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007B1 -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007B1
KR101974007B1 KR1020170143223A KR20170143223A KR101974007B1 KR 101974007 B1 KR101974007 B1 KR 101974007B1 KR 1020170143223 A KR1020170143223 A KR 1020170143223A KR 20170143223 A KR20170143223 A KR 20170143223A KR 101974007 B1 KR101974007 B1 KR 101974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al estate
parking
valu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록
Original Assignee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부동산에 포함되는 주차시설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상기 주차시설에 설치되는 영상장치; 상기 영상장치와 상기 관제센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영상장치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주차시설에 대한 정보인 주차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주차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가치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정보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주차시설에 출입한 차량의 대수에 관한 정보인 제1정보와,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주차시설에서 징수되는 주차요금에 대한 정보인 제2정보와,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주차시설에 주차되는 차량의 종류에 관한 정보인 제3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제1정보에 따른 값과 상기 제2정보에 따른 값에 비례하여 상기 평가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제3정보를 상기 평가점수에 함께 반영하며, 상기 수집부는,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종류에 대응되는 특징점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며,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주차시설로 차량이 입차하는 경우,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수집부로 전달하며, 상기 수집부는, 상기 영상정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영상정보에서 추출된 특징점과 기저장된 차량의 종류에 대응되는 특징점을 비교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종류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제3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수집부로부터 상기 주차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가중치정보를 입력받고 외부의 부동산서버로부터 부동산 시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부동산 시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장에서 거래되는 부동산의 가격을 확정한 후 확정된 부동산의 가격에 상기 제1정보에 따른 값과 상기 제2정보에 따른 값과 상기 제3정보에 따른 값을 각각 곱한 다음 가중치정보에 따른 상수를 곱한 후 가치평가될 상기 부동산의 주변에 존재하는 부동산들의 가격 평균값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평가부와, PC(Personal Computer)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테블릿(Tablet)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외부의 단말장치로 상기 평가부에서 평가된 상기 부동산의 가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부동산의 위치에 대한 맵데이터와 상기 부동산의 실물사진과 상기 부동산 주변에 위치하는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정보가 반영된 부동산에 대한 가치가 용이하게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부동산에 대한 실질적인 상업적 가치가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SYSTEM FOR EVALUATING A VALUE OF REAL ESTATE}
본 발명은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정보를 이용하여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동산 가치평가란, 어느 부동산의 경제 가치를 판정하고 이를 화폐액으로 표시하는 작업을 말한다. 이러한 부동산 가치평가는 사회의 일련의 가격질서 속에서 그 부동산의 가격 및 임료가 어느 정도 되어야 하는가를 산정하는 창조적인 작업으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으므로, 명확하게 어떠한 방법이 정해진 것은 아니다.
전통적으로 부동산 가치평가는 부동산의 일반적인 시세, 주변 교통 상황, 부동산 자체의 컨디션, 임대료 수준, 임차권의 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시된다.
도시의 인구밀도가 높아지고 수요자의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하나의 건물에 여러 종류의 상업시설이 밀집해 있는 복합 상업 건물들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건물에 설치된 혹은, 건물의 주변에서 직접적으로 이용가능한 주차시설의 이용 편의가 상업 시설을 방문하는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시설에 대한 정보가 부동산의 상업적 가치에 반영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상술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주차시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부동산의 실질적인 상업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차정보를 이용하여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부동산에 포함되는 주차시설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상기 주차시설에 설치되는 영상장치; 상기 영상장치와 상기 관제센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영상장치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주차시설에 대한 정보인 주차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주차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가치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정보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주차시설에 출입한 차량의 대수에 관한 정보인 제1정보와,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주차시설에서 징수되는 주차요금에 대한 정보인 제2정보와,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주차시설에 주차되는 차량의 종류에 관한 정보인 제3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제1정보에 따른 값과 상기 제2정보에 따른 값에 비례하여 상기 평가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제3정보를 상기 평가점수에 함께 반영하며, 상기 수집부는,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종류에 대응되는 특징점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며,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주차시설로 차량이 입차하는 경우,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수집부로 전달하며, 상기 수집부는, 상기 영상정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영상정보에서 추출된 특징점과 기저장된 차량의 종류에 대응되는 특징점을 비교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종류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제3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수집부로부터 상기 주차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가중치정보를 입력받고 외부의 부동산서버로부터 부동산 시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부동산 시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장에서 거래되는 부동산의 가격을 확정한 후 확정된 부동산의 가격에 상기 제1정보에 따른 값과 상기 제2정보에 따른 값과 상기 제3정보에 따른 값을 각각 곱한 다음 가중치정보에 따른 상수를 곱한 후 가치평가될 상기 부동산의 주변에 존재하는 부동산들의 가격 평균값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평가부와, PC(Personal Computer)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테블릿(Tablet)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외부의 단말장치로 상기 평가부에서 평가된 상기 부동산의 가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부동산의 위치에 대한 맵데이터와 상기 부동산의 실물사진과 상기 부동산 주변에 위치하는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정보가 반영된 부동산에 대한 가치가 용이하게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부동산에 대한 실질적인 상업적 가치가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의 가치평가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의 구성간 신호흐름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방법의 가치평가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의 가치평가부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의 구성간 신호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100)은 수집부(110)와 가치평가부(120)를 포함한다.
수집부(110)는 주차정보가 수집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가치평가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치평가부(120)로 주차정보를 전달한다.
여기서, 주차정보는 부동산에 포함되는 주차시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부동산의 가치와 비례관계에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주차정보는 보다 상세하게, 제1정보와, 제2정보와, 제3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정보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주차시설에 출입한 차량의 대수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1일 동안 주차시설로 입차한 차량의 대수와 주차시설로부터 출차한 차량의 대수를 합산한 차량의 대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2정보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주차시설에서 징수되는 주차요금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1일 동안 주차시설에서 출차하는 차량들이 지불한 주차요금을 합산한 요금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제3정보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주차시설에 주차되는 차량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1일 동안 주차시설에 입차한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수집부(110)는 제1정보와 제2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주차시설에 설치되는 주차 출입 차단장치 및 관제센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3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주차시설에 설치되는 영상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정보가 수집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집부(110)에는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는 각 종류에 대응되는 특징점을 포함한다. 한편, 주차시설로 차량이 입차되면, 주차시설에 설치되는 영상장치가 입차되는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정보를 수집부(110)로 전달한다. 이후, 수집부(110)는 전달받은 영상정보에서 특징점을 추출한다. 이후, 수집부(110)는 상기 특징점과 기입력된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의 특징점을 비교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현재 입차되는 차량의 종류를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입차되는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 즉, 제3정보가 획득, 즉, 수집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수집된 제3정보는 후술하는 가치평가부(120)로 전달된다.
가치평가부(120)는 주차정보를 기초로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것으로써, 각종 정보를 연산할 수 있는 PC(Personal Computer) 등의 단말장치로 마련되어 상술한 수집부(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가치평가부(120)에 의해서 평가되는 평가점수는 부동산 가격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치평가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입력부(121)와, 평가부(122)와, 출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1)는 상술한 수집부(110)로부터 주차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써, 상술한 수집부(110)와 후술하는 평가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입력부(1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가중치정보와, 외부의 부동산 서버로부터 부동산의 시세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가중치정보는, 제1정보, 제2정보, 제3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반영될 가중치 값에 관한 것으로써, 사용자에 의해서 임의적으로 설정되는 정보이다.
즉, 가중치정보는 제1정보, 제2정보, 제3정보에 따른 값에 곱해질 상수로써, 시뮬레이션 및 모델링을 통해서 미리 결정된 값이다. 이러한 가중치정보는 시대별, 지역별, 날씨별 등으로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일반적인 조건에서 실시한 시뮬레이션 및 모델링 결과, 제3정보에 대한 가중치정보에 따른 값이 제1정보 및 제2정보에 대한 가중치의 정보에 따른 값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부동산의 시세에 관한 기본 정보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부동산의 가격에 대한 정보로써, 외부의 부동산 서버, 즉, 부동산에 대한 정보가 수집, 관리되는 서버로 부터 전달받는 정보이다.
한편, 부동산의 시세에 관한 기본 정보는, 가치평가될 부동산에 대한 가격 이외에도 가치평가될 부동산의 주변에 존재하는 부동산들의 가격 평균값에 관한 정보도 포함된다.
평가부(122)는 상술한 입력부(121)로부터 전달받는 주차정보, 가중치정보, 부동산의 시세에 대한 기본 정보를 기초로 연산을 수행하여 부동산에 대한 가격을 평가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입력부(121)와 후술하는 평가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평가부(122)에 따른 연산 및 평가과정은 보다 상세하게 다음과 같다. 먼저, 부동산의 시세에 대한 기본 정보에 기초하여 시장에서 거래되는 부동산(가치평가 될)의 가격을 확정하고, 이러한 부동산의 가격에 제1정보에 따른 값과 제2정보에 따른 값과 제3정보에 따른 값을 각각 곱한다. 이후, 각 값에 가중치정보에 따른 상수를 각각 곱한 후, 이들을 합산한 다음, 가치평가될 부동산의 주변에 존재하는 부동산들의 가격 평균값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주차정보가 반영된 부동산 가격이 최종적으로 연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평가된 주차정보가 반영된 부동산 가격은 후술하는 출력부(123)로 전달된다.
출력부(123)는 평가부(122)에 의해 평가된 부동산 가격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평가부(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단말장치(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의 단말장치(t)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Tablet)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동산 가격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출력부(123)에서 출력되는 평가된 부동산 가격에 대한 정보는 부동산 위치에 대한 맵데이터, 부동산의 실물사진, 평가된 부동산 주변이 위치하는 부동산에 대한 정보 등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집부(110)와 가치평가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100)에 따르면, 주차정보가 반영된 부동산에 대한 가치가 용이하게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부동산에 대한 실질적인 상업적 가치가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방법의 가치평가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방법(S110)은 수집단계(S110)와 가치평가단계(S120)를 포함한다.
수집단계(S110)는 부동산에 포함되는 주차시설에 주차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인 주차정보가 수집되는 단계로써, 상술한 수집부(110)에 의해서 실시된다.
여기서, 주차정보는 부동산에 포함되는 주차시설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부동산의 가치와 비례관계에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이러한 주차정보는 보다 상세하게, 제1정보와, 제2정보와, 제3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정보 내지 제3정보에 대해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3정보가 획득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가치평가단계(S120)는 주차정보를 기초로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로써, 상술한 수집단계(S110) 이후, 가치평가부(120)에 의해 실시된다.
평가단계(S122)는 보다 상세하게, 입력단계(S121)와, 평가단계(S122)와, 출력단계(S123)를 포함한다.
입력단계(S121)는 상술한 수집단계(S110)에 의해 수집된 주차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써, 입력부(121)에 의해 실시된다.
이러한 입력단계(S121)에서, 입력부(121)는 주차정보 이외에도, 사용자로부터 가중치정보를 입력받고, 외부의 부동산 서버로부터 부동산의 시세에 대한 기본 정보도 입력받는다.
한편, 가중치정보 및 부동산의 시세에 대한 기본 정보에 대해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평가단계(S122)는 주차정보, 가중치정보, 부동산의 시세에 대한 기본 정보를 기초로 연산을 수행하여 부동산에 대한 가격을 평가하는 단계로써, 상술한 평가부(122)에 의해서 실시된다.
평가단계(S122)에 따른 연산 및 평가과정은 보다 상세하게 다음과 같다. 먼저, 부동산의 시세에 대한 기본 정보에 기초하여 시장에서 거래되는 부동산(가치평가 될)의 가격을 확정하고, 이러한 부동산의 가격에 제1정보에 따른 값과 제2정보에 따른 값과 제3정보에 따른 값을 각각 곱한다. 이후, 각 값에 가중치정보에 따른 상수를 각각 곱한 후, 이들을 합산한 다음, 가치평가될 부동산의 주변에 존재하는 부동산들의 가격 평균값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주차정보가 반영된 부동산 가격이 최종적으로 연산된다.
출력단계(S123)는 상술한 평가단계(S122)에 의해 평가된 부동산 가격에 대한 정보를 외부의 단말장치로 출력하는 단계로써, 상술한 출력부(123)에 의해 실시된다.
여기서, 외부의 단말장치는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테블릿(Tablet)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부(1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동산 가격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출력단계(S123)에 따라 출력되는 평가된 부동산 가격에 대한 정보는 부동산 위치에 대한 맵데이터, 부동산의 실물사진, 평가된 부동산 주변이 위치하는 부동산에 대한 정보 등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집단계(S110)와 가치평가단계(S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방법(S100)에 따르면, 주차정보가 반영된 부동산에 대한 가치가 용이하게 평가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부동산에 대한 실질적인 상업적 가치가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
110 : 수집부
120 : 가치평가부
121 : 입력부
122 : 평가부
123 : 출력부
t : 외부의 단말장치
S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방법
S110 : 수집단계
S120 : 가치평가단계
S121 : 입력단계
S122 : 평가단계
S123 : 출력단계

Claims (5)

  1. 부동산에 포함되는 주차시설에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상기 주차시설에 설치되는 영상장치;
    상기 영상장치와 상기 관제센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영상장치와 상기 관제센터로부터 상기 주차시설에 대한 정보인 주차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및
    상기 주차정보를 기초로 상기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여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가치평가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차정보는,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주차시설에 출입한 차량의 대수에 관한 정보인 제1정보와,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주차시설에서 징수되는 주차요금에 대한 정보인 제2정보와, 기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주차시설에 주차되는 차량의 종류에 관한 정보인 제3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제1정보에 따른 값과 상기 제2정보에 따른 값에 비례하여 상기 평가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제3정보를 상기 평가점수에 함께 반영하며,
    상기 수집부는,
    차량의 종류 및 차량의 종류에 대응되는 특징점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며,
    상기 영상장치는,
    상기 주차시설로 차량이 입차하는 경우, 입차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수집부로 전달하며,
    상기 수집부는,
    상기 영상정보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상기 영상정보에서 추출된 특징점과 기저장된 차량의 종류에 대응되는 특징점을 비교하여, 입차하는 차량의 종류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제3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가치평가부는,
    상기 수집부로부터 상기 주차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가중치정보를 입력받고 외부의 부동산서버로부터 부동산 시세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되는 부동산 시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장에서 거래되는 부동산의 가격을 확정한 후 확정된 부동산의 가격에 상기 제1정보에 따른 값과 상기 제2정보에 따른 값과 상기 제3정보에 따른 값을 각각 곱한 다음 가중치정보에 따른 상수를 곱한 후 가치평가될 상기 부동산의 주변에 존재하는 부동산들의 가격 평균값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평가부와, PC(Personal Computer) 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테블릿(Tablet)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외부의 단말장치로 상기 평가부에서 평가된 상기 부동산의 가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부동산의 위치에 대한 맵데이터와 상기 부동산의 실물사진과 상기 부동산 주변에 위치하는 부동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43223A 2017-10-31 2017-10-31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 KR101974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223A KR101974007B1 (ko) 2017-10-31 2017-10-31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223A KR101974007B1 (ko) 2017-10-31 2017-10-31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007B1 true KR101974007B1 (ko) 2019-05-02

Family

ID=6658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223A KR101974007B1 (ko) 2017-10-31 2017-10-31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0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874B1 (ko) * 2000-02-15 2003-02-06 김경동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자동가격 검증시스템
JP2004021565A (ja) * 2002-06-14 2004-01-22 Takeshi Iwanami 賃貸ビルディングにおける損益分岐点の検出システム
JP2006091512A (ja) * 2004-09-24 2006-04-06 Shouwa Dengiken Kk 施設の経済的価値を表示する地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874B1 (ko) * 2000-02-15 2003-02-06 김경동 인터넷을 이용한 부동산 자동가격 검증시스템
JP2004021565A (ja) * 2002-06-14 2004-01-22 Takeshi Iwanami 賃貸ビルディングにおける損益分岐点の検出システム
JP2006091512A (ja) * 2004-09-24 2006-04-06 Shouwa Dengiken Kk 施設の経済的価値を表示する地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68783B (zh) 车辆定损估价的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13196331B (zh) 利用卫星影像的应用服务提供装置及方法
Higgins A 4D spatio-temporal approach to modelling land value uplift from rapid transit in high density and topographically-rich cities
Licitra et al. Gden: An indicator for European noise maps comparison and to support action plans
CN111709756A (zh) 一种可疑社团的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11311034B (zh) 道路内涝风险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264222B (zh) 基于数据采集的尽职调查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0012765B2 (en) Geographical condition prediction
CN113723652A (zh) 业务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6290806B2 (ja) 評価システム、評価方法及び評価プログラム
CN112233428A (zh) 车流量预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Fuerst et al. Sea level rise and house price capitalisation
EP3665512B1 (en) Real-time computation of an atmospheric precipitation rate from a digital image of an environment where an atmospheric precipitation is taking place
CN110119979A (zh) 基于数据分析的房产评估系统推荐方法、装置及服务器
KR101974007B1 (ko) 주차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가치평가 시스템
Agudelo et al. Sound measurement and automatic vehicle classification and counting applied to road traffic noise characterization
CN113963541B (zh) 一种基于gps信号数据识别车辆聚集事件的方法及装置
CN110517063B (zh) 进店消费人次确定方法、装置及服务器
CN110648213A (zh) 地址验证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101794031B1 (ko) 부동산 임차 보증금의 위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08205888A (zh) 一种判断乘客进出站的方法及装置
KR102320495B1 (ko) 주차장 자동결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08230672A (zh) 一种站台信息确认方法及装置
CN115996412A (zh) 无线网络评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098227B1 (ko) 날씨정보와 주차정보를 이용한 주차요금 결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