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601B1 -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601B1
KR101918601B1 KR1020160183613A KR20160183613A KR101918601B1 KR 101918601 B1 KR101918601 B1 KR 101918601B1 KR 1020160183613 A KR1020160183613 A KR 1020160183613A KR 20160183613 A KR20160183613 A KR 20160183613A KR 101918601 B1 KR101918601 B1 KR 101918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ed
product
goods
product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646A (ko
Inventor
윤성훈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6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상품을 보관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판매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고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상품을 연속적으로 선택받는 상품 선택부, 상기 상품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상품의 원료별 투입 정보에 기초해서 각 원료를 투출하여 상품을 제조하는 상품 제조부 및 상기 상품 선택부를 통해 복수의 상품이 선택된 경우, 모든 상품의 제조가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투출함 내부에 보관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제조상품 보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받고, 복수의 상품이 선택된 경우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보관함 내부에 보관하고, 모든 상품이 제조되면 보관된 상품을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VENDING MACHINE AND GOODS VEN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나 차와 같은 복수의 상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해서 판매하는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커피, 캔이나 팩에 저장된 음료, 과자, 도서류 등의 각종 상품을 무인 판매 방식으로 판매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판매시간과 설치장소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고, 신속하게 원하는 상품을 획득할 수 있어, 그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은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등 다수에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 기술을 개시하여 출원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메뉴선택부,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원료 및 물을 소정 비율로 혼합한 후 취출구로 투출하는 원료공급부 및 취출구로 투출되는 음료수를 수용하기 위한 컵을 투출하는 컵 공급부를 포함하고, 원료공급부는 꿀물을 저장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꿀물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양만큼 선택적으로 투출하는 꿀물공급장치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수, 냉수 및 상온의 물을 소정 비율로 제공하기 위한 물공급장치를 포함하여 하나의 자동판매기에 의해서 서양차와 동양차 및 동/서양차의 혼합차를 제공하는 자동판매기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캔이나 병에 담긴 음료, 콘이나 바 형태의 아이스크림, 육면체 형상의 상품 등 크기와 형상이 다양한 상품을 반출하는 자동판매기용 반출장치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선반 인식부와 칼럼 검출부 및 칼럼 종류 검출부를 통해 선반의 존재 유·무와 칼럼의 존재 유·무 및 칼럼의 종류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선반의 존재 유·무 정보와 칼럼의 존재 유·무 정보 및 칼럼의 종류 정보를 기초로 선반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선반 제어 정보를 메모리에 등록하는 멀티자동판매기의 선반제어방법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동판매기는 판매하는 상품에 따라 커피나 차와 같이 컵에 상품을 수납해서 판매하는 컵 자동판매기, 캔이나 PET에 수용된 상품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 음료뿐만 아니라, 책이나 화장지 등 다양한 형상의 상품을 함께 판매하는 멀티 자동판매기 등 다양하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3-0038863호(2013년 5월 17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16010호(2014년 7월 8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16022호(2014년 7월 8일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컵 음료 자동판매기는 투출함에 하나의 컵 홀더가 마련됨에 따라, 하나의 상품을 선택받아 제조하여 투출구를 통해 제조된 상품이 투출된 이후, 다시 다음 상품을 선택받아 제조해서 판매하는 방식이다.
그래서 커피나 차와 같이 뜨거운 음료를 복수 잔 구매하는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상품을 투출한 후 다음 상품을 선택해서 제조되면 투출한다.
이로 인해,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처음 구매한 음료가 외부의 온도로 인해 차갑게 식는 문제점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탄산음료와 같이 차가운 음료를 복수 잔 구매하는 경우, 여름철에는 처음 구매한 음료가 외부의 온도에 의해 미지근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나 차와 같은 온음료와 탄산음료와 같은 냉음료를 연속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출함 내부에서 복수 잔의 음료를 수용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연속적으로 사용자에게 투출하는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잔의 음료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한 상태로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내부에 상품을 보관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판매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고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상품을 연속적으로 선택받는 상품 선택부, 상기 상품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상품의 원료별 투입 정보에 기초해서 각 원료를 투출하여 상품을 제조하는 상품 제조부 및 상기 상품 선택부를 통해 복수의 상품이 선택된 경우, 모든 상품의 제조가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투출함 내부에 보관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제조상품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자동판매기에 마련된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품 제조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 상품을 구매하고자 투입된 금액을 확인하고, 상품 판매에 따른 금액을 정산하며, 잔액을 반환하는 금전 메커니즘 및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품이 제조되는 동안에는 상품 제조 중임을 안내하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품 제조 완료 상태 및 상품을 인출을 안내하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며, 복수 상품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제조하는 상품이 몇 번째인지를 안내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각 상품을 순차적으로 인출하도록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성 안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상품 보관부는 제조된 상품을 사용자가 인출 가능하게 제공하는 투출함 내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상품이 수용되는 복수의 컵 홀더가 마련되는 보관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컵 홀더를 이동시켜 상기 투출함 내부에 제조된 상품을 보관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보관 플레이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 플레이트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출함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복수의 컵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 플레이트의 일측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이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 플레이트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복수의 컵 홀더가 미리 설정된 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보관 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이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방법은 (a) 제어부에서 상품 선택부를 통해 단수 또는 복수의 상품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b) 복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상품 선택부에서 복수의 상품을 연속적으로 선택받는 단계, (c) 상품 제조부에서 선택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선택 정보에 기초해서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 (d) 제조상품 보관부에서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투출함 내부에 보관하는 단계 및 (e)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사용자가 인출 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 내지 (e)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품이 제조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현재 제조하는 상품이 몇 번째인지를 안내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각 상품을 순차적으로 인출하도록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음성 안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방법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받고, 복수의 상품이 선택된 경우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보관함 내부에 보관하고, 모든 상품이 제조되면 보관된 상품을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 특히 커피나 차와 같이 뜨거운 음료 또는 탄산음료와 같은 냉음료를 복수 잔 연속적으로 제조해서 판매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잔 상품 판매시 먼저 제조된 상품이 인출되어 외부 온도에 의해 상품의 온도가 상승 또는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투출함 내부에서 복수 잔의 음료를 보관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연속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복수 잔의 음료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한 상태로 판매할 수 있고,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상품 판매력을 증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판매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제조상품 보관부의 구성도,
도 4는 제조상품 보관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판매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분말 상태로 저장되는 커피와 각종 차의 원료를 물과 혼합하여 컵으로 투출해서 제조된 상품을 판매하는 컵 음료 자동판매기(이하 '자동판매기'라 함)를 이용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캔이나 팩 형태의 음료를 판매하는 멀티자동판매기, 빵이나 피자, 라면 등 다양한 음식을 제조해서 판매하는 음식 제조 판매 방식의 자동판매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품을 보관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판매하는 본체(11),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 사용자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상품을 연속적으로 선택받는 상품 선택부(13), 선택된 상품의 원료별 투입 정보에 기초해서 각 원료를 투출하여 상품을 제조하는 상품 제조부(14) 및 복수의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 제조가 완료된 상품을 투출함(20) 내부에 보관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제조상품 보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10)는 자동판매기(10)에 마련된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 제어부(16)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품 제조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17), 상품을 구매하고자 투입된 금액을 확인하고, 상품 판매에 따른 금액을 정산하며, 잔액을 반환하는 금전 메커니즘(18) 및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체(11)의 전면에는 표시부(12)와 상품 선택부(13)가 마련되고, 본체(11)의 하부에는 상품을 제조하기 위한 각 원료를 투출받아 제조된 상품을 판매하는 투출함(20)이 마련될 수 있다.
투출함(20)의 전면에는 투출구(21)가 형성되고, 투출구(21)의 일측에는 개폐 가능하게 도어(2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의 내부에는 상품을 제조하기 위한 각종 원료가 분말 상태로 저장되는 보관함(도면 미도시)과 물통(도면 미도시), 상기 물통의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온수장치(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표시부(12)는 상품의 정보, 즉 상품명, 상품의 가격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품 선택부(13)는 사용자로부터 상품을 선택받고, 선택된 상품 선택 정보를 제어부(16)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 선택부(13)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개수가 하나인지 복수인지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 잔 선택 버튼과 복수 잔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2)와 상품 선택부(13)는 각각 표시 패널과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 등의 개별적인 장치로 마련되거나, 표시 및 입력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하나의 터치스크린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품 제조부(14)는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상품 선택 정보에 대응되도록, 해당 상품을 제조하기 위한 각 원료를 미리 설정된 투입량만큼씩 투출하여 혼합해서 상품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상품 보관부(15)는 사용자로부터 복수 잔 버튼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제조가 완료된 상품을 투출함(20) 내부에 보관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인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조상품 보관부(15)는 제조된 상품을 사용자가 인출 가능하게 제공하는 투출함(20), 투출함(20) 내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상품이 수용되는 복수의 컵 홀더(33)가 마련되는 보관 플레이트(31) 및 복수의 컵 홀더(33)를 이동시켜 투출함(20) 내부에 복수의 상품을 보관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보관 플레이트(3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은 제조상품 보관부의 구성도이다.
보관 플레이트(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투출함(20) 내부에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 플레이트(31)의 상면에는 복수의 컵 홀더(33)가 형성되고, 보관 플레이트(31)의 일측단, 즉 도 3에서 보았을 때 후측단은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이(34)가 형성되는 래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모듈(32)은 제어부(1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구동모터(35) 및 구동모터(35)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보관 플레이트(31)의 일측단에 형성된 복수의 이(34)와 맞물리는 구동기어(3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구동모터(35)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3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보관 플레이트(31)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구동기어(3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보관 플레이트(31)는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상품 선택부(13)를 통해 선택된 상품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의 각 원료를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입량만큼 투출하고 혼합하여 해당 상품을 제조해서 판매하도록 상품 제조부(14)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는 상품 선택부(13)에 마련된 상기 복수 잔 버튼이 조작되어 복수 상품 판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모든 상품이 제조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보관하도록 제조상품 보관부(1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어부(16)는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순차적으로 제공하도록 제조상품 보관부(1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어부(16)는 하나의 컵 홀더(33)에 상품 투출이 완료되면, 다음 컵 홀더(33)를 미리 설정된 상품 투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모터(35)를 미리 설정된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만큼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출함(20)에 컵이나 컵 홀더(33)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5)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잔 또는 복수 잔의 상품을 선택받고, 복수 잔이 선택된 경우,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투출함 내부에 보관하며,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사용자가 인출 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품, 특히 커피나 차와 같이 뜨거운 음료 또는 탄산음료와 같은 냉음료를 복수 잔 연속적으로 제조해서 판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잔 상품 판매시 먼저 제조된 상품이 인출되어 외부 온도에 의해 온도가 상승 또는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는 상품이 제조되는 동안에는 상품 제조 중임을 안내하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품 제조 완료 상태 및 상품을 인출을 안내하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도록 음성 안내부(1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는 복수 잔이 선택된 경우, 현재 제조하는 잔이 몇 번째인지를 안내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각 상품을 순차적으로 인출하도록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음성 안내부(1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안내부(17)는 제어부(16)의 제어신호에 따라 미리 저장된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6)는 안내음성뿐만 아니라, 화면에 안내문구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2)를 제어하거나, 투출구(21) 주변에 설치되는 동작상태 표시등을 점등 또는 점멸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제조상품 보관부(15)에 사각판 형상의 보관 플레이트(31)를 마련하고, 보관 플레이트(31)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컵 홀더(33)를 동일선상에 배치하는 경우, 보관 플레이트(31)의 면적이 커지고, 보관 플레이트(31)를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관 플레이트(31)의 면적을 최소화하고 이동공간을 제거하기 위해, 보관 플레이트(31)를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제조상품 보관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 플레이트(31)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관 플레이트(31)의 상면에는 복수의 컵 홀더(33)가 미리 설정된 각도마다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보관 플레이트(33)의 외주면에는 구동기어(36)와 맞물리는 복수의 이(3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판 형상의 보관 플레이트(33)는 구동모터(35)의 구동에 따른 구동기어(36)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중앙부에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복수의 컵 홀더(33)를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S10단계에서 전원부(19)를 통해 자동판매기(1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6)는 자동판매기(10)에 마련된 각 장치를 초기화하고, 상품 판매를 준비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표시부(12)는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품 선택부(13)는 사용자로부터 상품을 선택받는다.
S12단계에서 제어부(16)는 상품 선택부(13)에 마련된 복수 잔 버튼이 조작되어 복수 상품 판매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
S12단계의 검사결과 한잔 버튼이 조작되어 단수 상품 판매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품 선택부(13)는 사용자로부터 상품을 선택받고, 금전 메커니즘(18)은 금전을 투입받으며, 선택된 상품의 판매 금액에 따라 투입된 금액을 정산하고 잔액을 반환한다(S14).
그리고 상품 제조부(14)는 선택된 상품 선택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입량을 투출해서 혼합하여 상품을 제조한다(S16). 상품 제조가 완료되면, 제어부(16)는 S28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S12단계의 검사결과 복수 상품 판매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6)는 사용자로부터 복수 상품을 연속적으로 상품을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2)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래서 상품 선택부(13)는 사용자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복수 상품을 연속적으로 선택받는다(S18).
S20단계에서 상품 제조부(14)는 선택된 복수 상품 중에서 첫 번째 선택된 상품의 상품 선택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 투입량을 투출해서 혼합하여 상품을 제조한다(S20).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제어부(16)는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었는지를 검사하고(S22),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제조상품 보관부(15)를 구동해서 제조된 상품을 투출함(20) 내부에 보관하도록 제어한다(S24).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조상품 보관부(15)의 구동모터(35)는 제어부(16)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됨에 따라 구동기어(36)는 도 3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보관 플레이트(31)는 구동기어(36)의 회전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첫 번째 제조된 상품이 위치한 최우측단 컵 홀더(33) 우측으로 이동하고, 보관 플레이트(33)의 중앙에 마련된 컵 홀더(33)가 상품 투출 위치로 이동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컵 홀더(33)의 개수를 2개 또는 4개 이상 마련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보관 플레이트(31)를 회전시켜 복수의 컵 홀더(33)를 일정 각도씩 회전 이동시켜 제조된 상품을 보관할 수도 있다.
한편, S22단계의 검사결과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제어부(16)는 구동모터(35)를 구동해서 구동기어(3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보관된 상품을 순차적으로 상기 상품 투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복수의 상품을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26).
S28단계에서 제어부(16)는 전원 공급이 중지되는지를 검사하고, 전원 공급이 중지될 때까지 S12단계 내지 S28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S28단계의 검사결과 전원 공급이 중지되면, 제어부(16)는 자동판매기(10)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중지하고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받고, 복수의 상품이 선택된 경우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보관함 내부에 보관하고, 모든 상품이 제조되면 보관된 상품을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분말 상태로 저장되는 커피와 각종 차의 원료를 물과 혼합하여 컵으로 투출해서 제조된 상품을 판매하는 컵 음료 자동판매기를 이용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캔이나 팩 형태의 음료를 판매하는 멀티자동판매기, 빵이나 피자, 라면 등 다양한 음식을 제조해서 판매하는 음식 제조 판매 방식의 자동판매기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상품을 선택받고, 복수의 상품이 선택된 경우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보관함 내부에 보관하고, 모든 상품이 제조되면 보관된 상품을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방법 기술에 적용된다.
10: 자동판매기 11: 본체
12: 표시부 13: 상품 선택부
14: 상품 제조부 15: 제조상품 보관부
16: 제어부 17: 음성 안내부
18: 금전 메커니즘 19: 전원부
20: 투출함 21: 투출구
22: 도어 23: 힌지축
31: 보관 플레이트 32: 구동모듈
33: 컵 홀더 34: 이
35: 구동모터 36: 구동기어

Claims (7)

  1. 내부에 상품을 보관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판매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고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상품을 연속적으로 선택받는 상품 선택부,
    상기 상품 선택부를 통해 선택된 상품의 원료별 투입 정보에 기초해서 각 원료를 투출하여 상품을 제조하는 상품 제조부,
    상기 상품 선택부를 통해 복수의 상품이 선택된 경우, 모든 상품의 제조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투출함 내부에 보관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제조상품 보관부 및
    자동판매기에 마련된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상품 보관부는 제조된 상품을 사용자가 인출 가능하게 제공하는 투출함 내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상품이 수용되는 복수의 컵 홀더가 마련되는 보관 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의 컵 홀더를 이동시켜 상기 투출함 내부에 제조된 상품을 보관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보관 플레이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보관 플레이트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출함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관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복수의 컵 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 플레이트의 일측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이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품 제조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
    상품을 구매하고자 투입된 금액을 확인하고, 상품 판매에 따른 금액을 정산하며, 잔액을 반환하는 금전 메커니즘 및 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품이 제조되는 동안에는 상품 제조 중임을 안내하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품 제조 완료 상태 및 상품을 인출을 안내하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며,
    복수 상품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제조하는 상품이 몇 번째인지를 안내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각 상품을 순차적으로 인출하도록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성 안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방법에 있어서,
    (a) 제어부에서 상품 선택부를 통해 단수 또는 복수의 상품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하는 단계,
    (b) 복수의 상품이 선택되면, 상기 상품 선택부에서 복수의 상품을 연속적으로 선택받는 단계,
    (c) 상품 제조부에서 선택된 복수의 상품에 대한 상품 선택 정보에 기초해서 상품을 제조하는 단계,
    (d) 제조상품 보관부에서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될 때까지 제조된 상품을 투출함 내부에 보관하는 단계 및
    (e)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보관된 상품을 사용자가 인출 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 내지 (e)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품이 제조되는 동안 사용자에게 현재 제조하는 상품이 몇 번째인지를 안내하고, 모든 상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각 상품을 순차적으로 인출하도록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음성 안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방법.
  7. 삭제
KR1020160183613A 2016-12-30 2016-12-30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KR101918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613A KR101918601B1 (ko) 2016-12-30 2016-12-30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613A KR101918601B1 (ko) 2016-12-30 2016-12-30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646A KR20180078646A (ko) 2018-07-10
KR101918601B1 true KR101918601B1 (ko) 2018-11-15

Family

ID=62915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613A KR101918601B1 (ko) 2016-12-30 2016-12-30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60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117B1 (ko) 2019-01-21 2019-05-02 (주)에어리코리아 자동판매기용 바퀴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동판매기
KR101974116B1 (ko) 2019-01-21 2019-05-02 (주)에어리코리아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KR101999161B1 (ko) 2019-01-14 2019-07-12 (주)에어리코리아 슬라이딩 개폐 구조를 가지는 자동 판매기
KR102086660B1 (ko) 2019-10-30 2020-03-10 (주)에어리코리아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086661B1 (ko) 2019-10-30 2020-03-10 (주)에어리코리아 시럽 공급부를 포함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108294B1 (ko) 2019-08-19 2020-05-07 임은성 공기 청정기가 구비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112676B1 (ko) 2019-10-30 2020-05-19 (주)에어리코리아 회전 받침부를 포함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215828B1 (ko) * 2020-10-19 2021-02-16 주식회사 웨어하우스케이 음료 보관 및 폐기가 가능한 음료 자판기를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259B1 (ko) * 2018-07-19 2020-11-3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KR102005316B1 (ko) * 2018-12-28 2019-07-30 임은성 두 개의 음료 토출구를 구비하는 음료 자판기의 음료 제조 및 제공 스케쥴을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0566A (ja) 2002-05-09 2004-01-29 Apex:Kk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08018227A (ja) 2006-06-13 2008-01-31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抽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563B1 (ko) * 1991-12-28 1995-02-25 주식회사금성사 3차원 가중 메디안 필터를 이용한 tv영상신호의 주사선수 증가 방법 및 장치
KR950034114U (ko) * 1994-05-16 1995-12-18 여러잔의 동시추출이 가능한 음료수 자동판매기
KR20090004052U (ko) * 2007-10-26 2009-04-30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자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0566A (ja) 2002-05-09 2004-01-29 Apex:Kk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08018227A (ja) 2006-06-13 2008-01-31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抽出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161B1 (ko) 2019-01-14 2019-07-12 (주)에어리코리아 슬라이딩 개폐 구조를 가지는 자동 판매기
KR101974117B1 (ko) 2019-01-21 2019-05-02 (주)에어리코리아 자동판매기용 바퀴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자동판매기
KR101974116B1 (ko) 2019-01-21 2019-05-02 (주)에어리코리아 자동판매기용 음료 토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음료 판매용 자동판매기
KR102108294B1 (ko) 2019-08-19 2020-05-07 임은성 공기 청정기가 구비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086660B1 (ko) 2019-10-30 2020-03-10 (주)에어리코리아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086661B1 (ko) 2019-10-30 2020-03-10 (주)에어리코리아 시럽 공급부를 포함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112676B1 (ko) 2019-10-30 2020-05-19 (주)에어리코리아 회전 받침부를 포함한 음료 판매용 자동 판매기
KR102215828B1 (ko) * 2020-10-19 2021-02-16 주식회사 웨어하우스케이 음료 보관 및 폐기가 가능한 음료 자판기를 운용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646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601B1 (ko)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KR101647043B1 (ko)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
KR102114955B1 (ko) 동시 반출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US5996765A (en) Vending mechanism of vending machine
KR101815991B1 (ko)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생과일 주스 판매방법
KR101745610B1 (ko) 자동판매기 및 그의 무선충전 단말 판매방법
JPH11144145A (ja) 自動販売機の駆動方法
KR20190136315A (ko) 무인 카페 시스템
KR102019161B1 (ko)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KR101797657B1 (ko)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판매 방법
KR20090001088A (ko) 다수개의 물품을 한번에 판매 가능한 자동판매기의판매방법 및 그 장치
KR101360006B1 (ko) 컴팩트 자동판매기
KR20160075237A (ko) 자동판매기의 얼음 배출 제어장치
RU2555690C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KR20170057981A (ko) 자동판매기 및 그의 상품 제조 판매방법
JP2001344647A (ja) 自動販売機
JP5458853B2 (ja) 自動販売機
KR19990074019A (ko) 자동판매기의 컵배출장치
KR100234641B1 (ko) 자동판매기의 스틱감지 방법
KR100237043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판매장치 및 방법
JP2008282115A (ja) 自動販売機
JP2001357449A (ja) 自動販売機
KR20180076229A (ko) 자동판매기 및 그의 음주 측정 방법
KR20180076228A (ko) 자동판매기
KR20010064983A (ko) 음료자동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