974116B1 KR 101974116 B1 KR101974116 B1 KR 101974116B1 KR 1020190007388 A KR1020190007388 A KR 1020190007388A KR 20190007388 A KR20190007388 A KR 20190007388A KR 101974116 B1 KR101974116 B1 KR 101974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ver
container
disposable container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성
Original Assignee
(주)에어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어리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07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기의 음료 인출부 내에 위치된 일회용 용기 내로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토출부, 상기 음료 토출부가 관통되어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일회용 용기의 상부를 적어도 일부분 덮어 상기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를 포함하여 음료 토출부로 음료를 토출시켜 종이컵 등의 일회용 용기 내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이 방지되어 음료 인출부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음료 인출부의 내부와 도어부를 장기간 깨끗하게 유지하여 구매 시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BEVERAGE DISCHARGE STRUCTURE FOR VENDING MACHINE AND VEND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커피 또는 차 등의 음료를 종이컵 등의 일회용 용기에 담아 판매하는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에서 일회용 용기에 음료를 공급할 때 음료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커피, 캔이나 팩에 저장된 음료, 과자, 도서류 등의 각종 상품을 무인 판매 방식으로 판매하는 장치이다.
자동판매기는 별도의 인력 없이도 물품을 판매할 수 있는 장점과 전기가 공급되는 소정의 공간에 어디든지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즉, 자동판매기는 판매 시간과 설치장소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고 제품을 판매할 수 있어 점차 사용이 증대되고 있고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자동판매기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술 개발로 다양한 승차권, 음료, 담배를 넘어서 과자, 장난감, 책, 화장품 등을 판매하는 자판기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커피와 차 등에 대한 관심과 수요 증가로 인스턴트 커피 뿐만 아니라 원두커피를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커피와 차를 무인 방식으로 판매하는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에 대한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커피, 차 등의 음료를 일회용 용기에 담아 판매하는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는 제품 인출부 내에 종이컵을 위치시킨 후 음료 토출부로 커피 또는 차 등의 음료를 종이컵으로 주입시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는 음료 토출부로 음료를 토출시켜 종이컵 내로 주입할 때 음료의 토출 압력에 의해 음료가 종이컵의 내측면에 부딪치면서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종래의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는 음료 토출부로 음료를 토출시켜 종이컵 내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튀는 음료에 의해 제품 인출부의 내부가 지저분해져 위생상 문제가 발생되고, 구매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음료 토출부로 음료를 토출시켜 종이컵 내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종이컵의 외부로 튄 음료가 제품 인출부를 개폐하는 도어부의 내측면에 튀는 경우 도어부가 지저분해져 구매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고, 관리자가 수시로 도어부를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0001)한국특허등록 제1918601호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2018.11.08.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토출부로 음료를 토출시켜 종이컵 등의 일회용 용기 내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이 방지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기의 음료 인출부 내에 위치된 일회용 용기 내로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토출부, 상기 음료 토출부가 관통되어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일회용 용기의 상부를 적어도 일부분 덮어 상기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는 상기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 일부분을 커버하는 커버판부 및 상기 커버판부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커버판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하부 커버용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는 상기 음료 토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상부에는 토출관 관통부가 위치된 커버 결합부가 상부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는 상기 커버 결합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세트 스크류의 체결에 의해 상기 음료 토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회용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면적을 증대시키는 보조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 커버부는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외측둘레 중 일부를 감싸는 제1보조 커버부재 및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외측둘레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며 상기 제1보조 커버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보조 커버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보조 커버부재의 단부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커버 결합돌기가 위치되고, 상기 제1보조 커버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보조 커버부재의 단부 측 중 다른 한 측에는 상기 커버 결합돌기가 끼워 결합되는 돌기 끼움홈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보조 커버부재의 내주면과 제2보조 커버부재의 내주면에는 각각 보조 결합돌기가 위치되고,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외주면에는 보조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보조 끼움홈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보조 커버부재와 상기 제2보조 커버부재를 전, 후 이동시켜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시키거나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에서 분리시키는 제1커버 이동부와 제2커버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을 세척하는 커버 세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세척부는 상기 음료 토출부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 세척부는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에 묻는 세척수를 닦아 제거하는 회전 와이퍼부 및 상기 회전 와이퍼부를 회전시키는 와이퍼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 와이퍼부는 상기 음료 토출부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음료 토출부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회전링부재, 상기 회전링부재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회전 날개부재 및 상기 회전 날개부재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와이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는 본체부에 위치된 음료 인출부 내로 일회용 용기를 위치시킨 후 음료 토출 구조체로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를 일회용 용기 내로 토출시켜 음료를 판매하는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이며, 상기 음료 토출 구조체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는 상기 음료 인출부의 바닥에 위치되고 상기 일회용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 받침부재, 상기 용기 받침부재 상에서 상기 일회용 용기의 양측에 위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일회용 용기의 위치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 및 상기 용기 받침부재를 승하강하는 받침 승하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료 토출부로 음료를 토출시켜 종이컵 등의 일회용 용기 내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이 방지되어 음료 인출부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인출부의 내부와 도어부를 장기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 관리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인출부의 내부와 도어부를 장기간 깨끗하게 유지하고, 음료 인출부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여 구매 시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가 적용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가 적용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가 적용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는 판매 중인 음료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면 음료가 담긴 일회용 용기를 음료 인출부(110) 내로 위치시키고, 일회용 용기 내에 해당 음료를 주입하여 기설정된 양만큼 채우는 본체부(1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의 전면에는 판매 중인 커피의 종류 또는 차의 종류 등 음료의 종류를 표시하고, 판매 중인 음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음료 선택부(120) 및 구매하려는 음료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비용 결제부(130)가 위치된다.
비용 결제부(130)는 동전 투입부, 지폐 투입부, 거스름돈 반환부, 신용카드 결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현금 또는 신용카드로 제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다.
또한, 비용 결제부(130)는 구매자의 스마트폰과 무선통신으로 통신하여 결제할 수 있는 스마트 페이 결제부를 더 포함하여 구매자가 스마트폰의 스마트 결제 시스템으로 간단하게 비용을 결제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비용 결제부(130)는 공지의 비용 결제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음료 선택부(120)는 판매되는 복수의 음료 중 어느 한 제품을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여 해당 제품의 선택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선택부(120)는 터치 스크린패널로 구성되어 구매자가 손가락 등으로 화면을 터치하여 판매되는 복수의 제품 중 어느 한 제품을 선택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음료 인출부(110)의 바닥에는 종이컵 등의 일회용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용기 받침부재(111)가 위치되고, 일회용 용기는 용기 공급부에 의해 음료 인출부(110) 내로 공급된다.
음료 인출부(110)는 전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도어부(111)에 의해 개폐된다.
본체부(100) 내에는 다수의 일회용 용기가 보관되는 용기 보관부 및 용기 보관부에서 일회용 용기를 음료 인출부(110) 내로 인출시켜 공급하는 용기 공급부가 위치된다.
또한, 본체 내에는 선택된 음료를 토출시켜 음료 인출부(110) 내에 위치된 빈 일회용 용기 내로 담는 음료 토출 구조체(200) 및 음료 토출 구조체(200)로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부가 위치된다.
음료 공급부는 선택된 음료의 종류 즉, 커피 또는 차 등의 음료를 제조하여 음료 토출 구조체(200)로 공급하거가 쥬스 등 기저장된 음료를 토출 구조체로 공급한다.
음료 토출 구조체(200)는 음료 공급부에서 선택된 해당음료를 공급받아 음료 토출부(210)로 토출하여 음료 인출부(110) 내에 위치된 일회용 용기 내에 공급한다.
용기 공급부는 음료 인출부(110) 내에 위치되는 일회용 용기의 양 측을 잡아 일회용 용기의 위치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112)를 포함하고, 일회용 용기는 용기 지지부(112)의 상부 측에서 낙하되어 용기 지지부(112)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음료 토출부(210)는 직선 이동부에 의해 승하강되거나 전, 후 이동되어 음료를 토출시킬 위치로 위치된다.
음료 토출부(210)는 기설정된 구간 내를 직선 왕복 이동하여 일회용 용기가 음료 인출부(110) 내로 낙하되어 위치될 때 방해가 되지 않는 원위치에서 일회용 용기가 낙하된 후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으로 이동하여 일회용 용기 내로 음료를 토출시킬 수 있는 음료 공급 위치로 이동된다.
음료 토출부(210)는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개방된 일회용 용기 내로 음료를 토출시키며 원위치와 음료 공급 위치 사이에서 직선 왕복 이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음료 토출부(210)는 미사용시 원위치에 위치되어 음료 인출부(110) 내로 일회용 용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위치되고, 일회용 용기가 음료 인출부(110) 내에서 용기 지지부(112)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음료 공급 위치로 이동된 후 음료 인출부(110) 내에 위치된 일회용 용기 내로 음료를 토출하여 공급한다.
본체부(100)에 위치되는 비용 결제부(130), 음료 선택부(120), 용기 보관부, 용기 공급부, 용기 지지부(112), 음료 공급부, 음료 토출부(210), 직선 이동부는 커피, 차 등의 음료를 종이컵 등의 일회용 용기에 담아 판매하는 공지의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에서 공지된 구성을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즉, 본체부(100)는 비용 결제부(130)에서 비용을 결제하고 음료 선택부(120)에서 음료가 선택되면 용기 공급부에서 일회용 용기를 음료 인출부(110) 내로 위치시킨 후 직선 이동부가 음료 토출부(210)를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에 위치시키고, 음료 공급부가 음료를 음료 토출부(210)로 공급하여 음료 토출부(210)를 통해 음료가 토출되어 일회용 용기 내로 기설정된 양만큼 공급하며 음료의 토출이 완료된 후 도어부(111)를 열어 음료 인출부(110) 내에서 일회용 용기를 인출시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의 구조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은 음료 토출부(210)에 일회용 용기의 상부를 적어도 일부분 덮어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가 위치되는 것이다.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음료 토출부(210)가 관통되는 토출관 관통부가 위치된다.
음료 토출부(210)는 토출관 관통부를 관통하여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일회용 용기의 상부 내로 음료를 토출한다.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 일부분을 커버하는 커버판부(221), 커버판부(221)의 둘레를 감싸며 커버판부(221)의 하부로 돌출되는 하부 커버용 테두리부(222)를 포함한다.
커버판부(221)는 원형으로 형성된 원판부인 것을 일 예로 하고, 토출관 관통부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그리고, 주로 사용되는 일회용 용기인 종이컵의 형상을 고려하여 커버판부(221)는 원형으로 형성된 원판부인 것을 일 예로 하고, 토출관 관통부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커버판부(221)는 일회용 용기의 상부에서 일회용 용기의 중심에 위치되어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으로 튀는 음료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커버판부(221)의 외측 둘레를 하부 커버용 테두리부(222)로 감싸 일회용 용기 내로 음료가 토출되어 공급될 때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으로 튀는 음료가 외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더 확실하게 방지한다.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음료 토출부(210)에 결합되어 일회용 용기의 개방된 상부 측을 적어도 일부분 덮어 음료 토출부(210)에서 음료가 토출되고 토출된 음료가 일회용 용기의 내측면에 부딪쳐 튈 때 음료가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음료 토출부(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음료 토출부(210)에 억지끼움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세트 스크류(220c)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공지의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토출관 관통부가 위치된 커버 결합부(220b)가 커버판부(221)의 상부 측으로 돌출되고, 커버 결합부(220b)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세트 스크류(220c)의 체결에 의해 음료 토출부(21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세트 스크류(220c)를 풀어 음료 토출부(2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음료 토출부(210)에서 분리되어 세척된 후 다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일회용 용기의 크기에 따라 해당 크기의 일회용 용기에 맞는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200)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회용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면적을 증대시키는 보조 커버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커버부(230)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외측둘레 중 일부를 감싸는 제1보조 커버부재(231),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외측둘레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며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 커버부재(232)를 포함한다.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원형의 원판부와 원판부를 감싸고 원판부의 하부 측으로 돌출되는 하부 커버용 테두리부(222)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는 하부 커버용 테두리부(222)의 외측면을 각각 절반씩 감싸는 반원형 링체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반원형 링체인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 커버용 테두리부(222)를 감싸는 구조를 가져 일회용 용기의 용량 즉, 일회용 용기의 크기에 따라 일회용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제1보조 커버부재(231)의 단부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의 단부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커버 결합돌기(231a)가 위치되고, 제1보조 커버부재(231)의 단부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의 단부 측 중 다른 한 측에는 커버 결합돌기(231a)가 결합되는 돌기 끼움홈(232a)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 커버부재(231)의 내주면과 제2보조 커버부재(232)의 내주면에는 각각 보조 결합돌기(233)가 위치되고,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외주면에는 보조 결합돌기(233)가 끼워져 결합되는 보조 끼움홈(234)이 위치될 수 있다.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되어 양 단부 측에 위치되는 커버 결합돌기(231a)가 돌기 끼움홈(232a)에 끼워져 결합되고, 보조 결합돌기(233)가 보조 끼움홈(234)에 끼워 결합됨으로써 서로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200)는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를 전, 후 이동시켜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시키거나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에서 분리시키는 제1커버 이동부(240)와 제2커버 이동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는 음료 인출부(110)의 양 측면에서 본체부(100)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고, 제1커버 이동부(240)와 제2커버 이동부(250)의 작동으로 음료 인출부(110)의 양 측면에서 각각 이동되어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는 미사용 시 반대로 이동되어 본체부(100) 내로 삽입되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커버 이동부(240)와 제2커버 이동부(250)는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를 전, 후 이동시켜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시키거나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에서 분리시켜 원위치로 복귀시켜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을 커버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구매자가 음료 선택에 따라 일회용 용기의 크기가 일반 용량인 경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로만 일반 용량의 일회용 용기의 상부를 덮어 커버한다.
그리고,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의 용량에 의해 일회용 용기보다 큰 대용량의 일회용 용기가 음료 인출부(110) 내에 위치되는 경우 제1커버 이동부(240)와 제2커버 이동부(250)는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를 이동시켜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시켜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을 커버하는 면적을 대용량 일회용 용기의 크기에 맞게 증대시킬 수 있다.
음료 인출부(110) 내로 위치되는 일회용 용기의 위치를 안내하고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112)는 일회용 용기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고 음료 인출부(110)의 바닥에 위치되는 용기 받침부재(11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된다.
용기 지지부(112)는 일회용 용기의 낙하 시 일회용 용기의 낙하 이동을 안내하여 정위치로 위치시키고, 스프링(112a)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일회용 용기를 잡아 음료가 담기는 중에 일회용 용기의 위치를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용기 받침부재(111)는 받침 승하강부(113)에 의해 승하강되어 일회용 용기가 음료 인출부(110)의 상부 측에서 낙하되어 음료 인출부(110) 내로 공급될 때 일회용 용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받침 승하강부(113)는 볼스크류를 이용한 공지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된 승하강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음료 구매 신호가 발생되면 받침 승하강부(113)는 용기 받침부재(111)를 승강시켜 용기 지지부(112)를 낙하하는 일회용 용기를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일회용 용기가 낙하되어 용기 받침부재(111)에 안착되면 용기 받침부재(111)를 하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용기 받침부재(111)가 원위치로 복귀된 후 일회용 용기의 크기가 일반 용량 크기인 경우 제1커버 이동부(240)와 제2커버 이동부(250)는 작동하지 않고, 일회용 용기의 크기가 대용량 크기인 경우 제1커버 이동부(240)와 제2커버 이동부(250)의 작동으로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를 이동시켜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시킨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200)는 음료 토출부(210)에서 대용량 일회용 용기 내로 음료를 토출하여 공급할 때 일회용 용기의 외측으로 음료가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 면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제1커버 이동부(240)와 제2커버 이동부(250)는 각각 회전모터(241), 회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부재(242), 제1보조 커버부재(231)와 제2보조 커버부재(232)에 각각 이동 방향으로 길게 위치되며 피니언 기어부재(242)가 맞물리는 레크기어부재(243)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커버 이동부(240)와 제2커버 이동부(250)는 상기한 피니언과 레크 기어 구조 이외에도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 공지의 직선 이동 기기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200)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을 세척하는 커버 세척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세척부(260)는 음료 토출부(21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분사노즐부(261)는 본체부(100) 내에 위치되는 세척수 공급부에 의해 세척수를 공급받아 세척수를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으로 분사한다.
세척수 공급부는 펌프, 세척수 공급 유로 등을 포함한 공지의 세척수 공급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커버 세척부(260)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에 묻는 세척수를 닦아 제거하는 회전 와이퍼부(262), 회전 와이퍼부(262)를 회전시키는 와이퍼 회전부(2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와이퍼부(262)는 음료 토출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외치되고 와이퍼 회전부(263)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 와이퍼부(262)는 음료 토출부(210)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음료 토출부(210)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회전링부재(262a), 회전링부재(262a)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회전 날개부재(262b), 회전 날개부재(262b)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와이퍼부재(262c)를 포함한다.
와이퍼 회전부(263)는 회전모터와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회전 링부재로 전달하여 회전 와이퍼부(262)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지의 회전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는 일회용 용기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일회용 용기 내로 토출되는 음료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므로 하부면에 음료가 튀어 묻을 수 있다.
그리고,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에 지속적으로 음료가 묻으면 하부면에 음료가 굳어 냄새 등이 발생되는 등 위생상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커버 세척부(260)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에 묻은 음료를 제거하여 관리 시 편의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커버 세척부(260)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으로 세척수를 분사한 후 회전 와이퍼부(262)를 회전시켜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220)의 하부면에 잔류되는 세척수를 제거함으로써 최대한 빠르게 세척 과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 세척부(260)의 작동은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의 사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새벽 시간 등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커버 세척부(260)의 작동 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의 판매 작동은 일시 정지되어 커버 세척 중 음료 판매가 판매되는 사고를 방지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음료 토출부(210)로 음료를 토출시켜 종이컵 등의 일회용 용기 내로 주입하는 과정에서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이 방지되어 음료 인출부(110)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인출부(110)의 내부와 도어부(111)를 장기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 관리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인출부(110)의 내부와 도어부(111)를 장기간 깨끗하게 유지하고, 음료 인출부(110)의 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하여 구매 시 만족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본체부 110 : 음료 인출부
111 : 용기 받침부재 112 : 용기 지지부
112a : 스프링 113 : 받침 승하강부
120 : 음료 선택부 130 : 비용 결제부
200 : 음료 토출 구조체 210 : 음료 토출부
220 :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 220a : 토출관 관통부
220b : 커버 결합부 220c : 세트 스크류
221 : 커버판부 222 : 하부 커버용 테두리부
230 : 보조 커버부 231 : 제1보조 커버부재
231a : 커버 결합돌기 232 : 제2보조 커버부재
232a : 돌기 끼움홈 233 : 보조 결합돌기
234 : 보조 끼움홈 240 : 제1커버 이동부
250 : 제2커버 이동부 241 : 회전모터
242 : 피니언 기어부재 243 : 레크기어부재
260 : 커버 세척부 261 : 세척수 분사노즐부
262 : 회전 와이퍼부 262a : 회전링부재
262b : 회전 날개부재 262c : 와이퍼부재
263 : 와이퍼 회전부

Claims (15)

  1.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기의 음료 인출부 내에 위치된 일회용 용기 내로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토출부; 및
    상기 음료 토출부가 관통되어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일회용 용기의 상부를 적어도 일부분 덮어 상기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회용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면적을 증대시키는 보조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커버부는,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외측둘레 중 일부를 감싸는 제1보조 커버부재; 및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외측둘레 중 나머지 부분을 감싸며 상기 제1보조 커버부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는,
    상기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일회용 용기의 상부 측 일부분을 커버하는 커버판부; 및
    상기 커버판부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커버판부의 하부로 돌출되는 하부 커버용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는 상기 음료 토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상부에는 토출관 관통부가 위치된 커버 결합부가 상부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는 상기 커버 결합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세트 스크류의 체결에 의해 상기 음료 토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커버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보조 커버부재의 단부 측 중 어느 한 측에는 커버 결합돌기가 위치되고, 상기 제1보조 커버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2보조 커버부재의 단부 측 중 다른 한 측에는 상기 커버 결합돌기가 끼워 결합되는 돌기 끼움홈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커버부재의 내주면과 제2보조 커버부재의 내주면에는 각각 보조 결합돌기가 위치되고,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외주면에는 보조 결합돌기가 끼워져 결합되는 보조 끼움홈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 커버부재와 상기 제2보조 커버부재를 전, 후 이동시켜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시키거나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에서 분리시키는 제1커버 이동부와 제2커버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을 세척하는 커버 세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 세척부는 상기 음료 토출부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12.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기의 음료 인출부 내에 위치된 일회용 용기 내로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토출부;
    상기 음료 토출부가 관통되어 하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고 상기 일회용 용기의 상부를 적어도 일부분 덮어 상기 일회용 용기의 외부로 음료가 튀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 및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을 세척하는 커버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세척부는,
    상기 음료 토출부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노즐부;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어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에 묻는 세척수를 닦아 제거하는 회전 와이퍼부; 및
    상기 회전 와이퍼부를 회전시키는 와이퍼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 와이퍼부는,
    상기 음료 토출부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음료 토출부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회전링부재;
    상기 회전링부재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회전 날개부재; 및
    상기 회전 날개부재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음료 튐방지용 용기커버부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탄성 재질의 와이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14. 본체부에 위치된 음료 인출부 내로 일회용 용기를 위치시킨 후 음료 토출 구조체로 구매자에 의해 선택된 음료를 일회용 용기 내로 토출시켜 음료를 판매하는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이며,
    상기 음료 토출 구조체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및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의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음료 인출부의 바닥에 위치되고 상기 일회용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 받침부재;
    상기 용기 받침부재 상에서 상기 일회용 용기의 양측에 위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여 상기 일회용 용기의 위치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 및
    상기 용기 받침부재를 승하강하는 받침 승하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KR1020190007388A 2019-01-21 2019-01-21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KR101974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88A KR101974116B1 (ko) 2019-01-21 2019-01-21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88A KR101974116B1 (ko) 2019-01-21 2019-01-21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116B1 true KR101974116B1 (ko) 2019-05-02

Family

ID=6658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388A KR101974116B1 (ko) 2019-01-21 2019-01-21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419B1 (ko) * 2020-06-15 2020-07-21 주식회사 오디너리코퍼레이션 컵 디스펜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357A (ja) * 1993-01-29 1994-08-19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販売口装置
JPH06231359A (ja) * 1993-01-29 1994-08-19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販売口装置
JP2002279519A (ja) * 2001-03-22 2002-09-27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101918601B1 (ko) 2016-12-30 2018-11-1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1357A (ja) * 1993-01-29 1994-08-19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販売口装置
JPH06231359A (ja) * 1993-01-29 1994-08-19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販売口装置
JP2002279519A (ja) * 2001-03-22 2002-09-27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101918601B1 (ko) 2016-12-30 2018-11-1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419B1 (ko) * 2020-06-15 2020-07-21 주식회사 오디너리코퍼레이션 컵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2898B2 (ja) 飲料抽出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3949902A (en) Portable dispensing bar
KR100294512B1 (ko) 자동판매기
TWI623484B (zh) 飲料機
EP0616502B1 (en) Coffee dispenser and brewer apparatus
US5960988A (en) Automatic drinking straw dispensing device
US2077980A (en) Coffee dispenser
KR101974116B1 (ko)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US11045041B2 (en) Multiple compartment decanter for brewer having a rinsing system and versatile pivot
GB2271048A (en) Revolving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US3045719A (en) Dispenser apparatus
JP2008167849A (ja) 飲料供給装置
RU2807625C1 (ru) Съемное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устройст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в транспорте
KR200162571Y1 (ko)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KR0131884Y1 (ko) 커피 냉장고 시스템의 커피 기능록 장치
KR0153157B1 (ko) 커피 음용 기능을 갖는 냉장고 시스템
KR980010902A (ko) 자동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
KR19990028952U (ko) 자동판매기의 컵이송장치
KR200151839Y1 (ko) 자동판매기의 컵공급장치
KR100664321B1 (ko) 변기커버 자동교환기
KR200162570Y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투출통
KR19990011477U (ko) 자동판매기
JPH02168391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装置
KR19990054809A (ko) 자동판매기용 음료배출노즐의 음료맺힘방지장치 및 방법
KR19990016413U (ko) 자동판매기의 원료통설치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